•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업 무 보 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업 무 보 고"

Copied!
28
0
0

Teks penuh

(1)

2019년 업무계획

2019.

업 무 보 고

(2)
(3)

목 차

Ⅰ. 일반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2018년 주요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Ⅲ. 2019년 주요업무 추진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1. 생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 관리 · · · · · · · · · · · · · · · · · · · · · 15

2. 국민이 행복한 탐방복지 실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4. 사회적 책임 강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4)
(5)

Ⅰ. 일 반 현 황

(6)
(7)

1 설립목적

❍ 국립공원 등의 자연생태계, 자연ㆍ문화경관 및 지형ㆍ지질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전ㆍ관리함으로써,

❍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 국민이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건강 하고 여유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함

(국립공원공단법 제1조)

2 주요연혁

❍ 1987. 7. 1. 국립공원관리공단 설립(건설부 산하)

❍ 1998. 2. 28. 내무부 산하에서 환경부로 이관

❍ 2007. 1. 1.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 2016. 5. 29. 국립공원관리공단법 제정․공포

❍ 2019. 1. 17. 국립공원공단 명칭 변경(국립공원공단법 개정)

※ 공단 설립 이후 국립공원 추가 지정 : 변산·월출산(’88), 무등산(’13), 태백산(’16)

3 주요업무

❍ 국립공원의 보전, 야생생물 보호, 멸종위기종 복원, 안전관리, 공원시설의 설치·관리

❍ 자연공원의 자원 조사·연구, 이용에 관한 지도·홍보, 탐방 프로그램 운영, 국제협력, 청소

❍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등

(8)

- 4 -

4 조직·정원

가 조직

(본사 : 1지원본부, 7처 6실, 지방 : 1공원본부, 29사무소, 1연구원, 1기술원, 8탐방원, 1교육원, 1사무국)

나 정원

(단위 : 명)

구 분 계 임 원 일반직 특정직 운영직

합 계 1,406 5 1,138 125 138

본 부 173 5 153 8 7

지 방 1,233 - 985 117 131

※ (지원직) 무기계약직 1,035명(기존 260명, 전환 775명) ※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녹색순찰대 442명

(9)

5 2019년 예산

(단위 : 백만원)

구 분 내 역 ’18년 ’19년 구 성

(%) 증감

315,213 343,304 100.0 28,091

1. 출연사업 181,456 197,733 57.6 16,277

○ 자체수입 주차료, 야영료, 직영사업, 기타수입 등 18,736 18,934 5.5 198

○ 정부출연금 수지차 보전 출연 162,720 178,799 52.1 16,079

2. 환경지킴이 25,733 29,015 8.4 3,282

○ 자연환경해설사 자연환경해설사 운영 10,816 12,422 3.6 1,606

○ 국립공원지킴이 녹색순찰대, 재난구조대 운영 14,917 16,593 4.8 1,676

3. 대행사업 108,024 116,556 34 8,532

○ 국립공원 및 지질 공원사업

공원시설 신설 및 정비, 핵심지역보전,

탐방문화개선, 지질공원사업 등 93,715 111,219 32.4 17,504

○ 생태관광사업 생태관광 인프라 구축 9,832 860 0.3 △8,972*

○ 멸종위기종복원사업 반달가슴곰‧산양‧여우 복원,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4,477 4,477 1.3 -

* 생태탐방원(무등, 내장, 한려) 조성 완료로 사업비 감액

(10)

- 6 -

6 국립공원 현황

개 요

❍‘67년 지리산을 최초로 산악형 18개, 해상·해안형 3개, 사적형 1개 등 22개 국립공원 지정(한라산, 오동도를 제외한 21개 국립공원 관리)

❖ 면 적

(단위 : ㎢)

계 육 지 해 상

6,726 3,972(59%) 2,754(41%)

•국토면적 대비 4.0% 지정(해상면적 제외)

❖ 토지소유권(육지)

(단위 : ㎢)

계 국 유 공 유 사 유 3,972 2,175(55%) 511(13%) 1,286(32%)

국립공원의 가치 ❍ 자연생태적 가치

- 국내 생물종(49,027종)의 44%(21,408종) 서식‧분포 - 국내 멸종위기종(267종)의 65%(175종) 서식‧분포

❍ 여가‧휴양적 가치 : 연간 4천4백만명이 찾는 휴식공간

❍ 문화적 가치 : 국보 42건, 보물 163건, 천연기념물 75건 등 소재 ❍ 경제적 가치 : 114조3천억원(보존가치 102.4조, 이용가치 11.9조) / 국립공원연구원

탐방객 추세

(단위 : 만명)

연도 `06년 `07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탐방객 2,679 3,798 4,693 4,641 4,533 4,436 4,728 4,382

(11)

Ⅱ. 2018 년도 주요 성과

(12)
(13)

1 2018년도 주요 성과

국가 핵심 보전지역인 국립공원의 생태가치 증진 ❍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호·복원

- (동물) 반달가슴곰(지리산, 61마리), 산양(월악산, 98마리), 여우(소백산, 29마리)복원, 공존협의체 운영 등 성공적 복원 단계 진입

- (식물) 자생지 복원(황근, 끈끈이귀개), 증식기술(매화마름, 솔붓꽃) 및 분포 예측모델(개병풍, 대청부채, 매화마름) 개발 등

❍ 서식지 보전을 통한 생태계 안정성 강화

- 독립훼손지, 샛길 등 훼손지의 생태적 복원(65,583㎡)

- 사유지(2.2㎢) 매수 및 특별보호구역 추가(9개소, 8.7㎢) 지정 자연이 주는 혜택 공유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 탐방콘텐츠 다양화를 통한 체험기회 확대

- 음악공연, 마당극, 시낭송회 등 저지대 탐방콘텐츠 제공(334회, 50만명 참여)

- 환경부 인증 프로그램 운영 확대(΄17년 68만명 → ΄18년 93만명)

❍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사회적 역할 수행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소방관 등 치유·회복 프로그램 운영(43회, 5,160명)

- 생태나누리, 건강나누리 프로그램 운영(358회, 19,278명)

엄정한 관리에 기초한 쾌적한 국립공원 문화·환경 조성 ❍ 음주행위 금지

- 충분한 홍보 및 계도 활동으로 안전한 탐방문화 개선(과태료 80건)

❍ 긴급자동차 운영 및 ICT 장비 활용 현장관리 강화

- 순찰차량 긴급자동차(65대) 지정으로 적기 신속대응 관리 강화

- 24시간 현장 대응체계마련(야간계도장비 44개소,무인계도시스템 148개소, 무인기 75대)

(14)

- 10 -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 재난안전상황실 운영 및 현장인력 역량 강화

- 24시간 재난안전상황실 운영(΄17년 야간운영 → ΄18년 24시간 운영) 및 전담근무자 확대 편성‧운영(΄17년 3명 → ΄18년 8명)

- 구조전담인력 체력측정평가(소방공무원 평가 기준 준용) 체계 도입

* 평균 2등급 유지(6개 종목, 1~5등급), 전담인력 60%「국민체력100」기준 1등급 달성 ❍ 생명을 구하는 명예 인증, 라이프 세이버 제도 도입

- 국립공원 내 심정지, 저체온, 탈진, 자살시도 등 죽음의 위기에 놓인 사람의 생명을 구한 직원과 일반국민의 자긍심 고취를 위한 명예 인증 - 직원 19명(금장 16, 은장 3), 일반인 3명(금장 3) 라이프 세이버 인증 ※ 심정지 탐방객(5명), 자살기도자(1명), 저체온증(2명), 기도폐쇄(1명) 구조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지속가능한 경영체계 강화 ❍ 국립공원 명품마을 활성화 및 브랜드 가치 제고

- 야생동물피해예방시설(45개) 지원 후 농가 소득(3억원) 및 수확량(98톤)

증가(CSV 포터상1) 수상)

❍ 국립공원 관리 참여 확대

- 국민의 공원 관리 참여 확대(시민대학 졸업생 194명)

- 상생협력위원회 운영(2회)으로 이해관계자와 협력 소통 강화 - 국립공원 협치위원회 주민 참여 확대(`17년 525명→`18년 740명)

< 2018년 주요 수상 실적>

◇ (교육부)「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 명예의 전당」헌액

(행정안전부) 2018년 대한민국 자원봉사 대상 대통령 기관 표창 수상

◇ (행정안전부) 공공기관 재난관리 우수기관 선정

◇ (문화체육부) 2018 대한민국 지역․공공 캐릭터대회 대상 수상

1) CSV 포터상(Porter Prize for Excellence in CSV) : 2014년 제정, ‘함께 나누며 성장하는 사회’를 조성하면서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치유할 대안으로 꼽히는 새로운 미래경영의 패러다임인 CSV(공유가치 창출- Creating Shared Value)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CSV 이론의 창시자인 하버드대 마이클 포터교수가 제안

(15)

Ⅲ. 2019 년 주요업무 추진 현황

(16)
(17)

중장기 경영목표

(΄19 ~ ΄23)

미 션 우리는 자연을 보전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열어간다

비 전 자연․사람․미래를 연결하는 보호지역 관리의 선도기관

공유 가치

핵심가치 경영방침

생태건강 국민행복 안전중심 전문관리 자연주권 국민긍지 소통공감

전략 목표

생태계건강성 지수 1등급 달성

국민평가 S등급 달성

안전사고 발생건수 0.4명(10만명당) 유지

지속가능경영지수 S등급 달성

전략 방향

생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 관리

국민이 행복한 탐방 복지 실현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공단 역량 및 사회적 책임 강화

전략 과제

생물다양성 증진

생태계 안정성 강화

과학적 공원관리 기반 구축

국립공원 생태복지 기능 제고

수요자 중심의 탐방인프라 확충

탐방문화 개선 및 기반 강화

재난안전 통합 관리 강화

선제적

안전관리 활동 강화

재난안전 대응 역량 강화

사회적 가치 및 공공성 강화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 실현

미래 지속 성장 역량 확보

(18)
(19)

1 생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 관리

국립공원 생물자원에 대한 보호․복원생태계 가치 평가 등을 통해 국가 생물주권 확립과 자연·사람이 공존하는 환경 조성

1 서식지 중심의 생물다양성 보전 강화

□ 국립공원 중심의 생물종 증식·복원사업 추진

❍ (동물) 반달가슴곰, 여우 등의 유전적 다양성 확보 및 서식지 관리 강화 - 지역주민, 지자체, NGO΄s 등 국민협력·참여를 통한 공존문화 확대 조성 ❍ (식물) 자생지 복원(대청부채, 태안) 및 증식기술(개병풍 등 2종) 개발,

분포예측 모델링(백부자 등 3종)을 통한 자생지 발굴 등

□ 생물 서식환경 기반 조사·모니터링 강화

❍ (공원자원조사) 생물종 중심에서 서식지 영향 조사로 전환하여 체계적 공원 관리 기반 구축

- (΄19년) 4개 공원(지리, 북한, 속리 한려동부) 조사

❍ (자원모니터링) 기후변화, 수질 및 특별보호구역, 주요생물상 모니터링 - 아고산대 침엽수림 변화 모니터링으로 고사원인 규명 등

□ 유전적 다양성 증진

❍ 국립공원 생물종 유전자원 염기서열정보 구축으로 과학적 자원관리 강화 - (΄19년) 120종, `19~22년까지 1,175종 분석 예정(총1,295종)

❍ 권역별 자생종 증식(45종) 및 육묘시설(3개소) 조성․운영

- (΄19년) 월출, 소백, 설악 → (΄20년) 속리, 한려 → (΄21년) 변산

□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정밀조사

❍ 해양생태자원 기본도 제작(한려해상) 및 해중생태계 정밀조사(4개 도서)

❍ 유․무인 도서 50개소(태안 10개소, 다도 15개소, 다서 25개소) 조사

- 저서무척추동물, 해조류, 해초류 등

(20)

- 16 -

2 생태계 안정성 강화

□ 핵심서식지 보전 관리

❍ 공원심층부 보전으로 자연생태계 안정성 강화

- 주민 이주사업 완료(무등: 공원밖 이주단지 조성, 오대 : 단지조성 및 분양)

- 장기간 방치된 미사용 독립시설* 이전·철거

* (거주) 독립 상가 가옥(34동) 이전 철거, (비거주) 빈집(39동) 철거 ❍ 사유지 매수 등 핵심 서식지 보전 사업 확대

- 사유지(1.2㎢) 매수, 특별보호구역 추가(1.2㎢) 지정, - 공원 내 토지소유주 등과 공원보호협약 사업* 확대

* (`19) 오대산 등 13개 사무소 14개 사업(야생동물 먹이용 경작(배추) 관리 등)

□ 국립공원 훼손지 생태복원 강화

❍ 자연적·인위적 요인으로 발생한 유형별 훼손지 복원(50개소, 85,608㎡)

- 설악산 미시령 등 독립훼손지(4개소), 비법정탐방로(24개소) 등 ❍ 경주 남산일원 묘지(3,600기) 이장 및 경관 복원(문화재청 협업)

- (΄18) 136기 이장․복원(누적 691기) → (΄19) 100기 이장․복원

□ 해상․해안국립공원 생태계 관리 강화

❍ 해상‧해안공원 보전관리체계 및 분양별 중기계획 수립(4개 분야)

- 해양 조사‧연구, 보전‧관리, 서식지‧생물복원, 인프라 구축 등 ❍ 해양생태계 서식지 보호․복원

- 항포구 인근 등 서식지 개선(16개소) 및 인공구조물 전수조사 - 멸종위기 해마 및 산호충류 증식·이식(2개소)

(21)

3 과학적 공원관리 기반 구축

□ 자연자원가치 창출 및 활용성 제고

❍ 자원통합관리시스템 고도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

- 자원정보 활용기술 개발 및 누리집(웹페이지) 운영을 통한 생물정보(5,000종) 제공 ❍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기반 구축 및 이행

- 생태계의 다양한 혜택(공급, 문화서비스 등)을 금전적인 가치로 환산하여 의사 및 정책 결정권자들에게 경제적인 동기유발을 부여(덕유산 등 4개 공원)

□ 역사·문화자원 등 자원관리 효율성 강화 ❍ 역사․문화자원 발굴․모니터링 및 콘텐츠 제작

- 주제별(신앙유적, 향토, 인문 등)·공원별(설악, 치악, 소백) 자료집 제작 ❍ 국립공원 대표 지질․경관자원 선정

- 국민 선호가 높은 공원별 대표 경관자원 선정 및 홍보(SNS 빅데이터 기반)

□ 탐방객 이용 행태 분석 등 탐방 관리 강화 ❍ 탐방객수 조사․통계자료 확충

- (계수시스템) 진입부(189개소 → 195개소), 정상부(6개소 → 16개소, 지리 14, 태백 2) 확충 ❍ 국립공원 여가․휴양 실태조사 및 탐방이용행태 정밀분석

- (이용형태)공원별 탐방객 특성, 방문동기, 만족도 등(전공원, 11,000부)

□ 생태계 위협 관리 능력 제고

❍ 침입 외래생물 확산 방지 및 유해동물 관리 강화

- 교란생물 퇴치, 유해동물(멧돼지) 조사, 태백산 인공림시범사업(공단-산림청) 등 ❍ 자연자원 훼손 예방 등 현장관리 강화

- 해양 불법행위 저감을 위한 선박모니터링시스템* 확대운영(NP-VMS, 24개 지점)

(22)

- 18 -

2 국민이 행복한 탐방복지 실현

◈ 온전한 국립공원이 주는 혜택과 즐거움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민 생태복지 제공

1 국립공원 생태복지 기능 제고

□ 자연․국민 모두가 행복한 국립공원 탐방문화 조성 ❍ 저지대 중심의 다양한 체험형 탐방콘텐츠 제공

- 셀프 탐방가이드 앱「스마트탐방 AR」콘텐츠 강화(한려, 설악 2개 공원 개발)

-「국립공원 주간」확대: 봄․가을 → 사계절(계절별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 건전한 국립공원 탐방문화 정착

- 야영문화 개선을 위한 캠페인 운영(단순 캠페인 → 참여형 캠페인)

- 계절별 걷기 좋은길 홍보 및 권역별 명품길 걷기대회 확대 운영

□ 수요자 맞춤형 생태체험 서비스 확대

❍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 생애주기별 탐방프로그램 운영 확대

- 환경성질환, 자유학년제 등 참여자수 확대(΄18년 31만명 → ΄19년 40만명)

❍ 맞춤형 치유프로그램 확대 운영

- 소방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치유프로그램 운영 확대(4개→7개 탐방원)

□ 국립공원 예약시스템 확대

❍ 생태·경관적 가치가 높은 구간 탐방예약제 확대

- 탐방예약제 중장기 계획, 종복원 등과 연계 구간 선정(15개 → 18개)

- 탐방예약 자동 확인(QR코드 인식) 시스템 추가 설치(우이령길 등 5개소)

❍ 대화형 자동응답‘AI 챗봇*’서비스 신규 도입으로 야간 및 주말 탐방객 편의 향상

* 챗봇 : 정해진 응답 규칙을 바탕으로 메신저를 통해 사용자와 대답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시스템(홈쇼핑, 보험사, 은행, 숙박예약 등에 활용 중)

(23)

2 수요자 중심의 탐방인프라 확충

□ 체류·체험형 생태휴식 공간 조성

❍ 국립공원 맞춤형 야영장 확충을 통한 이용 수요 해소

- 카라반 전용(지북 학천) 및 해상형‧도심형(다도 구계등, 변산 고사포, 북한 사기막) 야영장 조성

❍ 환경교육·생태체험 시설 확충

- 생태탐방원(변산), 탐방안내소(지리산), 이동탐방안내소*(1대)

* 봄․가을(지역행사), 여름(해변 및 야영장), 겨울(눈꽃축제) 등 지원으로 연간 16만명 혜택

□ 국민 눈높이에 맞는 생태탐방․편의시설 정비 ❍ 노후 공원시설 정비 및 개선

- 대피소화장실 개선(지리산 세석), 주차장 휴게공간 조성(다도 임포), 무인 정산시스템 확대(다도 임포, 월출 경포대) 등

❍ 교통약자를 배려한 보편적 공원시설 확대

- 관리소·화장실 등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건축물(BF)인증(16개소→21개소)

□ 공원시설 친환경 녹색기술 도입 확대

❍ 생태탐방원, 관리소, 대피소 등에 재생에너지 우선 확대(도입율 9%)

❍ 에너지‧자원관리 효율화로 공원시설의 지속가능성 제고

- 공원시설 LED 교체(96%) 및 빗물재활용시스템(무등산사무소) 도입 - 공원시설(내장산 생태탐방원, 무등산사무소) 에너지 효율 향상(1등급)

□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공원시설 재생

❍ 공원시설별 가치평가 기준 마련 및 재생 방향 설정 - 국립공원 시설물 재생(시범) 사업* 추진

* 舊소백산사무소(사무소 → 철거․복원), 지북 학천(주차장 → 야영장) ❍ 공원시설 생애 주기비용을 고려한 시설기준 도입

- 탐방트렌드 변화에 유기적 대응 및 유지보수 기준 마련

(24)

- 20 -

3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국립공원의 자연이 가진 본질적인 가치최대한 유지하고 위험 요인최소화함으로써 안전한 탐방 환경 조성

1 재난안전 통합관리 강화

□ 재난상황 현장관리 기능 강화

❍ 낙석계측시스템(자동화, 수동형) 전 공원 설치 확대 - 붕괴 우려가 높은 급경사지(D, E등급) 129개소 설치

❍ 해안지역 안전시설 설치 및 운영 확대(변산반도, 태안해안)

- (홍보) 주요 진입지점 무인계도시스템, 로고라이트, 문자전광판 등 - (위험지역) 소형부잔교(생명섬), 야간식별 부표, 안전통제선 등 설치

□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강화

❍ 해양 익사사고 예방을 위한 조석* 위험경보시스템 구축(변산 하섬 일원)

- 실시간 밀물 정보 제공 및 경보 방송으로 탐방객 대피시간 확보

* 달 태양 등 천체의 인력작용으로 해면이 1일 2회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 현상

❍ 실시간 자동통제시스템 도입으로 현장 대응력 강화

- 기상특보(호우, 대설, 황사, 미세먼지 등)를 주요 탐방로 입구 CCTV, 문자 전광판 등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재난상황전파(80개소)

2 선제적 안전관리 활동 강화

□ 국립공원 대피소 제도 개선

❍ 탐방객 안전관리 강화 및 대피소 기능 개선

- 분기별 재난대응 훈련(화재·붕괴 등) 및 구호물자(의약품) 확보 - 고지대 대피소 방염페인트 도포(설악산 소청, 수렴동)

(25)

□ 국립공원 산악안전교육원 운영 기반 마련 ❍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 긴급구조 및 재난관리 업무 종사자 의무 교육 시행기관 인증 추진

□ 국민 체감형 안전서비스 강화

❍ 국립공원 안전산행가이드 서비스 추진(3개 공원)

- 현지 주민을 해당 국립공원의 안전산행가이드*로 양성

* 안전 탐방 유도, 응급상황 대처, 경관해설 등의 역할 부여(’18년 17명 양성 / 지리산, 설악산)

□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환경 조성

❍ 안전보건 가이드북 제작 및 위험성평가 우수 사업장 인증(10개 사무소) 추진 ❍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공원시설 조성

- 공원시설 내진설계(태백산 등 24동) 및 공원시설 내진성능평가(73동) 실시

3 산악안전 대응 역량 강화

□ 국립공원 안전사고 현장대응력 강화

❍ 북한산국립공원 구조전담 특수구조팀 운영(2팀 25명)

- 북한산(인수대피소) 1팀 14명, 도봉산(도봉산대피소) 1팀 11명

- 특수구조팀, 119특수구조단 산악구조대 합동 훈련 정례화(분기 1회) ❍ 전국 국립공원구조대 구조경진대회 개최 및 수준별 구조전문교육 - 구조능력 수준별(기본, 전문, 강사) 전문 이상으로 능력 배양

❍ 산악구조․안전관리 분야 민간자격제도* 도입(가칭 산악전문지도사)

- 자연을 이해하고 안전한 산행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인력 양성

* 산악구조대 관련 종사자 및 암벽등반, 단체산행 가이드 수행자 등을 대상으로 자격 발급

(26)

- 22 -

4 사회적 책임 강화

소통과 화합, 선도적 혁신 등을 통해 사회적 가치 실현국민 에게 신뢰받는 국립공원 사회적 역할 강화

1 사회적 가치 및 공공성 강화

□ 국민 참여․협력 확대

❍ 국민과의 소통 활성화 및 지역사회 환경리더 양성

- 국립공원 현안에 대한 국민들의 직접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의견 논의 및 협력 사업 추진 등

※ 상생협력위원회(2회), 협치위원회(58회), 시민대학 참여자 공원관리 참여(250명)

❍ 국립공원 자원봉사프로그램 운영 확대

- 은퇴세대 및 재능기부형 자원봉사프로그램 운영(΄19년 400명)

- 볼런투어형2) 자원봉사프로그램 운영 확대(3개소 → 10개소)

□ 국립공원 맞춤형 일자리 창출

❍ 직원대상 창업교육 및 일자리 창출 참여 확대 - 내부직원 일자리 워크숍 및 사내 벤처 추진

- 일자리․창업 아이디어 공모 및 창업포털(굿잡인파크) 활성화 ❍ 지역사회 창업 지원 프로그램 강화

- 사회적기업가 육성(고용노동부), 마을기업(행안부) 연계 창업팀 육성

□ 이해관계자 갈등 조정 기능 강화 ❍ 국립공원 포럼* 운영

- 주요 정책방향에 대한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 환경부, 공단, 민간위원(학계 및 시민사회) 등 18명 내외로 구성 ❍ 주요 정책 및 핵심사업 언론홍보 강화

- 클립영상 등 맞춤형 영상 콘텐츠 및 기획* 콘텐츠 제작

* 취업준비생 맞춤 직업 소개 및 종복원 등 정책홍보 콘텐츠

2) 볼런투어 : 자원봉사를 뜻하는 볼런티어(Volunteer)와 여행의 투어(Tour)가 결합된 신조어로 여가시간을 활용해 봉 사활동과 여행을 함께 즐기는 것을 말함

(27)

2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실현

□ 윤리경영 및 청렴문화 정착

❍ 윤리경영 추진 실행력 제고 및 내재화

- 외부 전문가 진단 및 컨설팅을 통한 취약분야 개선

- 윤리경영 진단 지표 마련을 통한‘윤리신호등’구축․운영 ❍ 청렴활동 체계 정비 및 조직문화 개선

- (협의체) 감사실 중심 청렴업무 수행에서 노·사·감 공동 추진 - (리더십) 임원, 간부진이 솔선수범하는 청렴문화 선도 등

□ 조직문화 혁신을 통한 현장관리 강화

❍ 점 단위에서 축 단위 공원관리 전환을 위한 조직 개편(΄19.7., 시행)

- 현장관리 효율화 및 책임경영을 위한‘공원 본부제’확대 - 불필요한 일 줄이기 및 일하는 방식 개선

□ 직원이 행복한 일터 조성

❍ (인사) 전보마일리지 시범 도입 운영

- 특정(오지) 사무소 기피, 도심권 사무소 근무 희망자 집중에 따른 전출․입 기준 등 합리적이고 공정한 전보인사 기준 마련

3 미래 지속성장 역량 확보

□ 보호지역 관리 지원체계 구축

❍ 자연공원 지원 강화 및 네트워크 구축

- 자연공원지원팀 운영 및 권역별(7개)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자연공원 현안사항 논의, 정보공유, 기술 자문지원 확대 등

❍ 외국공원청과 교류 및 협력 확대

- 양해각서 갱신(호주, 인도네시아), 공동 워크숍(뉴질랜드, 태국) 및 연수 프로그램 운영, 코이카 연수프로그램 추진 등

(28)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런 분위기 때문에 우리의 많은 직원들이 단순한 직장이 아닌 전문경력을 쌓을 수 있는 소중한 일터로 여기고 있습니다.. 이런 직장을 찾고 계신다면, 망설이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