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심규원1* · 권헌교1 · 이숙향1* · 김종희2 · 윤홍근2
1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문화부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for Mudeungsan National Park by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
Kyu-Won Sim
1*, Heon-Gyo Kwon
1, Jong-Hee Kim
2and Hong-Geun Yoon
2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20-947, Korea
2Visitor Culture Team,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121-717, Korea
요 약 :무등산은 2013년우리나라제21호국립공원으로지정되었으며, 도심지역에위치하고있어시민들의여가활
동에 중요한역할을 하고있다. 이러한측면에서 본 연구는무등산을 방문한탐방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요 인은 무엇이며, 이들중 탐방만족도에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요인은 무엇인지를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탐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탐방로 정비상태(β=.362)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저렴한 여행비용 (β=.224), 다양한특산상품(β=.184), 편리한교통수단(β=.127) 순으로분석되었다.
주요어 :탐방객만족도, 무등산국립공원, 국립공원관리, 위계적회귀분석
Abstract :Mudeungsan was the last to be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in 2013 and located in urban area can play important role in citizens’ leisure activities. In that respe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and the main influence factor of visitors’ satisfaction from among these. The results showed that maintenance of trail (β=.362) affects visitors’ satisfaction most, followed by reasonable travel cost (β=.334), various local product (β=.184)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β=.127).
Key words :Visitors’ Satisfaction, Mudeung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Management,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
서 론
자연환경자원과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수려한 자연경 관을 유지하고 있는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야외 휴양지로이에 대한사회적수요는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
다. 특히 2007년 1월 입장료가폐지된이후탐방객수는전
년 대비 약 42% 증가되었으며, 2013년을 기준으로 연간 탐 방객 수는 약 47,000천 명으로 집계1)되었다(국립공원관리공 단 2014).
이러한 현상은 최근 국가적으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국 민복지 증진차원에서 볼 때 자연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
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용에 따른 자원의 훼손이나 이용 갈등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탐방객 모니터 링을 등을 통한 공원이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립공원의 탐방 만족도, 이용행태, 탐방객 수 등에관한 모니터링의필요성이나 중요성은 점점강조되고 있다.
특히 탐방객의 휴양경험에 대한 만족도는 국립공원을 둘 러싼 물리적, 사회적, 관리적 환경 등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상호 영향을 줄 수 있고, 탐방객의 탐방 후 평가에 대한 조 사와 정확한 이해는 탐방객과의 마찰을 줄이는 동시에 국립 공원의본래목적인보전관리를이룰수 있는중요한분석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본 연구는 2013년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실시한 탐방이용행태연구 결과의 일부임.
1)연간탐방객수는무등산국립공원의탐방객수(2013. 4~12) 3,968,497명을포함한결과임.
자료가될 수있다(김동필외 2009).
이러한측면에서본연구는 최근국립공원으로승격·지정 된 무등산을 방문한 탐방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무엇이며, 이들 중 탐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 후 무등산국립공원의 체계적인 탐방관리정책 수립 시 우선 순위선정 등을위한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판 단된다.
이론적 배경
Westbrook & Reilly(1983)는 고객의 만족도를 소비자의 특정제품, 서비스의 구매 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정 의하고 있으며, 만족은 단지 인지적 현상뿐만 아니라 소비 자가주관적으로느끼는만족을 통하여얻는좋은감정, 불 만족으로 인한 나쁜 감정의 요소들이 포함된다고 정의하였 다. Bebin & Griffin(1998)은 일련의 경험에 대한 평가의 결 과 유발되는 정서적 반응이라 하였으며, 오정근(2010)은 소 비자 만족은 제반 소비자 구매 행동의 결과에 대한 평가과 정의 최종적 결과물로 정의하였다. 또한 Howard & Sheth
(1969)는 고객 만족을 “구매자가 치른 대가에 대해 적절하
게(또는 부적절하게) 보상되었다고 느끼는 소비자의 인지적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Oliver(1981)와 Elliott(1995)는 특정한 거래나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혹은 고객 개인의 감 정적 반응으로 보고, 고객의 실제경험과 기대간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게되는감정과구매 경험전의감정이결합하여 발생하는 종합적인심리상태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국립공원의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제반 탐방 인프라의 구축도 중요하지만, 이용주체인 탐방객이 지니고 있는 가치와 요구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또한 부정적 요 인을 제거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탐방객이 방 문 후 느끼는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 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이용만족도는 탐방활동의 질을결 정하고 재방문의향과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국립공원 관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용만족도는 시간 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공간의 물리적 특성, 생물학적 특 성, 관리의 유형과 수준, 이용자의 문화적·사회적 특성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Minning, 1986).
이러한 측면에서 이용만족도는 방문을통해 얻어지는 심리
적 이익의대표적인 지표로이해되고 있다(이영경 2008).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로는 크게 1) 공원시설 이용만족도
(이주희 등 1996; 유기준 등 2002), 2) 자원과 이용만족도
(장병문 등 2002), 3) 환경해설과 이용만족도(조윤주 외
2000; 조계중 2007), 4) 휴양밀도와 이용만족도(허학영 등
2003), 5) 탐방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분석(김동필 등 2011;
백재봉등 2010)연구등이있다. 그러나대부분의 선행연구
들이공원이용과 관련하여 탐방객들의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치고 있어 공원관리에 활용하기에는 다소한계가있는것이사실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기 존의 선행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제한적인 연구결과의 활용 성을 개선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탐방 만족도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요인들 중 상대적인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무등산국립공원은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 었으며,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으며, 연간 탐방객 수는 약 400만 명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등산국립공원은전체 면적 74.425 km2로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전라남도(담양, 화순군)에위치하고있다. 특히해발
1,187m의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기암·괴석 등 경관자 원 61개소가 분포되어 있다. 또한 수달, 구렁이, 삵 등 멸종 위기종 8종을 포함하여 총 2,296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 다(http://www.knps.or.kr).
2. 조사방법
본 연구의 현지 설문조사는 2013년 3월~11월까지 봄, 여 름, 가을철 조사를 평일과 주말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현 지 설문조사는 무등산국립공원 탐방을 마친 20대 이상 성인 32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면접과 자기기입식방식을 병행하 였으며, 설문조사방법을사전에교육받은무등산국립공원사 무소직원에의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탐방객의 사회경제적 특성, 방문목적, 주요 탐방활동을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 석을 이용하여 방문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인식정 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탐방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프로 그램은 SPSS 21.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1. 탐방객의 사회경제적 특성
탐방객의성별비율은 남성이약 65%로 여성(35%)보다높 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탐방객이 광주(81.6%)와전남지역
(11.3%)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비율은 50대가
2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40대(22.2%),
20대(19.9%), 30대와 60대 이상(17.0%) 순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탐방객의 직업은 회사원이 21.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업주부(13.1%), 기타(11.8%),
학생(11.1%), 공무원(1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탐방객
의 월평균 가계소득은 200~300만원이 29.3%로 가장 높게
2)국립공원으로지정된 2013년 3월부터 12월까지무등산을방문한탐방객수(국립공원관리공단내부자료, 2013)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100~200만원(17.6%), 400~500만원 (16.9%), 300~400만원과 500만원 이상(16.6%) 순으로 나타 났다.
2. 방문목적
탐방객들은 건강증진을 위해 방문한다는 응답이 47.8%로 가장 많았으며, 휴양·휴식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비율도 25.6%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친구 등과친목을도모하기 위해방
문하는탐방객은 14.9%, 자연및 문화체험을위해 방문하는
비율은 10.8%로 나타났다.
3. 휴양활동
탐방객들의주요휴양활동은등산(77.8%), 자연체험(38.1%), 경관감상(33.4%), 산책(33.1%), 숲치유(30.3%), 사찰관람(25.9%)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숲치유의 경우 최근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잘 설명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자연체험학습의 경우 주5일 수업제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사회적 변화와 교육정책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 여진다.
4. 탐방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탐방만족도 측정항목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만족 구성요인 중 수려한 자연경관(3.83), 저렴한 여행비용(3.69), 탐방로 정비상태(3.65), 짧은 여행시간(3.49)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탐방객들은 공원탐방 후느끼는전반
적인만족도는 3.74로 높게 평가한것으로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은 다중 회귀분석의 일종으로 여러개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데 어떠한 독립변수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표 1. 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의 사회경제적 특성
구분 항목 N % 구분 항목 N %
(N=315)성별 남성 204 64.8
(N=314)직업
자영업 67 21.3
여성 111 35.2 전문직 29 9.2
(N=311)연령
20대 62 19.9 공무원 34 10.8
30대 53 17.0 농림축어업 5 1.6
40대 69 22.2 학생 35 11.1
50대 74 23.8 전업주부 41 13.1
60대 이상 53 17.0 회사원 66 21.0
(N=293)거주지
경기 4 1.4 기타 37 11.8
경남 2 .7
가계소득월평균 (N=307)
100만원미만 9 2.9
광주 239 81.6 100~200만원 54 17.6
부산 1 .3 200~300만원 90 29.3
서울 8 2.7 300~400만원 51 16.6
울산 4 1.4 400~500만원 52 16.9
전남 33 11.3
500만원 이상 51 16.6
충남 2 .7
표 2. 무등산국립공원 탐방목적
구 분 N %
건강증진 151 47.8
친목도모 47 14.9
자연·문화체험 34 10.8 휴양·휴식 81 25.6
기타 3 .9
표 3. 주요 휴양활동(복수응답)
구 분 N %
자연체험 122 38.1
등산 249 77.8
사찰관람 83 25.9
암벽등반 6 1.9
약수터 이용 50 15.6
계곡 물놀이 60 18.8
캠핑 13 4.1
산책 106 33.1
경관감상 107 33.4
사진, 그림그리기 52 16.3
숲치유(힐링) 97 30.3
표 4. 측정항목의 통계적 요약
구 분 항목 평균 표준편차
구성요인만족
저렴한 여행비용 3.69 .937 수려한 자연경관 3.83 .995 탐방로 정비상태 3.65 .899 짧은 여행시간 3.49 .885 편리한 교통수단 3.48 1.059 쾌적한 숙박시설 2.96 .858 풍부한 문화유적지 3.24 .873 질 좋은 관광서비스 3.02 .882 다양한 특산상품 2.81 .969 탐방만족도 전반적인 공원 탐방만족도 3.74 .689
종속변수에대한 독립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 할 때 사용하는 분석방법이다(송지준, 2008).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종속변수로 탐방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저렴한 여행 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짧은 여행시간, 편
리한교통수단, 쾌적한숙박시설, 풍부한문화유적지, 질좋 은 관광서비스, 다양한특산상품 등 8개 항목으로구성하여 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 엇이며, 그 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
표 5. 탐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
독립변수 SE β t값 유의확률 공차 통계량
모델1 (상수)
저렴한 여행비용 .161
.043 4.37 15.414
7.923 .000
.000 1.000 R2=.191, 수정된 R2=.188, F=62.769, p=.000 모델2 (상수)
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172.054
.049 .337
.162
13.567 4.831 2.323
.000.000
.021 .616
.616
R2=.207, 수정된 R2=.201, F=34.602, p=.000 모델3
(상수)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169.053 .054.056
−.065.236 4.21
12.338 3.467
−.845 5.720
.000.001 .399.000
.575.452 .493
R2=.295, 수정된 R2=.286, F=36.735, p=.000
모델4
(상수)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짧은 여행시간
.180.053 .057.056 .049
−.079.231 .417.037
11.333 3.367
−.980 5.626 .591
.000.001 .328.000 .555
.567.414 .489.688
R2=.295, 수정된 R2=.285, F=27.570, p=.000
모델5
(상수)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짧은 여행시간 편리한 교통수단
.185.053 .056.055 .051.037
−.063.203
−.019.405 .166
10.213 2.964
−.793 5.542
−.290 2.959
.000.003 .429.000 .772.003
.556.412 .487.630 .824
R2=.318, 수정된 R2=.305, F=24.457, p=.000
모델6
(상수)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짧은 여행시간 편리한 교통수단 쾌적한 숙박시설
.203.053 .056.056 .051.039 .044
−.066.206
−.016.402 .157.027
9.097 2.993
−.831 5.471
−.249 2.638 .487
.000.003 .407.000 .803.009 .627
.550.409 .483.625 .738.862
R2=.319, 수정된 R2=.303, F=20.361, p=.000
모델7
(상수)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짧은 여행시간 편리한 교통수단 쾌적한 숙박시설 풍부한 문화유적지
.205.053 .059.056 .052.040 .047.053
−.077.206
−.020.401 .158.017 .028
8.988 2.986
−.918 5.439
−.311 2.655 .283.427
.000.003 .359.000 .756.008 .777.669
.550.374 .483.611 .735.734 .592
R2=.319, 수정된 R2=.301, F=17.424, p=.000
모델8
(상수)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짧은 여행시간 편리한 교통수단 쾌적한 숙박시설 풍부한 문화유적지 질 좋은 관광서비스
.205.053 .059.056 .052.040 .049.056 .050
−.068.200
−.031.390
−.007.149
−.003 .096
8.896 2.904
−.812 5.288
−.466 2.485
−.119
−.046 1.492
.000.004 .418.000 .641.014 .905.964 .137
.549.372 .478.604 .727.683 .537.629
R2=.325, 수정된 R2=.304, F=15.596, p=.000
모델9
(상수)저렴한 여행비용 수려한 자연경관 탐방로 정비상태 짧은 여행시간 편리한 교통수단 쾌적한 숙박시설 풍부한 문화유적지 질 좋은 관광서비스 다양한 특산상품
.207.053 .058.056 .052.039 .049.058 .050.045
−.054.224 .362.008
−.027.127
−.073 .056.184
8.149 3.273
−.654 4.928 2.128.122
−.438
−1.011 2.958.865
.000.001 .514.000 .903.034 .662.313 .388.003
.541.371 .470.580 .715.675 .480.602 .657
R2=.347, 수정된 R2=.324, F=15.251, p=.000 Durbin-Watson=1.797
악하기위해위계적 회귀분석실시하였다.
먼저 모델1은 저렴한 여행비용은 탐방만족도의 변량을
19.1% 설명하고 있으며, 여행비용이 저렴할수록 탐방만족도
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7.923, p=.000). 모델2는 모 델1에서 수려한 자연경관 항목을 추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로 저렴한 여행비용(t=4.831, p=.000)과 수려한 자연
경관(t=2.323, p=.021)은 탐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3은 모델2에서탐방로정비상태 항목을추가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델1에 비해 약 11% 정도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렴한 여행비용(t=3.467,
p=.001)과 탐방로 정비상태(t=5.720, p=.000)는 탐방만족도
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려한 자연경관(t=
−.845, p=.399)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모델4는 모델3에서짧은 여행시간 항목을 추가하여 회
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저렴한 여행비용(t=3.367, p=.001)
과 탐방로 정비상태(t=5.626, p=.000)는 탐방만족도에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려한 자연경관(t=−.980, p=
.328)과 짧은 여행시간(t=.591, p=.555)은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5는 모델4에서 편리한 교 통수단 항목을추가하여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저렴한 여행비용(t=2.964, p=.003), 탐방로정비상태(t=5.542, p=.000), 편리한 교통수단(t=2.959, p=.003)은 탐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려한 자연경관(t=−.793, p=.429) 과 짧은 여행시간(t=−.290, p=.77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6은 모델5에서 쾌적한 숙박시설 항목을 추가하여 회귀분석을실시한 결과로 저렴한 여행비 용(t=2.993, p=.003), 탐방로 정비상태(t=5.471, p=.000), 편
리한 교통수단(t=2.638, p=.009)은 탐방만족도에 영향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려한 자연경관(t=−.831, p=.407), 짧은 여행시간(t=−.249, p=.803), 쾌적한 숙박시설(t=.487,
p=.627)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
델7은 모델6에서 풍부한 문화유적지 항목을 추가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저렴한 여행비용(t=2.986, p=.003),
탐방로정비상태(t=5.439, p=.000), 편리한 교통수단(t=2.655,
p=.008)은 탐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려한 자연경관(t=−.918, p=.359), 짧은 여행시간(t=−.311, p=.756), 쾌적한 숙박시설(t=.283, p=.777), 풍부한 문화유적 지(t=.427, p=.669)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모델8은 모델7에서 질 좋은 관광서비스 항목을추 가하여 회귀분석을실시한결과로저렴한 여행비용(t=2.904, p=.004), 탐방로 정비상태(t=5.288, p=.000), 편리한 교통수 단(t=2.485, p=.014)은 탐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수려한 자연경관(t=−.812, p=.418), 짧은 여행시간 (t=−.466, p=.641), 쾌적한 숙박시설(t=−.119, p=.905), 풍부 한문화유적지(t=−.046, p=.964), 질좋은관광서비스(t=1.492,
p=.137)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
델9는 모델8에 다양한특산상품 항목을추가하여 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로 저렴한 여행비용(t=3.273, p=.001), 탐방 로 정비상태(t=4.928, p=.000), 편리한 교통수단(t=2.128,
p=.034), 다양한 특산상품(t=2.958, p=.003)은탐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려한 자연경관(t=−.654, p=.514), 짧은 여행시간(t=−.122, p=.903), 쾌적한 숙박시설 (t=−.438, p=.662), 풍부한 문화유적지(t=−1.011, p=.313), 질 좋은 관광서비스(t=.865, p=.388)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결과를토대로무등산국립공원을방문한탐방객의 만족도에 미치는상대적영향력을 평가하면, 탐방로정비상 태(β=.362)가 탐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 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저렴한 여행비용(β=.224), 다양 한 특산상품(β=.184), 편리한 교통수단(β=.127) 순으로 영향 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Durbin-Watson은
1.797로기준값인 2에매우근접하고 0 또는 4에가깝지않 기 때문에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최근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무등산을 방문하는 탐방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들 요 인들 중 탐방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순 서대로 파악하여 향후 공원관리정책 수립 시 우선순위 선정 등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 음과같다.
첫째, 무등산국립공원을 방문하는 주된 탐방객은 광주 (81.6%)에 거주하는 50대(23.8%) 남성(64.8%)의 비율이 높 게 나타났으며, 직업은 회사원이 21.0%로 가장 높은 비율 차지하였으며, 월평균 가계소득은 200~300만원이 2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탐방객들은 건강증진(47.8%)과 휴양·휴식(25.6%)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산 (77.8%), 자연체험(38.1%), 경관감상(33.4%), 산책(33.1%), 숲치유(30.3%), 사찰관람(25.9%) 등이 주된 휴양활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탐방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탐방 로 정비상태(β=.362), 저렴한 여행비용(β=.224), 다양한 특
산상품(β=.184), 편리한교통수단(β=.127)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탐방객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탐방로관 리에 가장 우선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이는 무등 산국립공원을 방문하는 탐방객이 건강증진이나 휴양·휴식을 목적으로 등산을 주로 하는 이용패턴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 로 보여진다. 또한, 무등산국립공원은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시내버스등 대중교통이 편리하고이동거리가짧아 다른국 립공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행비용이 저렴하고 접근성이 양호한 편이지만, 여행비용과 시간이 탐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버스노선의 유치나 성수기 배차시간 조정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깃대종이나 우수한 지형경관 등을활용한 캐릭터나 기념품 등을개발하여무등산국립공원만의차별화된 이미지 를 구축한다면 탐방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체계적인 공원관리을 위해서는 탐방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뿐만 아니라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국립공원탐방객수집계자료(내부자료)
김동필, 백재봉. 2011. 내장산국립공원의탐방객만족요인및예측
모형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614-620.
김동필, 백재봉.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의탐방객만족요인및예
측모형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3): 169-176.
백재봉, 김동필. 2010. 태안해안국립공원탐방객만족요인및예측
모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101-107.
송지준. 2008. 논문작성에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 세기사.
유기준, 김정민. 2002. 산악형국립공원에서의이용및관리속성에
대한탐방객태도-강원도소재국립공원을대상으로-. 한국산 림휴양학회지 6(2): 49-59.
오정근. 2010. 외국인의한국관광후관광지의인지적, 정서적이
미지와관광행동의도의관계. 관광레저연구 17(1): 43-61.
이영경. 2008. 경주국립공원의이용만족도평가-단석산지구, 소금
강산지구, 남산칠불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1): 1-10.
이주희, 이용범. 1996. 덕유산국립공원방문객의이용및소비행태
분석에관한연구. 산림경제연구 4(2): 1-14.
장병문, 배민기. 2002. 자연공원의자원과이용만족도간의관계
에관한인과모형-국립공원과도립공원을중심으로-. 한국조 경학회지 30(3): 12-24.
조계중. 2007. 해설프로그램개발을위한월악산국립공원에서의
방문객특성에관한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2): 1-9.
조윤주, 안기완, 김상오. 2001. 중요도-성취도분석에의한내장산 국립공원탐방안내소의개선방안. 산림경제연구 9(1): 15-27.
허학영, 안동만. 2003. 휴양환경이용수준에대한방문객의적응
및대응행동-북한산국립공원소귀천탐방로를대상으로-. 한 국조경학회지 30(6): 38-46.
Bebin, PK Griffin. 1998. The nature of satisfaction-profit chain.
Journal of Service Research 3(2): 107-120.
Elliot K. 1995. A Comparison of alternative measur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Customer Service in Marketing & Mana- gement 1(1): 33-34.
Howard JA, JN Sheth. 1969.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Wiley, New York, NY.
Minning RE 1986. Studies in Outdoor Recreations-Search for Recreation for Satisfaction-. Crovallis, Oregon: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Oliver RL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57(3): 25-48.
Westbrook RA, Reilly. 1983. Value-percept Disparity: An alternative to th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reory of Consumer Satisfac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983:
256-281.
http://www.knps.or.kr
(2014년 7월 1일접수; 2014년 8월 30일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