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 종다양성 가치를 중심으로 -
장 진1*·박준형2·심규원1
1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우리데이터컨설팅
Valuation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s Ecosystem Services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 Focus on the Value of Species Diversity -
Jin Jang
1* , Jun-hyung Park
2and Kyu-Won Sim
1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2Uridata Consulting, Gyeongsangbuk-do 38634, Korea
요 약 :본 연구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적용하여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연구방법은 2018년 11월 19일부터 12월 5일까지 만 19세 이상 남‧여 55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 보전을 위해 연간 가구당 지불의사 금액은 약 3,463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2018년 추계 우리나라 총 가구수를 대입하면 국가 총 종다양성 보전의 경제적 가치는 약 68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연자원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해 봄으로써 자연자산 보전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입증하고 국립공원의 효율적인 관리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주요어 :생물다양성, 경제적 가치, 국립공원 보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경제적 타당성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the species diversity Value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an online survey, by sampling 550 adults over the age of 19, from November 19, 2018, to December 5, 2018. As a result, willing to pay per household is estimated to be about 3,463 won during a year to preserve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If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in Korea is applied in 2018, the economic value of total species diversity conservation is estimated to be about 68.4 billion 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get the economic validity of natural asset conservation and to develop an effective management policy of the national park.
Key words :Biodiversity, Economic value, National park conservatio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Economic validity
서 론
최근 국내외에서 자연환경정책 패러다임 변화가 일고 있 다. 2010년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당사국 총회에서는 생물다양성 전략 2011-2020 및 아
이치 목표를 수립하여 자연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감소 및 훼손을 최소화하고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증진하려는 적극적 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국립생태원 2017). 제70차 UN
총회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새천년 발전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의 대체 의제로 채택하면서 생태계서비스 개
념을 도입하였고, 세계보전모니터링센터(UNEP-WCMC)는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보호지역위원회와 협력하여 세계보호지역데
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생물다양성 변화를 예측·평가하고 있다. 이처럼 최근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통한 생물다양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성 및 생태계서비스 가치 증진을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생태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와 그 가치를 이해하고, 측정‧평가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생태계서비스의 공급, 인간 삶의 질 및 복지
(wellbeing) 향상을 위한 정책마련에 활용될 수 있다(국립생
태원 2017).
한편, 해양생태계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해양생물종 다양 성과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 공간이지만, 해양생태계 를 대상으로 한 탐방 수요 증가, 양식어장 등 전통적 해양 이용 행위, 태안 유류 오염 사고와 같은 해양 사고로 대표 되는 지역적 요인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적 규모 의 환경 변화에 노출되어 있다(국립공원공단 2015). 이와 같 은 상황에서 해양자연자산 보존을 위해 국립공원과 같은 보 호지역의 해양생태계 관리뿐만 아니라 보호 필요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증진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 국 립공원의 해양생태계는 자연 상태의 갯벌, 암반 해안, 수중 경관, 해초지, 해빈, 사구, 해안림 등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연안지역을 보호하기 때문에 서 식지와 해양경관의 자연성에서 발생하는 생태계서비스가 아 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국립공원공단 2015).
그러나 지난 40여 년간 해상·해안 국립공원지역의 경우 자연자원 조사가 도서나 해안지역의 육상생태계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을 뿐, 해양지역에 대한 생태계서비스 관련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해상 또는 해중지역의 자연자원, 생태계, 생물다양성 등과 관련된 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다(송개일 2010). 생물다양성은 대체로 유전자다양성 (genetic diversity),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 생태계다양성 (ecosystem diversity) 세 수준으로 구분되는데, 종(species)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생물다양성의 단위이며(최재 천 등 2010),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은 어떤 지역에 얼 마나 많은 생물종이 있고, 얼마나 고루 분포하는지, 종 간의 상호관계가 활발한지 등에 관한 개념이다. 그리고 종다양성 평가는 한 생태계 또는 서식지의 안정성 범위를 파악하는데 중요하다(신용석 2016). 하지만 종다양성과 같은 환경재는 비시장재화로서 시장에서 정해져 있는 가치가 존재하지 않 기 때문에 그 가치를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비시장재(non-market goods)의 가치 평가법은 진술선호법(stated preference method)과 현시선호 법(revealed preference method)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진술선 호법은 설문 등을 통해 가상적 시장에 기반을 두어 환경재 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으로 조건부가치평가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s; CE) 등이 있다(정혜경 2018). 조건부가치평가
법(CVM)은 사람들이 특정 공공재나 환경재에 부여하고 있 는 가치를 직접적으로 이끌어내는 방법으로(Mitchell and
Carson 1989), 직접면접, 우편 혹은 전화인터뷰 등을 통해
사람들이 갖고 있는 환경재에 대한 가치, 즉 최대 WTP (willingness to pay, WTP)를 설문하는 방식이다. 조건부가치 평가법(CVM)은 다양한 유형의 비사용가치를 직접 측정할
수 있고, 유효성 및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곽승준 등 2002). 하지만 조건부가치평 가법(CVM)은 선호를 나타내려는 응답자의 의사와 능력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설문으로부터 얻은 응답자가 진 술한 가치를 WTP의 추정치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타당성(validity)과 정확 성(accuracy)인데 여러 실증연구의 결과 조건부가치평가법
(CVM)으로부터 얻게 되는 응답은 타당성을 갖고 있고 대체
적으로 믿을만하며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Kealy et al.
1988; Loomis 1990). 최근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은 각국
의 정부기관, 공공기관에서 환경, 교통, 건강, 예술,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건부 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하여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가 치 중 종다양성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 가치를 경제학적으로 평가해봄으로써 국립공원이 제공하고 있는 유
·무형의 생태계서비스 가치가 얼마인지 국민들에게 좀 더
명확하게 인식시키고 해양자연자산 보존과 관련된 관리정책 을 마련할 때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의 대상지는 우리나라 해상·해안형 국립공원 중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 원은 면적이 2,266.221㎢ 로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중 최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육상면적은 291.023㎢이고, 해상면적 은 1,975.198㎢이며, 서남 해안과 해상 지역의 흑산·홍도 지 구, 비금·도초 지구, 조도 지구, 소안·청산 지구, 거문·백도 지구, 나로도 지구, 금오도 지구, 팔영산 지구로 총 8개 지 구, 약 400여개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국립공원공단 홈페이 지 20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발견된 동·식물은 총
7,529종으로 산악형 국립공원인 지리산국립공원(동·식물 총
8,069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생물종이 서식하는 있어 생
물다양성 유지 및 보전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큰 곳이다(국 립공원공단 2019).
2. 설문조사 및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설문지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 가치 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을 제시하기에 앞서 종다양성에 대한 설명자료를 제공하여 응답자들의 종다양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설문에 종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 생물종을 자생종(멸종위기종 제외), 멸종위기종, 외래 종으로 구분하였고, 해당 용어는 산림청과 환경부에서 일반 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생식물1)’을 ‘자생종’, ‘멸종위기 야 생생2)물’을 ‘멸종위기종’, ‘외래생물3)’을 ‘외래종’으로 제시 하여 설명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문조사기관에 의뢰하여 인터넷 온라인조사
형태로 진행하였고, 조사기간은 2018년 11월 19일부터 12월
5일까지 진행하였다. 설문은 성인남녀 총 5 5 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 성(성별, 연령, 거주지, 결혼여부, 소득, 교육수준)과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에 대한 인지도, 관심도, 종다양성 보전에 대한 기부금 지불의사를 질문하였다. 또한, 조건부가 치평가법 적용시 본 설문조사 전에 총 103명을 대상으로 기 부금 지불의사 금액에 대한 개방형의 질문을 먼저 응답하도 록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기부금 제시금 액 범주를 설정한 후 2,000원, 5,000원, 10,000원, 18,000원,
30,000원으로 기부금 제시금액을 정하였다. 이 과정은 현실
적인 가상의 시장상황을 우선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전략적 편의(strategic bias)를 줄였고, 이후 본 설문조사에서 이선선 택형(Dichotomous Choice) 질문 기법을 사용하여 응답자의 출발점 편의(starting point bias)를 제거하였다(Freeman 2014).
최종적으로 종다양성 보전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 하여 로지스틱 분포를 가정한 logit 분석을 진행하였고, 기
부금 지불의사금액(WTP)은 다음의 (eq. 1)과 같이 중앙값으 로 도출하였다.
(eq. 1)
= Constant
1, ..., n1: Estimated Coefficient
: ln Average of the variables excluding the suggestion cost
n: Estimated coefficient of suggestion cost’s natural log value variable
연구 결과 1.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본 연구에서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남성 283명
(51.5%), 여성 267명(48.5%)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40대
WTPmedian = exp – + 1x1++n–1xn–1
n
---
x1, , xn–1
1)‘자생식물’의 정의는 넓은 의미로 식물이 어떤 지역에서 인공적인 보호를 받지 않고 자연상태 그대로 생활하는 것(spontaneous plants)을 말
한다. 좁은 의미로는 어떤 지역에서 원래부터 살고 있던 토착식물(indegenous plants)만을 의미한다(산림청 홈페이지, 2018).
2)‘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정의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어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생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과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크 게 줄어들고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로서 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로 구분하고 있다(법제처 홈페이지, 2018).
3)‘외래생물’의 정의는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그 본래의 원산지 또는 서식지를 벗어나 존재하게 된 생물’을 의미한
다(산림청 국립수목원, 2016).
Table 1.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N=550)
Division N %
Gender Male 283 51.5
Female 267 48.5
Age
20s 92 16.7
30s 121 22.0
40s 132 24.0
50s 120 21.8
Over 60s 85 15.5
Residence
Seoul 108 19.6
Gyeonggi-do / Gangwon-do 166 30.2
Jeollanam-do / Jeollabuk-do 68 12.4
Chungcheongnam-do / Chungcheongbuk-do 63 11.4
Gyeongsangbuk-do 61 11.1
Gyeongsangnam-do 84 15.3
Marital status
Single 203 36.9
Married 326 59.3
Others (bereaved) 21 3.8
Income
Less than 2 million won 63 11.5
Over 2 million won - less than 4 million won 190 34.6
Over 4 million won - less than 6 million won 168 30.5
Over 6 million won - less than 8 million won 75 13.6
Over 8 million won - less than 10 million won 27 4.9
More than 10 million won 27 4.9
Education level
Less than high school 89 14.7
Graduated from a two-year university 108 19.8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286 54.8
More than a graduate school 67 10.7
(24.0%)와 30대(22.0%)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거주 지는 경기도와 강원도에 거주하는 응답자가 166명(30.2%)으 로 그 비율이 높았다. 결혼 여부는 대부분이 기혼(59.3%)인 것으로 나타났고, 가구의 월 소득은 2백만 원 이상 4백만 원 미만이 190명(34.6%)으로 비율이 높았다. 응답자의 교육 수준은 4년제 대학 졸업자가 286명(54.8%)로 나타났다 (Table 1).
2. 종다양성 보전에 대한 인식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설문문항 중 ‘종다양성 보전’에 대 한 개념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25.6%) 보다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33.4%)이 상대적 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종다양성 보전’에 대한 관 심도는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39.9%)이 ‘관심이 없다’
고 응답한 비율(16.2%)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은 종다양성에 대한 관심은 가지고 있지만, 개념적 으로는 잘 모르는 경향이 나타났다(Table 2).
3. 종다양성 보전의 경제적 가치 1) 기부금 제시금액별 지불 의향
본 연구의 응답자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 보전
을 위해 가구당 매년 기부금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기부 금 2,000원, 5,000원, 10,000원, 18,000원, 30,000원 중 임의 로 질문을 부여받고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였다. 다음 의(Table 3)은 종다양성 보전을 위한 응답자의 기부금 지불 의향 비율이다. 각 금액별 ‘예’ 응답자 비율을 분석한 결과, 2,000원 58.18%, 5,000원 39.64%, 10,000원 44.95%. 18,000 원 20.00%, 30,000원 20.00%로 나타나 제시금액이 2,000원 과 10,000원 수준에서 기부금 지불의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 기부금 지불 의향 logit 분석 결과
종다양성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분 포를 가정한 logit 모형을 추정하였다. 제시금액의 자연로그 값인 ln제시금액의 계수가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Table 2. Awareness and interest in species diversity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N=550)
Division N %
Awareness of species diversity
I know very well species diversity 3 0.5
I know 138 25.1
So-so 226 41.0
I don′t know 126 22.9
I have no idea 58 10.5
The interest of species diversity
I am very interested in species diversity 13 2.4
I am interested 206 37.5
So-so 241 43.9
I am not interested 60 10.9
I have no interest at all 29 5.3
Table 3. Percentage of 'yes' respondents who are willing to pay donations by the suggestion cost
Suggestion cost N % Standard error
2,000 won 320 58.18 4.72
5,000 won 218 39.64 4.66
10,000 won 247 44.95 4.79
18,000 won 110 20.00 3.83
30,000 won 110 20.00 3.83
Table 4. Logit analysis results of willingness to pay about species diversity conservation
Willingness to pay about species diversity conservation Estimated Coefficient Standard error
ln suggestion cost -0.7030*** 0.1059
Age 0.0057 0.0077
Female 0.2642 0.1936
Awareness of species diversity 0.3484** 0.1345
The interest of species diversity 0.3350** 0.1550
Chungcheong / Kangwon 0.2510 0.2890
Jeolla-do 0.0809 0.3073
Gyeongsangbuk-do -0.1309 0.2365
Income (Over 4 million won less than 6 million won) 0.4095* 0.2240
Income (Over 6 million won less than 8 million won) 0.2742 0.2986
Income (More than 8 million won) 0.4839 0.3320
Constant 3.0766*** 1.0297
Note: * Significant at 10% level, ** Significant at 5% level, *** Significant at 1% level
†ln Suggestion cost = Natural log value of suggestion cost
의한 음()으로 나타나, 부담금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의 효용 수준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다양성 기부금 지불 의향 logit 분석 결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제시금액이 낮 고, 종다양성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가 높을수록, 월 평균 가구 소득이 400만원에서 600만원 사이일 경우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3) 경제적 가치 분석 결과
조건부가치평가법에 의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 보전에 대한 연간 가구당 기부금 지불의사 금액은 약 3,463 원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국가 총 종다양성 가치를 산정하기 위해 2018년 추계 우리나라 총 가구수 19,751,857가구(통계청 홈페이지, 2018)를 곱하여 경 제적 가치를 산정한 결과 약 68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Table 5).
고 찰
국립공원은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생물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는 핵심지역으로서 멸종위기에 있는 생물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생물은 생태계서비스 유지 의 근간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생물다양성 및 생태 계서비스 증진 측면에서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모든 출현 생 물종과 관련한 현황을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국립공원공단에서는 ‘국립공원공 단 직제시행규칙 제6조제2항’에 의해 매년 생물종목록위원 회의 검토‧심의를 거쳐 국가생물종목록 기준에 따른 ‘국립공 원생물종목록’을 관리하고 있다. 국립공원생물종목록 관리 를 위한 기초자료는 자연공원법 제36조에 의해 자연공원의 자연자원 조사결과(공원별 5년마다 시행), 국립공원 내‧외부 기관들에 의한 조사 모니터링 결과 등이 활용되고 있다. 육 상환경 분야는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주간 곤충, 야간곤충,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진정거미류, 고등균 류, 담수조류, 해양환경 분야는 동물플랑크톤, 식물플랑크톤, 해조류, 해초류, 해양어류, 절지동물류, 연체동물류, 환형동 물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료들을 활용하여 종다양성 보전 등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역시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생물종이 멸종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 훼손 등으로 많은 생물종이 사라지고 있다.
특히, 해양생태계를 중심으로 한 국내 최대 보호지역인 다 도해해상국립공원은 멸종 위기에 있는 생물종 등의 중요한 서식 공간 중 한 곳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건부 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하여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가 치 중 종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종다양성에 대한 관심은 가지고 있지만, 개념적으로는 잘 모르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종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 부금 지불의향에 대한 logit 분석 결과, 제시금액이 낮고, 응 답자의 종다양성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가 높을수록, 월 평균 가구 소득이 400만원에서 600만원 사이일 경우 지불의 사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 양성 보전을 위해 연간 가구당 지불의향이 있는 금액은 약
3,463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2018년 추계 우리나라 총 가
구수 19,751,857가구(통계청 홈페이지, 2018)를 곱하여 국가 총 종다양성 보전의 가치를 산정한 결과, 국가 총 종다양성 보전의 경제적 가치는 약 68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종다양성의 경제적 가치는 사람들에게 기부금을 지불하는 가상의 상황을 전제로 추정된 값으로 연구 상황에 따라 값 의 변동이 심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 도해해상국립공원의 종다양성 보전에 대한 가치를 타당성
(validity)과 정확성(accuracy)을 갖고 있는 조건부가치평가법
(CVM)을 활용하여 일반인들이 인식하기 쉬운 화폐적 가치
로 평가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국민들이 자 연자원의 가치와 보전 중요성에 대한 인식증진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국립공원의 보전정책 추진시 당위성을 확보 함으로써 종다양성 보존 및 관리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에는 자연공원조사자료 등과 연계하여 멸종위기야생 동·식물의 출현종수 및 개체군 크기를 반영한 국립공원의 종다양성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보다 세분화된 생태계서비스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곽승준, 유승훈, 조승국. 2002. 한려해상국립공원 보존의 경제적 가치: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경제학연구.
50(2): 85-104.
국립공원공단(구 국립공원관리공단). 2015.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가치평가. 155pp.
국립공원공단. 2019. 2019 국립공원기본통계. 222-223pp.
국립생태원. 2017. 전국 단위 생태계서비스 평가 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vol. 1: NIE-전략연구-2017-03). 340pp.
산림청 국립수목원. 2016. 한국 침입외래식물의 이해(정부간행물 발간등록번호 979-11-87031-52-9 93480), 1-265pp.
송개일. 2010. 해상국립공원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관리 실태를 통한 합리적 방안 도출. 호남 Table 5. The economic value of species diversity conservation o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Value of species diversity conservation
(per won/year/household) The value of national species diversity conservation (Billion won/per year)
Average Lower limit 95% Upper limit 95% Average Lower limit 95% Upper limit 95%
3,463.28 2,398.86 4,863.72 684.06 473.82 960.68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pp.
신용석. 2016. 국립공원 이해와 관리: 보호지역과 자연공원 관리 입문서. 서울: 자연과 생태. 25pp.
정혜경. 2018. 선택실험법 및 특성가격법 중심의 비시장재 가치평 가 방법론 재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pp.
최재천, 신현철, 박상규, 조도순, 권오상. 2010. 생물다양성은 우리 의 생명. 서울: 궁리. 14-15pp.
Freeman AM, JA Herriges, CL Kling. 2014.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e: Theory and Methods, Washington DC: Resources for the Future. 459pp.
Kealy M, J Dovidio, M Rockel. 1988. Accuracy in Valuation is a Matter of Degree. Land Economics. 64: 158-170.
Loomis J. 1990. Comparative Reliability of the Dichotomous
Choice and Open-Ended Contingent Valuation Technique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8: 78- 85.
Mitchell RC, RT Carson. 1989. Using Surveys to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Resources for the Future.
국립공원공단 홈페이지. 2018. http://www.knps.or.kr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2018. http://www.law.go.kr 산림청 홈페이지. 2018. http://www.forest.go.kr
통계청 홈페이지. 2018. http://kosis.kr/index/index.do
(2019년 7월 22일 접수; 2019년 7월 24일 수정;
2019년 7월 29일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