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유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유럽"

Copied!
4
0
0

Teks penuh

(1)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4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5호 2014.2.14

유럽

□ 영국 정부, 6대 메이저 에너지기업의 폭리 의혹 조사

ㅇ 영국 Edward Davey 기후변화・에너지부(DECC) 장관이 6대 메이저기업의 가정용 가스가 격 폭리의혹에 대한 조사를 가스전력시장국(Ofgem)과 시장경쟁당국(Competition &

Markets Authority)에 지시했다고 2월 10일 밝힘.

- Edward Davey 장관은 지난 3년간 기업들의 매출 이익을 조사한 결과, 6개 메이저 기 업 중에 41% 시장점유율을 갖고 있는 Centrica(British Gas社의 자회사)의 이익이 가장 컸다고 밝힘.

- 장관은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소비자에게 손해를 끼친 것으로 조사된 기업에 대해서는 독 점적 지위를 해소시키기 위한 가능한 모든 조치를 검토할 것을 상기 2개 부처에 지시함.

- 이들 6개 가스기업의 평균 이익률은 6.7%로 전력부문 기업들의 평균 이익률 1.8%보다 약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기업명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Centrica 7.4 10.6 8.1 11.2

E.ON -7.3 -2.0 -5.4 -1.8

EDF -13.5 -1.4 -9.0 -4.1

RWE -8.8 -0.4 -1.6 1.7

Scottish Power -0.9 6.3 11.4 7.1

SSE -3.2 6.3 8.6 11.4

자료 : DECC

< 영국 가스공급기업의 이익률(%) >

ㅇ 한편, 최근 에너지 요금이 계속 크게 인상됨에 따라 2013년 말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졌 으며, 이것이 2015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되었음.

- 이에 따라 David Cameron 총리가 이끄는 보수당 정부는 2013년 말부터 에너지 시장 전반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으며, 2014년 3월에 첫 번째 보고서가 발표될 예정임.

(BBC; Independent, 2014.2.9; Financial Times; Reuters; Telegraph, 2014.2.10)

□ 이탈리아 가스 소비기업, 에너지비용 절감 위해 LNG 터미널 공동 건설

ㅇ 이탈리아 12개 가스 소비기업이 에너지비용을 낮추기 위해 이탈리아 동북부 Friuli Venezia 지역에 연간 800MMcm 규모의 LNG 수입터미널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2월 7일 발표함.

- 이들 12개 기업으로 구성된 Smart Gas Monfalcone컨소시엄은 LNG 터미널 건설에 1

(2)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5호 2014.2.14

49

억1,000만 유로를 투자하며, 2018년부터 가동을 개시할 계획임.

- 이들 기업은 높아가는 에너지비용으로 인한 일자리 감축과 해외로의 생산시설 이전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투자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다고 밝힘.

- 컨소시엄은 총 도입물량 중 약 650MMcm을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에게 판매할 계획이 며, 현재 나머지 물량에 대한 판매기업을 물색 중임.

ㅇ 이탈리아의 가스 발전비중은 40%로 높은 편이며, 자국 내 소비되는 가스의 90% 정도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이탈리아는 5개 파이프라인 노선과 2개의 LNG 수입터미널을 갖고 있으며, 가스 수입 량의 대부분을 알제리, 러시아, 리비아 등과 장기계약에 의한 PNG 형태로 들여옴.

민간사업자는 정부 규정 및 승인 하에 가스 수입을 위한 파이프라인과 LNG 수입터미널을 건설할 수 있음.

- 이탈리아의 에너지 가격은 높은 가스 수입의존도로 인해 유럽 내에서도 높은 편에 속하 며, 이에 따라 경기침체 상황에서 기업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이탈리아 제조기업은 향후 몇 년 내 미국산 셰일가스 도입과 이를 통한 수입 가스가격 인하를 기대하고 있음.

(Reuters, 2014.2.7)

□ EU, ’13년 신규 풍력설비 전년 대비 감소

ㅇ 유럽풍력협회(EWEA)가 2월 3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3년 한 해 동안 EU 28개국 에 약 11,159MW의 신규 풍력발전설비가 설치・가동되었는데, 이는 2012년 대비 8% 감 소한 수준임.

- 2013년 말 EU 내 총 풍력발전설비용량은 117,289MW임.

- 그동안 풍력부문의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2013년 신규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2012년 대비 각각 84%, 65%,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반면, 독일과 영국의 신규 발전설비용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13년 EU 전체 신규 설치용량의 46%를 차지하였음.

- EWEA의 Justin Wilkes 부회장은 2013년 유럽 각국의 재생에너지 개발 보급 관련 제 도적 정책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풍력산업에 대한 투자 감소와 녹색성장 관련 신규 일 자리 창출능력도 악화되었다고 언급함.

- 또한, 그는 최근 발표된 EU의 기후 에너지정책인 ‘2030 프레임워크’에서 설정된 재생 에너지 목표로는 풍력시장을 다시 활성화시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함.

ㅇ 한편, 전년도에 부진했던 풍력부문 실적에도 불구하고 2013년에 EU 내에 신규로 설치된 총 발전설비 중에서 풍력발전 설비의 비중이 31%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 2013년 EU 지역에 설치된 총 발전설비용량(35GW) 중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차

(3)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5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5호 2014.2.14

지하는 비중은 전년대비 2%p 상승한 72%(25GW)로 나타남.

- 또한, 2000년 이후 설치된 신규 발전설비 용량 중 풍력 비중은 28%, 풍력을 포함한 재생 에너지 전체 비중은 55%, 그리고 재생에너지 및 가스 화력발전 비중은 92%를 차지함.

자료 : EWEA

< EU의 재생에너지원별 발전용량(MW) 및 재생에너지 비중(%) >

(EWEA 홈페이지, 2014.2.3; Business Green, 2014.2.5)

□ 프랑스 에너지규제위원회, 남부지역 2개 가스거래소 연계 추진

ㅇ 프랑스 에너지규제위원회(CRE)가 자국 가스시장 단일화를 위해 추진 중인 남부지역에 위치한 2개의 가스거래소(gas hub)를 연계하기 위한 협의를 개시했다고 2월 11일 보도됨.

- 프랑스 CRE는 2018년까지 가스시장을 단일화하는 것으로 목표로 해서 2015년 4월까 지 남부지역 가스거래소인 PEG Sud와 TIGF를 연계하려고 함.

PEG는 ‘가스거래소’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Point d’Echange de Gaz’의 약어임.

- 이번 협의에서는 가스시장 연계와 관련해 2개의 계통사업자(TSOs)가 예측한 시나리오 를 바탕으로 거래소 참여기업 및 관계기관 간 논의가 진행될 예정임.

ㅇ CRE는 높은 가스가격 변동성을 개별 가스거래소(PEG Sud, TIGF, PEG Nord)들의 거래 유동성 부족 때문이라고 판단했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계통사업자(TSOs)들과 가스 거래소를 간소화하기 위한 논의를 2009년부터 시작했음.

- 특히, 최근 들어 PEG Sud 거래소의 가격 변동성이 높은 편인데, 동 거래소의 가스 거 래가격은 2012년 12월 40유로/MWh였으나, 1년 만에 40% 이상 상승하면서 유럽 내 최고가를 기록했음.

- 또한, 남부지역 가스거래소 PEG Sud에 참여하는 가스소비자는 최근 지역 내 파이프라 인 수송시설 부족과 아시아지역의 LNG수요 증가에 따른 LNG 수입물량 감소로 가스 수급 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4)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5호 2014.2.14

51

- 그러나 북부지역 가스거래소인 PEG Nord는 대서양에 위치한 Montoir LNG 수입터미 널과 노르웨이, 독일, 벨기에 등과 연결된 PNG 수송망을 갖고 있어 상대적으로 가스공 급 부족에 따른 가격 변동이 적은 편임.

자료 : Elengy

< 프랑스의 가스 허브 및 관련 인프라 >

(Natural Gas Daily, 2014.2.11)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