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융합 해양과학기술 발굴을 위한 기획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융합 해양과학기술 발굴을 위한 기획 연구"

Copied!
202
0
0

Teks penuh

(1)

융합 해양과학기술 발굴을 위한 기획 연구

Planning of the converging marine science technology

2009. 03.

연구기관

한 국 해 양 연 구 원

국 토 해 양 부

(2)
(3)

- 제 출 문 -

국토해양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융합해양과학기술 발굴을 위한 기획 연구”에 관한 과제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 03.

총괄연구책임자 : 최복경

참 여 연 구 원 : 김봉채, 전동철, 신창웅, 전봉환, 유주형, 이 석, 김 성, 김 응, 민원기, 김병남,

김동국, 박미숙

자 문 위 원 : 박갑동(표준연), 박영철(에코션), 성우제(서울대) 윤석왕(성균관대), 이강일(강원대), 이용희(해양대)

이현홍(특허청), 최지웅(한양대), 홍영섭(특허정보원)

(4)
(5)

- i -

- 연구개발과제 요약서 -

○ 연구개발 개요

○ 정부에서는 ‘06년에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융합기술종합발전기본계획 수립방안‘을 확정하였고, 이의 후속조치로 07년에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 방침’을 수립하여, 미래의 R&D 발전을 위한 핵심기술로 융합기술에 주목하 고 있음

○ 그러나 해양관련 연구기관에서 수행중인 기존의 연구 사업에는 융합해양과 학기술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상태임

○ 따라서 최근의 융합과학기술 연구의 추세에 발맞추어 해양과학기술 분야도 융합기술연구를 통한 광범위하고 미래발전적인 융합해양과학기술개발이 절 실히 요청됨

○ 최종목표

○ 해양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해양과학기술과 전분야의 과학기술 을 접목하는 융합해양과학기술을 발굴

○ 해양영토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발굴된 신개념 융합해양과학기술을 적 용하기 위한 실질적 계획을 수립

○ 미지의 프론티어 분야인 해양연구의 심층적 연구를 위한 융합해양과학기술 을 제시

○ 연구내용 및 범위

○ 융합해양과학기술의 정의 및 범위, 기술 분야 설정

○ 미국을 비롯한 해양강국의 해양관련 융합과학기술 현황 조사

○ 해양과학기술과 관련된 국내 관련기관의 융합연구실태 조사

○ 융합해양과학기술에 대한 중장기 로드맵 제시

○ 연구기획 종료 후 본 프로젝트를 장기간(10년 이상) 융합해양기술 연구사업 체계로 발전시켜 추진

(6)

- ii -

○ 연도별 주요내용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내용

1차년도

○ 해양과학기술과 전분야의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융합 해양과학기술의 발굴

○ 해양영토를 보전을 위한 신개념 융합해양과학기술 의 적용 계획 수립

○ 융합해양과학기술의 정의 및 범 위, 기술 분야 설정

○ 미국을 비롯한 해양강국의 해양 관련 융합과학기술 현황 조사

○ 해양과학기술과 관련된 국내 관 련기관의 융합연구실태 조사

○ 융합해양과학기술에 대한 중장기 로드맵 제시

○ 연구 성과,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연구 성과

기술적 기대효과

○ 해양을 적극적으로 탐사하고 연구하는 통합 과학기술의 출현.

○ 전분야의 과학기술과 해양과학을 융합하는 융합해양과학기술의 출현으로 해양과학의 발 전 뿐 아니라 주변 과학기술의 발전에 기여.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 융합해양과학기술의 발굴은 곧 국제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제력과 군사력에 간접적인 뒷 받침이 됨.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 융합해양과학기술 발굴을 통해 미래에 해양 과학기술을 조망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으 며, 보다 광범위한 해양과학기술이 발전될 수 있음

활용방안

○ 연구기획 종료 후 본 프로젝트는 장기간(10 년 이상) 융합해양기술 연구사업체계로 발전 시켜 추진

○ 연구 핵심어(5개 내외)

한글 해양과학기술 융합기술 해양영토 해양정책 기획

영문 MT (Marine Technology)

Converging Technology

Ocean Territory

Ocean

Policy Planning

(7)

- iii -

목 차

제 1 장 융합해양과학기술 개요 ··· 1

제 1 절 융합해양과학기술 도입 배경 ··· 3

제 2 절 융합해양과학기술의 개념 ··· 14

제 2 장 융합해양과학기술 전략방향 ··· 21

제 1 절 해양 분야 R&D 사업 현황 ··· 23

제 2 절 융합해양과학기술의 전략체계 및 중점연구영역 ··· 38

제 3 장 중점 융합해양과학기술 사업 ··· 43

제 1 절 중점 융합해양과학기술 사업도출 ··· 45

제 2 절 첨단기술융합형 해양탐사기술 개발사업 ··· 47

제 3 절 심해 및 극한환경적응 융합해양기술 개발사업 ··· 116

제 4 절 융합해양과학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 135

제 4 장 중점 융합해양과학기술 관련 특허 및 논문분석 ··· 153

제 1 절 특허 동향분석 요약 ··· 155

제 2 절 특허 심층분석 요약 ··· 159

제 3 절 포트폴리오로 본 융합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위치 ··· 162

제 4 절 특허장벽 분석을 통한 공백기술 도출 ··· 164

제 5 절 특허 기술흐름(발전)도 분석 ··· 167

제 6 절 논문분석 ··· 172

제 7 절 시사점 ··· 177

제 5 장 차세대융합 해양R&D 프로그램 구성 방안 ··· 179

제 6 장 결론 및 향후 발전방향 ··· 185

(8)

- iv -

표 목차

표 1. 각국의 해양과학기술 투자액 비교 ··· 12

표 2. 해양 R&D 사업별 투자계획(’08~’12) ··· 24

표 3. 해양자원이용기술개발 프로그램 ··· 31

표 4.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 프로그램 ··· 32

표 5. 해양환경기술개발 프로그램 ··· 33

표 6. 해양안전기술개발 프로그램 ··· 34

표 7. 항만물류기술개발 프로그램 ··· 35

표 8. 기초해양과학조사 프로그램 ··· 36

표 9. 해양연구인프라구축 프로그램 ··· 37

표 10. 중점 융합해양과학기술의 6T와의 관련성 ··· 46

표 11. 국내 해저 전력케이블 설치 현황 (2004년 기준) ··· 60

표 12. 미국에서 Office of Naval Research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주요 글라이더 ··· 79

표 13. 원격시스템 플랫폼에 따른 특성 비교 ··· 99

표 14. 원격시스템 센서에 따른 연안/해양 관측 항목 ··· 100

표 15. 세대별 바이오에탄올 원료 비교 ··· 149

표 16. 주요국가의 기술경쟁력 현황(미국등록특허 기준 ··· 157

표 17. 첨단기술 융합형 해양탐사기술에 대한 특허망 형성 특허들의 공백 기술 ··· 165

표 18. 융합해양과학 산업화기술에 대한 특허망 형성 특허들의 공백 기술 ··· 166

표 19. ‘07~’08년에 발행된 논문의 주요 키워드 현황 ··· 175

(9)

- v -

그림 목차

그림 1. 정보시대에서 융합시대로의 변화 ··· 3

그림 2. 산업 및 서비스의 활용목적별 분류 ··· 18

그림 3. 위: 동해북부 수온단면, 아래: 음향토모그래피 역산결과의 예 (한양대) 49 그림 4. 1998년 거제도 해양음향토모그래피 실험해역도: 해양연구원 ··· 50

그림 5. 블라디보스톡에 위치한 대형 수중음원 실험개략도 ··· 52

그림 6. 러시아 음원을 이용한 동해북부수온 원격모니터링 해역도 ··· 52

그림 7. 일본 독도근접 해저광케이블 1999년 설치완료 (신동아 특집기사 2005년 5월호) ··· 58

그림 8. 해저케이블 연계 탈부착식 지진센서 부착 신기술 성공: 일본 ··· 58

그림 9. 울릉도-독도 주변해역도 ··· 62

그림 10. 일본 소형 탐사 시스템 ··· 67

그림 11. 미국 자율형 수중탐사 장치 ··· 67

그림 12. 총 중량 3천7백kg 급 대형 무인잠수정 해미래 ··· 68

그림 13. 융합기술을 활용한 해양탐사를 위한 초소형 탐사로봇의 개발 개념도 69 그림 14. 종래의 로봇 자율이동기술 (SLAM) 개념도 ··· 70

그림 15. 소형 해양탐사 로봇의 예 (붉은색의 탐사체) ··· 71

그림 16. 중/대형 수중이동로봇 활용 개념도(Heidermann, 2006) ··· 72 그림 17. 톱니처럼 상‧하 운동을 하면서 해양을 이동하는 글라이더 궤적 ··· 82

그림 18. 다랑어(giant bluefin tuna)의 이동경로(미국, Block et al., 2005) ··· 90 그림 19. WWF가 관측한 바닥거북(green turtles)의 회유 경로 (http://www.seaturtule.org) ··· 90

그림 20. 향유고래(sperm whales)의 다이빙 특성 (일본, Amano and Yoshioka, 2003) ··· 91 그림 21. 향유고래(sperm whales)에 부착된 bio-logger로부터 측정된 수온 특성 (일본, Aokai et al., 2007) ··· 91 그림 22. 해양생물의 이동 경로 연구를 위한 대표종(물범, 바다거북) ··· 92

그림 23. Barge-based 원격탐사 시스템 (워싱턴대학교) ··· 97

(10)

- vi -

그림 24. Helikite (Helium-filled Balloon-Kite)를 이용한 원격시스템 ··· 98

그림 25. 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중형 에어로스탯과 무인항공기 ··· 98

그림 26. 원격관측시스템의 시공간해상도에 따른 연안/해양활용 분야 ··· 100

그림 27. 열적외선 카메라와 초다분광 센서 동시 관측에 의한 연안의 물성 분석 (워싱턴 대학교) ··· 102

그림 28. 1977년 이후 발견된 주요 열수분출구 분포지역 ··· 119

그림 29.심해 열수환경 연구를 위한 대상 해역 ··· 121

그림 30. 심해열수환경탐사 모식도 ··· 122

그림 31. 10,000m 급 심해 무인 탐사 잠수정인 'Kaiko'의 마리아나 해구 탐사 장면(A: 심해호흡 챔버 장치 설치중, B: 미생물 mat 흡입식 채집 장면, C: 중앙통제 조정실, D: 입수전 장면) ··· 128

그림 32. 인도의 1 MW급 부유식 OTEC 시설 ··· 137

그림 33. OTEC 기반의 복합 해양산업 체계 개념도 ··· 137

그림 34. 해양온도차 발전의 개념도 ··· 139

그림 35. 주요국가의 역점 기술 분야 ··· 158

그림 36. 포트폴리오로 본 융합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위치. 분석구간 : 한국, 일본, 유럽 -‘91~94, 95~98, 99~02, 03~06(출원년도), 미국 - ´87~’91, ´92~´96, ´97~‘01,‘02~05(등록년도) ··· 136 그림 37. 첨단기술 융합형 해양탐사기술 주요 기술흐름도 ··· 167

그림 38. 첨단기술 융합형 해양탐사기술 세부 기술흐름도 ··· 168

그림 39. 심해 및 극한환경적응 기술 주요 기술흐름도 ··· 169

그림 40. 융합해양과학 산업화 기술 주요 기술흐름도 ··· 170

그림 41. 융합해양과학 산업화 기술 세부 기술흐름도 ··· 171

그림 42. 융합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논문 동향 ··· 172

그림 43. 논문으로 살펴본 융합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주요 연구자 ··· 173

그림 44. 논문으로 살펴본 융합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주요 키워드 ··· 174

그림 45. 융합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주요 학술지 ··· 176

(11)

제 1 장 융합해양과학기술 개요

(12)
(13)

- 3 -

제 1 장 융합해양과학기술 개요

제 1 절 융합해양과학기술 도입 배경

1. 융합기술 시대의 도래

□ 차세대 기술혁명은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신기술간 또는 이들과 타 분야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한 융합기술(Converging Technology)*이 주도할 것 으로 예측. ‘Technological Convergence’(’63, 美), ‘Technology Fusion’(’95, 日) 등 용어 등장

○ 융합기술은 단일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종 기술의 효용성을 융합하는 기술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면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시장의 창출 영역(Blue Ocean)으로 인식되고 있음

※ "우리는 뉴 컨버전스 시대를 목격 중이다. 10년 전 처음 나온 ‘컨버전스’와 는 차원이 다르다. 새 시대에는 수백만 개의 새 일자리와 수십만 명의 백 만장자가 탄생할 것이다."(게리 샤피로, ’07.1.8)

그림 1. 정보시대에서 융합시대로의 변화

○ 융합기술은 궁극적으로 산업간‧서비스간 융합을 유발하여 경제‧산업 전분야 에 걸쳐 막대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

(14)

- 4 -

- 신기술간 융합으로 기업‧개인의 비즈니스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신성장 분야 창출을 수반

※ 부품소재와 최종재 산업의 융합, 마이크로 공장의 출현, 블록버스터급 신약, 혁신적 신소재 기반 제품 등 신산업 성장기회 존재

○ 융합기술은 의료‧건강, 안전, 에너지‧환경문제 등 미래의 사회적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로 기대

- 고령자와 장애인의 자립, 안전한 생활, 에너지 확보, 쾌적한 환경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수요 충족기술로 작용

※ 재택진료‧치료 확대, 재해․재난 예방 복구, 친환경제품 출현 등

□ 신산업 및 신성장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기술을 바 탕으로 한 융합기술의 조기 선점이 필수적임

○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은 이미 국가 주도로 미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융합기술 및 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음

선진국들은 수년전부터 미래 융합기술 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국가차원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본격적으로 추진

※ 미국 : 『인간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기술』(NBIC, '02) ※ E U : 『유럽지식사회 건설을 위한 융합기술』(CTEKS, '04) ※ 일본 : 『신산업창조전략』(’04)

□ 이에 정부는 새로운 원천기술 확보 및 신산업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융합기술 개발사업 추진을 국정과제*로 제시

* 교육과학기술부 : 신기술 융합형 성장동력 원천기술 개발, 융합형 녹색기술 개발

지식경제부 : 신성장동력 중장기 비전 제시 및 융합신기술․산업 창출

※ 국제적인 융합기술의 추세와 정부적 융합개발사업 추진에도 불구하고 해양 분야 기 술융합을 통한 신산업 창출 시도는 아직 미비한 실정

(15)

- 5 -

2. 국가 차원의 융합기술 기본계획 수립

□ 추진 경과

○ ’06. 4월

「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수립방안」

심의(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 범부처 5개년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기로 결정

○ ’07. 4월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방침」

심의

․확정(국가과학기술위원회)

- 부처간․연구수행 주체간

․분야간 연계 및 협력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 세부전략, 투입규모, 각 부처 사업계획 등과 연계한 당초 계획에는 미흡 ○ ’07 10월

「융합기술 실무추진위원회 」

구성

○ ’08. 4월 융합기술발전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착수 ○ ’08. 5~10월

「융합기술 실무추진위원회 」

개최(3회)

(1차) 기간(’09~’13년), 정의 및 유형, 운영체계, 작성방향 등 논의(5.7) (2차) ‘추진전략(안)’의 제명을 ‘기본계획(안)’으로 변경 추진(7.18) 범부처 공동작업반* 구성 및 운영 계획 수립

* KISTEP 등 관계부처 유관기관 민간전문가 중심 (3차) 추진체계 논의 및 기본계획(안) 주요내용 검토(10.16) ○ ’08. 6~9월 부처별 융합기술육성 관련 추진사업 현황 등 조사·검토 기본계획 수립타당성, 인력양성 실태 등 설문조사

○ ’08. 9~10월 범부처 공동작업반(교과부

․지경부 공동주관) 실무회의(총 8회)

7개 관계부처 의견 수렴(10.13~17)

○ ’08. 10월 ‘기본계획(’09~’13)(안)‘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10.28) ○ ’08. 10월 국과위 ‘첨단 융복합기술 전문위원회’ 검토(10.31)

(16)

- 6 -

□ 국가 차원의 융합기술 육성에 관한 종합적․체계적 전략 없이 부처별로 분 산 추진

○ (교육과학기술부) 다학제적 융합형 인력양성 및 NT, BT, ET 등을 기반으로 한 신기술 창출형 융합사업 추진

○ (지식경제부) 융합기술을 통해 신산업 창출 등을 위한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추진

○ (기타 부처)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전통산업과 NT, IT 등 첨단 기술의 접목을 통한 융복합화 추진

□ 부처별 융합기술 추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융합기술 수준은 가시적인 연 구 성과나 실용화면에서 아직 초보 단계

○ 국내 융합기술은 선진국의 최고기술 수준 대비 50~80% 수준

□ 이에, 국가차원에서 융합기술 분야를 육성시키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 가융합기술발전 기본방침(’07.4)’을 수립하였으나, 세부적인 실행계획 등은 미흡한 실정

○ ‘기본방침’에서는 정부 부처간, 연구주체간, 분야간 연계 및 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만을 제시

□ ‘기본방침’에서 제시한 권고·실천사항을 토대로 정부 부처별 역할분담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부처간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의 수립

○ 범부처적으로 향후 5개년('09∼'13년) 동안 실행할 새로운 중장기 융합기 술 추진전략, 구체적인 실천과제 등을 수립․반영할 필요 있음

(17)

- 7 -

□ 범부처 융합기술 발전계획 전략체계도

(18)

- 8 -

□ 중점 추진전략

(19)

- 9 -

□ 부처 별 주요 역할

C

교육과학 기술부

○ 신기술 융합형 원천기술 및 녹색기술 개발

○ 다학제간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및 교류 활성화

○ 융합기술분야 교육·연구프로그램 개발·확산

○ 융합기술 관련 윤리헌장 마련 및 인프라 구축

C

문화체육 관광부

○ 융합콘텐츠 신시장 창출을 위한 CT기반 융합기술개발

○ 문화와 기술의 통합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재양성

C

농림수산

식품부 ○ 농림수산식품업 분야 융합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

C

지식경제부

○ 융합기술 관련 신산업 및 서비스 발굴·지원

○ 융합기술에 의한 기존산업의 고도화

○ IT기반 융합기술, 융합부품소재 육성 및 인프라 확충

○ 융합기술의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및 표준화제도 확립

C

보건복지 가족부

○ 보건의료 분야 융합기술 및 인프라 구축

○ BT기반 융합기술의 안전․유효성 평가

․인허가 제도 개선

C

환경부

○ 미래 환경시장의 선점 및 상업화를 위한 ET 융합기술 개발

○ 융합기술 관련 환경 위해성 평가․관리 기술개발 및 제도 구축

C

국토해양부

○ 건설․교통 분야 융합기술 및 인프라 구축

○ 해양산업, 자원, 환경 등의 융합기술 및 인프라 구축

○ 해양융합기술의 신산업화 지원을 통한 성장동력 발굴

(20)

- 10 -

3. 해양 분야 융합연구의 중요성 가. 해양 분야 국제 R&D 동향

□ 해양 선진국들의 공통적 추세

○ 최근 해양선진국들의 국가 전략적 연구 분야는 지구기후변화 예측과 대응방 안 도출, 연안환경 및 생물 종다양성 보전, 해양광물자원 탐사․개발, 해양 신물질 개발, 선박은 물론 해양과 관련된 인간의 건강 문제 등을 포함한 미 래지향적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

○ 또한, 해양이 아직 미개척된 점을 고려하여 다양하고 광범위한 해양시스템 및 센서개발을 통한 미지의 해양탐사와 자국 EEZ에 대한 조사․관리연구 등을 광범위하게 수행

□ 미 국

○ 개발위주의 해양 정책이 자원의 남획 및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 여 이에 대한 새로운 정책으로 1999년 신국가 해양 정책(Turning to the Sea : America´s Ocean Future)을 수립하였으며, 2004년에는『An Ocean Blueprint for the 21st Century』를 새로운 국가 해양 정책으로 채택하였음.

- 지구기후변화의 예측과 대응방안 도출, 해양방위기술, 해양산업의 지속적 우위 유지, 연안환경 보호와 위험요소 평가, 외래종 관련 연구

- 미지의 해양영역 선점에 필요한 심해잠수정, 해양연구선 건조 및 운영, 첨단 해양 연구 장비 개발 등

□ 일 본

○ 지진․태풍 등 해양기인성 자연재해 방재 및 부족한 육상자원을 보전하기 위한 해양자원 개발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부여한 가운데 2003년 10개년 해 양 정책『장기적 전망의 일본 해양개발 기본구상 및 추진방안』수립

- 지구환경 문제, 지각이동, 해저지진․태풍 등 해양재해저감기술, 해양생 태계 변화, 환경복원, 해양생명공학기술 등에 관한 연구․개발

(21)

- 11 -

- 심해시추선과 자율무인잠수정(AUV) 개발, 태평양 도서국과의 국제적 협 력 등

* 미국과 공동으로 6,000억 원을 투자, 5,700톤급 규모의 심해시추선을 건 조하고(´04년) 신에너지원 개발을 위한 통합시추프로그램(IODP) 추진

□ 중 국

○ 지난 15년 간 기초 해양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능력 확대 및 해양석유자원 개 발 기술 확보 등에 주력하면서 1999년 제10차 5개년 계획 수립

- EEZ내 해양환경․자원 조사, 기후변화가 중국에 미치는 영향, 갯벌변화 및 습지 복원․보전, 군사해양학 연구

- 심해대양 및 남극해 에너지자원과 생물자원 연구 등

□ E U

○ 청정대체에너지 개발, 지속가능한 어업 및 양식, 메탄수화물 등 광물자원 개 발에 집중

○ 유럽연안의 대륙붕 연구, 연안역 연구, 생물 종다양성, 기후변화, 나노기술과 신소재를 이용한 센서개발 등

나. 우리나라의 해양 이슈 및 R&D 동향

○ 2000년『해양한국(Ocean Korea) 21』계획을 수립, 해양을 합리적으로 개 발․이용․보전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래 비전을 마련하였음.

○ 그러나, 해양과학기술이 국가 중점육성기술에서 소외되어 해양과학기술 특성 을 반영한 연구개발 전략 추진에 어려움이 있어 2004년 해양수산발전기본법 에 의한 법정계획인 해양과학기술(MT)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 음.

(22)

- 12 -

- 해양과학기술 투자액 비교

미 국 일 본 중 국 한 국

25,065 9,716 3,528 1,130

표 1. 각국의 해양과학기술 투자액 비교

(´03년 기준, 단위 : 억 원)

- 우리나라 전체 예산 대비 국가연구개발 예산은 5%(´03년 : 5조 6,091억 원)임. 현재 해양산업이 국가전체 GDP의 7%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중 해양과학기술 비중은 약 2%에 불과함.

ㅇ 세부기술 분야별로는 지구환경의 변화에 따른 해양재해, 해양오염, 난개발 로 인한 서식지 훼손, 생물다양성 감소 등에 대한 체계적 대응을 위한 기 술개발이 부족함.

* 육상폐기물의 해양배출량 : ´90년/106(만 톤) → ´03년/887(만 톤), 최근10 연간 서울면적의 1.3배인 810km2 갯벌 상실

ㅇ 해양광물자원과 신에너지원 선점을 위한 망간단괴 및 메탄수화물 등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나, 본격적인 해양광물자원 개발 및 해양에너지 실 용화 연구개발 투자는 미미함.

* 바다목장화 조성, 유용 신물질 추출, 태평양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 조류 발전 시험(울돌목/1천kw급), 해양심층수 등 일부 분야만 응용단계 진입 ㅇ 첨단 물류․항만시스템은 차세대 성장동력기술의 핵심기술로 중점 육성

예정이나, 첨단 해양구조물․장비 분야에 대한 연구 활동과 투자가 미흡 함.

* 우리나라는 세계5위 수출입 해상물동량(715 백만 톤), 세계6위(11,890 TEU)의 컨테이너 처리 능력 등 해양산업은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해양구조물 및 장비 등의 첨 단기술 개발이 시급

ㅇ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 수준은 선진 해양국에 비해 일부 분 야를 제외하고는 약 40~50%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기술격차가 평균 약 7년 정도 뒤쳐진 실정임.

(23)

- 13 -

⇒ 선진국에 비해 해양과학기술 수준이 낮고 해양 분야 R&D 전략자원 투자 가 미흡한 상황에서 조기에 선진기술을 따라잡고 주요 해양 이슈에 대응 하기 위해서는 융합연구를 통한 핵심 원천기술 선점이 시급함

(24)

- 14 -

제 2 절 융합해양과학기술의 개념

1. 융합해양과학기술 정의 및 범위

□ 융합해양과학기술 정의

○ 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에서의 융합기술 정의

“NT, BT, IT, GT 등의 신기술간 또는 이들과 기존 산업·학문 간의 상승적인 결합을 통해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미래 경제와 사회․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

○ 융합해양과학기술의 개념 정의

“NT, BT, IT, GT 등 첨단 신기술 및 학제 간 상승적 결합을 통해 해양 분야의 국가적 도전목표 달성과 국제적 해양 이슈에 대응하는 혁신적 가 치창출 기술”

※ 해양기술은 그 자체가 넓은 의미에서 물리, 화학, 생물, 지질, 대기과학, 공학 분야와 IT, BT, NT, ST, ET, GT 등 첨단 신기술간 융합연구가 필수적인 융 합기술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해양 분야의 국가 현안 이슈 해결과 연계 성이 높고, 연구목표가 도전적인 기술 중에서 다학제 및 첨단 신기술간 융합 의 성격이 강한 기술들을 융합해양과학기술로 정의함

□ 융합해양과학기술 범위

※ 중장기해양기술 발전계획 상에서 제시한 중점 연구영역의 세부기술들이 융합해양과학기술의 범위에 해당하는 대상기술임

○ 해양 기후/환경 분석 및 보전 - 해수 순환과 기후변화 - 중장기 해양재해 예측기술

(25)

- 15 -

- 해양환경 보전 및 모니터링 - 해양퇴적물 특성 및 지구조 연구 - 연안환경 개선기술

- 연안재해 예측 및 피해저감 기술 - 해양생물 특성평가기술

- 해양지속성 유기오염물질 특성연구 - 해난사고 구난방제기술

- 해양오염물질 저감 및 처리 기술 ○ 미래 자원 및 친환경 에너지 확보 - 생태계 기반 관리기술 연구 - 해양생명공학 연구

- 해양광물자원 탐사기술 - 해양지구물리 탐사기술

- 해양에너지 및 공간자원 이용기술 - 해양자원개발시스템 연구

○ 해양 공간 이용

- 연안구조물 설계 및 시공 기술 - 해양구조물 안전 성능 연구 - 해양 탐사장비 개발

- 해양 정보통신기술 - 해양 안전기술 - IMO 선도기술

(26)

- 16 -

- 해양 첨단운송체기술 - 특수선 관련기술

2. 융합해양과학기술 요건 및 유형

가. 융합해양과학기술 요건

□ 해양 분야 국가 및 글로벌 이슈 해결과의 연계성

○ 순수 과학기술의 영역 및 한계 극복, 새로운 영역의 발굴과 같은 일상적 연 구보다는 해양 분야에 존재하는 국가 및 글로벌 차원의 이슈 해결과 직접적 으로 연계되는 분야로 한정함

※ 순수 과학기술적 관심 분야는 대학에서 독자적으로 수행하고, 글로벌 이슈 해결 분야는 산/학/연 또는 국제협력연구를 통한 융합연구로 달성

□ 목표의 도전성

○ 글로벌 해양 이슈 대응 및 해결, 미래유망 해양 원천기술 선점, 국가적 해양 이슈 해결에 필요한 과감한 도전목표

※ 융합기술의 구성요건은 갖추었더라도 목표가 도전적이지 못하고 일상적 수 준에서의 협력연구로 가능한 기술은 제외

□ 다학제적 연구를 통한 시너지 효과 발생

○ 융합해양과학기술을 구성하는 세부기술들은 공통의 목표 달성 또는 핵심 이 슈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역할 존재

※ 다른 참여기술들과의 상승적 결합 없이 기존기술의 단순 활용 또는 도입으 로 해결 가능한 기술은 제외

○ 단일기술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로는 도달할 수 없는 시너지 효과가 분명하

(27)

- 17 -

게 발현될 수 있어야 하고, 융합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존 기술도 한 단계 뛰어넘는 패러다임 변화 초래

⇒ 이상과 같은 국가 및 글로벌 이슈 해결과의 연계성, 설정한 연구목표의 도전 성, 다학제 연구를 통한 시너지 효과 발생의 3가지 요건을 융합해양과학기술 선정기준으로 활용함

나. 융합해양과학기술 유형

□ 활용목적별 분류

활용목적별 분류는 기술간 융합을 통해 미래 수요 충족을 위한 융합 신기술 및 신 산업을 창출과 국가 현안 및 글로벌 이슈 해결을 포함하는 총 3개 분야로 대별

① (원천기술창조형)

○ 이종 신기술 또는 신기술과 학문이 결합하여 새로운 기술을 창조하거나 융 합기술을 촉진하는 유형

○ (예시) 첨단기술융합형 해양탐사기술, 심해 및 극한환경적응 융합해양기술 - 동해북부해역 원격토모그래피 해양환경탐사기술, 울릉도-독도연계 다목적

해저관측망 구축, 초소형 로봇기술융합 해양탐사시스템 개발, 해양탐사 글라이더 선단시스템 구축, 환경파괴형 해적생물 탐지 및 퇴치기술 연구 - 해양융합기술기반 심해저 및 열수환경 특성 연구, 동해 심해해양생태계 및

환경연구를 위한 탐사기술 개발

② (신산업창출형)

○ 경제·사회·문화적 수요에 따른 신산업·서비스 구현을 위해 이종 신기술과 제품/서비스가 결합하는 유형

○ (예시) 융합해양과학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28)

- 18 -

- 해양온도차 발전 기반의 친환경 복합해양에너지 개발 기술 - 동해 메탄수화물 최적탐사 및 복합채광기술 개발

- 해양바이오연료 산업화 기술 개발

③ (산업고도화형)

○ 신기술과 기존·전통산업이 결합하여 현재의 시장수요를 대응할 수 있는 산업 및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유형

그림 2. 산업 및 서비스의 활용목적별 분류

(29)

- 19 -

□ 기술분야별 분류

기술분야별 분류는 NBIC에 기초를 두고 최근 융합화 특성이 강하게 적용 되고 있는 문화기술(CT), 에너지․환경기술(ET), 녹색기술(GT)을 포함하여 총 7개 분야로 대별

① NT기반 융합기술

○ 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주에서 조작․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소재․소자 또는 시스템을 창출 ○ (예시) 플렉서블 박막소재, 분자현미경, 나노바이오 소재 등

② BT기반 융합기술

○ 생명공학(BT)과 타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의 성능을 향상

○ (예시) 바이오인포메틱스, 약물전달시스템, 생체정보인터페이스, 바이오정보보호

③ IT기반 융합기술

○ IT기술을 기반으로 NT, BT 등 이종기술간 융합을 통하여 신제품/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의 성능을 향상

○ (예시) 지능형 로봇, 나노반도체, 바이오칩, 광학센서, 음영상 디스플레이 등

④ CT기반 융합기술

○ 문화와 이공학적 기술을 융합시켜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상품의 부가가치를 배가하는 기술

○ (예시) 오감 체험형 게임/영상 등 융합형 콘텐츠 및 서비스 기술

(30)

- 20 -

⑤ ET기반 융합기술

○ 에너지와 환경기술이 타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 및 환경 산업/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기술 및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응용기술

○ (예시) 고효율 에너지 절약 혁신소재, 기후변화대응 청정기술 등

⑥ GT기반 융합기술

○ 환경 친화적으로 자원을 활용하고, IT·BT·NT 등 첨단기술과 해양의 융복합을 통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며, 새로운 시장창출이 가능한 국가 성장 동력원이 되는 기술. 해양에서 녹색 신성장동력을 발굴함으로써 경제위기를 돌파하고 중장기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

○ (예시) 통합기후변화 대응 및 예측시스템 기술, 북극해 자원 및 시장개발, 재생해양에너지 확보, 해저 광물자원 개발, 해양생명자원개발, 조력에너지 실용화, 조류에너지 실용화, 파력에너지 실용화, 바이오수소생산기술, 바이오에너지 자원화,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다기능 I-Port 기술, 이산화탄소 해중저장기술, 가상현실기반기술, 녹색 수산업, 녹색 연안 및 해양환경사업

⑦ ST기반 융합기술

○ 항공우주기술은 위성체, 발사체, 항공기 등의 개발과 관련된 복합기술로 전자, 반도체, 컴퓨터, 소재 등 관련 첨단기술을 요소로 하는 시스템 기술로 기술개발 결과가 타 분야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큰 종합기술

○ (예시) 통신 기상 지구탐사 위성설계 및 개발 등 우주개발을 위한 위성핵심 기술 개발, 로켓 추진기관 기술, 소형 위성발사체 기술 등 발사체 핵심기술, 스마트무인기, 다목적헬리콥터, 항공기체계 종합 및 행성능기반기술등차세대 항공기술

(31)

제 2 장 융합해양과학기술 전략방향

(32)
(33)

- 23 -

제 2 장 융합해양과학기술 전략방향

제 1 절 해양분야 R&D 사업 현황

□ 해양과학기술은 일반과학기술들을 그 목적에 따라 해양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개선되거나 새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다른 기술들이 융합 되어 해양과학기술은 그자체로 융합적인 특성이 강함.

□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기술과 기술사이의 장벽은 허물어지고 있으며 여러 기술들의 융합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임. 해 양과학기술들 또한 이러한 추세에 따라 융합을 통하여 다기능, 다목적, 고효율 의 기술들로 재탄생될 필요가 있음.

□ 융합해양과학기술을 정의하고 그 유형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에 개발 되었거나 개발되고 있는 해양 R&D 사업들을 살펴보고 융합을 통하여 보다 혁 신적인 융합해양과학기술들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들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음.

1. 해양 R&D 분류

□ 국토해양부에서 분류하고 있는 체계에 따르면 해양 분야는 7개의 단위 프로그 램으로 나눌 수 있음

○ 해양자원기술개발 프로그램

- 사업 분야: 해양광물자원탐사 및 이용, 해양에너지실용화, 해양수자원이용 ○ 해양생명공학 프로그램

- 사업 분야: 해양생물기반, 해양생물생산, 해양신소재개발 ○ 해양환경기술개발 프로그램

- 사업 분야: 해양환경보전․복원, 기후변화대응 ○ 해양안전기술개발 프로그램

(34)

- 24 -

- 사업 분야: 선박시설안전, 해양교통안전, 인적사고예방 ○ 항만물류기술개발 프로그램

- 사업 분야: 첨단항만, 해운․항만물류, 항만재해저감 ○ 기초해양과학조사 프로그램

- 사업 분야: 관측조사시스템, 지역해 조사, 전지구적 조사 ○ 해양연구 인프라구축 프로그램

- 사업 분야: 첨단선박, 해양구조물, 해양장비

2. 해양 R&D 사업별 투자계획(’08~’12)

(억 원)

구분  ’08 ’09 ’10 ’11 ’12 ’08~’12

해양자원이용

기술개발 127 220 233 349 454 1,383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 117 150 290 330 429 1,316

해양환경기술개발 137 170 317 354 407 1,385

해양안전기술개발 36 51 113 159 192 551

항만물류기술개발 143 77 184 289 319 1,012

기초해양과학조사 61 121 161 216 285 844

해양연구 인프라구축 565 822 863 906 952 4,108

기타 88 191 289 382 489 1448

합계

1,274 1,802 2,450 2,985 3,527 12,047

표 2. 해양 R&D 사업별 투자계획(’08~’12)

(35)

- 25 -

3. 해양 R&D 단위프로그램 내용

가. 해양자원이용기술개발 프로그램

□ 대양해저 광물자원, EEZ 광물자원 탐사․상용화 기반 구축

○ 독점개발광구 확보에 따른 실해역 탐사 및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집 광․채광․양광 기술 개발

○ 남서태평양 해저열수광상 및 도서국 EEZ 내의 해저광물자원 탐사기술개발 ○ EEZ 경계획정에 대비한 해양광물자원 정밀탐사 기술 개발

□ 해양청정자원의 다목적 이용 및 상용화 기술 개발

○ 해양심층수의 다단계이용을 위한 취수․공급시스템 구축 및 기능성 생수 등 심층수의 고도 이용기술개발

○ 해수로부터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해양용존자원 추출기술개발

□ 녹색성장을 견인하는 청정 해양에너지 실용화 기술 개발

○ 기후변화 협약의 적극적인 대안으로 친환경 조력 발전 시스템 기술 개발 및 환경영향 예측․저감 기술 개발

○ 환경 친화적인 발전방식의 조류 발전 시스템 최적화 기술 개발 및 조류 발 전 상용화 기반 구축

○ 국내 연안의 풍부한 청정재생 파력에너지 자원의 실용화․상용화ㆍ산업화 기반 기술 개발

○ 최근 각광받는 대체에너지원인 해양 바이오 에너지 및 해양 온도차 에너지 의 실용화 기술 개발

나.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 프로그램

□ 해양 생명 자원 분야 미래 유망 기술 선점 및 원천기술 조기 확보

○ 미활용 및 국내외 극한환경 해양생명체 확보 및 멸종 위기종 등이 복원․보 전 모니터링 기술 개발

(36)

- 26 -

○ 해양 생명 자원의 유전체 정보, 단백질 구조 분석 등을 통한 신기능 유전자 활용 기술 개발

○ 생체 정보 분석, 나노 바이오 소재 등 융․복합 원천성의 미래유망 신기술개 발

□ 풍부한 해양 생명 자원 활용 및 첨단 양산 기술 개발

○ 해양 생물의 배양․양산에 의한 우수품종 육성 및 대량종묘 생산 기술 개발 ○ 국내 해양양식관련 기술의 확보를 위해 해양 생물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질

병 제어 모니터링 및 안전성 확보 기술 개발

□ 녹색기술로서의 해양생명체 유래 차세대 신산업 기반 기술 구축

○ 국제협력을 통한 대사성질환, 감염성질환 치료용 해양천연물 신약 기술 개발 ○ 산업과 문화발전으로 생겨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기능 해양 생물

유래 바이오 기능소재 기술 개발

□ 해양 생명자원 보호 및 해양생태계 불안정 해소 기술 개발

○ 생물학적 요소 분류 및 해양 생태계 유지를 위한 생태 환경보전 기술 개발

□ 해양 생명자원 확보․종합관리 및 공동 활용 시스템 구현

○ 해양 생명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을 위한 해양 생명정보 자동분석 시스 템 및 정보망 구현

○ 해양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시설 확충 및 중앙관리시스템 구축

다. 해양환경기술개발 프로그램

□ 해양오염을 경제적,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사전예방 기술 및 사후처리 기 술 개발

○ 첨단 해양과학기술을 활용한 해양폐기물 및 선박기인 해양오염물질 관리시 스템 구축 기술 개발

○ 해양환경변화에 대한 관측․조사 및 중․장기 예측을 통한 해양 환경보전

(37)

- 27 -

기반 기술 개발

○ 해양생태계 교란생물, 해양생물 종다양성 및 해양생태계 유지․보존 등에 대 한 기술 개발

○ 해양 및 육상개발에 의한 해양환경 변화와 장거리 오염원 이동에 대한 조 사․관측 및 예측․평가 기술 개발

○ 해양생태계 기능의 회복 및 증진을 위한 기술 개발

□ 해양기인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안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방적 연안관리 및 복원 기반 기술 개발

○ 해조류 등을 이용한 온실가스의 친환경적인 저감 및 흡수처리 기술 개발 ○ 혹서, 태풍, 연안침식 등 장기간에 걸친 해양조사 자료 및 수집․분석․평가

를 통한 기후변화 관측․예측모델 개발

라. 해양안전기술개발 프로그램

□ 국내 안전기준 선진화 등을 위한 해양안전 기반 기술 개발

○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준에 대응하기 위해 IT 등을 접목한 해양안전 관련 기술 표준 개발

○ IMO GBS 개념을 기반으로 한 선박 및 탑재장비/시스템, 관련장비/시스템의 안정성, 신뢰성 확보 기술 개발

○ e-Navigation 개념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지능화된 항해장비/시스템 개발 ○ 구조/재료기술 등 해양안전공학 및 선박운항 정보통신 기술 개발

□ 해양 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해양안전 인프라 구축

○ 선박 및 해양시설, 탑재장비/시스템에 대한 시험평가시설 및 장비 구축 ○ 선박 및 해양시설, 탑재장비/시스템에 대한 시험평가 기법 개발

○ 종합 운항안정성평가 시뮬레이션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 새로운 기술에 대한 교육훈련 전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38)

- 28 -

□ 위해도 기반의 해양 종합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및 운영기술 확보

○ 태풍, 해일 등 자연재해에 대한 효율적 대응 및 피해최소화를 위한 해양안전 종합정보시스템 기술 개발

○ 선박, 항만시설 등에 대한 해상보안기술개발 및 연안 항해 선박의 안전성평 가/관리 기술 개발

○ 해양사고사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술기반의 원인분석 및 검증지원시스템 구축

마. 항만물류기술개발 프로그램

□ 컨테이너선의 초대형화, 고속화, 광폭화 대비 첨단항만 기술 개발 ○ 입출항 선박 자동제어 등 초대형 컨테이너선 대응 항만 기술 개발

○ 수중항만공사 기계화, 항만 리모델링 등 항만시설의 내구성 증진 및 수명연 장 기술 개발

□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고효율 저비용 하역시스템 관련 기술 개발 ○ 하역능력향상을 위한 차세대 고속 하역시스템 기술 개발

○ 최적의 하역장비 및 관련부품 제작과 설계기법, 통합항만 운영시스템 개발 ○ 고속 크레인 메커니즘 설계 등 차세대 이동, 장치장시스템 및 각 시스템 간

통합 기술 개발

□ 첨단 물류․항만기술의 선점을 위한 차세대 항만물류 시스템 구축

○ 영상․음성 등 인식기술과 IT기술이 접목된 미래형 첨단 항만물류 설비 기 술 개발

○ 차세대 항만․물류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통합 기술 개발

□ 국가 차원의 물류비 절감을 위한 해운물류 통합정보체계 구축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에 의한 물류관련 정보 통합시스템 구축과 e-Business 화 기술 개발

○ 항만물류시설의 운영효율화를 위한 자동화 및 물류관리 지능화 기술 개발

(39)

- 29 -

○ 해운물류산업의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신기술적용 표준화 기술 개발

□ 각종 자연재해 대비 항만의 안전성 및 운영 효율화 기술 개발 ○ 항만내 안전한 사회기반 조성을 위한 항만 공간 개선 기술 개발 ○ 연안/항만시설물의 해일피해 예측 및 지진응답계측시스템 개발

바. 기초해양과학조사 프로그램

□ 관할해역 조사를 통한 인접국간 해양경계획정 기초 자료 확보

○ 물리, 화학, 생물, 지형, 수리, 기후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계를 위한 원천 기술 개발

○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지질, 환경, 해류 등의 특성 규명 연구

□ 해양영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해양관측 인프라 구축

○ 주변해역의 과학적 조사능력 확보 및 체계적인 과학조사를 위한 종합해양과 학기지 구축

○ 해양관측정보의 실시간 이용 및 제공을 위한 인공위성 등을 이용한 관측 및 예보시스템 구축

○ 지역별․대상별 해양과학기초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의 관리와 활용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운영

□ 미래자원 확보를 위한 전지구적 해양조사 추진

○ 남, 북극 등 극지자원의 확보를 위한 탐사 및 특성 조사 연구

○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지구환경변화 규명 등 국제협력을 통한 대양연구 및 해양․지구과학분야의 핵심 기술 확보

사. 해양연구인프라구축 프로그램

□ 해양탐사장비 및 해양레저장비 등 해양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활용하기 위 한 핵심 장비 개발

(40)

- 30 -

○ 결빙해역 등 전천후 해양연구 수행을 위한 첨단 선박건조 기술 개발 ○ 해양레저 장비 시장 선점을 위한 크루저급 요트 제작 기술 개발 ○ 기술 수출 등을 위한 선박의 고속화 및 자동화 기술 개발

□ 석유, 가스 등 해양자원의 생산을 위한 해양구조물 기술 개발

○ 시뮬레이션 기반 수심 2,000m급 해양자원 생산용 해양 구조물 기술 개발 ○ 해양환경의 장기 연속 모니터링이 가능한 해상․해중 인프라 구축 기술 개

○ 해양구조물의 부식, 장기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기술 개발

□ 미래해양산업창출을 위한 해양장비 선진화 기술 개발

○ 해양연구의 무인화․자동화를 위한 장기 연속적 해양관측장비시스템 기술 개발

○ 해저 정밀탐사를 위한 초음파 위치추적시스템, 수중음향탐지기술 등 국산화 기술 개발

(41)

- 31 -

해양자원이용기술개발 프로그램

분야 전략프로

젝트 중점과제 IT BT ET NT ST CT GT

해양 광물 자원

대양해저 광물자원

심해저 망간단괴 실용화 기술 개발 ○ ○ 해저 열수광상 상용화 기반구축 기술개발 ○ ○ ○

망간각 실용화 기반구축 기술개발 ○ ○

EEZ해양 광물자원

해저지형 및 지질 정밀탐사기술

3D 해저영상 및 운용기술 ○ ○

해저광물특성 분석기술

유용금속 회수기술

극지광물 자원

극지 탄화수소 탐사기술

극한해역 열수개발기술

극지 가스 하이드레이트 탐사기술 해양

수자

해양

심층수 해양심층수 다목적 이용기술

해양용존 자원

해수중 유용광물 추출기술 ○ ○ ○

해수용존 산업소재 이용기술 개발 ○ ○

해양 에너 지자

조력 에너지

인천만 조력에너지 실용화 기술개발 천수만, 새만금(해주만) 조력에너지 실용화

기술개발

에너지조류

울돌목 1MW 착저식 시험조류발전 실용화

기술개발

부유식 시험조류발전 실용화 기술개발 파력

에너지

천해역/착저식 파력발전 시스템 개발 심해역/부유식 파력발전 시스템 개발

파력-해상풍력 복합이용기술 개발

복합이용 시스템

해상풍력․파력․태양광 발전 연계운용

기술

해양에너지 복합발전 단지화 기술

해수열 이용

대용량 극한 열회수 및 변환기술 고효율 장거리 에너지 수송/저장 기술

열공급 및 복합 열이용 기술

해양바이 오에너지

기능성 거대조류 선별 육종 및 재배기술 ○ ○ 기능성 미세조류 선별 및 대량 배양기술 ○ ○ 해조류 이용 바이오에너지 추출 및 생산

기술 ○ ○

해양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 ○ ○

4. 해양 R&D 분류기술과 융합기술과의 관련성

가. 해양자원이용기술개발 프로그램 표 3. 해양자원이용기술개발 프로그램

(42)

- 32 -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 프로그램

분야 전략프로

젝트 중점과제 IT BT ET NT ST CT GT

해양생물 기반 기술

해양생명 자원확보 및활용기 반기술

해양생명자원 확보, 관리 및 활용기반기술 ○ ○

해양생물체 배양 및 양식기반기술

해양생명자원 정보화기술 ○ ○

해양생물 유전자 자원의 고속발굴기술 ○ ○ ○ ○ 해양생물

유전자 활용기술

해양생물 유용유전자 발현시스템 구축기술 ○ ○ ○ ○ 해양생물 핵심유전자의 기능분석기술 ○ ○ ○ ○ 해양생물 유용유전자 발현산물 이용기술 ○ ○ 해양생물

체 오믹스 활용기술

해양생물 당체분석 및 활용기술 ○ ○ ○ ○ 해양생물 단백체 분석 및 활용기술 ○ ○ ○ ○ 해양생물 대사체 분석 및 활용기술 ○ ○ ○ ○ 해양생물

메커니즘 규명기술

생체반응기전 규명기술 ○ ○ ○ ○

해양생물 생리활성물질 탐색기술 ○ ○ ○ ○ 이차대사물질 생태적 기능규명기술 ○ ○ ○ ○

해양 생물 생산기술

해양생물 신품종 개발기술

해양생물 분자육종기술 ○ ○

해양생물 형질전환 신품종 생산기술 ○ ○ 해양생물

질병 제어 모니터링

기술

해양생물 질병 진단 및 제어기술 ○ ○ ○ ○

해양생물 질병 예방기술

해양생명 자원 대량생산

기술

신기능성 배합사료 개발기술

해양생물 종묘 생산기술

친환경 첨단 생태양식기술

해양 신소 재개 발기

해양신의 약 소재 개발기술

해양생물 신약 약물표적 발굴기술 ○ ○ 해양생물 신약 선도물질 탐색 및 발굴기술 ○ ○ ○ ○ 해양생물 신약 후보물질 탐색 및 발굴기술 ○ ○ ○ ○

해양생물 신약 실용화기술

생체기능 조절물질 개발기술

해양미생물 가공기술 ○ ○

해양미세조류 가공기술 ○ ○

해양식물 가공기술

해양동물 가공기술

산업용 신소재 개발기술

해양신소재 탐색 및 분리기술 ○ ○

해양신소재 대량생산 기술 ○ ○

해양바이오에너지소재 개발기술 ○ ○

나.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 프로그램 표 4.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 프로그램

(43)

- 33 -

해양환경기술개발 프로그램

분야 전략프로

젝트 중점과제 IT BT ET NT ST CT GT

해양 환경 보전, 복원

연안청정

육상/해상기인 오염원제어기술개발 오염물질 재생/재활용 기반기술개발 연안오염지역 복원/관리 기술개발

연안환경관리 통합시스템 개발

국제해양환경오염규제 대응기술개발

해양오염 조기경보 기술개발시스템

연안오염 모니터링/오염판정분석기술 및

지수개발

해양환경 실시간 모의 및 예측 기술개발 오염조기경보 시스템 및 대응 기술개발 해역별 해수유동-수질,생태계 모델

접합기술 개발

해양환경 위해성평

오염물질 감식 및 추적기술개발

오염원 및 오염유입경로 평가기술개발 유해물질의 다매체 거동 평가 및

예측기술개발

해양생물 독성 유전/단백체 기술개발 생태계위해성평가 및 위해요소

관리기술개발

해양생태 계복원․

관리

해양생태계 진단 및 평가

해양서식생물 조절 및 제어

해양생태 서식지 조성

해양생태계계 유지 및 관리

기후변화 대응

온실가스 저장 및

저감

CO2수송 및 주입/저장기술개발 CO2저장 안정성 및 환경위해성평가 해조류 활용 CO2 흡수원 상용화 수송분야 온실가스 배출 저감기술 개발

기후변화 관측

대기-해양간 기후인자 상호작용 관측 한반도 주변 장기 해수 순환 변화 관측

장기 연안 물리구조 변동 조사

해수면 상승 정밀 감시 및 예측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생물 다양성 및

생산력 변화 평가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생태 변화 요인

평가 및 모델 개발

해수 산성화에 따른 생태계영향 평가 기후변화

예측

국가 표준 해양 시나리오 생산 극한 해양 기상 시나리오 생산 기후변화 해양-대기 접합모델 개발 연안재해

대응기술 개발

연안재해 예측기술개발

연안재해 대응기술개발

다. 해양환경기술개발 프로그램 표 5. 해양환경기술개발 프로그램

Gambar

그림  1.  정보시대에서  융합시대로의  변화
그림  2.  산업  및  서비스의  활용목적별  분류
표  10.  중점  융합해양과학기술의  7T와의  관련성
그림  9.  울릉도-독도  주변해역도
+7

Referensi

Dokumen terkait

국내외 동향 분석 ① 기술동향 분석 요약 강점 약점 Ÿ 기존 ‘중남미지역과의 협력사업’으로 중남미 지역 해양과학기술 협력 인적 네트워크 구축 Ÿ 페루생산부 및 페루해양연구소IMARPE가 중남미 지역 중심교섭점으로서 적극적 협력 의지 피력 Ÿ 풍부한 해양생물광물 자원 개발, 기후변화 연구, 환 경문제 해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