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의학석사 학위논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의학석사 학위논문"

Copied!
53
0
0

Teks penuh

다양한 내이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촬영(HRCT)과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청력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기형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협조가 어려운 소아환자의 경우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두 검사 모두 전신마취 하에 시행하는 것이 강력히 권장되며, 골미로의 변화와 발달정도를 평가하는데 적합하다. 그 이후 여러 보고에서 CI는 내배엽 환자에서도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MRI 프로토콜 및 직경, 단면적 측정

본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임상연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 진행됐다.

말지각검사

문장수준의 시험은 문장지각검사와 문장이해검사로 나눌 수 있다. 문장지각검사는 주로 반복응답형을 사용하며, 피험자에게 들은 문장을 반복하도록 하여 검사를 진행합니다.

Fig. 1. 3D DRIVE (3D-driven equilibrium sequence) parasagittal reformatted  image  along  the  axis  of  the  IAC
Fig. 1. 3D DRIVE (3D-driven equilibrium sequence) parasagittal reformatted image along the axis of the IAC

통계분석

시험관은 무작위로 10개의 단어를 한 번씩만 제시하고 피험자는 해당 단어에 따라 말하거나 받아쓰기하여 응답하고 단어의 정확성과 음소 수준을 평가합니다. 반면, 문장 독해 시험은 문장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에 동작이나 단어로 답하거나, 문장이나 단락을 다시 말하거나 요약하는 등의 응답 방식을 검사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테스트인 문장 인지 테스트(ASAN-Everyday Sentence Perception Test)의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2~6 단어로 구성된 10개의 질문을 통해 각 단어의 조사 및 결말을 포함합니다. . 평가하다

말소리 인지를 포함한 청각 수행 능력을 척도로 평가하는 검사로 CAP(Categories of Auditory Performance)가 있으며, 어린이 청각 발달의 중요 단계를 발달 계층에 따라 8개 범주로 나누어 환경음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범주 0). ) 거의 모든 수준의 청각 능력으로 전화(범주 7)로 말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 추적기간 내 이들 지표의 최종 결과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어음지각검사 결과의 차이는 변수에 따른 T-test 또는 Mann 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고, 이변량 상관분석을 통해 달팽이관신경측정지수와 어음지각검사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대상 환자의 특성 및 분류

와우신경 및 안면신경의 직경, 단면적 측정

정상귀와 와우전정귀의 긴 직경, 짧은 직경, 와우신경 단면적, 와우신경 대 안면신경 비율 비교. CN은 달팽이관 신경을 나타냅니다. LD, 긴 직경; SD, 짧은 직경; CSA, 단면적; FN, 안면 신경. mm2의 차이. 불완전분절 1형 귀에서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는 측정값이 없었고, 불완전분절 2형 귀에서는 달팽이관 신경의 직경과 단면적이 정상군에 비해 현저히 작았습니다. 군에서는 안면신경과 안면신경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율로 보아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정기형만 있는 귀에서는 와우신경의 직경, 짧은 직경, 단면적이 정상군과 다르지만, 와우신경과 안면신경의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 .

Table 1A. Clinical characteristics of 64 patients with and without  cochleovestibular anomalies
Table 1A. Clinical characteristics of 64 patients with and without cochleovestibular anomalies

언어지각검사

Comparison of long diameter, short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chlear nerve between normal and cochleovestibular abnormalities. Comparison of the long diameter, short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chlear nerve with the facial nerve between normal and cochleovestibular abnormalities. CN indicates the cochlear nerve; FN, facial nerve; LD, long diameter; SD, short diameter; CSA, cross-sectional area.

Comparison of long diameter, short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cochlear nerve among cochleovestibular anomalies. CN indicates cochlear nerve; LD, long diameter; SD, short diameter; CSA, cross-sectional area; IP, incomplete partition. Comparison of long diameter, short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cochlear nerve with facial nerve among cochleovestibular anomalies.

Fig. 2A. Comparison  of  long  diameter,  short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cochlear nerve between normal and cochleovestibular anomalies
Fig. 2A. Comparison of long diameter, short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of cochlear nerve between normal and cochleovestibular anomalies

상관분석

내부의 이상이 있어도 차이가 없는 것이 달팽이관 신경이었습니다. 반면, 정상군에서는 와우신경 측정값과 어음인지검사 결과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팽이관 신경의 측정은 자체 직경과 단면적을 사용할 수 있지만 내이도를 따라 이동하는 안면 신경을 기반으로 한 상대 비율과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은 달팽이관 신경은 연령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변화를 보였지만, 안면 신경은 특정 연령에서 변화를 보였다는 이전 보고의 결과와 일치한다. Kang 등31)은 본 연구와 같이 36개월 미만의 소아를 MRI에서 달팽이관 신경 결손 유무에 따라 분류한 개방형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따라서, 달팽이관 신경이 덜 발달되어 이점을 보인다면, 달팽이관 신경 섬유가 내이도의 다른 신경과 함께 이동한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난청 아동을 내부기형에 따라 분류하고, 와우신경의 직경과 단면적, 안면신경의 비율을 검증하여 이러한 지표와 임상 C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와우신경 평가에서는 안면신경과의 상대적인 관계보다는 절대적인 자가측정이 CI 수행능력과 강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 5.  Comparison  of  speech  perception  test  between  cochleovestibular  anomalies
Fig. 5. Comparison of speech perception test between cochleovestibular anomalies

Gambar

Fig. 1. 3D DRIVE (3D-driven equilibrium sequence) parasagittal reformatted  image  along  the  axis  of  the  IAC
Table 1A. Clinical characteristics of 64 patients with and without  cochleovestibular anomalies
Table  1B.  Classification of  128 ears  of  64  patients  with  and  without  cochleovestibular anomalies
Table 2. Comparison of long diameter, short diameter, cross-sectional area  of cochlear nerve and the ratio of cochlear nerve to facial nerve between  normal and cochleovestibular ears
+7

Referensi

Garis besar

Dokumen terkait

Dengan diterimanya hipotesis alternatif dalam keputusan hasil analisis data yang telah digunakan dapat dilihat dari rentang nilai pada coefficient bootstrap batas nilai upper -0,125 d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