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일본의 직업훈련기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일본의 직업훈련기준"

Copied!
7
0
0

Teks penuh

(1)

일본의 직업훈련기준

일본에서는 급속한 산업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기업 제품 등의 고부가가치화 와 신분야로의 전개가 필요해짐에 따라 이를 담당할 수 있는 고도의 지식․기 능․기술이나 기획․개발능력,응용능력 등을 갖추고 있는 인재의 육성이 급 선무가 되고 있다.근로자 개인에게 의존하는 요소가 높은 직업능력의 개발 및 향상을 촉진하기 위하여 일본에서는 개인 주도에 의한 직업훈련 추진에 역 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직업훈련의 실시에서 시행의 지침이 되는 것이 바로 직업훈련기준이 라고 할 수 있다.직업훈련기준1)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실시를 위하여 직종별 훈련 목표,교과내용 및 시설․장비,교사 등에 대해 정 해 놓은 일반적인 기준을 말한다.여기서는 우리 나라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우리 나라의 직업훈련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 일본의 직업훈련과정 및 직업훈련기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 직업훈련과정의 개요

일본은 1991년까지 현재 우리 나라의 직업훈련과정과 같이 양성,향상,재훈 련으로 구분하여 각각 수준 및 기간에 따라 세분하여 과정을 운영하여 왔다.

그러나 1992년 이후 근로자 및 산업계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며 변화에 유연 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목표로 하는 기능 및 지식의 ‘정도’와 이의 습득에 필요한 ‘기간’에 따라 훈련 유형을 「보통직 업훈련」 및 「고도직업훈련」으로 구분하였다.더욱이 이들의 훈련을 각각

‘장기간’과 ‘단기간’의 두 가지 훈련과정으로 나누어 그 과정마다 직업훈련 수 준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하여 훈련기준을 노동성령(勞働省令)및 노동성령의 별표에서 정하고 있다.

1999년에 개정된 일본의 직업능력개발촉진법 제19조에서는 직업훈련기준이

1)우리 나라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상의 용어는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이며,이 글에 서는 직업훈련기준”또는 훈련기준”으로 약칭하였음.

(2)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日本勞働硏究機構,1999).

『해당 직업훈련의 훈련과정별로 교과,훈련시간,설비 등 기타 사항은 노동 성령(勞働省令)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보통직업훈련 또는 고도직업훈련을 실시한다.전항의 직업훈련과정의 구분은 노동성령으로 정한다.』

<표 1>일본 직업훈련과정의 유형

직업훈련 유형 장기간의 훈련 과정 단기간의 훈련 과정

보통직업훈련 보통과정 단기 과정

고도직업훈련 전문과정 전문 단기 과정

응용과정 응용 단기 과정 자료:직업훈련기준(2001).후생노동성 내부 자료.동경:후생노동성.

위의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보통직업훈련은 장기간의 훈련과정인 ‘보 통과정'과 단기간의 훈련과정인 ’단기 과정'으로 구분된다.그리고 고도직업훈 련은 장기간의 훈련과정인 ‘전문과정’및 ‘응용과정'과 단기간의 훈련과정인 ’ 전문 단기 과정'및 ’응용 단기 과정'으로 분류된다.

각 직업훈련과정에 따른 훈련 대상자 및 과정개요와 훈련기간 및 훈련시간 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일본 직업훈련과정의 내용

(3)

훈련 종류

훈련

과정 훈련 대상자 및 개요 훈련기간 및 훈련시간

보통 직업 훈련

보통 과정

고등학교 졸업자,중학교 졸업자 또는 동등 이 상의 학력을 갖춘 자를 대상으로,장래에 다양 한 기능․지식을 갖춘 근로자가 되는데 필요 한 기초적인 기능․지식을 습득시키기 위한 장기간의 과정

∙고졸자 1년:총 시간 1,400시간 이상

∙중졸자 2년:총 시간 2,800시간 이상

∙연간 1,400시간

단기 과정

직업에 필요한 기능(고도의 기능 제외)․지식 을 습득하려고 하는 자(예를 들면 재직 근로 자,고령자,파트타임노동을 희망하는 자,이직 자,전직자,기능검정 수험을 목적으로 하는 자 등)에 대해 직업에 필요한 기능(고도의 기 능 제외)․지식을 습득시키기 위한 단기간의 과정

∙6개월 이하

∙총시간 12시간 이상 (단,관리감독자 코스 는 10시간 이상)

고도 직업 훈련

전문 과정

신규 고등학교 졸업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갖춘 것이 인정되는 자를 대상으로,장 래 직업에 필요한 고도의 기능․지식을 갖춘 근로자가 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기능․지식 을 습득시키기 위한 장기간의 과정

∙고졸자 2년:총 시간 2,800시간 이상

∙연간 1,400시간

응용 과정

전문과정 수료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기능 및 지식을 갖춘 것이 인정되는 자를 대상으로, 장래 직업에 필요한 고도의 전문적이고 응용 적인 기능․지식을 갖춘 근로자가 되는데 필 요한 기초적인 기능․지식을 습득시키기 위한 장기간의 과정

∙전문과정 수료자 등2년:

총시간2,800시간 이상

∙연간 1,400시간

전문 단기 과정

재직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직업에 필요한 고 도의 기능․지식을 습득시키기 위한 단기간의 과정

∙6개월 이하

∙총시간 12시간 이상 응용

단기 과정

재직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직업에 필요한 고 도의 전문적이고 응용적인 기능․지식을 습득 시키기 위한 단기간의 과정

∙1년 이하

∙총 시간 60시간 이상 자료:労働省職業能力開発局(1998).職業訓練における 指導の理論と実際.財団法人 職業

訓練教材研究会.p.258.

(4)

2 . 직업훈련기준의 특징

일본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업훈련기준의 특징은 크게 네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훈련계․전공과」제의 실시

일본은 산업구조의 변화와 기능의 고도화․복합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 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훈련과정(보통과정․전문과정․응용과 정)에 대해서 ‘훈련계․전공과’제를 도입하였다.즉,훈련생이 직종간에 공통적 으로 적용 가능한 폭넓은 기능․지식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계(系)기초’

와,기술혁신에 의해 고도화․다양화되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전공과(科)’로 된 ‘훈련계․전공과’제를 운영 하고 있다.

② 최저한의 교과목 및 훈련시간의 설정

훈련기법의 개발,진보 등으로 효율적인 직업훈련의 실시가 가능해지고,훈 련생이 스스로 학습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해짐에 따라 장기간의 훈 련과정에 한하여 훈련시간이 종래의 연간 1,600시간에서 1,400시간으로 단축되 었다.필요한 기능․지식 위주로 최소한의 교과에 대해서 연간 1400시간 중 800시간 ~ 1000시간 정도만을 규정으로 정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 였다.그리고 나머지 400시간 ~ 600시간에 대해서는 개별 직업훈련시설에서 지역적 요구 등을 반영하여 적절한 교육과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이 는 근로자와 산업계의 직업능력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훈련 교과목 에서는 훈련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사항만을 규정하고,그 이외의 부 분은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③ 유연하고 다양한 단기 직업훈련과정의 운영

(5)

보통직업훈련의 단기과정은 유연하고 다양한 직업훈련의 실시를 위하여 재 직 근로자,고령자,파트타임 근로를 희망하는 자,이․전직자,기능검정의 수 험을 목적으로 하는 자,1년의 훈련기간에 훈련을 희망하는 중학교 졸업자 등 의 다양한 사람이 훈련 대상자가 되며,이러한 대상자를 충분히 고려하여 훈 련과정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도직업훈련의 전문단기과정 및 응용단기과정은 직업에 필요한 고 도의 전문적이고 응용적인 기능․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자를 훈련 대상으로 하며,개별 직업훈련시설에서 지역의 요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육과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④ 사회적․지역적 요구를 반영한 직업훈련기준의 운용

일본에서는 근로자와 산업계의 직업능력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지 역적 요구를 반영하여 직업훈련기준을 운용하고 있다.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훈련 교과목에서는 훈련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사항만을 규정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사실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이와 아울러 단기 훈련과정에서도 개별 직업훈련시설이 기술 향상 및 지역적 요구 측면에서 최근의 다양성을 반영하 여 다양한 과정을 융통성 있게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 . 시사점

지금까지 살펴본 일본의 직업훈련기준을 통해 우리 나라의 직업훈련기준 운 용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앞의 직업훈련과정에서 제시하였듯이 일본의 직업훈련기준에서는 각 훈련과정별 훈련기준에 훈련 대상자의 자격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우 리 나라의 경우에도 훈련생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훈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해서 직종별 훈련 대상자에게 요구되는 최소한의 자격 기준을 설정하는 방안 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일본에서 직종간에 공통적이고 기초적인 기능․지식과 전문적인 기

(6)

능․지식을 부여하기 위해 마련된 ‘훈련계․전공과’제의 도입은 산업구조의 변 화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즉,산업구조의 변화 등에 의해 근로자가 갖추어야 하는 기능의 고도화 및 복합화가 요구됨에 따라 이러 한 요구에 적절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의 실시가 필요했던 것이다.특히 장기간의 훈련과정에 한하여 이 제도를 도입한 것은 단기 과정 이 전문성 함양에 주안점을 두는 만큼 해당 분야의 전문 기능과 지식에 중점 을 두어야 하므로 직종간에 공통적인 내용까지 포괄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 나라의 훈련기준에도 교과내용이 공통교과와 전공교과로 나누어져 있 기는 하지만 훈련 기간에 따라 교과 내용의 구성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 라 기간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제시되어 있다.이같은 상황에서 일본의 경우 와 같이 훈련의 기간에 따라 교과내용을 달리 설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일본에서 훈련시간을 종래의 연간 1,600시간에서 1,400시간으로 단축 하고 최저한의 교과목 및 훈련시간을 설정한 배경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산업계에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기능과 지식이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시간적으로 고정된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자유 재량의 여지를 둔 것 은 지역 사회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수업을 받는 시간 뿐만 아니라 훈련생 스스로 학습하는 시간을 확보하여 학습한 내용을 반복하는 일도 중요하다.

넷째,일본이 경제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별 직 업훈련시설에서 융통적으로 교육과정을 설정하도록 한 것은 그 의의가 크다.

우리 나라에서도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놓았 지만,훈련내용이 직종에 따라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어 훈련기관별로 적정 내용을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우리 나라의 직업훈련기준도 실시 기관이 위치한 지역사회 및 훈련생의 요구 를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탄력성과 유연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7)

직업훈련기준(2001).후생노동성 내부 자료.동경:후생노동성.

日本勞働硏究機構(1999).勞働關係法規集,東京:日本勞働硏究機構.

労働省職業能力開発局(1998).職業訓練における指導の理論と実際.財団法人 職 業訓練教材研究会.

Referensi

Dokumen terkait

그러나 마거릿 생어의 산아제한론의 사상적 영향력 이외에도 도시 소가정의 확산과 가족 기능의 변화 여성 교육의 보급에 따른 직업여, 성의 증가 자유주의와 개인주의 확산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출산에 대한 사회적 태도도 점차 변화하기 시작하였다.1920년대 혼인 과 가정문제에 관한 다양한 설문조사 속에서 일정한 교육을 받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