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Copied!
117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중국 2011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년 월

2020 8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주 가 월

(3)

중국 2011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지도교수 이 민 정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2020 6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주 가 월

주가월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년 월

2020 6

위 원 장

김 규 동 ( ) 인

부위원장 이 수 진 ( ) 인

위 원 이 민 정 ( ) 인

(4)

국문초록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중국 호남문예출판사 가 출판한

(湖南文藝出版社)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세 가지 교과서 중 유일 하게 지역 출판사가 출판한 교과서로 독특한 지역적 민족특징을 가진다.

먼저 본 논문은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을 고찰하고 호남문예출판

2011

사가 출판한 중학교 총 권의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그의 외형체제와 내용6 체제를 살펴보고 영역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첫째 외형체제의 분석결과 권 음악교과서는 쪽으로 구성되었고 학기

, , 6 64

별 교과서의 겉표지 그림은 중국 소수민족의 자연풍경을 사용하여 민족특징 이 보인다.

둘째 내용체제의 분석결과 권의 음악교과서는 악보 가사와 삽화를 결

, , 6 ,

합하여 수업의 중심인 정규단원과 보충단원으로 구성된다 정규단원은 음악. 본체적 표제단원과 인문적 표제단원으로 구분되는데 음악본체적 표제단원은 감상수업을 중심으로 음악장르를 학습하며 인문적 표제단원은 가창수업을 , 중심으로 애국 청춘 등 감정을 표현하는 노래를 위주로 학습한다 교과서의 , . 학습활동은 감상을 중심으로 가창 음악지식 활동과 연습의 네 가지로 구성, , 된다.

셋째 구체적인 내용분석은 교육과정에 따라

, 감상 표현 창작 생활화의 , , ,

네 가지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감상영역에 교과서에는 개 국가의 곡의 감상곡이 포함되며 중국민

23 114 ,

족기악곡과 서양고전음악을 중심으로 감상학습을 진행한다 표현영역에 가. 창 연주 종합예술표현 악보읽기의 네 가지 내용이 포함되는데 가창에 교, , , 과서에서 13개 국가의 51곡의 가창곡이 포함되며 중국 음악작품을 위주로 , 민요와 애국적 노래를 중심으로 가창학습을 하며, 4/4박자와 장조의 악곡C

(5)

이 가장 많이 나왔다 연주에 리코더와 북을 활용하여 연주활동을 진행한다. . 종합예술표현에 서양동화와 중국역사에 관한 뮤지컬 활동을 하며 악보읽기, 는 악보에 대한 기본지식을 소개하고 시창연습을 한다 창작영역에 교과서. 에서는 가지 작곡법을 제시하는데 이 중에 가지 작곡법은 교과서의 민족4 3 주제와 어울려 창작영역의 중심이 된다 생활화영역에 교과서는 미술 과학. , , 문학 체육 역사 등 타 교과와 결합하여 학년에서 가장 많이 다룬다, , 8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서양음악의 감상적 학습에서 고전시기 이전의 음악을 수록하지 않 ,

았다 이를 추가시켜야 한다. .

둘째 교과서의 악곡에 대한 배경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고 장 단조

, ,

가 구별되어 표기되지 않았다 음악수업이 더 전문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 기 위해 이 점을 개선하여야 한다.

셋째

, 감상영역의 비중이 가창영역의 두배로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 서 내용영역의 비율이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리코더와 북 외에 다양한 악기로 이루어지는 음악수업이 바람직하 ,

다.

주요어 : 중국 음악과 교육과정 중국 중학교 음악교과서 호남문예출판사, , , 음악교과서 내용체제분석 음악교과서 영역별 분석,

학 번 : 2018-22594

(6)

목 차

서론 .

Ⅰ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3. ··· 3 선행연구

4. ··· 4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 2011

Ⅱ ··· 9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발전배경

1. 2011 ··· 9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2. 2011 ··· 10

서론

1) ··· 10 목표

2) ··· 16 내용

3) ··· 19 실시건의

4) ··· 20

중국 호남문예출판사 본의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

Ⅲ ·· 24

교과서의 외형체제

1. ··· 24

편찬현황

1) ··· 24 편집방법

2) ··· 25

(7)

교과서의 내용체제

2. ··· 28

단원구성 1) ··· 28

학습활동구성 2) ··· 39

삽화구성 3) ··· 40

영역별에 따른 내용분석 3. ··· 42

1) 감상영역 ··· 43

표현영역 2) ··· 58

창작영역 3) ··· 80

생활화영역 4) ··· 87

결과 . Ⅳ ··· 92

결론 . Ⅴ ··· 95

참고문헌 ··· 98

부록 ··· 101

ABSTRACT ··· 104

(8)

표 목 차

표 중국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과 관련된 연구

< Ⅰ-1> ··· 5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 Ⅱ-1> 2011 총 목표 ··· 17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영역

< Ⅱ-2> 2011 ··· 19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구조

< Ⅱ-3> 2011 ··· 23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편찬현황

< Ⅲ-1> 湘 ··· 25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편집방법

< Ⅲ-2> 湘 ··· 25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 단원구성

< Ⅲ-3> 湘 7-1 ··· 30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 단원구성

< Ⅲ-4> 湘 7-2 ··· 31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 단원구성

< Ⅲ-5> 湘 8-1 ··· 32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 단원구성

< Ⅲ-6> 湘 8-2 ··· 33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 단원구성

< Ⅲ-7> 湘 9-1 ··· 34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 단원구성

< Ⅲ-8> 湘 9-2 ··· 35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음악본체적 표제단원 분석

< Ⅲ-9> 湘 ··· 36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학습활동 구성

< Ⅲ-10> 湘 ··· 39 표 중국민족기악곡을 학습하는 팔음화명 단원 내 감상곡

< Ⅲ-11>

‘ ’

··· 44

표 중국민요를 학습하는 흙의 노래 단원 내 감상곡

< Ⅲ-12>

‘ ’

··· 46 표 서양고전음악을 학습하는 칠색관현 단원 내 감상곡

< Ⅲ-13>

‘ ’

··· 47 표 중국근대기악곡을 학습하는 화하악장 단원 내 감상곡

< Ⅲ-14>

‘ ’

··· 48

표 중국희곡을 학습하는 이원백화 단원 내 감상곡

< Ⅲ-15>

‘ ’

··· 49
(9)

표 오페라를 학습하는 오페라감상 단원 내 감상곡

< Ⅲ-16>

‘ ’

··· 50 표 세계민요를 학습하는 세계민족소리 단원 내 감상곡

< Ⅲ-17>

‘ ’

··· 51 표 인문적 표제단원 내의 감상곡

< Ⅲ-18> ··· 52 표 감상곡 장르별 분석표

< Ⅲ-19> ··· 56 표 감상곡 국가별 분석표

< Ⅲ-20> ··· 57 표 중국민요를 학습하는 흙의 노래 단원 내 가창곡

< Ⅲ-21>

‘ ’

··· 59 표 중국희곡을 학습하는 이원백화 단원 내 가창곡

< Ⅲ-22>

‘ ’

··· 60 표

< Ⅲ-23> 세계민요를 학습하는 세계민족소리 단원 내 가창곡

‘ ’

··· 61 표 인문적 표제단원 내의 가창곡

< Ⅲ-24> ··· 63 표 가창곡 장르별 분석표

< Ⅲ-25> ··· 66 표 가창곡 국가별 분석표

< Ⅲ-26> ··· 67 표 가창곡 박자별 분석표

< Ⅲ-27> ··· 68 표 가창곡 조성별 분석표

< Ⅲ-28> ··· 68 표 연주영역 학년 내용

< Ⅲ-29> 7 ··· 70 표 연주영역 학년 내용

< Ⅲ-30> 8 ··· 71 표 연주영역 학년 내용

< Ⅲ-31> 9 ··· 72 표 종합예술표현영역 내용

< Ⅲ-32> ··· 74 표 악보읽기 학년 내용

< Ⅲ-33> 7 ··· 77 표 악보읽기 학년 내용

< Ⅲ-34> 8 ··· 78 표 악보읽기 학년 내용

< Ⅲ-35> 9 ··· 79 표 창작영역 학년 내용

< Ⅲ-36> 7 ··· 81 표 창작영역 학년 내용

< Ⅲ-37> 8 ··· 82

(10)

표 창작영역 학년 내용

< Ⅲ-38> 9 ··· 83 표 생활화영역 학년 내용

< Ⅲ-39> 7 ··· 87 표 생활화영역 학년 내용

< Ⅲ-40> 8 ··· 89 표 생활화영역 학년 내용

< Ⅲ-41> 9 ··· 90

그 림 목 차

그림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겉표지 양식

< Ⅲ-1> 湘 ··· 26 그림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내용순서

< Ⅲ-2> 湘 ··· 27 그림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학습활동 비율

< Ⅲ-3> 湘 ··· 40 그림 중국민요의 작곡방식인 끝과 시작의 연결

< Ⅲ-4>

‘ ’

··· 84 그림 중국민요의 작곡방식인 같은 시작 다른 끝

< Ⅲ-5>

,

··· 85 그림 중국민요의 작곡방식인 다른 시작 같은 끝

< Ⅲ-6>

,

··· 86
(11)

서 .

Ⅰ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중학교 학생들은 논리적 사고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자신과 주위환경

에 대한 견해가 달라지면서 표현방식이 다양하게 변화한다 에릭 에릭슨. (Erik Homburger Erikson)1)의 정체성 위기 에 따르면 청소년 시기는 자아

‘ ’

동일성이 발전되는 시기로서 과거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자아가 통합되, 고 일치성을 만드는 시기이다 또한 이 시기는 자아의식. 이 발전되는 전환기 로서 사물에 대한 인지가 자신의 관점으로 자기중심을 위주로 형성되고 자, 신의 사고방식 외모와 행위를 매우 중요시여기는 시기이다, (Wang Xijuan, 2007: 278). 음악교육은 이 시기의 학생들에게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며 가, 치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생들의 내면을 풍부하게 한다 음악. 교과서는 음악교육이 구성된 중요한 부분으로서 학습목표 학습이념 학습내, , 용 등이 포함되며 국가의 음악교육이념 각 민족의 음악문화 각 시기의 음, , , 악특징이 나타난다.

중국은 오래된 역사 속에서 56개의 민족들이 각 민족의 개성을 융합하며, 풍부한 문화를 만들어 왔다 따라서 . 중국의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2)

민족음악을 선양하며 다문화적 음악을 이해한다

, (弘扬民族音乐 理解音乐,

라는 이념을 제시하여 중국민족음악과 타 민족 타 국가 타

)” , ,

文化多样性

1) 에릭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1902.6.15~1994.5.12. 독일 정신분석학자 심리. 사회발전이론 으로 알려져 있고 또 정체성 위기’ ‘ (Identity Crisis)’라는 용어를 만든 것으 로 유명하다.

2) 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2011). 의무교육음악과정표준(義務敎育音樂課程標準). 베이징사범 대학출판사.

(12)

시기의 음악문화를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여러 나라의 음악을 이해하는 동 시에 중국민족음악의 품격과 정서를 감지하고 계승하도록 한다.

음악교과서는 학생들에게 심미적 실천적 다문화적 등의 가치관을 가르쳐

, ,

주고 학생들이 바람직한 음악교육을 받음으로써 그들이 가진 잠재적인 능력 을 최대한 발휘하여 행복한 삶의 상태에 이르는 것이다 권덕원 외( , 2019:

51). 이러한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 중국 음악교과서는 여러 나라의 음 악문화와 중국 민족음악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올바른 인생관과 세계관 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1981년 이전에는 중국 모든 학교들이 일률적으로 같은 음악교과서를 사 용하였지만 이 후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다양한 교과서를 사용하는 방향으, 로 개선되었다. 개혁 후 초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편찬에 참여한 출판사는 · 인민교육출판사(人民敎育出版社), 인민음악출판사(人民音樂出版社), 호남문 예출판사(湖南文藝出版社)이다 이 중에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호남문예출.

판사 가 출판한

湘판3)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중국 호남성(湖南省), 산서성 귀주성 등 개 성 시 자치구 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유

(山西省), (貴州省) 29 ( , ) ,

일하게 지역 출판사가 출판한 교과서이다 중국 .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서 제시된 성격 이념 목표 영역 등이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교수 학습 활, , , · 동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중국. 의 湘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지지 않아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湘판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음악교육 학 계에 중국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3) 호남문예출판사(湖南文藝出版社)의 약자. (xi ngā )’ 글자는 호남(湖南)’의 약자인데 본 논문은 독자들이 편하게 읽기 위하여 여기부터 호남문예출판사를 나타낼 때 호남문예출 판사 대신 판 으로 쓴다.

(1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본 연구는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2011 湘

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 년 음악과 교육

, 2011

과정의 발전배경과 과정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교과서의 외형체제를 분석하는데

, 편찬현황과 편집방법으로 구분하

여 서술하고자 한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체제를 분석하는데 교과서의 단원구성 학습활동구성

, , ,

삽화구성의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감상 표현 창작 생활화의 네 가지 영역에

, , , ,

따라 교과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외형체제 내용체제 영역별에 따른 내용의 분석을

, ,

통해 결과를 서술하여 결론 및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3.

본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현행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개 학년 상 하 권

, 湘 3 ·

총 권의 교수 학습용 교과서로 제한하여 교사용 음악교과서와 교과서의 보6 · 조자료(CD)를 연구범위에 포함하지 않았다.

둘째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단원구성은 정규단원과 보충단원으로 되 , 湘

어 있는데 보충단원의 경우 권 교과서에서 대체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본 6 논문의 부록에서 제시할 것이다.

(14)

셋째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영역내용에 따라 창작 은 창조

, 2011

‘ ’ ‘

(創

라는 용어로 되어 있는데 본 논문은 한국의 창작영역 과 일치하기 위해

)’

‘ ’

창조 는 모두 창작 으로 표기하였다

(創造)’

‘ ’

.

넷째 본 논문의 선행연구는 년 이후의 연구들로 제한하였다

, 2000 .

다섯째 본 연구에 악곡의 곡명과 작곡가의 이름의 한국어 번역은 음역 ,

으로 한다 (音譯) .

선행연구 4.

본 연구는 중국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분석하기 전에 선행연구를 고찰하였

다. 2000년 이후의 연구들로 제한하였으며 논문의 주제인 중국 중학교 음,

악교과서 분석 과 관련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들을 위주로 검토하였다 검토

. 결과, 12편의 연구가 있는데 석사학위논문 편 박사학위논문 편 학술지 6 , 1 ,

편이 있다 다음 표와 같이 연구발표연도 순으로 정리하였다

5 . .

(15)

표 중국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과 관련된 연구

< Ⅰ-1>

연구자 제목 출처 발행처/ 연도

1 김성희 중국 동북 성 조선족 소 중학교 음악교과서 3 · 분석고찰 중국 년제 의무교육을 대상으로9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 박미숙 중국의 초급중학교 학년 음악교과서 연구7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 자오루이 중국 제 차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8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 김성희 중국 조선족 음악교육의 변천 과정 및

발전 방안 연구 초 중학교를 중심으로– ·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5 왕금령 오경희

중국 다문화 교육 탐색 중학교 :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010

6 이승준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음악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 박미화 조선족학교 음악교재에 반영된 다문화 내용 분석 연구

통일인문학.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8 김성희 중국 조선족 음악 교과서에 반영된 다문화 음악교육 실태 연구

연변대학교

예술교육연구 2017

9 현경실 한국 중국 일본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 , , 비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예술교육연구 2017

10 학영광

한 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 정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

본을 중심으로-

中國人民音樂出版社 음악교육연구 2018

11 박소영 중국 조선족의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및 음악교육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2 위전솬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음악교과서 가창영역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6)

위 표와 같이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편 선행연구는 네 가지 주제로

12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중국 조선족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이며 둘째는 . , 나라 간의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비교 분석이고 셋째 중국 인민교육출판사· , ,

가 편찬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넷째 중국 인민음악 (人民敎育出版社) , ,

출판사(人民音樂出版社)가 편찬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이다. 먼저 중국 조선족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은 다음 편과 같다

5 .

김성희 는 중국 년제 의무교육의 배경 아래 중국 동북 성 조선족

(2002) 9 3

소학교와 중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체제 및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김. 성희(2008)는 중국 조선족 초 중학교 음악교육의 변천사를 고찰하여 학교 · 음악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조선족 음악교육의 실태를 파악 하고 향후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김성희. (2017)는 중국의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조선족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반영된 다문화 관련 내용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삽화들을 분석하였 다 분석을 바탕으로 조선족 음악교육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박미화 는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조선족 중학교 음 (2014) 2011

악교과서에 수록된 세계음악 중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민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문화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음악. 교과서에 세계민요의 수록 비중을 좀 더 높이고 다양한 지도방법 및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연구와 자료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제언했 다.

박소영 은 중국 조선족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중학교 음악교과

(2018) 2004

서를 대상으로 외형의 관점 음악의 관점 사회의 관점 지도방법의 관점으, , , 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중국 조선족 학교에서 종사하게 될 , 2017년 한국교원 대학교 재학생 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조선족 음악교육의 실제7 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7)

둘째 나라 간의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비교 분석 연구는 다음 편과 같다

, · 4 .

이승준 은 한국의 두산동아 중학교 음악교과서와 중국 인민교육출판 (2014)

사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단원 및 내용체계를 분석하였고 학영광, 은 한국의 미래엔 중학교 음악교과서와 중국 인민음악출판사 중학교 (2018)

음악교과서에서 나타난 전통음악 내용을 분석하였다 위전솬. (2018)은 한국 의 미래엔과 두산동아 중학교 음악교과서 중국 인민교육출판사와 인민음악, 출판사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각 나라의 교과서에 수록된 가창곡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함으로써 효과적인 가창곡 , 학습을 위한 구성 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현경실. (2017)은 한국의 미 래엔 중학교 음악교과서와 중국 인민교육출판사 중학교 음악교과서 일본 , 교육예술사의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각국의 음악교과서를 소개하고 특히 가창과 창작영역의 구성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그들의 음악문화를 이해하고 , 한국의 다민족 학생과 한국 학생들의 다양성과 창의성 교육을 위한 중등 음 악교과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셋째 중국 인민교육출판사가 편찬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은 다음 편

, 2

과 같다.

박미숙 은 중국 인민교육출판사가 출판한 중국 중학교 제 학년 음

(2004) 7

악교과서를 대상으로 중국의 학교교육제도와 학제 교육과정 음악교육현황 , ,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 교과서의 외형제체와 내용체계 영역별에 따른 내용, 을 분석하였다 왕금령 오경희. , (2010)는 중국 인민교육출판사 중학교 전 학 년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에서 실린 삽화를 중심의 분석을 통해 다 민족으로 이루어진 중국 내에서의 다양한 문화의 공존을 존중하는 배움의 기회가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넷째 중국 인민음악출판사가 편찬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은 다음 편

, 1

과 같다.

(18)

자오루이 는 중국 제 차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인민음악출판사의

(2006) 8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중국의 교과서 정책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 천과 제 차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내용은 교육과정에 제8 . 시된 감상 표현 창작 생활화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 , , 에 따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지금까지 한국에서 중국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

,

석 에 관한 연구는 중국 조선족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나라 간의 중학교

, 음악교과서의 비교 분석 중국 인민교육출판사의 음악교과서 분석 중국 인· , , 민음악출판사의 음악교과서 분석의 네 주제를 위주로 이루어졌다 분석대상. 교과서는 한국의 미래엔과 두산동아 중학교 음악교과서 중국의 인민교육출, 판사와 인민음악출판사로 국한되어 있다 즉 본 연구의 대상인 중국 호남문. , 예출판사(湖南文藝出版社) 본의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 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대한 폭넓 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하며 한, ·중 음악교육 연구에 활동할 수 있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9)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 2011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발전배경

1. 2011

중국 음악교과서의 편찬은 음악과 교육과정을 따른다 년대 미국 음

. 1980

악교육 전문가인 리머(B. Reimer)가 중국에서 음악교육 강연을 하였는데 이 때부터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이 중국 음악교육에 도입되어 2001년에서 교육 부는 중국 제 차 음악과 교육과정 실험판 을 발표하였다 이는 중국의 음악8 ( ) . 교육이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의미를 가지며 심미 라는 개념은 음악,

‘ ’

교육의 핵심이 되었다.

2001년 중국 제 차 음악과 교육과정은 출판 이후 8 10년 동안 인정을 받은 동시에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중에 가장 핵심적 문제는 심미가 어떻

게 이해되는가 라는 문제였다 많은 음악교사들이 심미 는 음악 감상 으로

.

‘ ’ ‘ ’

이해하며 음악수업에서 음악 감상 을 위주로 수업하였는데 ,

‘ ’

학생들은 감상 을 넘어 실천적 음악활동을 할 기회를 가지지 못하였다.

또한 중국 내외에서 예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 2001년 음악과 교 육과정에 대한 개정과 혁신이 요구되기 시작하였다. 2010년에서 중국은 국《 가 중 · 장기 교육개혁과 발전기획 강령(国家中长期教育改革和发展规划纲 要)(2010~2020)》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21세기 도래된 후 중국 첫 번째 교육에 관한 기획으로 2010 ~2020년 년에 중국 교육발전의 방향을 제시하였 다 이는 중국 .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 의 편찬근거가 되어 교육부는

2011 년 12월 28일에 중국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 을 발표하였다

.
(20)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2. 2011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은 중국 제 차 년 음악과 교육과정 실

2011 8 (2001 ) (

험판 을 토대로 재수정하여 ) 사회주의의 핵심가치체계의 실현과 학생들의 심 미적 정서 및 인문학적 소양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 과정은 서론 목표 내용 실시건의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

, , ,

론 부분은 과정의 성격 기본이념 설계사로를 제시하며 목표에서는 과정의 , , , 총체적 목표와 학년목표를 제시하며 내용부분은 ,

‘감상 ’, ‘

표현

’, ‘

창조 창( 작)’,

음악 및 관련된 문화 생활화 의 개 영역으로 나누어 내용을 제시하( )’ 4 고 과정의 실시에 대한 건의에서는 교수와 학습 평가 교과서 자원개발과 , , , , 이용의 가지 건의를 초 중학교 구분없이 제시하였다4 , .

다음은 과정의 네 부분별로 해설하고자 한다

.

서론 1)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서론부분은 과정의 성격 기본이념 설계

2011 , ,

사로를 제시하는데 성격은 인문성(人文性), 심미성(審美性), 실천성(實踐性) 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이념과 설계사로는 각 가지 측면으로 , 5 구성된다.

다음은 먼저 과정의 가지 성격을 살펴보고 기본이념과 설계사로를 해설

3 ,

하고자 한다.

(21)

성격 (1)

과정에서 제시된 성격은 인문성 심미성 실천성

(人文性), (審美性), (實踐性)

의 가지이다3 .

인문성

음악은 문화가 구성된 중요한 부분이며 인류의 소중한 정신적 문화유, 산이자 지혜의 산물이다 문화 속의 음악이든 음악의 문화적 시각에서 . 출발하든 음악수업에서의 예술작품과 음악활동은 서로 다른 문화적 신 분을 가진 창작자 공연자 전파자와 참여자의 사상 감정 문화적인 주, , , , 장을 가지고 있으며 타 나라 타 민족 타 시기의 , , , 문화발전과 민족적 성격 민족적 감정 민족정신을 드러낸다 이에 따라 음악은 선명하고 , , . 깊은 인문성을 지니고 있다. 교육부( , 2011:2).

“人文性

, 。

音乐是文化的重要组成部分 是人类宝贵的精神文化遗产和智慧结晶 无论是从 文化中的音乐还是从音乐中的文化视角出发 音乐课程中的艺术作品和音乐活

, 、 、

动 皆注入了不同文化身份的创作者 表演者 传播者和参与者的思想情感和文

, 、 、 、

化主张 是不同国家 不同民族 不同时代文化发展脉络以及民族性格 民族情 ( , 2011:2).

, 。

感和民族精神的展现 具有鲜明而深刻的人文性 教育部

위에 따라 인문성 은 인류학 관점에 의해 음악의 본질은 문화로

(人文性)

정의된다 음악은 인간지혜의 산물로서 민족 지역 시기 종교 . , , , 등의 인간의 생활방식을 표현하며 사회의 발전을 반영하고 인간의 문명을 계승한다, . 인 문적인 성격을 가지는 음악과는 학생들에게 인간사회의 다양성을 교수하며, 학생들로 하여금 인문적 음악교육을 통해 음악과 인간의 관계를 통찰하게 한다.

(22)

심미성

미육인 의 교육사상은 중국의 교육과 문화전통을 같이 계승해 오며

‘ ’ ,

도덕 지혜 체육 미를 전면적으로 발전하는 사회주의의 건설자와 후

, , ,

계자를 배양한다 라는 교육방침이 구성된 부분이다 음악교육을 통해 . 학생들이 미를 느끼게 되며 표현할 수 있고 감상할 수 있고 창조할 , , , 수 있는 동시에 내면이 풍부해지며 개성을 발전할 수 있고 사고능력도 , , 풍부해지고 창의력과 창조력이 향상되어 학생들에게 전반적으로 소질, 을 향상시킨다 교육부.( , 2011:2).

“审美性

以美育人 的教育思想与我国的教育 文化传统一脉相承 是培养德智体美全面发’ 、 , 展的社会主义建设者和接班人的教育方针的有机组成部分 通过音乐教育可以培

、 、 、 , , ,

养和提高学生感受美 表现美 鉴赏美 创造美的能力 陶冶情操 发展个性

, , ,

启迪智慧 丰富和发展形象思维 激发创新意识和创造能力 全面提升学生的素 ( , 2011:2).”

教育部

위에 따라 심미성은 심미주의 관점을 통해 구체화한 음악에 대한 느낌 및 경험으로 정의된다. 심미적 음악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미를 감상하며 체험, 하고 창작력과 사고력이 발전되고 풍부한 감정세계를 형성하고 미적 삶을 추구하게 된다.

실천성

음악의 음향은 언어적인 획정성과 사물형태의 구체성이 없다 음악수업. 에서의 각 영역의 교수 학습은 감상 가창 연주 종합예술표현과 음악· , , , 창작 등의 다양한 실천적 형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학생들이 직. 접 실천적 활동에 참여를 통해 음악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과 풍부한 정 감체험을 얻을 수 있으며 음악지식의 습득 음악의미의 이해 음악적 , , , 소양의 향상을 위해 토대가 이루어진다 교육부. ( ,2011:2).

“實踐性

音乐音响不具有语义的确定性和事物形态的具象性 音乐课程各领域的教学只有

、 、 、

通过聆听 演唱 演奏 综合性艺术表演和音乐编创等多种实践形式才能得以实

。 ,

施 学生在亲身参与这些实践活动过程中 获得对音乐的直接经验和丰富的情感

, 、 、

体验 为掌握音乐相关知识和技能 领悟音乐内涵 提高音乐素养打下良好的基 ( ,2011:2).”

教育部

위에 따라 실천성 은

(實踐性) 실천주의 철학에 의한 음악이 실천적 활동이

(23)

다. 음악은 추상예술로서 구체적인 정의가 없으므로 인간에게 상상력을 발 휘하는 공간을 주며, 청자의 개인적 감상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해석의 여 지를 준다. 음악교육은 심미와 실천이 함께 이루어질 때 학생들이 효과적으 로 음악을 학습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학생들이 내면이 풍부해지며 내면을 , ,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되고 삶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기본이념 (2)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과정의 기본이념은 과정의 이 2011

론적 기초가 되며 다음과 같이 가지 내용이 있다, 5 .

음악심미는 핵심으로 취미애호는 동력으로

,

(以音乐审美为核心以兴趣爱好为动力)

위에 따라 심미적인 음악교육은 음악과의 핵심이고 학생들의 취미와 애호

는 음악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 ·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음악활동에 참여하여 음악에 대한 취미가 생기며 심, 미적 음악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감정이 풍부해지고 음악을 즐겁게 학습한 다.

음악실천을 강조하며 음악창조를 격려한다

,

(强调音乐实践鼓励音乐创造)

위에 따라 음악교육은 심미와 함께 실천성을 가지며 실천적 음악활동이

,

음악학습의 모든 단계 안에 포함된다 가창 연주 창작 뮤지컬 등 다양한 . , , , 음악활동이 융합된 음악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전면적인 음악성이 이루어지 며 음악의 아름다움을 감지하고 타인과 함께하는 협동의식을 형성한다, .

(24)

음악의 특성을 강조하고 교과의 통합에 집중한다

,

(突出音乐特点关注学科综合)

음악은 추상적인 예술이며 청각적인 예술로서 청각 은 음악교육의 특징

,

‘ ’

이다 학생들이 음악수업에서 주로 청각적 활동을 통해 음악을 느끼게 되고 . 체험한다 또한 음악수업은 음악적 심미 경험과 실천의 기반에서 타 교과와 . · 연결되어야 한다 음악수업에서 음악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결합을 통해 음. 악수업의 범위가 넓어지며 학생들이 음악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지고 예술, 적인 관점이 넓어질 수 있다.

민족음악을 선양하며 다문화적 음악을 이해한다

,

(弘扬民族音乐 理解音乐文化多样性, )

위에 따라 오래된 역사와 개 민족음악을 가진 중국음악은 학생들에게

56

소중한 가치가 있으며, 국가의 미래인 학생들이 본 민족의 음악을 충분히 알아야 국가의 음악문화를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음악교육에서는 민족음악을 중심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민족의식을 형 성하고 애국심을 가지도록 지도한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개방적인 마음으 로 세계음악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적 음악을 통해 민족음악을 발전시 킬 수 있다.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개성의 발전을 중시한다

“ ”

(面向全体学生 注重个性发展 )

21세기는 절대성과 상대성 전체성과 개별성 보편성과 특수성이 공존하, , 는 사회이며 음악교육은 위의 대립되는 가치들을 포용하여 학생들이 주체, 적으로 음악적 능력을 발휘하며 개별성을 중시하고 타인과 감정을 소통할 ,

(25)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설계사로 (3)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설계사로는 교과서의 편찬방향 2011

을 제시해 주고 다음과 같이 가지 내용이 있다5 .

음악교육의 심미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음악활동의 방식으로

학습영역을 나눈다

(凸显音乐课程的美育功能 以音乐活动方式划分教学领域 )

위에 따라 교과서는 심미적과

실천적 음악활동을 포함하는 동시에 심미성

(審美性) 중심으로 편찬하여야 하며 각 음악활동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 어 통일성을 지녀야 한다.

다양한 실천적 음악활동을 설계하고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 ”

(设计丰富的音乐实践活动引导学生主动参与)

위에 따라 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와 다양한 실천적인 음악활

동을 중시하여야 한다 교수 학습 활동 중에 심미적 음악수업과 실천적 음. · 악수업을 함께 이루어져야 또한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학생들 이 음악에 대한 취미가 생길 수 있어 바람직한 음악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 다.

음악지식 기능학습과 심미적 경험 문화인지 간의 관계를

, ,

바르게 처리하여야 한다

(正确处理音乐知识 技能的学习与审美体验和文化认知的关系 )

(26)

위에 따라 음악수업을 설계할 때 음악에 관한 기본지식

, 실천적 학습활동

과 심미적인 경험 및 문화적인 인지의 상호관계를 올바르게 인식하여야 한 다.

학생들의 연령별 심리발전 수준과 음악인지 수준에 따라

나선형 학년별 목표와 과정내용을 설계한다.

(根据学生不同年龄段的心理发展水平和音乐认知特点, 分学段设计梯度渐进的课程学段目标及相应的课程内容)

위에 따라 중국 음악교육은 의무교육인 개 학년을 단계로 구분하는데

9 3

초등학교 초급(1~2학년), 초등학교 중 고급· (3~6학년), 중등학급(7~9학년 이) 다 학습목표를 학년별로 다르게 설계하여야 하고 내용은 나선형으로 연결. 하여야 한다.

수업내용의 설계는 명확한 규정성과 적절한 유연성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어져야 하며

,

교사의 교수와 지방음악수업의 자원개발에 창조와 선택운용의 공간이 남아 있어야

한다.

(课程内容的设计在明确的规定性和适度的弹性之间寻求平衡 给教师教学和地方音乐课程资源开发留有创造和选择运用的空间)

위에 따라

중국은 지역간 발전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음악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목표 2)

음악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목

2011

표를 제시한다 목표는 총 목표와 학년별 목표. 를 기준으로 음악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고 음악교육의 성취표준을 제시한다.

(27)

총 목표 (1)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총 목표는 배양 및 발

2011

(培养)’

전(发展)’에 대한 목표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총 목표

< Ⅱ-1> 2011

위 표와 같이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총 목표는 가지 측면으로

2011 3

서술한다 체험 모방 탐구 합력 종합적인 음악수업을 통해 음악 기초지. , , , ,

중국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 총 목표

감정 태도 가치관· · (情感 态度 价值观· · )

! 감정 체험을 풍부하고 삶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배양한다.

(丰富情感体验 培养对生活的积极乐观态度, )

! 음악적 취미를 배양하고 평생학습의 갈망을 세운다.

(培养音乐兴趣 树立终身学习的愿望, )

! 심미적 음악능력을 발전하고 바른 인격을 배양한다.

(提高音乐审美能力 陶冶高尚情操, )

! 애국심을 배양하고 단체주의를 발전한다.

(培养爱国主义情感增强集体主义精神)

! 예술을 존중하고 다문화를 이해한다.

(尊重艺术 理解世界文化的多样性, )

과정과 방법 (过程与方法)

! 체험 (体验)

! 모방 (模仿)

! 탐구 (探究)

! 합력 (合作)

! 종합 (综合)

지식과 기능 (知识与技能)

! 음악 기초지식 (音乐基础知识)

! 음악 기본기능 (音乐基本技能)

! 음악역사와 관련된 문화지식 (音乐历史与相关文化知识)

(28)

식 음악 기본기능 음악역사와 관련된 문화지식의 습득과 감정 태도 가치관, , · · 의 내용들이 이루어지는 것이 음악교육의 목표이다 학생들에게 음악에 대. 한 지속적인 취미와 적극적인 태도를 배양하는 동시에 전문적인 음악성을 발전과 애국심을 배양하는 목적이 있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타인과 함께 심미적 경험과 실천적 음악활동을 수행하고 타 교과와 융합된 음악을 통해 음악의 매력과 지식을 학습하며 다문화적 시각과 건강한 인격을 형성할 수 , 있다.

학년별 목표 (2)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중학교인 학년의 학습목표

2011 7-9

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음악을 취미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음악에 대한 감상과 평가의 능력을 발전하고 올바른 음악적 감상습 ,

관을 키운다.

셋째

, 자신감 있게 감정을 실어 노래를 부를 수 있으며 적극적으로 연주, 와 창작활동에 참여하고 음악에 대한 표현능력을 발전시킨다.

넷째

, 예술적 상상력과 창작능력을 풍부하게 발전시킨다.

다섯째 다양한 취미와 낙천적인 태도를

, 발전시키며 단체의식을 , 함양시키

고 협동능력과 소통능력을 배양한다.

중학교 단계는 학생들이

생리적 정서적의 전환점인 시기로 학생들은 수, , 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아를 형성한다 이 때의 음악수업은 학생들에. 게 음악에 대한 기본지식을 전달하고 음악의 감상범위를 확장시켜서 음악성 을 발전시켜야 한다.

(29)

내용 3)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부분은 과정목표와 가치의 실현에 2011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감상 표현 창작 생활화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 , 다.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영역

< Ⅱ-2> 2011

위 표에 따라 감상영역은 음악표현요소 음악정서와 정감 음악장르와 형

, ,

식 음악풍격과 유파의 네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데 음악교육의 중요한 영역, , 이며 음악 학습활동의 기초영역이고 학생들에게 심미적 능력을 발전시키는 , 효과적인 영역이다 음악수업에서 다양한 음악지식 음악장르 음악형식의 . , ,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내면을 풍부하게 되며 음악성을 발전시키고 전문적, 으로 음악을 습득하게 된다 또한 다문화적 음악에 관한 감상수업을 통해 .

영역 내용

감상 (感受与欣赏)

! 음악표현요소 (音乐表现要素)

! 음악정서와 정감 (音乐情绪与情感)

! 음악장르와 형식 (音乐体裁与形式)

! 음악풍격과 유파 (音乐风格与流派)

표현 (表现)

! 가창 (演唱)

! 연주 (演奏)

! 종합예술표현 (综合性艺术表演)

! 악보읽기 (识读乐谱)

창작 (创造)

! 음향 및 음악 탐색 (探索音响与音乐)

! 즉흥창작 (即兴编创)

! 창작실천 (创作实践)

생활화 (音乐与相关文化)

! 음악 및 사회생활

! 음악 및 타 예술

! 음악 및 타 교과

(30)

세계 여러 음악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의미가 있다.

표현영역은 가창 연주 종합예술표현 악보읽기의 네 가지 내용을 포함하

, , ,

는데 음악 학습활동의 기초영역이고 실천성을 가진 영역이다 다양한 실천. 적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자신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내면을 표현할 수 있, 고 타인과 함께 소통하는 능력도 발전할 수 있다.

창작영역은 음향 및 음악 탐색 즉흥창작 창작실천의 세 가지 내용을 포

, ,

함하는데 학생들에게 상상력과 창작력의 발휘에 도움이 되는 영역이다 학. 생들이 생활 속의 소리 사람의 목소리 악기의 소리 등 다양한 소리를 탐, , 색해 보고 스스로나 타인과 함께 즉흥적으로 창작활동을 통해 논리적 사고 능력을 발전시키고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생활화영역은 음악 및 사회생활 음악 및 타 예술 음악 및 타 교과의 세

, ,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데 인문성을 집중적으로 체현한 영역이다 이 영역은 , . 감상 표현 창작과 함께 이루어지고 실천적 활동을 통해 가치가 실현된다, , . 학생들이 생활화영역의 학습을 통해 음악과 생활의 관계를 체험하며 생활, 의 재미를 즐긴다.

실시건의 4)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실시건의를 2011

제시하는데 교수 학습 건의 평가건의 교과서의 편찬건의 자원개발과 이용· , , , 의 건의의 네 가지 측면으로 구성되었다.

(31)

교수 학습 건의 (1) ·

교수 학습 건의는 교수 학습에서

· · 주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교수 학습· 에서 학생들의 청음능력을 꾸준히 발전시켜야 하며 과정의 목표를 중심으, 로 음악학습활동을 진행하여야 한다. 동시에 음악과 타 예술 타 교과의 연, 결이 되어야 하고 학습과정의 각 단계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학습활동에. 서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주어야 하며 테크놀로지를 ,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이 과정은 지역 상황에 맞추어 실시하여야 한다. .

감상영역의 학습에서 주의해야 하는 내용은 교사가 음악을 중심으로 학생

들의 생각을 존중하여야 하며 학생들이 음악을 체험하여 적극적으로 감정, 을 표현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가창영역에서 학생들이 올바른 자. 세로 감정 있게 노래를 부르며 타인과 함께 합창을 통해 협동능력을 키우, 고 가창곡 속에 있는 음악의 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연주영역에. 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연주하기 쉬운 악기를 제공해 주고 학생, 들이 연주활동을 통해 악기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한다 악보읽기영역에서 악. 보와 감상 가창 연주 창작과 연결시켜 학습한다 창작영역에서 교사가 학, , , . 생들에게 상상력과 창작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다양한 실 천적 활동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평가건의 (2)

평가체계를 완성하여야 과정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학생들이 학습

,

에 대한 자신감과 힘을 얻을 수 있다 평가건의에서 평가내용 평가의 방식 . ,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평가내용은 학생을 중심으로 음악수업에서의 태도. , 반응 참여도 음악에 대한 이해 음악창작능력 등의 내용을 평가하며 평가, , , ,

(32)

방법은 학습과정과 학습결과 평가 태도와 반응 평가 자기평가 상호평가, , , , 타인평가가 있다.

교과서 편찬건의 (3)

교과서의 편찬은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교과서는 교수 학

. ·

습용 교과서 교사용 교과서 교과서 보충자료가 있다 교과서를 편찬할 때 , , . 학생중심의 도덕성과 예술성이 교과서 안에서 융합되어야 하며 음악의 실, 천성 음악과 타 예술 타 교과의 포괄성 다문화적 개방성을 가져야 하고 , , , 논리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교과서 내 기록된 악곡은 학생의 수준에 따. 라 국가 장르 영역 형식 등 요소가 균형 있게 되어야 한다 음악교과서는 , , , . 악보 서술과 삽화와 함께 구성되어야 하며, ,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음악수 업을 구성하여야 한다.

자원개발 및 이용건의 (4)

자원개발 및 이용건의는 지역의 특징에 따라 음악수업을 개발하여 음악수

업의 전용교실 음악에 관한 도서 악기 등 자원을 충분히 구비하여야 하며, , , 학교에서 라디오 등 다매체와 함께 음악적 분위기를 만들며 여가시간에도 , 음악적 활동을 진행하고 학교는 음악활동을 적극적으로 독려하여야 한다.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은 심미 에 의미를 부여하였는데 음악적

2011

‘ ’ “

심미는 음악예술에 대한 체험 감지 소통 교류 및 다문화에 대한 인지이, , , 다 라고 설명하였다 중국 음악교육은 학생을 중심으로 심미와 함께 실천적

. 활동을 위주로 음악수업을 하는 동시에 민족음악을 중시하는 점이 있다 또. 한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실천 라는 개념의 도입은

‘ ’

2001년 음악과
(33)

교육과정과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다 중국 .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실천성은 특히 표현영역에서 잘 반영된다 교과서는 학생들의 연령별 심리. 적 특성과 인지발달수준에 따라 음악수업의 특징과 결합하며 감상 가창, , , 연주 창작 등 심미 실천적 활동을 통해 가치가 실현된다, - .

다음 표와 같이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2011 .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구조

< Ⅱ-3> 2011

중국 2011년 음악과 교육과정

서론 (前言)

성격 (性质)

! 인문성(人文性)

! 심미성(審美性)

! 실천성(實踐性) 기본이념 (基本理念)

설계사로 (设计思路)

목표 (目标)

총 목표 (总目标)

학년별 목표 (学段目标)

내용 (内容)

! 감상 (感受与欣赏)

! 표현 (表现)

! 창작 (创造)

! 생활화 (音乐与相关文化)

실시건의 (实施建议)

교수 학습건의 · (教学建议)

평가건의 (评价建议)

교과서 편찬건의 (教材编写建议)

자원계발 및 이용건의 (课程资源开发与利用建议)

(34)

중국 호남문예출판사 본의 중학교 음악교과서 .

분석

중국 호남문예출판사 가 출판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湖南文藝出版社) 湘

는 중국 호남성(湖南省), 산서성(山西省), 귀주성(貴州省) 등 29개 성 시( , 자치구 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독특한 민족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교과서의 ) , . 외형체제와 내용체제를 살펴보고 영역별에 따른 내용분석을 진행한다, .

교과서의 외형체제 1.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외형체제분석은 편찬현황 및 편집방법으로 분 湘

류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편찬현황 1)

다음 표와 같이 중국 현행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학년당 권씩 총

湘 2 6

권이 교육부의 심의를 통과하여 2012년부터 2015년에 걸쳐 초판되었다 본 . 논문의 연구대상인 湘판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2017~2019년간에 발행되어 지금까지 각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학기가 월에 시작. 1 9 한다.

(35)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편찬현황

< Ⅲ-1> 湘

편집방법 2)

다음 표와 같이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편집방법을 제시하였다

湘 .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편집방법

< Ⅲ-2> 湘

교과서 학년

학기 구분 출판사 편찬자 발행년도 초판년도 정가

( )

의무교육 교과서 음악 ( )

7-1 7-2

교육부 심의 2012

호남문예출판사 (湖南文藝出版社)

張前, 刘清华

2019.06 2018.11

2012.07 2013.01

8.37 8.45 8-1

8-2

교육부 심의 2013

호남문예출판사 (湖南文藝出版社)

張前, 刘清华

2019.06 2017.11

2013.07 2014.01

8.37 8.53 9-1

9-2

교육부 심의 2013

호남문예출판사 (湖南文藝出版社)

張前, 刘清华

2019.06 2017.11

2014.07 2015.01

8.37 8.53

계 3학년 학기 6

교육부 심의

호남문예출판사 (湖南文藝出版社)

張前,

刘清华 2017~2019 2012~2015 8.37 8.45 8.53

교과서 학년

학기 교과서명 쪽수 규격

가로 세로

( × ) 겉표지 그림

의무교육교과서 음악 ( )

7-1 7-2

의무교육교과서 음악 숫자악보 오선보

( , )

학년 상권 하권

7 /

64 787×1092 소수민족 자연풍경

8-1 8-2

의무교육교과서 음악 숫자악보 오선보

( , )

학년 상권 하권

8 /

64 787×1092 소수민족 자연풍경

9-1 9-2

의무교육교과서 음악 숫자악보 오선보

( , )

학년 상권 하권

9 /

64 787×1092 소수민족 자연풍경

(36)

위 표를 보면 권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겉표지에 의무교육교과서

6 湘

음악 - (숫자악보 오선보, ) - 0학년 권 0 호남문예출판사 라고 표기되어

– –

있으며 크기 , 787×1092mm의 배판에 64쪽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학기별로 . 교과서의 겉표지 그림은 소수민족의 자연풍경으로 구성되어 湘판 중학교 음 악교과서의 민족적 특징이 반영된다.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겉표지 양식은 다음 그림과 같다

湘 .

그림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겉표지 양식

< Ⅲ-1> 湘

위 그림과 같이 겉표지 뒤에 이어지는 여 쪽의 교과서 내용은 다음과

64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37)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겉표지 湘

겉표지 내면 - 1면 - 중국고대 성어 및 성어에 의해 창작된 그림

속표지 면 겉표지 내용이 약화된 내용 - 1 -

속표지 내면 면 중화인민공화국국가

- 2

(中華人民共和國國歌) 및 배경사진인 천안문과 만리장성

목차 표기 면 단원 제시 학습활동 제시 해당 쪽 제시 - 2 - , ,

본문 내용 페이지

- 6~64 (64 페이지 음악교과서 순환사용기록: )

↓ 종합연습 및 면

- 12 기말평가

뒤표지 내면 면 겉표지 내면이 이어지는 성어내용 - 1 -

뒤표지 면 집필자 교열 판권 내용 등 편찬과 관련된 - 1 - , ,

내용

그림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내용순서

< Ⅲ-2> 湘

(38)

교과서의 내용체제 2.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내용체제분석은 교과서의 단원구성 학습활동

湘 ,

구성 삽화구성의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

단원구성 1)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단원은 성격이 같은 내용들이 일정한 논리적 湘

순서에 따라 편집되며 단원의 표제가 단원의 주제를 대표한다 표제를 통해 , . 단원의 특징이 파악되며 교과서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알 수 있어 효과적으, 로 학습을 할 수 있다.

단원의 구성상황은 학습중심인 정규단원과 학생들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보충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규단원은 음악본체적 표제단원과 인 문적 표제단원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음악본체적 표제단원은 음악적 표제를 가지는 단원이며 음악장르를 학습

,

하는 단원이다 단원의 표제가 장르를 대표하며 각 학기마다 학습목표에 따. , 라 주로 감상수업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권 교과서에서 연속적으로 학습하. 6 여 단원표제 뒤에 숫자로 되어 있는 단원은 음악본체적 표제단원으로 볼 수 있다 이런 단원은 가지 유형이 있는데 중국민족기악곡 중국근대기악곡. 7 , , 중국희곡 중국민요 세계민요 중 서양오페라 서양고전음악이 있다 예를 , , , · , . 들면 7-1학기에 학습하는 칠색관현

(七彩管弦)’ 단원은 서양고전음악을 주 제로 학습하는 단원인데 그에 대한 학습은 7-1학년부터 9-2학기까지 연속 적으로 이루어지고 학기별로 칠색관현

(七彩管弦)( )/( )/( )/( )/( )/一 二 三 四 五

식으로 단원의 표제가 되어 있다 각 단원마다 학습목표가 다르다

( )’六 . .

(39)

학기별로 교과서에서 한번만 나타나는 인문적 표제단원은 음악본체적 표

제단원과 달리 인문적 표제를 가지는 단원이며 애국 자연 사랑 등 내용을 , , , 위주로 학습하는 단원이고 주로 가창수업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교과. 서 7-1학기의 영광스러운 소년

(光荣少年)’ 단원은 학생들의 책임감과 자신 감과 낙천적인 성격을 발전시키기 위한 단원이며, 8-1학기의 세상이 사랑

으로 가득 차게 한다(让世界充满爱)’ 단원은 학생들에게 사랑을 느끼게 하 는 단원이고, 9-1학기의 중국을 사랑한다

(爱我中华)’ 단원은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배양하기 위한 단원이다.

먼저 학기별로 단원구성을 살펴보고 음악본체적 표제단원 분석을 한다

.

학기별 단원구성 분석 (1)

학기별 단원구성 분석은

여섯 학기별로 구분하여 단원표제와 단원 내의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40)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 단원구성

< Ⅲ-3> 湘 7-1

위 표와 같이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 권은 개 정규단원과 마지막

湘 7-1 8

하나의 보충단원으로 구성된다. 7-1권은 중학교 학습단계의 첫 번째 교과서 로서 첫 번째 단원은 중학생들을 위해 창작한 가창곡이 수록되어 가창활동 을 진행한다 뒤에 이�

Gambar

표 중국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과  관련된  연구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총  목표
표 중국  년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영역
표 판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편찬현황
+7

Referensi

Dokumen terkait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이용 양상의 심층적 분석이 가능한 ‘한국의 료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IPAQ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를 이용하여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주관적 건강인식 및 의료이용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활동

성형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실태를 전반적으로 다루어, 2021년 ISAPS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지방흡입술과 유방확 대술, 그리고 최근 국내에서 수요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신체 부위별 지 방 이식 또는 제거 등을 일컫는 체형 시술 등, 각각의 크고 작은 미용 성형의 동기를 비롯하여 성형 이후의

를 조성하였고, 이를 통해 주거에서의 계층 간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하 였다.4 그러나 당시 지어진 사회적 혼합단지들에서는 계층 간 물리적 거 리가 좁혀졌으나, 계층 간 교류 및 차별을 고려하지 못한 채 지어져, 혼 합단지 내에서 임대세대 입주민에 대한 공간적·심리적 배제가 발생하였 고 이로 인한 임대주택 입주민에 대한 사회적

공학석사학위논문 동시에 실행되는 워크로드 조합에 따른 GPGPU 성능 분석 및 워크로드 GPGPU에 분배 Analysis of the GPGPU Performance for Various Combinations of Workloads Executed Concurrently and Balancing Their Load

환경복지 영 역은 환경불평등, 환경인프라, 환경복지수준, 지속가능발전의 4영역이고 공통된 비전은 분석대상 문헌을 바탕으로 ‘환경복지 최저기준 보장 및 환 경불평등 완화를 통한 개인의 삶의 질 강화, 지역공동체 발전, 국가경쟁력 강화’로 설정해보았다.. 환경불평등 영역은 환경불평등 완화를, 환경인프라 는 쾌적한 환경을,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스마트 파킹과 유사한 주차 안내 시스템들에 관해 살펴보고,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스마트 파킹 및 관련 사항들을 토대로 앞으로 적용될 모델을 구상해 보며, 스마트 파킹을 적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 그리고 국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 파킹 유사 서비스와 관련한 시스템 구축 현황 및 앞으로의 적용방안에 관하여

공학석사 학위논문 영상 기반 실내 위치 추정을 위한 심층 합성곱 신경망에 관한 연구 - 전방향 영상 데이터 정제 및 전이학습 방법론 비교 - A Study on Image Based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Indoor Positioning - Method of Data

정책 도입 이후 얼마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의 결과를 효과로 측정할 수 있느 냐는 불확실하다는 측면에서정정길, 2002 단순히 국민들에게 새로운 정 책에 대한 순응 및 숙성 기간이 필요한 것일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 는 주소 정책이 우리나라에 이전된 과정을 Dolowitz and Marsh2000가 제시한 불완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