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CHOSU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CHOSUN"

Copied!
29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1 2 석사학위논문

[UCI]I804:24011-200000241174

(3)

년 월

2011 2

(4)
(5)
(6)

목 차

LIST OF FIGURES ···ⅱ ABSTRACT ···ⅲ

서론 .

Ⅰ ···1 재료 및 방법

.

Ⅱ ···5 백출의 수집

1. ···5 시약

2. ···5 열수 추출

3. ···5 메탄올 추출

4. ···5 5. MeOH extract···6

유방암 세포주 배양과 화학적 처리

6. MDAMB231 ···6 7. MTS assay···6 8. Western blot analysis···6

통계처리

9. ···7

실험결과 .

Ⅲ ··· 8

토론 .

Ⅳ ··· 1 2 결론

.

Ⅴ ··· 1 7

. 참고문헌··· 1 8

(7)

LIST OF FIGURES

Fig.1.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methatanol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at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reatment...8

Fig.2.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hot- water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at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reatment...9

Fig.3. Inhibitory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against the COX-2 and iNOS protein expression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10

Fig.4. Inhibitory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hot-water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against the COX-2 and iNOS protein expression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11

(8)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is on the effects of the anti-cancer activity of

Atractylodes japonica extract in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Methods : MTS assay was used to detect the effects of Atractylodes

japonica extracts on the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viability. And Western Blotting was used to see the effects of

Atractylodes japonica extracts on cyclooxygenase-2 (COX-2), iNOS

expression.

Results : Methanol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reduced the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depending on time and concentration. Also it reduced cyclooxygenase-2 (COX-2), iNOS irrespective of concentration.

MTS assay results,

1. Methanol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reduced the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depending on time.

2. Methanol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reduced the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depending concentration.

Cell survival rate decrease depending on time and concentration especially, it reduced significantly at 900 μg/ml.

(9)

3. Hot water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reduced the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depending on time.

4. Hot water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reduced the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depending concentration.

Cell survival rate decrease depending on time and concentration especially, it reduced significantly at 900 μg/ml.

Western blot results,

5. Methanol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reduced cyclooxygenase-2 (COX-2), iNOS at 900 μg/ml concentration.

6. Hot water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reduced

cyclooxygenase-2 (COX-2) at 900 μg/ml, iNOS at 300 μg/ml concentration.

Conclusion :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Atractylodes japonica has strongly implied that it's possible for it to be a food through food processing,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isolation and purification test would bring out more various clinical effects.

Key words: Atractylodes japonica, MDAMB231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TS, COX-2, iNOS

(10)

서 론 .

유방암(乳房癌, breast cancer, 문화어 젖암 은 유방에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을: ) 통틀어 말한다 즉 유방에 비정상적인 세포 조직이 계속 자라거나 다른 장기에 퍼. , 지는 치명적인 병이다 유방암은 모든 암 중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된 암 중의 하. 나인데도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두 가지에 의해 발생한다는 명확치 않은 지 식만이 있으며 아직 확실하게 유방암의 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즉 지금까지, . , 유방암 발생의 원인에 관해서는 아직 확립된 정설은 없다 다만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몇 가지 요인들이 가능성을 보이고 있고 그 중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발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보고 있다. [1]

유방세포는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의하여 증식 분화하므로 결국 한 개인에게 있어- 서 유방암 발생위험은 일생동안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총 기간에 의해 결정될 것 으로 생각되고 있다 즉 에스트로젠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유방암의 발생. 이 증가 한다는 것이다.[2]

년 월에는 미국에서 유방암의 결정적인 원인이 브래지어착용이라는 연구 2009 12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가슴을 받쳐주고 모아주는 금속 와이어가 노폐물 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림프의 흐름을 막기 때문에 브래지어를 24시간 착용한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이 전혀 착용하지 않는 여성보다 125배나 높다는 것이다.[4] 하지 만 브래지어와 유방암의 관계에 대해서 올린 글을 살펴보면 유방암의 여러 위험, , 인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개별 리뷰를 통해 평가받는 과학잡지가 아닌 곳에 실, 린 글로써 그 위험성이 크게 과장되어진 거라고 볼수 있으며 현재까지 과학적으, , 로 받아드려질 만한 연관성은 없다.[4]

유방암의 발생 원인을 추측하게 하는 몇 가지 위험인자들이 알려지고 있는데 가족, 중에서 부모나 형제 딸이 유방암을 앓는 경우 자신이 유방암이 걸릴 위험도는, 1.7 배로 증가하며 특히 폐경 이전에 발생한 유방암일 경우, 2.4배로 증가 가족 중( 2명 이상이 양측 유방암이면 9배로 증가 한다) . [1]

외국의 보고에 따르면 유방암 환자의 약 10%가 유방암 유전자(BRCA-1과 를 지닌 유전성 유방암으로 이 유방암 유전자를 지난 사람은 세 이전

BRCA-2) 50

에 60%에서, 70세까지 85%에서 유방암이 발생하며, 70세까지 65%에서 난소암도

(11)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생식호르몬이 장기간 활성화되면 유관상피세포의 발. 암성 돌연변이로 인하여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초경이 빠르거나, (12세 이전), 폐경이 늦거나(55세 이후 2 ),배 아이를 낳지 않은 여성, 30대 이후에 첫 임 신을 한 여성 수유력이 없는 폐경 전 여성, , 10년 이상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 폐, 경기에 발생하는 안면홍조를 치료하거나 골다공증이나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호르몬 보충요법을 10년 이상 최근까지 받고 있는 여성에서 위험하다. [5]

그밖에 환경요인으로서 음주 고지방 식사 특히 옥수수 기름이나 마가린 등의 다불, ( 포화지방과 소고기의 포화지방), 폐경 후 여성에서의 체중 과다 방사선 노출 등도, 관련되며 유방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또는 대장암의 병력이 있었거나 유방 양성, , , 질환의 과거력이 있을 때도 발생 위험이 있다. [1]

유방암의 호발연령은 일반적으로 유방 양성질환보다 높으며 평균 연령이 한국여성, 의 경우 45세이고 미국여성은 55세로 10년 차이가 있지만 발생빈도가 나이가 많, 을수록 증가한다. [1]

최근 코호트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혈당을 쉽게 올리는 식품들 고 글라이세믹 인덱( 스 식품들 쌀밥 감자 등 이 유방암 위험도도 높인다거나 베타 카로틴 엽산 등의; , ) , - , 미량영양소와 저지방 우유 등 식품이 유방암 위험도를 낮춘다는 결과들이 있지만, 아직은 연구된 수가 너무 적어 앞으로 연구 결과가 더 많이 나와야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6]

발생률과 사망률을 보면 여자의 1999-2002년에 연평균 암발생자수는 46,476건이 었는데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남자와 마찬가지로 위암으로 전체의, 16.1%를 차지 하였으며, 뒤를 이어 유방암(14.2%), 대장암(10.6%), 자궁경부암(9.5%), 폐암

의 순이었다 (7.9%) .

년에 암으로 사망한 여자는 총 명 인구 만명당 명으로 전체

2005 24,104 , 10 100.9

사망자의 21.9%가 암으로 사망하였는데 가장 사망이 많은 암종은 위암으로 인구,

만명당 명 이었으며 다음으로 폐암 명 대장암 명

10 15.7 (15.8%) , 15.0 (15.1%), 11.2

간암 명 유방암 명의 순 이었다

(11.5%), 11.1 (11.2%), 6,2 . [5]

(12)

저 또한 40대 여성이고 주위의 지인이 유방암으로 사망하거나 치료중인 친구들이 있어 예외가 아니기 때문에 유방암에 걸리지 않기 위해 어떤 좋은 생약들이 있나 알아보던 중 菊科(Carduaceae)에 속하는 백출(白朮 Atractylodes japonica)과 유방 암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있어 연구를 하고자 한다.

쌍떡잎식물 초롱꽃 目에 국화(菊花-Carduaceae)科에 속하는 백출(白朮)은 여러해살이풀로 삽주의 다른 이름이며 학명은 Atractylodes japonica, 영명은

로 삽주 또는

Japanese Atracty-lodes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 한국 이며 중국에서는 백출( ) ,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

만을 쓰고 일본에서는 삽주 와 중국백출

) ,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白朮

을 사용한다

(Atractylodes ovata : 中國白朮) . (6,7,8,12)

출( )朮이란 뿌리와 가지잎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라고하며 맛이 개자와 비슷해 산개(山芥)라고도 하고 잎이 엉겅퀴류와 비슷하여 천계(天芥)라고도 하였다.(8)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고 달며 씹으면 점성을 띠고 성질은 따듯하다.[苦甘溫]

근경(根莖)을 건조하여 사용하는 생약(生藥)으로 맛은 심하진 않지만 맵고 쓰며 빛, 은 연한 갈색으로 한방에서는 오래전부터 보익약(補益藥), 보기약(補氣藥)으로 위액 분비 소화촉진 진정제, (鎭靜劑), 혈압강하제(血壓降下劑), 지한작용 자궁평활근 경, 련억제 유산방지, 강장작용, 자양작용, 혈관확장작용, 면역기능항진, 항종양작용 및 이뇨제(利尿劑)로 사용하여 왔다.(8,9,10,11)

약리적으로 생쥐의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탐식 능력을 증가, , 세포 면역 기능 촉진이 보고되었다 또한 장관. (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및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및 혈당 강하, ,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8,9,11,12)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창출(蒼朮)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 이뇨 진통 건위 등에, · · · 효능이 있어 식욕부진 소화불량 위장염 감기 등에 사용한다 어린순을 나물로· · · .

(13)

먹는다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비슷한 종류로 잎자루가 없는. · · . 것을 용원삽주(A. koreana)라고 한다.(8,9,10,11)

백출은 비위(脾胃)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이며, 대변을 묽게 보거나 설사에 좋으며 수분이 정체되어 전신이 붓고 소화가 안 될때 수분 배설을 돕는다 비. ( )脾에 수( )水 와 습( )濕 이 쌓여 담음(痰飮)을 인한 가슴 뜀, 기침 맑은 가래등에도 쓰며 비기, (脾氣) 허약으로 피부에 땀이 저절로 날때 임신, 구토에도 사용한다 위장 장애가 있는 감기 사지동통 에도 쓴다. , .(8,9,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리작용을 토대로 건조한 국내산 백출(Atractylodes 을

japonica) 메탄올과 열수로 추출하여 인체 유방암 MDAMB231세포주에 대한 항암증식 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4)

재료 및 방법 .

백출 의 수집

1. ( 白朮 )

백출(白朮)은 화순군 일대에서 채취하여 수집한 국내산 백출(白朮, Atractylodes 의 뿌리줄기를 충분히 건조시킨 백출 한약재를 화순읍 전남 생약농업협동 japonica)

조합에서 구입하여 본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시약 2.

본 실험에 사용한 메탄올 시약은 1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또한 LPS, 5-(3-caroboxymeth-oxy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MTS) 및

과 등은 사 로부터 구입하였다

1% penicillin streptomycin Sigma (USA) .

더불어 10%FBS, 1% 항생제(Gibco, USA), minimum essential medium (MEM)과 등은 사 의 시약을 구입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serum free media Gibco (USA) .

열수 추출 3.

백출(白朮)의 건조시료 100g과 증류수 1.3L를 이용하여 약탕기 대웅( , 에서 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을 하였다 추출이 끝나고 나면

DWP5000M) 3 . ,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압착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ml 튜브로 나누어 담고, 4,000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여분의 분말 찌거기를 침전시켰다 원. 심분리 후 상층액만을 두 겹의 여과지, (Whatman no.1)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 였다 감압 여과된 추출물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였. , 다 동결건조가 끝 난 후 곱게 분쇄하여 실험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

메탄올 추출 4.

메탄올 에 백출의 건조 시료 을 시간 침전시켰다 이때 시간

99% 1L 100g 24 . 2-3

단위로 교반하여 시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하면서 추출을 유도하였다 추출 후 두. 겹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한 후 1차적인 메탄올 추출액을 만들었다 여과. 된 추출액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이 대. water bath의 온 도는 35-37℃를 유지하며 메탄올을 제거하여 농축하도록 하였다.

추출 농축액을 chloroform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강하게 vortexing 한 후 에서 분간 원심 분리하여 엽록소 및 여분의 잔여 미세 시료를 층 분리 4,000rpm 30

하였으며 하층의, chloroform이 무색이 될 때까지 3회 이상 반복적으로 과정을 수

(15)

행하였다 원심분리를 통하여 엽록소를 완전히 제거한 후 상층액 만을 수거하여 회. 전 증발 농축시켰다 증발 농축시킬 때 소량의 메탄올을 넣어 농축효율을 증대시켰. 다 농축 추출액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또한, ethylacetate 처리를 위하여 상기 방법으로 동일하게 처리한 후 chloroform 층이 무색이 되면 상층액 만을 새로운 튜브로 옮긴 후, ethyl acetate와 1:1의 비 율로 혼합한 후 4,000rpm에서 2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 만을 새로운 용기로. 옮겨 담고 원심분리 후 남겨진 하층부에 다시, ethyl acetate를 처리하여 상기 방 법으로 반복하여 상층부만을 기존에 옮겨 담은 용액이 있는 용기로 수합하였다.

상기 과정을 총 3회 반복하여 ethyl acetate를 이용한 폴리페놀화합물을 완전히 얻어내도록 하였다.

옮겨져서 수합된 상층부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ethyl 를 완전히 날려버리면서 로 치환시키면서 감압 농축하였다 용매

acetate methanol .

가 완전히 제거되고 얻어진 고체 화합물의 질량을 측정하고 DMSO를 이용하여 이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100mg/ml .

5. MeOH extract

믹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료 100g을 고속으로 분쇄하였으며 상온상태에서, 85%

에 하룻밤 동안 정지해 두어 추출하였다

MeOH(methanol) 1L .

깔대기(Buchner funnel)에 Whatman No.1 여과지를 설치하고 현탁액을 걸렀으며, 남은 찌거기는 50% MeOH에 넣고 상온상태에서 하룻밤 동안 재추출하였다 메탄. 올 추출물은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으며 남은 잔존물은 증류수, 로 용해하였다 조제한 추출물은. chloroform을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와 엽록소를 분리하였다 남은 액상 잔존물들을. ethyl acetate로 통과시켯다 상기 기술한 분리. 과정과 더불어 시료를 증발시키고 -4℃에서 저장하였다.

유방암 세포주 배양과 화학적 처리

6. MDAMB231

유방암 세포주 (invasiv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DAMB231)는 에서 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 American Tissue Culture Collection(Manassas, VA)

였다 유방암 세포는. 5% fetal bovine serum (FBS), 100 U/ml penicillin 및 100

등을 첨가한 으로 의 상태에서 배양하였다

U/ml streptomycin DMEM 5% CO2 .

7. MTS assay

백출 추출물을 이용한 viability 측정은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16)

측정하였다 유방암 세포들은.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백출 추출물의 농도별 처 리 후에 24, 48 시간 후에 시간경과에 따른 세포생존율 반응을 조사하였다.

MTS(3-(4,5-dimethylthiazol-20yl)-(3-carboxymethoxyphenyl)-2-(4-sulphophen 을 첨가하여

yl)-2H-tetrazolium) solution ELISA microplate reader (Molecular

로 와 에서 흡광도와 변화를 측정

Devices, Sunnyvale, CA, USA) 492 nm 690 nm

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각 농도별 약재가 갖는 흡. 광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세포를 뺀 배지를 같이 배양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흡광 도를 비교 보정하여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8. Western blot analysis

백초 추출물은 처리한 후 유방암 세포들을 수확하고 분쇄하였다 단백질 상등액.

은 으로 전기영동 한 후 으로 옮기고

fraction SDS-PAGE membranes 5% skin milk 로 blicking 하였으며, indicated antibodies로 hybridization 하였다. Horse radish

된 는

peroxidase-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protein bands 로 관찰 측정하였다

chemiluminescence detection kit .

통계처리 9.

각각의 실험들은 3회 이상 반복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평균값 표준편차로±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의 통계분석은. student's t-test를 이용했으며, p값 이 0.05이하인 경우에 실험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 하였다.

(17)

실험결과 .

세포 생존율 결과 1.

Methanol Extracts

Fig.1.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methatanol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at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reatment

백출을 메탄올 저분자 물질 로 추출한 후 유방암 세포주인( ) MDAMB231에 처리하여 시간 시간 후에 암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농도에서 시간

24 , 48 900ug/ml 48

후 20%의 암세포생존 억제 효과가 나타남으로 큰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Fig1)

(18)

Hot-Water Extracts

Fig.2.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hot- water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at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reatment

백출의 열수 추출물 고분자 물질 이 유방암 세포주에 처리 후( ) 24시간, 48시간 후에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900ug/ml농도에서 48시간 후 35%의 암세포생존 억제 효과가 나타남으로 약간의 유의성은 보였다.(Fig2)

(19)

암표적지표 발현량 결과 2.

Methanol Extracts

Fig.3. Inhibitory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against the COX-2 and iNOS protein expression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백출의 메탄올 추출물을 300, 600, 900ug/ml의 농도별로 유방암 세포주인 에 처리하였을 경우 암표적지표인 와 의 단백발현의 결과

MDAMB231 COX-2 iNOS

의 경우 놀랍게도 가 안보여 의 억제율을 보여 고무적인 결과를

iNOS band 99%

확인할 수 있었다.

백출의 메탄올 추출물의 처리후 COX-2의 단백발현 또한 900ug/ml농도에서 의 억제율의 결과를 학인할 수 있었다

60% .

백출의 항암기작은 암표적지표인 COX-2와 iNOS의 단백발현의 결과 두드러진 효과를 보임으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

Hot-Water Extracts

Fig.4. Inhibitory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hot-water extracts from Atractylodes japonica against the COX-2 and iNOS protein expression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백출의 열수 추출물과 항암표적 지표를 비교한 결과 COX-2에서 900ug/ml의 농도 에서 60%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iNOS에서도 300ug/ml의 농도에서 다소

억제효과를 보여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분리와 정제화 과정을 거친다면 기능보강식품으로의 가능성에 유의성을 보여 준다.

(21)

토 론 .

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들이 합성항암제의 부작용이 발생함으로 생약에서 천연항암제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유방암은 선진국 지역인 미국 유럽 등지에서 호발하는 질환인데 한 해 동안 발, , 생하는 여성암중 유방암이 30%이상을 차지하여 여성암발생율 1위이며 최근 한국 에서도 발생추세가 폭발적 증가일로에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 유방암은. 년 현재 연 발생건수가 만 건을 훌쩍 넘어 갑상선암과 함께 우리나라 여성

2008 , 1

암 발생건수의 1,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거기에 머물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율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1)

한국에서의 유방암 발생율 증가는 독신 혹은 낮은 출산율 짧은 수유기간 서양식, , 식단 등 복합적인 생활환경의 서구화가 그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 들은 요즈음의 생활문화 그 자체이므로 유방암의 직접원인을 제거하여 예방한다는 차적 예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유방암 치료성적이 좋으려면 조기에

1 .

발견하는 것이 관건이므로 유방암 예방적 차원에서 2차적 예방이라 할 수 있는 조 기발견 조기치료를 위하여 정기적 유방암 검진이 아주 중요하다, . (2)

이번 실험연구에서는 백출의 특정성분을 분리하지 않았지만 백출의 생리활성 성분 으로 밝혀진 atractylon, polyacetylene 성분을 추출하여 유방암 세포주인

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했다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백출의 효능은 보비익기(補裨益氣), 조습이수(燥濕利水), 고표지한(固表止汗), 안태 의 효능이 있다

(安胎) .(14,15,16,17)

성분은 정유로서 atractylon, (+)eudesma-4(14), 7(11)-dien-8-one, 등을 함유하고 기타

atractylenolide ,Ⅰ Ⅱ Ⅲ, , acetaldehyde, 2-furaldehyde, 화합물등을 함유한다고 알려져 있다

polyacetylene .(18)

약리작용을 보면 면역계에 대한 작용 항암작용이 있음을 보게 되었고 이뇨작용의, , 예를 본다면 LSP를 처리한 유산 생쥐의 탈락막(decidua)에서는 NK세포의 수가 매 우 많고 IL-2의 농도도 높다 백출을 처리한 생쥐에서는. NK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IL-2의 분비량도 줄어든다 이러한 효과는 백출이 산모의 면역계에 영향. 을 주어 유산억제 작용이 있음을 암시한다.(19)

(22)

에 대해 억제활성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백출을 포함하는

HIV-1) protease .(16)

처방중의 하나인 당귀작약산( (當 歸芍藥散)은 배란과정에서 IL-1β와 TNF-α의 분비 를 촉진하여 호중구 주화인자를 유도하는 작용이 있다.(21)

백출에서 추출된 atractylon은 인간 백혈병세포주(human leukemia cell line)HL-60 및 생쥐 백혈병세포주 P-388의 성장을 유의성 있게 억제한다 그러나 정상적인 인. 간말초혈액 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세포독성효과를 보였다. Atractylon은 HL-60 에 대해 세포고사(apoptosis)도 유발한다.

도 이들 세포에 대해 세포고사를 유발한다

Atractylenolides Ⅰ .(,12,13)

백출은 신장의 NA , K -ATPase⁺ ⁺ 활성을 억제하고 에탄올 추출물은 이뇨작용을 보, 인다.(6,13)

가토와 개의 정맥내에 백출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혈압강 하 작용이 있고(7), Ethyl acetate 추출물은 실험적 간장해 예방효과 및 담즙분비 촉진효과가 있으며(8), 삽주에는 백출과 창출의 두 종류가 있다 흔히. 1년산 뿌리 를 백출 그 이상된 것을 창출이라 한다고 했지만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우리나라, . 에서는 수염뿌리를 없애고 말린것을 창출 그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을 백출이라 하, 여 약용하고 있지만 백출은 줄기가 백색이요 잎이 부드러운 반면 창출은 지상 되는 부분이 적갈색이요 잎은 뻣벗한 편이다 창출보다 백출은 비위 허약을

3-6cm .

도와 복통과 설사를 다스리고 입맛을 돋구며 기운을 증진시킨다 또한 체표의 방위. 력을 높이고 땀샘을 견고하게 하며 불필요한 체내의 축적을 막는다 식욕을 늘리, . 고 기운을 증강시키면서도 살이 찌지 않게 비만예방효과가 있어 중년의 남성에게 좋으며 , 특히 과음의 경향 이 있어서 변이 묽거나 설사가 잦고 배에서 항상 꼬르 륵거리는 물소리가 나는 경우에 아주 좋다.(8,13)

는 전통적으로 통증과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Atractylodes japonica .

면역 분석법을 조사한 결과 Atractylodes japonica의 추출물의 수성은 inducible 질소를 함유하는 산화물 synthase와 원시 264.7 macrophages에서

표현의 자극 강화의 저해로

cyclooxygenase - 2 mRNAs lipopolysaccharide -

질소를 함유하는 산화물의 생산 및 PGE2 합성을 증거로 Atractylodes japonica에 미치는 안티 - 염증성 및 진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2)

추출물의 루트는 차별화의 과산화수소 유발

Atractylodes japonica osteoblastic

억제에 대한 osteoblastic MC3T3 - E1 급 세포를 보호합니다. Atractylodes

(23)

의 그리고 몸 속의 수분 보유의 치료를 위해 전통적으로 japonica Koidz rhizome.

사용되었으며 에스트로겐과 같은 활동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의 연구에서는, japonica 루트의 보호 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japonica 루트가 산화 스트레스 유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있는 골격 구조에 긍정적인 효 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줍니다.(23)

약리적으로 생쥐의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탐식 능력을 증가, , 세포 면역 기능 촉진이 보고되었다 또한 장관. (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및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및 혈당 강하, ,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26)

의 은 관절염 기관지염과 호흡기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AJK) rhizome , ,

감염증의 치료를 위한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알레르기 염증 반응이 마스 트 세포에 대한 치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22)

는 고급악성질환의 가장 일반적인 징후 모든암환자 죽음의 담당 진

Cachexia ( 22% -

보적인 체중감량과 야위고 뚱뚱한 몸 질량의 고갈이 특징), 특히 위암 환자에 의 높은 발병률이 있다 이러한 환자들을 위해 중국에서는 의

Cachexia . largehead

년 동안 거식증과 같은 위장관 증상을 개량하는데 사용 atractylodes rhizome 2000

되었다.

는 소화기 장애를 가진 환자 특히 만성피로 피로 창백얼굴 설사

Atractylodes , , , , ,

식욕부진 구토와 거식증의 손실과 같은 증상으로 수술이나 만성질환 후 회복에 대, 한 임상 적용되었으며 또한 암종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현대 약물 연구원 largehead의 atractylodes rhizome은 위장과 창자 운동성 분비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 특히 암치료를 위한 유리한 약물로, 작용 백혈, 병 세포라인에 주요 성분이 있었고 종양세포의 성장에 상당한 억제효과를 보여주 었다.

또한 Atractylodes japonica rhizome은 통증과 관절염의 치료제로 염증성 및 진통 의 효과가 있고 (22),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효과도 있으며(22), 중국에서는 위암 치료 처방에 쓰는 약초중의 하나로 사용되었고(25), root는 osteoblastic 급 세포보호하며 인간의 마스트세포에서 전염증성 크린 시 MC3T3-E1 (23),HMC-1

토킨의 생산을 억제하여(16)에이즈-1 활동에 한국어 식물이 억제효과가 있다고 발 표되었고(26),폐암에 전통적인 중국 처방에 쓰는 약초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 다.(24)

(24)

양했고 대조군 비처리군 은 배양액을 첨가하였고 실험군은( ) MTS solution을 첨가하 여 ELISA 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와 변화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살펴보았 다.

본 연구는 백출이 메탄올 추출물에서시간과 농도의존적으로 유방암 세포주 에서 유의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 유방암 세포의 MDAMB231 cell lines

성장억제율의 농도가 900ug/ml일 때 99%로 높게 나타나 하암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백출의 에탄올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주에 항증식 효과가 나타나 유방암 치료목적 으로 이용될 경우 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백출의 어떤 성분이 항증식 효과가 있는지는 연구가 계속 필요하며 추출용 매에 따라 활성성분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실험은 in-vitro 실험임으로 추가적으로 in-vivo와 human실험이 지속적으 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25)

결 론 .

백출(atractylodes japonica) extract로써 유방암의 억제증식효과를 실험한 결과 메탄올 추출에서 시간과 농도의존성에서 유익한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나 열수 추출에서는 48시간의존성에서 고분자 900에서 35%억제효과를 보였다.

백출(atractylodes japonica) COX-2와 iNOS로써 유방암의 억제증식효과를 실험 한 결과 메탄올 추출에서 암세포증식억제와 암표적인자의 발현억제기능이

의 효과를 보였다 COX2(60%), iNOS(99%) .

열수 추출에서는 암세포증식과 암표적인자의 발현억제기능이 COX2(60%), 에서 다소 억제효과를 보였다

iNOS 300 .

이상과 같은 점으로 보아 백출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이 식품가공을 통해서 식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으며 유방암의 COX-2와

의 억제증식 효과가 다소 보임으로

iNOS isolation과 purification test를 거쳐 좀더 다양하고 정밀하게 검토된다면 임상적 효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6)

참고문헌 .

1. Park NS."Current status of breast cancer", Society Center Prevention, 8(4): 236-244(2003)

2. LeeYJ, lim WC, Jin YH, Lee SK.“Effects of estrogen recepter and estrogen on the chromatin structure in estrogen recepter stable transfectant Exp.Mol.

Med.2002:34:95-99.

3. Jemal A, "Cancer Statitics 2009", CA Cancer J Clin 2009:59:225-249

남주현 기자 필수속옷 브래지어가 유방암 발병 원인 년

4. . “ ?”, 《SBS , 2009》 12

월 14일 작성. 2010년 1월 20일 확인.

5. New York Times Q&A Bras and Cancer[1]

오상환 한방 약리학 제 판

6. , “ 2 ” 2005, p712-714 신재용 남성 신 동의보감

7. , “ ”, 2003, 627p 오상환 한방약리학

8. , “ ”2005, P711-714 안덕균 한국 본초도감

9. , ,1998, 663p

장일무 전재우 김제훈 창출과 백출에 관한 연구 한국생

10. , , , Michico Takido, " “, 약학회지(1989)

허준 동의보감 내경편

11. , “ ”2002, P812-813, P1824-1826

이성옥 서지희 유미영 백출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저해효과 생약학회지

12. , , , “ ”, ,

2005, VOL36 : P201-204

김재길 소배근 동양전통약물 원색도감

13. , , “ ”,1995, P94-96

14. Katsuya Endo, Hiroshi Hikino and Hajime Fujimura: Chem. Pharm. Bull.

1979:27:2954

15. Zhong xh, Zhou ZX, Li TS, WangEQ, Shi WY , Chu SM. "Anti-abortive effect of Radix scutellariae and Rhizoma atactylodis in mice." Am J Chin Med. 2002:30:109-17

16. Min BS, Kim YH, Tomiyama M, Nakamure N, Miyashiro H, Otaka T, Hattori M."Inhibitory effects of Korean plants on HIV-1 activities."Phytother Res. 2001;15:481-6

17. Irahara M, Yasui T, Tezuka M, Ushigoe K, Yamano S, Kamada M, Aono

(27)

T, "Evidence that Toki-shakuraku-san and its ingredients enhance the secretion of a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CINC/gro) in the ovulatory process." , Methods Find Exp Clin Phamacol.2000;22:725-30

18. Wang CC, Chen LG, Yang LL, "Cytotoxic activity of sesquiterpenoids from Atractylodes ovata on leukemia cell lines." Planta Med .2002;68:204-8

19. Satoh K, Yasuda I, Nagai F, Ushiyama K, Akiyama K, Kano I:" The effects of crude drugs using dieuretic on horse kidney(Na +K )-adenosine⁺ ⁺ triphosphatase, " Yakugaku Zasshi . 1991;111-138-45

20. Suk-Tae Ko, Se-Min Sea, “Hypotensive Action of Atractylodes rhizoma alba Extract."J. Korean Pharm. Sci , 1976; 6:101-110

21. Yamahara, J, et al; Yakugaku Zasshi, 1983;37:17

22. Mi-Hyeon, Min-Chul Kim, Ye-Jin Kim, Chang-ju Kim, Yeunhee Kim and Ee-Hwa Kim, ' Atractylodes japonica suppresses Lipolysaccharide- Stimulated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 oxygenase-2 in RAW 264.7 mACROPHAGES", Biol, Pharm, Bull, vol27, 324-327(2004)

23. Eun Mi Choi, Gun-Hee Kim, Yong Soo Lee, “Atractylodes japonica root extract protects osteoblastic MC3T3-E1 cell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inhibition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rticle first published online: 13 MAY 2009

24. Kamei T, Kumano H, Iwata K, Nariai Y,Matsumoto T.J “The effect of a traditional Chinese prescription for a case of lung carcinoma.”Altern

Complement Med. 2000 Dec5.

25. Cao W, Zhao AG. Zhong Xi Yi Jie He Xue Bao. “Prescription rules of Chinese herbal medicines in treatment of gastric cancer”2009 Jan;7(1):1-8.

26. Liu Y, Ye F, Qiu GQ, Zhang M, Wang R, He QY, Cai Y.‘Effects of lactone I from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on cytokines and

proteolysis-inducing factors in cachectic cancer patients“Di Yi Jun Yi Da Xue Xue Bao. 2005 Oct;25(10):1308-11.

27. Sun Z, Su YH, Yue XQ.Zhong Xi Yi Jie He Xue Bao. “Professor Ling Changquan's experience in treating primary liver cancer an analysis of herbal medication”2008 Dec;6(12):1221-5.

28. Liu Y, Jia Z, Dong L, Wang R, Qiu G. “A Randomized Pilot Study of

(28)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8 Sep;5(3):337-344.

(29)

저작물 이용 허락서

학 과 대체의학과 학 번 20098634 과 정 석사과정

성 명 한글 : 이효순 한문 : 영문 : Lee Hyo Soon 주 소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355-13

연락처 E-MAIL : hyosoon0301@hanmail.net (010-9024-3687)

논문제목

한글 : 백출(Atractylodes japonica)의 추출물이 인체 유방암 세포주에 미치는영향

MDAMB231 영어 :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아래 조선대학교가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동의합니다.

다 음

- -

저작물의 구축 및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망에의 공개를 위한 저작물의

1. DB

복제 기억장치에의 저장 전송 등을 허락함, ,

위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의 편집 형식상의 변경을 허락함

2. ㆍ .

다만 저작물의 내용변경은 금지함, .

배포 전송된 저작물의 영리적 목적을 위한 복제 저장 전송 등은 금지함

3. ㆍ , , .

저작물에 대한 이용기간은 년으로 하고 기간종료 개월 이내에 별도의 의사

4. 5 , 3

표시가 없을 경우에는 저작물의 이용기간을 계속 연장함.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또는 출판을 허락을 하였을 5.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대학에 이를 통보함.

조선대학교는 저작물의 이용허락 이후 해당 저작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타인에 6.

의한 권리 침해에 대하여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

소속대학의 협정기관에 저작물의 제공 및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7.

저작물의 전송 출력을 허락함.ㆍ

동의여부 : 동의( ○ ) 반대( )

년 월 일

2011 2

저작자 이: 효 순 ( )

조선대학교 총장 귀하

Referensi

Dokumen terkait

- 47 -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GWP - Focus on GWP Case of IBK Bank SunChun District Office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 아래 조선대학교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이를 통해 WT과 spy 돌연변이 균주는 SPI-2 관련 effector 단백질에 대한 유전자 전사 수준이 비슷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WT and spy::cm mutant transcription level of sseA, sseJ, pipB, sifA genes in SPI-2

본 연구에서는 복합레진 블록을 제작하여 소의 법랑질에 1종의 자가부식 레진시 멘트 Panavia F 2.0와 3종의 자가접착 레진시멘트 RelyX Unicem Clicker, 및 로 합착하여 BisCem Maxem 레진시멘트의 종류에 따른 미세인장 결합강도와 결 합계면을 상호 비교하였다... 최근에 발거된 소의 전치 16개를

LIST OF TABLES Table 1 Material properties of the CFRP prepreg sheet ···25 Table 2 Impact collapse test result for circular members with outer angle 0°according to interface number

10 Collapsed shape of CFRP hat-shaped sectional members dry specimen, 7 interface, outer angle 90°, Static 43 Photo.. 11 Collapsed shape of CFRP hat-shaped sectional members dry

LR Average distance to rivet center from right-side corrosion Cth Cut-off threshold % of maximum data LLth Distance threshold for left-side corrosion LRth Distance threshold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