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he erosion control measure, we have adopted beach nourishment and underwater reef method available at that site under various countermeasures. Numerical analyzes were made for both beach nourishment only and beach nourishment with submerged reefs and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us to find out the optimum design and to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a long-term plan of beach loss protection.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해빈 변형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태풍, 폭풍 등 이상파도에 따른 단기 지형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 실험을 통해 테이블 이동 및 해저 변화 추세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치해석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이들 해역의 침식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동향
테이블 운동에 사용되는 기존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테이블 이동을 통한 지형 변화를 분석하는 모델은 다음과 같다.
대상해역의 위치
대상해역의 자연조건
외해류는 동쪽→북해류→서쪽으로 흐르고, 썰물은 반시계방향으로 흘러 동쪽→남류→동해류로 흐른다. 대상해역의 해저질 분포는 대천해안해안정비사업의 기초조사 및 실시계획사업(보령시, 2003)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평균 입자크기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침식모니터링 이력조사
수치모델은 바람조건을 이용하였고, 바람에 의한 파동발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바람에 의한 파동의 선형 성장을 계산하는 A는 Phillips(1957) 공진기 구를 반영하며 Pierson-Moskowitz(PM) 주파수 이하의 저주파 성장을 제한하기 위해 Cavaleri 및 Malanotte-Rizzoli(1981)에 의해 설계되었습니다. 공식. 여기서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회절계수이다.
회절에 의한 전파속도는 다음과 같다. 구조물의 반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는 평균빈도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해빈류 모형
한편, 는 과전압(조도)으로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한편, 해저마찰응력은 단일 진행파에 대해 도출된 Nishimura(1985)의 근사식을 사용한다.
지형변동 모형
한편, 파동에 의한 작은 전류량(qw)은 다음과 같다. 사질토에 대한 수력실험 결과에 따르면 무차원계수 Ac는 Aw보다 약 10배 정도 큰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천해수욕장의 표면이동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 광역 및 하위지역 모델(중첩모델)을 구축하여 해상도와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테이블의 움직임에 따른 장단기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대상파도는 이상파와 정상파로 하였으며, 백사장 해변에서의 테이블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대략적인 최고조위를 실험조위로 설정하였다. 실험 수위 높은 수위 약. 높은 수위 약.
수치모델의 검증
실험 결과는 일반적으로 관측된 지형 변화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표 4.3). 따라서, 이번 지형변동 수치실험 결과에 따른 지형변동이 비교적 잘 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치실험 조건
. 또한, 대천해수욕장 표면의 움직임에 따른 지형 변화의 추이를 이해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므로 4.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험조위에는 대략 최고조 조위 조건을 적용하였다.
수치실험 결과
차폐 현상으로 인해 해류는 여름보다 적고 방향은 해안을 향해 남쪽으로 향합니다. 침식은 해안 전역에 걸쳐 발생하였지만, 그 범위와 크기는 여름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해류의 방향은 모든 계절에 걸쳐 해안을 향해 북향하는 흐름을 보였다.
해안과 평행하게 표류하는 모래의 이동을 차단하는 데 효과적이며 건설 비용이 저렴합니다. 해안선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부두보다 효과적이다. 해안경관을 보호하고 해안환경 변화를 최소화한다.
대책공법에 대한 수치해석
침식은 해변 전면 약 200m에서 발생하며 퇴적물은 주로 이 지역의 상단과 노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양수강우 적용 후에도 해수욕장 전체에 침식 및 퇴적 현상이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침식 및 퇴적 현상이 많이 발생한 A~D 지역에서는 여름철에 침식 및 퇴적 면적과 규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토공법과 마찬가지로 하절기 시작점과 중앙부에 전방 100m까지 성토와 성토를 동시에 적용한 경우, 성토와 성토를 모두 적용한 후 침식저감 효과도 높았다. 중앙돌출부 성토로 인해 토사유출량이 감소하였고, 낙하로 인한 퇴적량이 높았다.
겨울철에는 시작점, 중앙부, 종점에서 침식저감효과가 높았으며, 양빈시공시 침식이 발생한 중앙연장부에서는 설치로 인한 표사량 감소로 인한 퇴적현상이 발생하였다. . 댐의. 여름철에는 남쪽측의 침식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침식 구간에서는 퇴적물이 발생한 부분이 발생하였다. 겨울철에는 전면의 침식 및 퇴적량과 면적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침식이 많이 발생한 상부와 남부측에서는 감소효과가 탁월하였다.
겨울철에는 침식토양과 양토를 적용한 경우 A, C, D 구간 모두에서 침식저감 효과가 높았으며, 양토를 적용한 경우 최대 100m 떨어진 곳까지 침식이 발생한 B구간에서도 양토를 적용한 경우에서 유출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수중 및 확산 토양을 사용하면 감소하여 침전이 발생합니다. 겨울철에는 시작점, 중앙부, 끝점에서 침식저감효과가 높았으며, 양빈시공시 침식이 발생한 중앙돌기에서는 침식으로 인한 표층사의 유출량이 감소하여 퇴적이 발생하였다. 설치. 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