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전 략 환 경 영 향 평 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전 략 환 경 영 향 평 가"

Copied!
13
0
0

Teks penuh

(1)

운 연 천 하 천 기 본 계 획 ( 변 경 )

전 략 환 경 영 향 평 가

< 초 안 : 요 약 보 고 서 >

2019. 03

인천광역시 종합건설본부

(2)

목 차

제1장 계흭의 개요

··· 1

제2장 환경현황조사, 예측・분석, 저감방안

··· 5

2.1 생물다양성 서식지 보전

··· 5

2.2 지형 및 생태축의 보전

··· 6

2.3 주변 자연경관에 미치는 영향

··· 6

2.4 수환경의 보전

··· 7

2.5 대기환경기준의 부합성(대기질)

··· 8

2.6 토양환경기준의 부합성

··· 9

2.7 소음・진동환경기준의 부합성

··· 9

2.8 자원・에너지 순환의 효율성

··· 10

2.9 환경친화적 토지이용

··· 10

제3장 종합평가 및 결론

··· 11
(3)

제1장 계흭의 개요

1.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 하천기본계획이 10년이 경과된 하천으로 도시화 추세 등으로 인한 하도 및 수리 ․수문

특성변화와 하천 관리운영의 미비점 보완이 시급한 상황임

이에 따라 하천기본계획 재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하천법 제25조 및 동법시행령 제24조 규정에 의거 하천의 관리, 이용, 보전, 개발, 수질보전, 치수경제, 하천환경, 수 변경관 및 생태계 보전계획에 관련된 사항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여 하천기본계획 을 수립하고, 수자원 종합개발 지침을 확립하고자 함

1.2

계획의 추진경위 및 계획

2008. 11 : 운연천 하천기본계획(변경) 수립

2017. 08 : 운연천 하천기본계획(재수립) 착수

2017. 12 :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착수

2018. 12 :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

2019. 01 :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 공개

1.3

계획의 실시근거

∙ 본 계획은 「환경영향평가법」 제9조 및 동법 시행령 제7조 제2항 [별표 2] (2. 개발기본

계획 중 자. 하천의 이용 및 개발)에 의거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해당함

전략환경영향평가 실시근거

구 분 행정계획의 종류 협의요청시기

자. 하천의 이용 및 개발

3) 「하천법」 제25조에 따른 하천기본계획 「하천법」 제25조제5항에 따라 국토교통부장 관 또는 관리청이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는 때

주) 환경영향평가법 제9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7조 [별표 2]의 2. 개발기본계획

(4)

1.4

계획의 개요

사업명 : 운연천 하천기본계획(변경)

사업시행자 : 인천광역시 종합건설본부

승인기관(협의기관) : 인천광역시(한강유역환경청)

사업기간 : 2017 ~ 2019년

위치

하천명 구분

위 치 유역면적 (㎢)

하천연장

(㎞) 비 고

시 점 종 점

운연천

기고시 (2008년)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연동 494번지선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연동 신천(지방)합류점 2.16 2.81

인천광역시 고시 제2008-226호 금회

(2018년) 상동 상동 2.13 2.81

계획빈도

하천명 구간 금회

계획빈도

기수립

계획빈도 비 고

운연천 전 구간 80 80 운연천 하천기본계획(변경)(2008, 인천광역시)

배수 구조물 계획

하천명

현황 재가설(개소)

연결부 보강(개소) 신설 계 배수암거 배수통관 소요단면

부족 개수계획

운연천 20 5 15 4 16 - -

낙차공 및 교량 계획

(단위 : 개소)

하천명 총계

설치계획

비고

재가설(재설치) 이설 철거 존치

운연천

낙차공 9 5 - 4 -

교량 12 3 - 2 7

(5)

계획하천 모식도

신 천 소래천

음실천

운연천

걸재천

양오재천

방골천

산우물천

하 우 천

서 해 (소래포구)

지방하천 소하천 하천차수 시점부 합류부

범 례

① ②

(6)

위치도
(7)

제2장 환경현황, 예측·분석 및 저감방안

2.1

생물다양성 서식지 보전

현 황

∙ 본 계획하천 및 주변지역은 이차림인 신갈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조림지인

밤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등이 분포함 - 식물상 : 44과 91종 13변종 총 111분류군

- 식생보전등급: Ⅲ,Ⅳ,Ⅴ등급

- 포유류: 4과 5종 - 조류: 12과 17종 235개체 - 양서·파충류: 2과 2종, 1과 1종 - 육상곤충: 4목 8과 8종 - 어류: 1과 3종 - 저서동물: 17과 21종 - 법정보호종: 3종(문헌조사포함)

영향예측

∙ 계획하천 내의 식생은 이미 벌초작업으로 인해 대부분이 훼손되어 계획시행으로

인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

∙ 출현한 육상동물 대부분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이동성이 크고, 육수동물의 경

우 오염에 내성이 강한 종들이 우점하여 계획 시행 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

저감방안

∙ 단계별 토공계획수립, 출입차량의 속도제한, 토공작업구간에 주기적인 살수, 방

진망 설치, 운반차량(덤프트럭 등)에 먼지덮개 설치 등으로 비산먼지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

∙ 가배수로 및 오탁방지막을 설치하고, 집중호우시기를 피하여 공사를 실시할 예정임

(8)

2.2

지형 및 생태축의 보전

현 황

대부분 하천유역이 표고가 낮은 평지유역에 해당함

∙ 지질은 대부분 선캠브리아기 편마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획하천은 흑운모화강암,

충적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됨

영향예측

∙ 계획하천의 유역은 평탄한 지형으로 이루어져있어 절·성토 작업으로 발생하는 사면고

는 낮을 것으로 판단됨

공사 시 일시적으로 나지상태가 되므로 이 때 강우로 인한 토사가 주변 농수로 및 구거 등에 유입되어 농경지의 피해나 수질오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저감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저감방안

∙ 하천의 평면계획 수립 시 하천의 제반 환경을 고려하여 기존의 하천형상을 최대한 살

리고, 계획홍수량을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는 하폭을 기준으로 하도선형을 결정함

∙ 공사 시 절·성토 작업으로 발생하는 사면고가 낮을 것으로 판단되나 안정성 확보 및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위하여 식생보호공을 시행하도록 계획하고, 조기피복할 예정임

2.3

주변 자연경관에 미치는 영향

현 황

계획하천 북측으로 관모산, 소래산 등이 입지해 있어 산림경관자원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으로 도시경관과 수경관자원이 분포함

문화재 및 보호수 현황

- 시도기념물 제3호 김재로묘(이격거리 약 250m) - 보호수(2004-5-5)소나무 3주(이격거리 약 300m)

영향예측 ∙ 계획시행으로 인해 하천 내 교량, 보, 낙차공, 제방 등의 시설물의 재설치 및 철거가 이루

어지는 지역을 중심으로 경관상의 변화가 예상됨

저감방안 ∙

계획홍수량의 안정적인 소통을 위한 통수단면 확보를 위해 현 유로선형을 최대한 유지하고 필요구간에 대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축제 및 보축계획 수립
(9)

2.4

수환경의 보전

현 황

하천수질 현황

- W-1,2 : 전 항목 매우좋음(Ia)~보통(III) 등급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람의 건강보호기준과 비교시 ABS항목이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됨

하천저질 현황

- GW-1,2 : 모든 조사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2지역(하천) 기준은 물론 1지역 기준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됨

∙ 수질오염총량관리: 해당없음

영향예측

공사 시

- 우수유출량: 0.65㎥/sec - 토사유출량: 5.12ton/일 - 오수발생량: 10.2㎥/일

교량 계획 결과

하천명 교량

개소

설치계획

재가설 이설 철거 존치

운연천 12 3 - 2 7

저감방안

공사시

- 우기 피하여 토공사 실시

- 토공계획을 수립하여 발생토사의 적치가 없도록 함 - 가배수로 및 침사지 설치

- 분뇨의 경우 간이 화장실 설치하여 위탁처리할 계획

- 토사유출이 심할 경우 계획하천 하류지역에 오탁방지막을 설치할 예정

- 유류유출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비상연락체계 구축

- 교량공사 시 가도 등의 가시설을 설치하여 하류로의 토사유출 영향을

(10)

2.5

대기환경기준의 부합성(대기질)

현 황

∙ 대기질 현황(4개 지점)

- PM-10 : 39.4 ㎍/㎥ - PM-2.5 : 30.1 ㎍/㎥

- SO

2

: 0.005 ppm - NO

2

: 0.051 ppm - O

3

: 0.010 ppm - CO : 0.6 ppm - Pb : 불검출 - 벤젠 : 0.24㎍/㎥

∙ 측정결과 환경기준을 하회

영향예측

∙ 공사시 - PM-10 : 39.40 ㎍/㎥

- PM-2.5 : 30.10 ㎍/㎥

- NO

2

: 0.051∼0.053ppm

∙ 예측결과 전 지점 및 전 항목에서 대기환경기준(24시간)을 만족 하는 것으로 예측되어 공사시 토공사로 인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

저감방안

∙ 공사시 - 공사장에 주기적인 살수 - 세륜·세차시설 설치 - 작업대기 차량 공회전 금지

- 이동식 방진망 설치 및 수직방진망 설치

- 진입도로 및 공사장내 차량속도를 20 km/h 이내로 제한

(11)

2.6

토양환경기준의 부합성

현 황

∙ 토양 현황

- pH : 6.6 ~ 7.4㎎/㎏ - Cu : 8.0 ~ 126.0㎎/㎏

- Pb : 13.2 ~ 19.1㎎/㎏ - Zn : 9.9 ~ 10.9㎎/㎏

- Ni : 9.7 ~ 35.9㎎/㎏

- Cd, As, Hg, Cr+6, 페놀, 유기인은 불검출

∙ 전 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1지역 기준을 만족함

영향예측

∙ 공사시 - 공사장비 운용에 의한 폐유발생이 예상됨 - 투입인부에 의해 분뇨 발생이 예상됨

저감방안

∙ 공사시

- 불가피하게 현장에서 오일교환시 폐유보관소 설치하고, 수집·보관하여 전량 위탁처리 - 공사 시 작업인부에 의한 분뇨는 현장사무소 내 화장실 또는 이동식 간이화장

실을 설치하여 전량 위탁처리

2.7

소음·진동환경기준의 부합성

현 황

∙ 소음 현황(4개 지점)

- 일반지역

· 주간 : 49.6 dB(A) · 야간 : 42.7 dB(A) · 일반주거지역 기준 만족

∙ 진동 현황(4개 지점)

· 주간 : 21.8 dB(V) · 야간 : 21.1 dB(V) · 모든 지점 기준치 만족

영향예측

∙ 공사 시 소음

- 예측결과 48.5~74.1dB(A)로 계획지구와 인접한 정온시설에서는 해당 목표기준을 초과

∙ 공사 시 진동

- 전 지점에서 해당 목표기준을 만족

저감방안

∙ 공사시

- “공사장 소음 ․ 진동 관리지침서” 를 준수

- 공사 투입 차량의 속도제한(20km/hr 이하) 및 경적사용, 공회전 금지 - 저소음 ․ 저진동 건설장비의 운용권장

(12)

2.8

자원·에너지 순환의 효율성

현 황

∙ 생활계 폐기물(인천광역시 남동구)

- 총 발생량 : 551.8톤/일 - 가연성 : 114.1톤/일 - 불연성폐기물량 : 208.0톤/일 - 재활용품 : 54.2톤/일

- 남은 음식물류 배출 : 175.5톤/일

∙ 분뇨 발생량(인천광역시 남동구) - 343.0㎥/일

영향예측

∙ 공사시

- 건설장비에 의한 폐유발생 : 10.4 L/일

- 공사인부에 의한 생활폐기물 및 분뇨발생 : 35.7㎏/일, 22.1L/일

저감방안

∙ 공사시

- 인근 정비업소 이용 및 폐유보관소에 보관 후 위탁처리 - 분리수거함, 이동식 간이화장실 설치

- 건설폐기물 성상별 분리․배출처리

2.9

환경친화적 토지이용

현 황

∙ 계획하천(유역) 토지이용현황

- 전체면적 2.16㎢으로 임야가 전체 50.51%를 차지하고 있으며 답 19.90%, 전 16.84%

순으로 분포함

∙ 하천 시설물 현황

- 계획하천 내 교량 12개소, 배수암거 5개소, 배수통관 15개소 등 총 20개의 배 수시설물과 낙차공 9개소 등이 설치된 것으로 조사됨

영향예측

∙ 제방 및 호안

- 제방 5개소, 호안 2개소, 보축 2개소 계획

∙ 교량계획

- 재가설3개소, 철거2개소 등 총 12개소

∙ 낙차공 및 어도계획 - 9개소(어도 5개소 포함)

저감방안

∙ 계획하천 내 편입 토지 및 건물, 지장물 등에 대해서는 적법한 절차를 통해 당사자 및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보상할 계획

(13)

제3장 종합평가 및 결론

3.1

종합평가 및 결론

내 용

∙ 계획시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예측·분석하기 위해 계획하천 및 주변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계획시행에 따른 영향을 예측·분석함

계획시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토공사로 인한 토사유출발생 및 비산먼지발생, 소음발생, 지형·지질 및 경관 변화 등 일부 영향이 예측됨

따라서 계획시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영향에 대해서 각 환경항목별 저감 방안을 수립·시행하고 공사단계에서 사업완료 시까지 환경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본 하천 계획에 따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계획의 목적에 부합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