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Copied!
5
0
0

Teks penuh

(1)

(단위: $/배럴)

5/27 6/3 증감

WTI 100.58 100.30 -0.28

브렌트 114.78 115.60 +0.82

두바이 109.16 108.21 -0.95

1.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6 월 첫째 주 (5.30~6.3) 국제유가는 지정학적 불안 , 그리스 추가 구제금융 승 인에 따른 달러화 약세 , 미국 - 캐나다 간 송유관 가동 중단 소식에도 불구하 고 경기둔화 우려와 OPEC 증산 가능성 등으로 보합세를 나타냄 .

예멘과 시리아의 반정부 시위 격화로 사상자가 속출됨에 따라 지정학적 불 안이 확대됨 .

시리아에서는 반정부 시위대에 대한 무력진압으로 수십 명이 사망하였고 , 예 멘에서는 경비대와 부족 간 충돌로 15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반정부군의 대 통령궁에 대한 포탄 공격으로 살레 대통령이 부상당한 것으로 알려짐 .

그리스의 추가 구제금융이 승인됨에 따라 유럽 재정위기 우려가 완화되면 서 달러화 약세로 이어짐 .

지난해 유럽중앙은행 (ECB) 과 IMF 를 통해 올해 조달하기로 했던 5 차 구제금 융 120 억 유로를 집행 승인됨에 따라 유로화는 달러화 대비 강세를 나타냄 . 미국 정부의 채무한도 상향조정이 공화당에 의해 하원에서 부결된 것도 달러 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함 .

미국과 캐나다를 잇는 송유관이 누유로 가동 중단됨에 따라 미국 내 원유 공급우려 제기됨 .

캐나다 TransCanada 사는 캐나다 알버타와 미국 오클라호마 쿠싱을 잇는

(2)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Keystone 송유관에 누유가 발생함에 따라 5 월 29 일부터 가동을 중단함 . 미국의 연이은 경기지표 악화로 세계 석유수요 감소 우려 계속됨 .

미국 5 월 민간고용근로자수 증가가 전문가 (Bloomberg) 예상치 17 만 5 천명 에 한참 못 미치는 3 만 8 천명으로 집계된 가운데 신규 일자리 수도 전월의 23 만개의 1/4 에 못 미치는 5 만 4 천여 개로 8 개월 최저치를 기록함 .

미국 5 월 실업률은 전월대비 0.1%p 상승한 9% 를 나타냈으며 5 월 제조업 지 수도 전월보다 6.9p 하락한 53.5 를 기록함 .

6 월 8 일 OPEC 총회를 앞두고 사우디 요청에 따른 OPEC 생산쿼터 증산 가능성이 제기됨 .

사우디 석유장관 알리 알 나이미는 유가안정 위해 OPEC 증산을 요구하는

한편 , GCC 국가들과의 공조를 통해 회원국들을 설득할 것으로 알려짐 .

한편 , 사우디는 OPEC 총회 개최 이전인 5 월과 6 월에 걸쳐 총 70 만 b/d 가 량 증산해온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사우디의 6 월 원유생산량은 9.5 백만 b/d 이상일 것으로 추정됨 .

2.선물 유가

Nymex-WTI 선물거래 가격 및 비상업 순매수 추이 (5월 31일 기준)

(단위: 계약)

매수(A) 매도(B) 순매수

(A-B)

상업용 680,527 900,146 -219,619

비상업용 337,326 146,189 191,137

주: (A-B)가 (-)인 경우 순매도를 나타냄 자료: Reuters, CFTC

5 월 31 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대비 3.1% 상승한 $102.70/ 배 럴을 기록함 .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CFTC) 가 발표한 5 월 31 일 기준 Nymex 의 대형 투

기자금에 의한 원유 (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대비 8.1 백만 배럴 감소한

191.1 백만 배럴을 기록함 .

(3)

원 유 370.3 370.3 370.9 373.8 +2.9 +0.8%

휘발유 205.8 205.9 209.7 212.3 +2.6 +1.2%

중간유분(난방유 등) 144.3 143.1 141.1 140.1 -1.0 -0.7%

중 유 37.6 36.3 38.1 38.0 -0.1 -0.3%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 일자

구분 5/6 5/13 5/20 5/27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4.11 14.35 14.84 14.85 +0.01 +0.1%

가동률(%) 81.7 83.2 86.3 86.0 -0.3%p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5/6 5/13 5/20 5/27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8.83 9.05 9.03 9.43 +0.41 +4.5%

중간유분(난방유 등) 3.77 3.62 3.98 3.85 -0.14 -3.5%

중 유 0.60 0.55 0.46 0.56 +0.10 +22.1%

총석유제품 18.16 18.52 18.92 19.13 +0.22 +1.2%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5/13 5/20 5/27 전주대비

5/13 5/20 5/27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8.57 9.23 9.52 +0.29 +3.1% 5.62 5.58 5.61 +0.03 +0.5%

휘발유 0.86 1.45 1.24 -0.21 -14.4% 9.13 9.26 9.58 +0.32 +3.4%

중간유분 0.11 0.10 0.12 +0.02 +19.4% 4.01 4.26 4.26 -0.01 -0.1%

중유 0.21 0.55 0.37 -0.17 -31.6% 0.54 0.55 0.55 0.00 -0.4%

자료: EIA/DOE

(4)

OPEC 159 차 총회 결과 및 향후 전망

1. 개요

〇 석유수출국기구(OPEC) 159차 정기총회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현지 시간 6월 8일 개최

- 12개 회원국 석유부 장관이 참여하기로 되어 있으나 리비아는 전 석유부 장관 쇼크리 가넴의 망명으로 친 카다피 인사인 오므란 아부라크 전 국영전력사장이 참석함.

2. 주요 쟁점사항 및 결과

〇 이번 총회에서 2008년 12월 결정된 생산쿼터(24.85백만b/d)의 상향 조정 여부 및 OPEC의 실질적인 증산 결정 여부가 최대 화두였으나 증산합의에 실패 - 사우디를 비롯한 GCC(사우디, 쿠웨이트, 카타르, UAE)은 유가 안정을 위해

4월 생산량(28.8백만b/d)보다 1.5백만b/d 증산할 것을 요구함.

- 의장국인 이란을 포함한 베네수엘라 리비아 등의 강경 반미 회원국들과 그 외 4개국(리비아, 에콰도르, 앙골라, 이라크, 알제리)의 증산반대 입장으로 나이지리아가 중립을 유지한 가운데 증산합의는 무산됨.

〇 증산합의 실패의 표면적 원인은 “원유공급 충분”, 본질적 원인은 정치적 대립 - 증산에 찬성하는 사우디를 비롯한 GCC 4개국은 미국, 유럽 등의 서방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중시하는 반면 이란, 베네수엘라, 리비아는 최근 정치적 문제로 반미 감정이 심화됨.

※ 이란과 베네수엘라는 미국의 이란 제재조치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리비아는 미국의 반정부군 지원이 원인임.

- 카타르가 리비아 반군의 석유수출을 지원하여 리비아 정부와 불편한 관계에 있으며 사우디는 바레인에 반정부 시위 진압병력 파견으로 이란의 원성을 사는 등 OPEC 회원국 간 갈등도 증산 실패요인으로 작용함.

(계속)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Special Topic

(5)

- 사우디가 5월과 6월에 걸쳐 최소 70만b/d 이상 증산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가운데 사우디 석유장관은 OPEC 총회 후 인터뷰에서 추가 증산 가능성을 시사함.

- 걸프 회원국 관계자는 이번 합의 실패에 대해 OPEC의 강제쿼터 체제가 붕괴된 것을 의미한다고 논평하며 회원국들의 자의적인 증산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함.

〇 비축유 방출 가능성 대두, 나토군의 리비아 압박 가속화

- 석유증산 부결 소식 후 IEA 총재는 인터뷰에서 석유공급 부족이 가시화되면 비축유를 방출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함.

- OPEC 증산 실패로 나토군은 리비아 내전을 조기종식 시키기 위해 카다피 군에 대한 공격 수위를 높일 것으로 전망됨.

〇 국제유가는 단기 상승 후 하락할 것으로 전망

- OPEC 증산 불발로 국제유가의 일시적 상승 동요는 있겠으나 미국 경기둔화가 가속화되는 조짐을 보임에 따라 하반기로 갈수록 세계 경제둔화에 초점이 맞춰져 석유수요 감소가 가시화되면 유가 하락세가 전망됨.

(Reuters; Oil Daily, 2011. 6.9)

Referensi

Dokumen terkait

스페인의 구제금융 신청에 대한 불확실성과 미국 고용지표 악화로 세계 경 기둔화에 따른 석유수요 감소 우려가 증폭됨.. 벨기에 브뤼셀에서 EU 정상회담 18~19일 간 열렸으나 스페인에 대한 구제금 융이 논의되지 않으면서 스페인 경제회생에 대한 우려가

미국과 영국, 캐나다는 이란을 ‘최우선 돈세탁 우려국가’로 지정해 이란과의 금융거래 차단에 나섰으며 에너지 분야의 투자와 거래 역시 제재하기로 함.. 특히, 미국은 이란의 석유화학 산업 투자 및 거래 역시 제재 대상으로 삼고 있어 석유시장의 공급 불안을

유럽연합EU과 유럽중앙은행ECB, IMF가 제시한 구제금융 지원 조건을 그 리스가 수용하기 함에 따라 그리스에 대한 2차 구제금융 협상타결 합의 가능 성이 높아짐.. 한편, 그리스 총리와 그리스 연립내각을 구성하고 있는 3당 대표들은 구제금 융을 위한 재정긴축 조건에

이에 대해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총 부채의 70%를 차지하는 공공부채 중 두드 러진 일부만 줄여주는 과사용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그리스가 계획대로 구조 조정을 이행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함.. 미국 재정절벽fiscal cliff 협상 난항으로 미국 경기회복이 또 다시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그러나 넷째 주에 는 유가의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한 OPEC의 감산 가능성이 대두되고 이란이 핵 기술 보유 의지를 재천명하면서 상승 추세로 반전됨... - 22일 이란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은 서방과의 회담에서 이란이 합당한 게런티를 보장받는다면, 우라늄 농축 작업 중단에 대한 협상을 할 준비 가 되어 있다고

독일과 프랑스의 정상회담이 개최된 가운데 유럽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유로 채권발행에 대해 구체적인 합의를 도출하지 못함에 따라 시장 불안이 증폭됨.. 일본 2분기 GDP는 대지진 및 쓰나미 피해에도 불구하고 선전한 것으로 평 가되었으며 미국 정부가 경기침체를 방어하기 위해 3차 양적완화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사우디아라비아 석유부 장관의 OPEC 증산 가능성 시사로 유가 상승세 제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부 장관인 Ali al-naimi는 OPEC이 중국과 인도 등의 원유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증산할 수 있다고 언급함... 14까지의 월평균 값 자료: www.reuters.com 1월 넷째 주 NYMEX-WTI 선물 유가는

국방수권법은 이란 중앙은행과 거래하는 모든 경제주체에 대해 미국 금융기 관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이란 제재안을 포함하고 있어 사실상 이란 석유금수 조치임.. 이 법은 6개월의 유예기간을 거쳐 발효될 예정으로 이란산 원유 수입국은 수 입 물량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