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Copied!
3
0
0

Teks penuh

(1)

2012년 7월 2주 1 (단위: $/배럴)

7/6 7/13 증감

WTI 84.33 87.17 +2.84

브렌트 98.33 102.38 +4.05

두바이 97.59 97.68 +0.09

1.현물 유가

주간 현물원유 가격 추이

자료: 한국석유공사

7

월 둘째 주

(7.9~7.13)

국제유가는 노르웨이 석유노조 파업 종료와 유로존 우려 및 중국 석유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란 원유공급 감소 및 미국의 이란 추가제재에 따른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상승세를 나타냄

.

하반기 미국과 유럽연합의 이란 원유거래 제재 이행으로 이란 원유생산이 감소한 가운데 미국이 이란에 대한 추가제재에 나서면서 유가 상승요인으 로 작용함

.

12

일 미국 재무부는 이란 국방부와 연계된

11

개 업체

,

이란 혁명수비대

,

국영 해운회사와 대학 등 핵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관과

4

명의 개인 에 대해 자산을 동결하는 금융제재를 추가함

.

이란의

6

월 원유생산량이

296

b/d

1990

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감소 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미국의 추가 제재가 발표되면서 지정학적 공급 우 려가 확대됨

.

노르웨이 석유노조의 파업 종료로 북해산 원유공급 차질 우려는 완화됨

.

노르웨이 정부는 이번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노동자들의 업무복귀를 강 제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하여 파업을 종료시킴

.

Platts

에 따르면 이번 파업 기간 동안

6

개 유

·

가스전에서 원유

24

b/d

와 가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Vol. 387 2012. 7. 6. ~ 2012. 7. 13.

(2)

2 2012년 7월 2주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4.2

cf/d

의 생산차질이 발생함

.

중국 원유수입 감소 및 중국 경제성장률 하락 소식으로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가 커짐

.

중국의

6

월 원유수입량은

528

b/d

로 전월

598

b/d

보다

12%

감소하였으며 올해 최저치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 2

분기 경제성장률이

1

분기

8.1%

보다

0.5%p

하락한

7.6%

로 집계됨에 따라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우려가 확산됨

.

유로존 재정위기 및 경기침체 장기화 우려는 유가 상승폭을 제한함

.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이탈리아의 신용등급을

A3

에서

Baa2

로 두 단계 강 등하면서 이탈리아의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이 제기됨

.

그리스의

4

월 실업률이 전월대비

0.5%p

상승한

22.5%

로 집계된 것도 유로존 경제에 대한 불안감을 확대시킴

.

지난주 미국 원유 재고는 전주대비

4.7

백만 배럴 감소한

378.2

백만 배럴을 기록

,

휘발유 재고는 전주대비

2.7

백만 배럴 증가한

207.7

백만 배럴을

,

중간 유분 재고는 전주대비

3.1

백만 배럴 증가한

120.9

백만 배럴을 기록함

.

2.선물 유가

Nymex-WTI 선물거래 가격 및 비상업 순매수 추이 (7월 10일 기준)

(단위: 계약)

매수(A) 매도(B) 순매수

(A-B)

상업용 639,783 782,283 -142,500

비상업용 315,407 176,835 +138,572

주: (A-B)가 (-)인 경우 순매도를 나타냄 자료: Reuters, CFTC

7

10

일 기준

Nymex-WTI

선물유가는 전주대비

4.3%

하락한

$83.91/

배럴 을 기록함

.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CFTC)

가 발표한

7

10

일 기준

Nymex

의 대형 투 기자금에 의한 원유

(WTI)

선물거래 순매수는 전주대비

7.0

백만 배럴 증가한

138.6

백만 배럴을 기록함

.

(3)

2012년 7월 2주 3

미국 석유수급 통계

1)

석유재고

(

전략비축유 제외

)

(단위: 백만 배럴) 일자

구분 6/15 6/22 6/29 7/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 유 387.3 387.2 382.9 378.2 -4.7 -1.2%

휘발유 202.7 204.8 205.0 207.7 +2.7 +1.3%

중간유분(난방유 등) 121.1 118.9 117.8 120.9 +3.1 +2.6%

중 유 34.2 34.9 35.0 35.5 +0.5 +1.4%

2)

원유정제투입량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6/15 6/22 6/29 7/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원유처리량 15.61 15.65 15.63 15.77 +0.14 +0.9%

가동률(%) 91.9 92.6 92.0 92.7 - +0.7%p

3)

석유제품 소비

(단위: 백만 b/d) 일자

구분 6/15 6/22 6/29 7/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휘발유 8.69 8.85 9.00 8.92 -0.08 -0.9%

중간유분(난방유 등) 3.51 3.83 3.85 3.24 -0.61 -15.7%

중 유 0.22 0.28 0.49 0.27 -0.22 -44.2%

총석유제품 18.60 19.06 19.60 18.54 -1.07 -5.4%

4)

수입 및 생산

(단위: 백만 b/d)

구분

수 입 생 산

6/22 6/29 7/6 전주대비

6/22 6/29 7/6 전주대비

물량 변동률 물량 변동률

원유 9.12 8.77 8.63 -0.15 -1.7% 6.26 6.09 6.25 +0.15 +2.5%

휘발유 0.77 0.82 0.92 +0.10 +11.7% 9.28 9.39 9.32 -0.07 -0.7%

중간유분 0.09 0.08 0.09 +0.01 +12.3% 4.52 4.73 4.71 -0.02 +0.4%

중유 0.24 0.28 0.23 -0.05 -16.8% 0.53 0.62 0.51 -0.11 -17.4%

자료: EIA/DOE

Referensi

Dokumen terkait

미국 정제가동률은 89.6%로 전주대비 1.5% Point 하락하였음도 불구하고 석유재고가 증가한 것은 단기적인 수입증가에 기인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휘발유 수급 불안에 따른 유가 상승이 예상됨.. 아라비아 해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으로 오만의 원유수출이 3일 간 중단 됨에 따라 유가 상승을

유로존 경기지표 악화 및 스페인의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으로 유로존 경기 침체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형성되며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함.. 스페인 총리의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 일축에도 불구하고 유로존 관계자들은 조만간 스페인이 구제금융 신청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의견을

이탈리아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재정 개혁을 통해 긴축 재정을 실시하겠다고 언급하는 한편 2013년까지 균형 재정을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함.. 미국의 경기지표 악화와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으로 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면서 유가 하락요인으로

이란은 자국에 대한 경제제재에 적극적인 영국과 프랑스에 대해 원유수출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였으며 다른 유럽국가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원유수출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함.. 하지만 프랑스와 영국은 이란으로부터의 원유수입이 5만b/d 이내로 미미한 수준이며 최근 이란 산 원유수입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번 이란 주간

∙ 이란 대통령 로하니는 현재 진행 중인 미국과의 핵협정에서 미국이 석유, 해운, 중앙은행 등 주요 경제제재를 철회하는 데에 합의했다고 자국 각료회의에서 언급함Reuters, 5.21.. - 로이터 통신은 인도 및 EU 정유회사들이 미국의 이란 제재 완화를 기대하며 하반기 이란산 원유 도입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고

사우디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이 산유국에 원유 추가 공급을 요청8월 18 일했을 당시 거절했으나, 이후에도 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며 세계경기 둔화 우려가 심화되자 증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임.. 주간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〇 국제유가는 단기 상승 후 하락할 것으로 전망 - OPEC 증산 불발로 국제유가의 일시적 상승 동요는 있겠으나 미국 경기둔화가 가속화되는 조짐을 보임에 따라 하반기로 갈수록 세계 경제둔화에 초점이 맞춰져 석유수요 감소가 가시화되면 유가 하락세가

그리스의 구제금융 지원 조건 불이행 가능성으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및 디폴트 우려가 제기됨에 유럽 경기침체 우려를 가중시키며 달러화 강세 요 인으로 작용함.. 그리스는 총선 결과 좌파연합이 제 2당으로 올라서면서 연립정부 구성에 실 패함에 따라 구제금융 지원을 위한 재정긴축 이행이 어려워졌으며 2차 총선 에서 죄파연합이 과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