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의 2013년 천연가스 수급 실적과 2014년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중국의 2013년 천연가스 수급 실적과 2014년 전망"

Copied!
11
0
0

Teks penuh

(1)

중국의 2013년 천연가스 수급 실적과 2014년 전망

에너지국제협력본부 박준관([email protected])

중국 정부는 심각한 스모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석탄연료를 가 스연료로 대체하는 작업을 가속화하고 있음. 이에 따라 가스 수요가 계속 증가 하고 있음.

2013년 천연가스 소비량은 167Bcm(전년 대비 14% 증가), 생산량은 117Bcm(9%

증가)임. 소형 LNG 시장은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비용으로 인해 가스생산지역을 중심으로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중국-미얀마 가스관 개통, 중국-중앙아시아 가스관 C라인 개통 등 최근 외부로 부터의 도입선이 확대되고 있지만, 빠르게 증가하는 가스 수요를 충족시키기는 부족한 상황임.

PNG의 최대 수입국은 투르크메니스탄(전체 PNG 수입의 89%), LNG 최대 수입 국은 카타르(전체 LNG 수입의 36.5%)임.

이에 따라 현재 중국의 가스 수입 의존도는 30%를 넘었으며, 향후 가스 수입량 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13년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중국으로 수입되는 가스가격이 소폭 하락하 였음. 그러나 중국 내 가스 도매가격은 정부의 새로운 가스가격 조정 방식 발표 로 계속 인상되고 있음.

중국 정부의 환경보호정책과 가스 배관망 확충의 영향을 받아 2014년 중국의 천연가스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 가스 수요가 생산 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2014년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량도 큰 폭으로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됨.

1. 중국의 2013년 천연가스 수급 실적

□ 천연가스 소비 및 생산 실적

ㅇ 2013년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 및 생산 증가율은 2012년 증가율을 상회하였음.

- 심각한 스모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석탄연료를 가스연료로 대체하는 작업들이 가속화되면서 가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2013년 천연가스 소비량은 167Bcm으로 전년 대비 13.9% 증가하였고, 1차에 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의 5.4%에서 5.9%로 확대되었음.

- 2013년 가스 생산량은 117Bcm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함.

- 2013년에 서기동수 3라인 지선과 중국-미얀마 가스관, 광둥 주하이 LNG 프 로젝트, 허베이 탕산 LNG 프로젝트, 톈진 부유식 LNG 프로젝트 등이 가동 되면서 천연가스 시장 규모는 한층 더 확대되었음.

“2013년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전년 대비 13.9%

증가한 167Bcm이며 1차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9%임”

(2)

자료 : 国家统计局

<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 및 생산 변화 추이(2005~2013년) >

ㅇ 2013년 대기질 개선에 대한 인식 강화와 도시 지역 내 가스배관망 확대로 도

시가스 소비는 빠르게 증가하였음.

- 베이징-톈진-허베이省 일대와 우루무치, 란저우 등지에서 석탄과 석유를 가 스로 대체하는 사업이 대대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난방용 가스 사용량이 크게 증가했음.

- 수송부문에서도 천연가스 사용량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여러 지역에서 LNG 및 CNG 충전소가 건설되고 있음. 광둥, 저쟝, 우한 등에서는 CNG택 시와 LNG버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2013년 수송부문을 포함한 중국 도시가스 소비량(천연가스)은 68.7Bcm으로 전년 대비 19.8% 증가했으며, 전체 가스 소비량의 41%를 차지함. 발전용 가스 소비량은 30.2Bcm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하였고, 전체의 18%를 차지함.

- 산업연료용(industrial fuel) 가스 소비량은 46.9Bcm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고, 전체의 28%를 차지함. 화학원료용(chemical industry) 가스 소비 량은 21.8Bcm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하여 전체의 13.0%를 차지함.

□ 소형 LNG 시장 현황

ㅇ 소형 LNG 프로젝트는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비용으로 인해 가스 생산지역을 중심으로 동 부문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현재 66개의 소형 LNG 생산시설이 가동되고 있으며, 총 생산능력은 3,377 만㎥/d임. 2001년(15만㎥/d)부터 현재까지 연평균 증가율은 57%임.

- 또한 41개의 소형 LNG 프로젝트(생산능력 3,713㎥/d)가 현재 건설 중에 있 으며, 이들 프로젝트가 금년 내로 모두 완공되면 2014년 중국의 소형 LNG 생산시설의 규모는 7,000만㎥/d에 이르게 될 것임.

- 주요 소형 LNG 생산시설은 산시(陝西), 신쟝, 네이멍구, 닝샤, 허베이, 쓰촨,

“소형 LNG 프로젝트는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비용으로 인해 가스 생산지역을 중심으로 동 부문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3)

산시(山西) 등 천연가스 자원이 풍부한 중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

- 2013년 산시(陝西)의 소형 LNG 생산시설의 규모는 700만㎥/d(중국 전체 생산규모의 20.9%)로 전국 최대 규모임.

- 2013년 소형 LNG 생산시설의 평균 가동률은 57.9%였고, 그중 3월이 67.3%로 가장 높았으며, 6월이 50.5%로 가장 낮았음.

자료 : 安讯思息旺能源

< 2001~2013년 중국 소형 LNG 생산시설 증가 현황 >

ㅇ 소형 LNG 시장은 현재 민간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2013년 민간기업이 전체 소형 LNG 시장의 62.3%, 중앙정부 소속 기업이 17.7%, 지방정부 소속 기업이 17.3%, 그리고 외자기업이 2.7%를 각각 차지하고 있음.

- 2013년 소형 LNG 생산업체는 2012년 20개에서 57개로 증가하여 경쟁이 점 점 치열해지고 있음.

- 소형 LNG 생산업체 중에서 최대 기업은 CNPC로 2013년에 475만㎥/d(중국 전체 생산량의 14.2%)를 생산했음. 그 다음으로 신쟝광후이(新疆廣匯)가

450만㎥/d(전체 13.4%), 닝샤하나스신에너지집단(寧夏合納斯新能源集團)

이 300만㎥/d(9%)를 생산했음.

자료 : 安讯思息旺能源

< 2013년 중국의 주요 소형 LNG 생산기업별 생산규모 >

“소형 LNG 시장은 현재 민간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4)

□ 천연가스 수입 현황

ㅇ 천연가스 수입량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3년 천연가스의 수입 의존도는 처음으로 30%를 초과했음.

- 2013년 7월 중국-미얀마 가스관이 완공되면서 중국은 서남채널을 확보하게

되었음. 중국은 이미 중국-중앙아시아 가스관(A, B 라인은 각각 2009년과 2010년에 완공, C라인은 2014년 내 완공 예정, D라인은 2014년 내 착공 계

획)으로 서북채널을 구축한 상태이며, 향후 중-러 가스관 완공으로 동북채널

도 구축될 전망임.

- 또한 광둥 주하이 LNG 프로젝트, 허베이 탕산 LNG 프로젝트, 톈진 부유식 LNG 프로젝트 등이 가동되면서 해상채널을 통한 LNG 수입 능력도 증대되 고 있음.

- 2013년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량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53Bcm이며, 수입 의존도는 처음으로 30%를 초과하여 31.6%를 기록함. 이 중 PNG 수입량은 28Bcm(전체 천연가스 수입량의 52.8%, 전체 천연가스 소비량의 16.7%), LNG 수입량은 1,800만 톤(약 25Bcm)로 추산됨.

- PNG 수입국 비중을 살펴보면, 투르크메니스탄 89%, 우즈베키스탄 10.3%, 카자흐스탄 0.5%, 미얀마 0.3%임.

- 한편, 신쟝광후이가 카자흐스탄 국경에서 신쟝 지무나이(吉木乃)縣까지 연 결되는 가스관을 민간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완공하였음.

자료 : 海关总署

< 2006~2013년 중국 천연가스 수입 현황 >

ㅇ 동부연안지역에서의 LNG 인수기지 증가로 인해 LNG 수입량도 증가세를 계 속 유지하고 있음.

- 2013년에 주하이(珠海) LNG 인수기지(350만 톤/년), 톈진 부유식 LNG 인 수기지(220만 톤/년), 허베이 탕산 LNG 인수기지(350만 톤/년) 등 3개의 인 수기자가 완공되었음.

“2013년 천연가스 수입의존도는 처음으로 30%를 상회”

(5)

- 이로써 2013년 말 현재 중국의 LNG 인수기지는 총 9개로 증가되었고, 연간 LNG 도입능력도 약 2,800만 톤으로 확대됨.

- 2013년 중국의 LNG 수입량은 전년 대비 22.4% 증가한 약 1,800만 톤 (25Bcm)으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천연가스 소비량의 14.9%를 차지함.

- 2013년 주요 LNG 수입국은 카타르(36.5%), 호주(20.8%), 인도네시아 (14.9%), 말레이시아(15.5%)이며, 이외에 러시아, 예멘,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에서도 LNG를 수입함.

LNG 인수기지 2012년 수입량 2013년(1~11월) 수입량 2013년 점유율

랴오닝 다롄 150.2 164.1 10.6%

상하이 양산 202.3 233.3 15.0%

쟝쑤 루둥 234.9 250.3 16.1%

저쟝 닝뽀 18.7 78.4 5.0%

푸톈 283.4 286.0 18.5%

광둥 다펑 579.0 541.1 34.8%

합 계 1,468.5 1,553.2 100.0%

자료 : 海关总署

< 중국 LNG 인수기지별 LNG 수입 현황 >

(단위: 만 톤)

ㅇ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2013년 중국의 LNG 수입가격은 소폭 하락하였음.

2013년 1~11월 동안 중국이 수입한 LNG 평균가격(FOB 기준)은 2.45위안/㎥

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하락하였음.

- 장기계약에 의한 LNG 수입가격(FOB 기준)은 2.34위안/㎥이며, 이중 카타르 LNG 수입가격이 4.05위안/㎥으로 가장 높았고, 호주 LNG 가격이 0.71위안/

㎥으로 가장 낮았음.

- LNG 현물가격(FOB 기준)은 3.47위안/㎥임.

ㅇ PNG 수입가격도 국제유가 하락으로 소폭 하락하였음. 2013년 1~11월 동안 수입한 PNG의 평균가격(FOB기준)은 2.13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하락하였음.

□ 천연가스 가격 현황

ㅇ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새로운 가스가격 조정 방식을 도입해 2013년 7월 10일부터 비가정용 가스가격을 인상함.

- 새로운 가스가격 조정 방식은 전년 실적물량(전년도 소비량)과 전년 대비 증 가물량(전년도 소비량을 상회하는 증가분)으로 구분하여 도매가격(citygate price)을 책정함.

- 2013년에 비가정용 가스가격을 인상하되 상한가를 적용하여 전년 실적물량

에 적용되는 도매가격의 최대 인상폭은 ㎥당 0.4위안, 그 중 화학비료용 가

“국제 유가 하락으로 2013년 중국의 LNG 수입가격은 소폭 하락”

(6)

스 도매가격은 0.25위안으로 정함.

- 전년 대비 증가물량에 적용되는 도매가격은 대체연료(연료유 60%, LPG 40%) 수입가격의 85%로 정함.

- 이에 따라 중국 내 가스 평균 도매가격은 2013년 하반기에 ㎥당 1.69위안에 서 1.95위안으로 인상되었음.

ㅇ NDRC의 새로운 가스가격 조정 방식 발표 후, 베이징, 허베이, 산둥 등 여러 省과 市에서 비가정용 가스가격을 조정하였음.

- 산업용 및 수송용 가스가격의 조정폭이 가장 컸음. 산업용 가스가격의 조정 폭은 3~21%이며, 저쟝省 항주지역의 조정폭이 21%로 가장 높았음. 조정 후 가격은 4.84위안/㎥임. 톈진의 산업용 가스가격의 조정폭은 3.2%로 가장 낮 았으며 조정 후 가격은 3.25위안/㎥임.

- 수송용 가스가격은 조정폭은 4~30%임.

도시명 가정용 공공/상업용 산업용 수송용 베이징市 2.28 3.23 3.23 5.12

톈진市 2.40 3.25 3.25 4.20 허베이省 스쟈좡市 2.40 2.95 3.45 3.75 네이멍구 후허하오터市 1.82 2.00 1.92 3.56 랴오닝省 선양市 3.30 3.90 3.90 4.70 지린省 창춘市 2.80 3.20 2.53 4.42 헤이룽쟝省 하얼빈市 2.80 4.30 4.30 4.50 상하이市 2.50 3.69 3.99 4.70 쟝쑤省 난징市 2.20 2.95 3.39 4.60 저쟝省 항저우市 2.40 3.50 4.84 4.00 저쟝省 닝뽀市 2.80 4.45 4.45 4.45 안후이省 허페이市 2.33 3.60 3.60 3.98 산둥省 지난市 2.70 3.61 4.14 4.71 산둥省 칭다오市 2.40 3.60 3.60 4.40 허난省 정저우市 2.25 3.16 2.86 3.60 후베이省 우한市 2.53 4.09 3.41 4.50 후난省 창사市 2.45 3.00 3.48 4.60 광시자치구 난닝市 3.86 4.80 4.20 4.95 하이난省 하이커우市 3.15 3.96 3.98 5.68 충칭市 1.72 2.29 2.24 4.60 쓰촨省 청두市 1.89 2.20 3.25 4.00 산시省 시안市 1.98 2.30 2.30 3.55 간쑤省 란저우市 1.70 2.57 1.99 3.10 칭하이省 시닝市 1.48 2.07 1.70 3.14 신쟝자치구 우루무치市 1.37 2.11 2.11 4.07 자료 : 각 省 发展改革委员会, 物价局

< 중국 주요 도시의 천연가스 최종소비자 가격 >

ㅇ 또한 NDRC는 2015년 말부터 가스를 사용하는 모든 지역에서 가정용 가스가 격 누진제를 시행할 계획임.

- 2015년 말부터 모든 지역의 가정용 가스가격은 월 가스소비량이 지역 내

80%ile 가구의 월평균 가스소비량 이하일 경우에 소매가격과 동일하게 적용됨.

“NDRC의 새로운 가스가격 조정 방식 발표 후, 베이징, 허베이, 산둥 등 여러 省과 市에서 비가정용

가스가격을 조정”

(7)

- 또한 월 가스소비량이 80%ile 가구의 월평균 가스소비량과 95%ile 가구의 월평균 가스소비량 사이일 경우 소매가격의 1.2배, 95%ile 가구의 월평균 가 스소비량을 초과할 경우 소매가격의 1.5배가 적용됨.

percentile(%ile)이란 표본의 분포를 100의 부분(部分)으로 분할했을 때의 분 할량(分割量)을 지칭함. 예를 들면 n개로 된 표본의 모든 측정치를 크기순으로 늘어놓았을 때, 아래에서 k번째에 있는 측정치를 (k/n)X100퍼센타일 (percentile)이라고 함.

2. 천연가스 하류부문

자료 : 中国城市燃气行业分析(2011)

< 중국 도시가스 유통 과정 >

□ 도시가스

ㅇ 가스관 확충과 소득수준 향상으로 중국 도시지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2000~2012년 동안 도시지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8.2Bcm에서 79.5Bcm으 로 크게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0.8%였음(중국 전체 증가율 16.1%).

- 2012년에 도시가스(천연가스, 합성가스, LPG) 중에서 천연가스 사용 인구는 2.1억 명으로 전체의 53.9%를 차지함. 이 외에 합성가스 및 LPG 사용 인구 는 계속 감소하여 각각 0.2억 명과 1.6억 명임.

- 도시가스 공급원으로서 천연가스 비중은 2000년 29%에서 2012년에 82%로 크게 증대되었음.

“가스관 확충과 소득수준 향상으로 중국 도시지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빠르게 증가”

(8)

년도

천연가스 합성가스 LPG

공급량 (억㎥)

사용인구 (만명)

공급량

(억㎥) 사용인구

(만명)

공급량

(만톤) 사용인구

(만명)

2000 82 2,581 152 3,944 1,054 11,107

2005 210 7,104 256 4,369 1,222 18,013

2010 488 17,021 280 2,802 1,268 16,503

2011 679 19,028 85 2,676 1,166 16,094

2012 795 21,208 77 2,442 1,115 15,683

자료 : 国家统计局

< 중국 도시가스 공급원 비중 변화 추이(수송용, 발전용 포함) >

ㅇ 2013년 주요 도시가스 기업의 천연가스 판매량은 안정적으로 증가하였고, 업

무영역도 계속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중국 최대 도시가스 기업인 중화메이치(中華煤氣)의 2013년 상반기 고객 수 는 1,566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6%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 천연가스 판매량은 6.6Bcm이었음.

- 또한 베이징가스의 고객수는 478만 명(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 신아오가 스(新奥然氣) 849만 명(9% 증가), 차이나가스 965만 명이었음.

□ 수송부문

ㅇ 경제성과 친환경성으로 천연가스 자동차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2000~2012년 천연가스 자동차의 연평균 증가율은 59%이며, 2013년 천연가 스 차량 보유량은 2012년 말 148만 대에서 177만 대로 증가함.

- 가스충전소는 2012년 말 2,787개에서 2013년 3분기 4,242개로 증가했음. 그 중 2013년 3분기 현재 LNG 충전소는 1,520개이며, 주로 신쟝, 허베이, 광 둥, 산둥, 네이멍구 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 천연가스 자동차의 증가는 수송부문에서의 천연가스 소비를 촉진시켰음. 2005~2011년 동안 수송부문 천연가스 소비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28.4%, 2013 년 수송부문 천연가스 소비량은 2012년 16.6Bcm에서 21.2Bcm으로 증가하였음.

ㅇ LNG연료 선박개조 사업은 수송부문의 천연가스 소비를 촉진시킬 것으로 전망됨.

- 2013년 9월 중국의 첫번째 LNG연료 개조선박의 시범운행이 성공적으로 완료됨.

- 2013년 말 현재 4개의 선박용 LNG 충전소가 장강(長江) 유역인 충칭(重 慶), 난징(南京), 우한(武漢), 우후(芜湖) 등에 건설 중임. 이 외에 10개의 선박용 LNG 충전소가 건설될 계획임.

- 2013년 말 LNG 연료 개조선박은 180척에 달하며, 그 중 22척이 국가해사국 (國家海事局)의 승인을 받은 상태임.

- 2013년 10월 교통부는 2015년과 2020년 중국 내 하천용 선박의 연료 소비 에서 LNG 비중을 각각 2%와 10%로 확대한다고 밝힘.

“경제성과

친환경성으로 인해 천연가스 자동차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증가”

(9)

□ 산업부문

ㅇ 2013년 경기회복으로 비금속 건축자재, 철강산업 등의 생산량이 소폭 증가하 면서 제조업부문에서의 가스 소비량이 증가하였음.

- 제조업부문에서는 주로 요업, 유리, 철강, 비철금속 등 산업에서 천연가스가 연료로 사용되며, 2013년 동 부문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전년 대비 13.1% 증 가한 46.9Bcm임.

- 화학원료용 천연가스 소비량은 2013년에 전년 대비 5.8% 증가한 21.8Bcm임.

ㅇ 대기질 개선을 위해 제조업부문에서 석탄을 가스로 대체하는 작업이 대대적으 로 진행되고 있음.

- 특히 요업에서의 ‘가스연료 대체사업’이 빠르게 진행되어 동 부문의 가스 소 비량이 크게 증가함. 중국 도자기 총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푸졘, 광둥, 산둥, 랴오닝, 쟝시 등 5개 省에 가스화 작업이 대대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중국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베이징, 톈진, 허베이, 장강 주강 델타지역 등의 제조업 기업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작업을 가속화하여 2017년에는 기본 적으로 개조작업이 완수될 것으로 전망됨.

ㅇ 그러나 천연가스 가격개혁으로 인한 비가정용 가스가격 인상은 산업용 가스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중국건축자재연합회(中國建築材料聯合會)의 통계에 따르면, 2013년 7월 비 가정용 가스가격 인상으로 2013년 7~9월 기간에 공업용 가스가격이 총 0.081 위안/㎥ 인상됨. 2013년 건축자재부문에서의 가스 소비량은 약 7Bcm임. - 비가정용 가스가격 인상은 ‘가스연료 대체작업’을 성공적으로 진행 중인 평

면유리 건축자재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 평면유리 건축자재산 업에서 가스소비는 전체 비용의 30~40%를 차지하고 있는데 가스가격 인상 후, 가스연료는 중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가격우위를 잃고 있음.

- 이처럼 가스가격 인상은 요업 및 건축자재산업의 가스 수요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 발전부문

ㅇ 중국 정부는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가스발전소 건설을 가속화하고 있음.

- 2013년 천연가스발전 설비용량은 4,159만kW로 전년 대비 8.7% 증가하였 고, 전체 발전 설비용량의 3.4%를 차지함.

- 신규 설비용량은 주로 베이징, 톈진, 광둥, 저쟝, 쟝쑤 등 동남부 연해지역에 건설되었음.

- 2013년 발전용 가스 소비량은 30.2Bcm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음.

“2013년 경기회복으로 비금속 건축자재, 철강산업 등의 생산량이 소폭 증가하면서 제조업부문 가스 소비가 증가”

(10)

- 정부의 환경보호정책 추진 하에서 베이징, 톈진, 허베이 등 대기오염이 심각 한 지역에서 가스발전소 건설이 가속화되고 있음. 베이징은 총 4개의 대규모 열병합단지를 건설하고, 지역 내 모든 석탄발전소를 폐쇄할 계획임.

- 현재 베이징 동남부지역의 열병합단지는 이미 2012년에 가동을 시작하였고, 서남부 열병합단지는 2013년 3월에 가동을 시작하였음.

- 서북부지역과 동북부지역의 열병합단지는 2014년 내에 완공될 예정임.

- 톈진 탕장(塘庄) 열병합단지의 연료도 석탄에서 가스로 전환할 계획이며, 완 공될 경우 중국 최대의 가스복합 열병합발전소가 될 것임.

ㅇ 그러나 비가정용 가스가격 인상으로 인해 일부 가스발전소 건설이 지연되고 있음.

- 연료용 가스가격은 석탄가격보다 높기 때문에 일부 발전소에서는 경영 적자 가 발생하여 지방정부의 보조금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임.

- 2013년 석탄가격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 반면, 천연가스 가격은 인상되 어 가스발전의 연료비용 부담을 한층 더 가중시키고 있음. 이는 일부 가스발 전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의욕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음.

- 중국 5대 발전기업인 화뎬집단(華電集團)은 화뎬쟝둥(華電江東), 화뎬룽여

우(華電龍游) 등은 가스발전 프로젝트 추진을 일시 중단한 상태이며, 이 외 에 후포안지(琥伯安吉), 헝저우푸싱(衡州普星), 저넝창산(浙能常山) 등도 마찬가지 상황임.

- 한편, 천연가스 가격인상으로 인한 비용부담을 경감시켜 주기 위해 NDRC는 2013년 10월 상하이, 쟝쑤, 저쟝, 광둥, 하이난, 허난, 허베이, 닝샤 등 지역 의 가스발전 전력 판매가격을 인상하였고, 석탄발전의 전력 판매가격은 인하 하였음.

3. 2014년 천연가스 시장 전망

ㅇ 중국 정부의 환경보호정책과 가스 배관망 확충의 영향을 받아 2014년 중국의 천연가스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난방시설 및 공업용 보일러의 석탄 연료를 가스로 대체하는 작업과 수송부문 에서 석유 연료를 가스로 대체하는 작업 등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중국의 천 연가스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14년 중국-중앙아시아 가스관 C라인 가동, 중국-미얀마 가스관 공급량 증

가, 광시 및 윈난 지역의 가스 배관망 확충 등으로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량 은 2014년에 186Bcm으로 전년 대비 1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1차에너지 소비구조에서 차지하는 가스 비중도 2014년에 6.3%로 증가될 것

으로 전망됨.

“비가정용 가스가격 인상으로 인해 일부 가스발전소 건설이 지연”

(11)

- 가스 생산량은 2014년에 124Bcm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한편 화칭집단(華慶集團)의 신쟝 이리저우(伊犁州) 석탄가스 프로젝트와 다 탕집단(大唐集團)의 커스커텅기(克什克腾旗) 석탄가스 프로젝트에서의 석 탄가스 생산량이 점차 증가하면서 2014년 석탄가스 생산량은 2Bcm이 될 것 으로 전망됨. 이에 따라 중국 내 가스 공급량은 126Bcm(천연가스 124Bcm 포함)으로 전망됨.

ㅇ 현재 가스 수요가 생산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2014년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량도 계속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14년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량은 전년 대비 18.9% 증가한 63Bcm에 달해 전체 가스 소비의 33.9%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 Sinopec의 칭다오(靑島) LNG 인수기지와 CNOOC의 하이난(海南) LNG 인수기지, 광시 팡청강(防城港) LNG 저장시설 등이 완공되면서 중국의 LNG 수입량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2,160만 톤(30Bcm)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미얀마 가스관을 통한 가스 공급량이 증대되고, 중국-중앙아시아 C라인 개통에 따라 2014년 PNG 수입량은 전년 대비 17.9% 증가한 33Bcm으로 전 망됨.

참고문헌

中国石油集团经济技术研究院, “2013年国内外油气行业发展报告”, 2014.4.29.

太和顾问, “中国城市燃气行业分析(2011)”, 2012 国家统计局 홈페이지

海关总署 홈페이지

“중국 정부의 환경보호정책과 가스 배관망 확대 등으로 2014년 중국의 천연가스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