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8호 2014.3.7
33
중국
□ 중국 후난省, 내륙 원전 건설 재개 건의
ㅇ 중국 후난省 정부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전국인민대표대회에 타오화쟝(桃花江) 내륙 원전 건설프로젝트 재개를 건의하기로 3월 4일 결정함.
- 중국 후난省 정부는 2013년에도 이를 건의한 바 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음 (인사이트 제13-9호(2013.3.8일자) p.24 참조).
- 후난省 정부는 100만kW 규모의 원전이 동일한 규모의 화력발전보다 이산화탄소, 아황 산가스, 수은 등 각종 오염물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륙지역의 원전건설이 장 강유역과 중남부 지역의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해결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주장함.
ㅇ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중국은 현재까지 내륙 지역의 원전건설 재개를 승
인하지 않은 상태임.
- 2012년 말 중국 국무원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중단되었던 원전 건설프로젝트
재개를 승인했지만, 이는 해안지역의 원전 건설프로젝트에만 국한된 것이기 때문에 타 오화쟝 원전을 포함한 내륙의 3개 원전 건설프로젝트가 재개되지 못하고 있음.
- 내륙의 3개 원전 건설프로젝트는 후난省의 타오화쟝 원전, 후베이省의 센닝(咸寧) 원
전, 쟝시省의 펑저(彭泽) 원전으로 총 투자액은 각각 670억 위안, 1,000억 위안 및 1,050억 위안임.
- 그 중, 타오화쟝 원전에는 1.25GW 원자로(AP1000) 4기를 건설할 계획이며, 연간 발전 량은 350억kWh임.
ㅇ 중국은 내륙지역의 경제성장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최근 들어 내륙지역의 전력부족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음. 특히 후난省은 1차에너지원의 부족으로 원전 건설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음.
- 후난省은 석유 가스가 매장되어 있지 않으며, 석탄 매장량도 적고, 수력발전도 현재 개 발이 모두 완료된 상황임. 신재생에너지 자원도 풍부하지 않으며, 화력발전 계통연계 가격도 중국 전지역에서 두 번째로 비쌈.
※ 후난省의 공업용 전기요금은 1kWh당 0.8위안으로 광둥省 다음으로 비쌈.
- 이런 상황에서 전력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후난省은 ‘13.5계획(2016~2020년)’ 기간에
2,000만kW의 발전 설비용량을 증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원전 가동을 통해 전기요금
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음.
(能源網, 2014.3.3~4)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3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8호 2014.3.7□ Sinopec, ’15년까지 충칭市에 연간 5Bcm의 셰일가스 생산 계획
ㅇ 중국 Sinopec이 충칭市 정부와 ‘셰일가스 개발・이용 전략협정’을 3월 1일 체결하였음.
- Sinopec은 충칭市를 셰일가스 개발의 주요 거점기지로 삼고 충칭市 페이링(涪陵) 시범
지대에 2015년까지 연간 생산량 5Bcm, 2017년까지 연간 생산량 10Bcm을 목표로 생 산설비를 구축할 계획임.
- 페이링 시범지대에서 생산되는 셰일가스는 충칭市 공업용 가정용 도시가스와 LNG 생 산에 우선적으로 사용될 계획임.
ㅇ 2013년에 Sinopec은 페이링 시범지대에 27개의 가스정 시추작업 통해 21개의 가스정 시
추를 완료한 상태임. 이들 가스정의 총 셰일가스 생산규모는 연간 0.5Bcm로 추산됨.
- 충칭市는 중국에서 셰일가스 가채매장량이 세 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셰일가스 가채매 장량은 2.05Tcm에 달함.
ㅇ 한편, Sinopec은 2월 석유제품 판매부문에 민간기업의 지분 참여를 허용한데 이어, 셰일 가스 산업 상・중・하류 전 부문에서도 민간기업의 참여를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짐.
- 전문가들에 따르면, Sinopec이 같은 방침은 석유 가스부문의 시장화개혁 추진의 일환 이기도 하지만, 셰일가스 개발에 필요한 자금 확보 방안으로도 분석됨.
- 그러나 민간기업의 경우, 셰일가스 부문에 대한 기술력과 노하우가 부족하고 수송인프라 등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셰일가스 개발 참여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Sinopec 홈페이지; 新華網, 2014.3.3; 人民網, 2014.3.6)
□ 중국 NEA, 풍력발전 산업 발전을 위한 6개 행동방안 발표
ㅇ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풍력발전 산업이 직면한 문제 해결과 발전을 위한 6개 행동 방안을 2월 25일 발표함.
- 지속적인 풍력발전 설비 건설: 중동부지역과 남부지역을 중점으로 풍력발전 설비를 지 속적으로 건설하여 2014년 1,800만kW의 신규 설비용량 확대 목표 달성
- 풍력발전기지 건설 가속화를 통해 외부지역으로 전력 수송: 하미(合密) 풍력발전기지 2 기 공사 및 청더(承德), 우란차부(烏蘭察布), 시린궈러(锡林郭勒) 풍력발전기지 건설 을 가속화함으로써 청정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외부지역으로 수송
- 해상풍력발전 개발: 현재 승인된 해상풍력발전 설비건설을 가속화하고 2014년 해상풍 력발전의 계통연계 가격을 제정함. 하이난(海南), 저쟝(浙江) 등 해안가에 위치한 4개 省의 해상풍력발전 건설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 마련
- 풍력발전시장의 질서확립: 풍력발전 설비의 품질검사 인증시스템을 개선하고 품질관리 를 강화하여 풍력발전시장의 체계적인 질서 확립
- 풍력발전 가동률 제고: 기풍현상으로 인해 풍력발전 가동률이 낮은 지역에는 신규 풍력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8호 2014.3.7
35
발전 설비공사를 제한하고, 해당지역에 전력망 확충을 통해 기풍현상 해결
※ 기풍(棄風)이란 송전망 접속능력 부족, 전력공급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완공된 풍력발전 기를 가동하지 못해서 풍력자원을 에너지로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임.
- ‘풍력발전 13.5계획(2016~2020년)’ 편제작업 진행: 중국 정부는 ‘13.5계획’ 기간에 매 년 2,000만kW 규모의 풍력발전 설비용량을 확대하여 2020년까지 풍력발전 설비용량을
2억kW로 확대하고, 연간 발전량을 3,900억kWh에 달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
음.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마련
ㅇ 당일 국가에너지국은 2013년 중국의 풍력발전산업 현황에 대해서도 발표함.
- 2013년 중국의 풍력발전 설비용량(계통연계)은 7,716만kW로 전년 대비 23% 증가하였
으며, 연간 발전량은 1,349억kWh로 전년 대비 34% 증가하였음.
- 풍력발전 이용시간은 2,074시간으로 전년 대비 184시간 증가하였고, 평균 기풍률은 11%로 전년 대비 6% 감소하였음.
- 풍력발전부문 제품수출도 증가하여 미국, 이탈리아, 호주 등 21개 국가에 총 338기의 풍력발전기를 수출했으며, 총 용량은 65만kW에 달함.
(中國網, 2014.2.25; 能源網, 2014.3.4)
□ CNPC, 석유・가스부문 혼합소유제 추진
ㅇ 중국 Sinopec이 지난 2월 석유제품 판매부문을 민간기업에 개방하기로 결정한데 이어, CNPC도 석유・가스부문에 대한 대외개방 확대 계획을 발표함.
-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이자 CNPC 회장인 저우지핑(周吉平)은 석유 가스부문의 대외개방을 통해 ‘혼합소유제(混合所有制)’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양회(兩會, 전국인민 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대회) 기간인 3월 5일 밝힘.
- 저우지핑 회장에 따르면, CNPC는 미개발 매장량(undeveloped petroleum reserves), 비 전통석유 가스, 전통석유 가스, 배관망, 정제, 금융 등 6개 영역에서 협력플랫폼을 구축 하고, 생산물분배계약(PSC)의 형태로 민간자본을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힘.
- CNPC는 향후 프로젝트에 민간기업 외에 사회자본 및 Sinopec, CNOOC 등 대형 석유 기업의 참여도 허용하여 합작회사 건설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힘.
- 우선 신쟝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석유 가스 대외개방을 진행하며, CNPC의 지분은 최소 51% 이상을 유지하여 운영권은 여전히 CNPC가 소유할 방침임.
ㅇ CNPC는 석유・가스부문에서 이미 2012년부터 ‘혼합소유제’를 추진해왔음.
- CNPC는 2012년에 서기동수 가스관 제3라인에 대한 지분 49%를 입찰을 통해 민간 및
사회자본에 개방했으며, 신쟝 커라마이(克拉玛依) 홍산(紅山)유전도 신쟝자치구 정부 와 신쟝 군대조직인 신쟝생산건설병단(新疆生产建设兵团)과 공동으로 개발 중임.
- 서기동수 가스관 제4라인 건설도 입찰을 통해 민간기업, 사회기금, 외국기업의 참여를 허용하기로 결정하였음.
(人民網, 20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