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식과 문화를 꽃피우는 창조한국 선도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Korea Copyright Commiss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지식과 문화를 꽃피우는 창조한국 선도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Korea Copyright Commission)"

Copied!
4
0
0

Teks penuh

(1)

2010. 2. 정보과학회지 제28권 제2호

70

지식과 문화를 꽃피우는 창조한국 선도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Korea Copyright Commission)

숙명여자대학교 윤 용 익*

정보과학회지는 이번 호에 국내 유일의 저작권 전 문기관인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 이보경, www.

copyright.or.kr)를 소개하고자 한다.1)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에 소재한 한국저작권위원회는 1987년에 설립된 구)저작권위원회와 구)컴퓨터프로그 램보호위원회가 공공기관 선진화 정책에 따라 2009년 7월 23일자로 통합하여 한국저작권위원회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저작권(copyright)’이란 소설이나 시, 음악, 미술,

컴퓨터프로그램 등 법이 보호대상으로 정하고 있는 저작물을 창작한 사람이 자신의 창작물을 다른 사람 이 복제, 공연, 전시, 방송, 또는 전송하는 등 법이 정 하고 있는 일정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을 허락하거 나 금지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창의적인 아이디어 에 기반한 고품질의 콘텐츠가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21세기 지식경제 사회에서 저작권은 핵심산업으로 부 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저작권위원회는 다양한 저작권 보호 및 이용활 성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저작권 보호 체계는 그동안 저작권 일 반을 보호하는 ‘저작권법’과 컴퓨터프로그램저작권을 보호하는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으로 이원화 되어 있 었으며, 저작권 보호 및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촉 진하기 위한 정책 수립 및 대외 통상 협상에서 효율 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저작권법을 개정하여 2009년 7월 23일 저작권법과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에 개별적 으로 규정되어 있던 저작권위원회와 컴퓨터프로그램 보호위원회를 통합하여 한국저작권위원회를 설립한 것이다.

* 종신회원, E-mail : [email protected]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법 제112조를 근거로 설 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이며, 이번 통합을 계기로 업무범위 등이 더욱 확대되었다. 저작권법에 규 정된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다.

- 저작권 분쟁에 대한 알선․조정

- 저작권위탁관리업자의 수수료 및 사용료 요율 등 에 관한 심의

- 저작물 이용질서 확립과 공정한 이용 도모를 위 한 사업

-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국제협력

- 저작권 교육․연수, 전문인력 양성 및 대국민 홍보 - 저작권 제도 연구와 정책 수립 지원

- 기술적보호조치 및 권리관리정보에 관한 정책 수립 지원

- 저작권 정보 제공을 위한 저작권 정보관리 시스 템 구축 및 운영

- 저작권 침해 등에 관한 감정, SW임치 - 저작물의 등록, 기증

- 불법복제물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시정 권고 등

그동안 문화산업 발전의 토대가 되어야할 저작권이 기관탐방

(2)

기 관 탐 방

한국저작권위원회

71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었다. 누

구든지 불법복제를 너무도 쉽게 할 수 있는 환경 속 에 있으나 불법복제의 유혹을 뿌리칠 만큼 의식은 성 숙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뒤따 르지 못했던 국민들의 저작권 의식은 엄청난 산업적 피해를 발생시켰고, 미래 문화산업의 주역인 청소년 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처도 있었다. 또한 ’89년 이래 20년간 미 무역대표부(USTR)로부터

‘지재권우선감시

대상국’ 등으로 분류되어, 지재권 침해국이란 오명과 함께 우리 저작물의 해외보호, 통상협상 등에 있어 악 조건으로 작용되었었다.

이러한 저작권 의식의 선진화를 위해 문화체육관 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는 그동안 부단한 노력을 다 하였으며, 결국 우리나라의 저작권 보호노력을 인정 받아 2009년에는 미국의 지재권 감시대상국에서 해 제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1).

한국저작권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저작권 선진국 진 입과 저작권 전문기관으로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 과 같은 4대 중점과제를 선정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내

1) 미 무역대표부(USTR)의 스페셜 301조 보고서는 ‘우선협상대상 국’, ‘우선감시대상국’, ‘감시대상국’ 등으로 분류하여 우선협상 대상국에 대해서는 무역보복조치가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2009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교역국 중 우선감시대

상국 12개국, 감시대상국으로 33개국을 지정하였으며, 한국, 대

만 등이 지재권 감시대상국에서 탈피

용은 다음과 같다.

저작권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법제도 개선 저작권 보호를 강화하는 국제적 추세에 대응할 법 제도 개선 및 통상전략의 구체화와 우위확보 등을 위 해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조직내에 연구실을 별도 구성 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작권법 및 하위법령 등의 개정과 저작권 정책수립을 지원한다.

저작권 분쟁 발생시 활용할 수 있는 위원회의 분쟁 조정제도는 소송과 비교해서 시간적, 경제적으로 많 은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2010년에는 지방순회조정부 및 온라인분쟁조정시스템 도입으로 보다 활성화 될 전망이다.

저작권 감정업무는 국내외적으로 한국저작권위원 회에 특화된 업무로서 지난 10년간 저작권(SW저작물 등) 침해판단을 위해 전문화된 감정결과를 법원 등에 제공하여 저작권 분쟁 시 저작권자의 권익을 효과적 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분 야별 감정전문위원의 확충을 통해 전문성 및 신뢰성 이 보다 강화되었으며, 2009년 하반기에 표절위원회 를 발족하여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표절문제 에 대해 표절 및 침해 판단기준과 절차 등을 제시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또한 저작권 정책포럼과 저작권상생협의체 구성·운 영을 통해 권리자, 이용자 등 이해당사자간 문제해결

(3)

2010. 2. 정보과학회지 제28권 제2호

72

을 위한 소통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교육과 홍보를 통한 공정한 저작물 이용환경 정착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 의식제고를 통한 공정 이용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저작권 교육·홍보 및 이용활성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저작권 교육의 경우 전문 교육기관으로의 도약을 위해 청소년 및 일반인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한 결과 2009년에는 10만명 이상의 교육생을 배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올 해부터는 저작권 원격교육시스템(e러닝) 서비스가 본 격 실시될 예정이다. 또한 각종 매체광고 및 캠페인 을 통해 진행되는 저작권 홍보는 전국민의 저작권 의식을 보다 향상시켰다고 판단된다.

저작권정보 인프라 구축 및 편리한 유통체계 확립 저작권 등록은 2009년도에 약 2만4천여건의 실적 을 기록할 만큼 창작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필요 조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자로 실명이 등록 된 자는 당해 저작물의 정당한 저작자라는 것과 등록 된 창작연월일과 공표년월일에 저작물이 창작 또는 맨처음 공표된 것으로 추정되며, 등록된 저작권을 침 해한자는 그 침해행위에 과실이 있는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와 더불어 SW유통에 있어 저작권자의 권리보 호 및 사용권자의 안정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SW 임치서비스2)는 SW개발 기업의 저작권 등 기술정보 보호를 통하여 국내 SW산업 보호, 더 나아가 국가위 상을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저작물 이용에 필요한 저작권 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권리자와 이용자간에 보다 편리한 저 작물 이용계약 체결과 사용내역 관리를 제공하여 원 스탑 저작권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저작권거 래소(www.clms.or.kr)는 디지털저작권 통합관리체계 구축과 공정하고 편리한 저작권 이용환경을 조성해 준다. 이를 통해 권리관리정보 확인을 위한 저작권관 리번호 부여체계가 마련되고 음악, 영상물, 어문저작 물 등 다수의 저작권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온라 인상 저작권이용계약시스템 구축을 통해 저작물 이용 을 원하는 이용자가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합법적 으로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2) 임치제도 : SW저작권자의 폐업‧파산‧자연재해로 인한 소스코드

의 멸실 등으로 유지보수를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수치기관(한 국저작권위원회)이 해당 소스코드 및 기술정보를 사용권자에게 교부함으로써 안정적‧계속적으로 SW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디지털저작권거래소 개념도>

이밖에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는 오픈소스SW의 세 계적 확산 추세에 따라 국내 SW기업의 오픈소스SW 활용 가능성 증대를 위해 오픈소스SW 관리체계 및 활 용기반을 구축하고 오픈소스SW 라이선스종합정보시 스템(www.olis.or.kr)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위원회에서는 소프트웨어 워터마크 및 난독화 (obfuscation) 기술의 일종인 저작자 식별인증 서비스 (코드잼:http://www.codejam.or.kr)를 개발하였다. 코 드잼 서비스는 소프트웨어 소스코드에 저작자를 식별 할 수 있는 정보를 삽입하고 저작권 분쟁발생시 이를 검증해 주는 서비스와 소스코드를 난독화 해주는 서 비스로 구성되어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저작권자는 소 스코드의 유출 및 도용 시에도 삽입된 저작자 식별 정보를 검증하여 저작권 침해 사실을 용이하게 입증 할 수 있고, 소스코드에 내재되어 있는 알고리즘, 개 발기법 등에 대한 기술유출을 방지하여 저작권 등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전문화된 저작권 보호관리 및 글로벌화 추진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는 저작권 보호 및 공정이용 환경 조성을 위해 불법저작물 유통방지 체계구축과 해 외저작권 보호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류(韓流) 열풍과 더불어 국산 콘텐츠의 해외 수출 은 급성장세에 있으나 해외 현지에서의 우리 저작물 에 대한 침해행위는 여전히 심각하다.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는 북경과 방콕 에 Copyright Center를 운영하고 있으며, 저작권 전 문 법률컨설팅, 권리인증, 법률구제조치 등의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온라인 불법복제물 유통에 대응하기 위해 불법복제물 유통 OSP에 대한 시정권고 및 관련 심의와 행정조치를 확대하였으며, 검·경찰 등과의 공조를 통해 불법 저작물 단속 및 점 검활동 또한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4)

기 관 탐 방

한국저작권위원회

73

올해부터는 헤비업로더와 불법유통 OSP에 대한 객관

적이고 과학적인 수사지원 활동을 위해 저작권 포렌 식 지원체계도 구축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결 어

오늘날 선진 각국이 디지털 콘텐츠, 소프트웨어와 같은 지식산업의 문화적 가치와 함께 경제적 가치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국가성장의 발판으로 삼기 위 한 전략을 실천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저작권은 지 식경제산업 성장의 필수조건이다. 한국저작권위원회가 경제위기 속에서 우리나라를 문화산업 강국으로 이끌 고 세계를 선도하는 최고의 기관이 될 수 있기를 바 란다.

Referensi

Dokumen terkait

Résumons Comme nous avons désormais décidé de saisir nos commandes dans un script et non plus directement dans la console, les premières lignes de notre fichier de travail s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