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지식기반사 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 달, 통신ㆍ교통의 발전으로 인한 시간적ㆍ공간적 제약의 감소, 산업 및 직종구조의 빠른 변화 등은 우리 경제ㆍ사회환경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 러한 변화는 직업교육ㆍ훈련, 진로교육, 자격제도 등을 포함한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요구하여 왔다.
지식기반사회의 진전 및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함 께 실업계 고등학교의 정체성 재정립과 평생 직업 능력개발 관점에서의 전문대학 개편이 주요한 정 책과제로 부상하였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실 업자 재취직 훈련 수요가 크게 늘면서 성인 대상
직업훈련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여성, 고령자 및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적ㆍ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과 기술의 창출ㆍ습득ㆍ활 용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OECD 를 비롯한 선진 각국은 자국의 인적자원개발 관련 조직과 제도, 지원정책 등을 재편함으로써 자국의 경쟁력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 연구 부문
지난 5년간 기본연구 222개를 수행하였거나 수행 중에 있으며 외부 기관의 요청에 의하여 수행한
기 본 (A)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10.17현재)
합계
합계 (A+B)
<연구 수행 현황>
단위 : 개
5 30 43 40 54 50 222
2 6 44 43 41 44 180
7 36 87 83 95 94 402
※ 정책현안(수시)과제 운영 - 2001년: 6과제 - 2002년: 8과제
직능원의 활동과 실적
수 탁 (B)
(하는) 수탁연구는 180개이다. 그동안 수행한 연 구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직업교육분야가 있고 노동부 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훈련분야가 있으며 그 밖에 자격제도와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있다. 연구는 다시 정책연구, 현장연 구, 기초연구로 구분되어 수행되어 왔는데 그 동 안 정책연구와 현장연구는 비교적 충실하게 이루 어진 편이었으나 기초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였다.
가. 국가 인적자원개발
1) 정책 기조
정부는 교육부를 교육인적자원부로 개편하고, 그 장관을 부총리로 승격시켜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 책을 총괄ㆍ조정하도록 하고(2001.1), ‘인적자원 개발회의’를 주관하도록 하였다. 또한 인적자원개 발정책의 수립ㆍ총괄ㆍ조정 등에 관한 사항을 담 은‘인적자원개발기본법’을 제정ㆍ공포하였다 (2002.8).
구체적 정책과 관련하여 정부는 우리 나라 인적자 원개발 정책의 마스터플랜인‘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을 공포하였는바(2001.12), 이 계획은 매 5년마다 수립하도록‘인적자원개발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다.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를 비롯한 각 부처는 인력 수급인프라 구축, 인적자원정보체계 구축 등 국가 인적자원개발 실행을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 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인적자원개발 계획의 수 립ㆍ추진을 시도하고 있다.
2) 직능원의 기여 및 의의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수립과 관련하여 직 능원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부 작업팀에 각 관 련분야 전문가를 참여시켰으며, 관련 정책연구를 통하여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비전 및 목표 설 정, 이의 실현을 위한 체계적ㆍ종합적 정책방안 개 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효율적 추진과 관련하 여 직능원은 기본계획의 시행 성과 평가를 위한 정책평가 모델을 개발하였고, 각 부처가 시행하는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총괄ㆍ조정 수단의 기초가 되는 심사분석체제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노동시장 변화 분석 및 산업별 인력수급 전망 연 구 등을 통하여 우리 나라 인적자원개발 및 활용 에 필요한 기초 통계를 생산하여 이를 DB화하고 있다.
직능원은 교육시장 및 노동시장에서 수요자와 공 급자의 합리적 판단에 도움을 주고자 인력개발종 합정보지인「미래의 직업세계」발간 사업을 주관 하고 있다. 이 밖에 지역 인적자원개발에 필요한
주요 연구
·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비전과 전략(2001)
· 국가전략분야 인력양성 대책연구(2001)
· 인적자원개발정책평가체제 개발(2002)
· 인적자원개발 투자심사분석(2002)
· 대학·전문대학 졸업생 취업실태 조사연구(2001, 2002)
· 지역 인적자원개발 정책 및 추진전략(2002)
<국가인적자원개발분야의 직능원의 실적>
정책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관련 연구를 유관 연구 기관과 합동으로 추진 중에 있다.
나. 직업교육
1) 정책 기조
정부는 1996년에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에 서 제시한‘신 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 안 (Ⅱ)’에 따라 직업교육 체제를 지식정보사회와 평생학습사회에 맞게 개편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사업을 추진하였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평생직업교육 체제의 구축과 관 련하여 직업교육훈련촉진법 및 시행령을 제정하고 이 법의 규정에 따라 13개 관련 정부부처가 참여하 는 직업교육훈련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하였다.
또한, 실업계고등학교 체제 개편 및 특성화·내실 화, 전문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 등 고등전문 직업교육의 육성, 학교와 직업세계의 연계 및 산 업계와의 협력 강화, 평생직업교육의 기회 확대 및 인프라 구축 등의 정책사업을 추진하였다.
2) 직능원의 기여 및 의의
직업교육훈련기본계획의 수립과 관련하여, 직능원 은 관련 정부부처의 산하국책연구원의 연구원과 민간전문가를 참여시켜 약 2개년에 걸쳐 기초연구
를 수행하는 동시에 지원 사업을 거원적으로 전개 하여 정부의 기본계획 수립·추진을 지원하였다.
학교 직업교육의 개편 발전과 관련하여서, 실업계 고등학교 개편 방향 및 대책, 전문대학을 비롯한 고등 전문직업교육 발전방안, 그리고 학교와 직업 세계의 연계 및 산업계와의 협력 강화를 위한 대 책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정부의 관련 정책사 업 추진과 학교현장의 개편 및 교육개선을 지원하 였다.
주요연구 영역
직업교육훈련기본게획 연구 및 수립 지원사업(1997~1999) 실업계고등학교 종합대책 연구(1999)
특성화고등학교 발전방안 연구(2000) 실업계고교 개편 우수사례 조사연구(2002)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 발전방안 연구(1998) 전문대학의 입학생 감소문제와 대응방안(2000) 전문대학 재정지원 사업의 성과 분석(2001) 산·관·학 지역협의체 구성 추진을 위한 산학협동 기 반 실태 조사연구(1998)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Ⅰ,Ⅱ) (1999~2000)
대학중심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2001) 평생직업교육훈련 종합대책(Ⅰ,Ⅱ) (2000~2001) 평생학습사회에서 기술계학원의 발전방안(2001) 평생교육기관 운영 실태 조사(2001)
기본 계획 수립
실업계고등학교
고등교육
산학협력
평생직업교육
<직업교육 분야의 직능원의 실적>
지난 5년간 기본연구 222개를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에 있으며 외부 기관의 요청에 의하여 수행한(하는) 수탁연구는 180개이다. 그동안 수행한 연구에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인적자원 개발, 직업교육분야가 있고 노동부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훈련분야가 있으며 그 밖에 자격제도와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있다.
평생직업교육의 기회 확대 및 기반 구축과 관련하 여, 직능원은 평생직업교육훈련의 발전 전략과 기 술계학원 및 평생교육시설의 발전방안 등을 종합 적으로 제시하여 정부의 관련 정책사업 추진을 지 원하였고, 또한 평생교육기관의 운영 실태 등을 조 사하여 정부의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였다. 이 밖에 우리 나라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을 조사하여 성인의 평생직업교육 기회 확대에 필 요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구축 중에 있다.
다. 직업훈련
1) 정책 기조
정부는 직업훈련기본법 폐지와 근로자직업훈련촉 진법 시행(1999. 1)을 계기로 수요자 중심의 새로 운 직업훈련체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민간 주도의 경쟁적 훈련시장의 형성, 직업훈련기관의 위상과 기능의 재정립, 훈련비 지원체계의 개선, 직업훈련 비전과 발전전략이 추진되었다.
지식기반경제로 이행해 가는 가운데 인적자원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면서, 정부는 기 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인증 및 지원방안, 근로자 의 주도적 능력개발체제의 구축, 기업의 학습조직 화 지원 정책 등을 제안ㆍ시행하고 있으며, 근래에
는 3D직종 및 중소기업 근로자의 능력개발 활성 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1997년 말의 외환위기와 뒤이은 실업대란을 거치 면서 실업자 및 사회취약계층의 직업능력제고를 위 한 훈련이 실시되었으며,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더 불어 최근에는 비정규근로자, 여성 및 중고령 집단 의 직업능력개발 지원이 현안으로 대두하고 있다.
2) 직능원의 기여 및 의의
직능원은 미래 지향적인 근로자 직업훈련체제의 발전전략을 정책 영역별로 제시하였으며, 직업훈 련기관의 위상과 기능 재정립, 훈련기준 개선을 통한 훈련과정 선정기준 개편, 훈련비용 지원방안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자료와 논리적 근거를 제공 하였다.
직능원은 미래 지향적인 근로자 직업훈련체제의 발전전략을 정책 영역별로 제시하였으며,
직업훈련기관의 위상과 기능 재정립, 훈련기준 개선을 통한 훈련과정 선정기준 개편, 훈련비용 지원방안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자료와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지원을 위한 조직운영시 스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행·재정적 지 원방안을 제시하였고, 2001년부터 우리 나라 기업 의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실태를 전국적으로 조사 하여, 기업 인적자원개발 관련정책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 있다.
실업자, 빈곤층, 여성, 중고령층, 비정규 근로자 기 타 취약 계층의 직업능력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을 발견하고, 이들의 직업능력훈련 활성화를 통해 사 회적 통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향 및 구체적 인 정책대안들을 제시하여 관련 정책의 수립 및 효 율적인 집행을 지원하였다.
라. 자격제도
1) 정책기조
「신교육체제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1996년)」, 노동부의「직업능력개발 3개년 개혁(2000년)」등 을 통한 정부정책으로 자격제도에 관한 종합적인 분석과 개선방안, 직업교육-직업훈련-자격을 연계 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 및 자격제도의 효과적 인 운영을 위한 자격관련 기본 인프라구축이 제안 되었다.
또한 자격의 현장성, 활용성, 통합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훈련-일-자격의 연계를 위한 방안 등이 제시 되었다.
2) 직능원의 기여 및 의의
이에 따라 직능원은 자격제도의 실태를 종합적으 로 조사하고 인적자원개발의 인프라로서 국가인 적자원정책의 성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자격제도 의 큰 틀을 수립하고, 자격의 현장성·활용성·통 합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능원의 연구결과는, 부분적으로 1999년 정부 의 자격제도 규제개혁방안에 반영되었고, 국가
주요 연구 영역
‘근로자직업훈련체제 발전방안’(2000)
‘공공직업훈련기관 역할 강화 방안’(2000)
‘직업능력개발사업 재원의 효율적 배분 방향’(2001)
‘산업구조 변화추이와 직업훈련수요전망’(2002)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2000)
‘기업내 인적자원개발체제 지원방안’(2000)
‘기업의 학습조직화 촉진방안’(2001)
‘사업체 인적자원 개발 실태조사연구’(2001, 2002)
‘여성 및 취약계층의 직업교육훈련 활성화 방안’(1997)
‘목표집단별 실업자 직업훈련체제 구축방안’(2000)
‘비정규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지원대책’(2001)
‘중장년층 훈련 활성화 방안’(2001) 수요자중심의
직업훈련
기업내 인적자원개발
실업자 및 취약계층의 직업능력개발
<직업훈련 분야의 직능원의 실적>
주요 연구
· 자격제도 종합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1997)
· 국가기술자격 취득에 따른 학점인정 방안(1997)
· 주요국의 직업교육훈련과 자격제도의 연계분석(1998)
· 국가표준직무능력 체제에 관한 기초 연구(2000)
· 우리 나라 자격제도 개편방안(2000)
· 국가기술자격 종목정비 및 제도개선(2001)
· 노동시장에서 자격의 활용도 제고 방안(2001)
· 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 방안연구(2002)
·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자격제도의 방향과 과제(2002)
· 평생학습 촉진을 위한 자격제도의 역할(2002)
<자격제도 분야의 직능원의 실적>
기술자격법 시행령 및 규칙의 개정과 자격기본 법 개정(안)에 활용되었다. 특히 국가기술자격 의 종목정비에 관한 연구는 현재 240여개의 국 가기술자격 폐지(안)을 마련하는데 이론적 근거 를 제시하였고, 또한 국가자격의 학점인정방안 연구결과는 학점은행제 개시에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마. 교육ㆍ훈련 프로그램 개발
1) 정책 기조
정부는 지식기반사회와 평생학습사회의 진전에 따 라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2001)과 국가전략 분야 인력양성종합계획(2002)을 수립하고 체계적 인 직무분석 활용·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미 래 지향적인 국가전략분야(IT, BT, NT, ST, ET, CT 등)의 인적자원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전 국민의 생애에 걸친 직업능력 개발을 위해서 는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2001)을 통해 평생직 업교육의 내실화·다양화를 강조하였다. 직업교 육 측면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발 전 방안(2001)을 통해 직업교육과정의 다양화 및 현장성 강화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직업능 력개발 측면에서는 재직근로자의 직업능력 향상
과 취약계층 및 특수집단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 련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추진하였다.
교직발전종합방안(1999)과 국가인적자원개발기 본계획(2001)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의 핵심인 직 업교육훈련 교원의 현장 적응력과 지속적인 전 문능력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2) 직능원의 기여 및 의의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이 1998∼2002년에 총 65직종이 수행되었다.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을 위한 운영 체제 및 교육과정 모형 개발(1999), 전문대학 교 육과정 모형 개발과 운영 방안(2001), 훈련기준 체제 개선 연구(2001), 실업자 재취직 프로그램 개발연구(1998), 준고령자 직업교육훈련 프로그 램 개발 연구(2000) 등이다.
실업계 고등학교(1999)/전문대학(2000), 학생들 의 기초 수학능력 평가,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 습 방법 연구(1999-2000), 직업교육훈련 교수-학 습 경진대회(2001-2002), 직업탐구영역 관련 교 과 성취기준 및 평가 기준의 개발 방안(2002) 등 이다.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서 변천 과정 연구 (1999),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서 디자인 체제 직능원의 연구결과는, 부분적으로 1999년 정부의 자격제도 규제개혁방안에 반영되었고,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및 규칙의 개정과 자격기본법 개정(안)에 활용되었다. 특히 국가기술자격의 종목정비에 관한 연구는 현재 240여개의 국가기술자격 폐지(안)을 마련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또한 국가자격의
학점인정방안 연구결과는 학점은행제 개시에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개발 연구(1999), 공업계 고등학교 [2·1체제] 전 문 교과서 및 영상 자료 개발(1997-1998, 교과서 63책, 실습소재 20종, 영상자료 6편), 제7차 교육 과정 실업계 고등학교 1종 도서 편찬 사업(1999- 2001, 총81책, 보완 교재 CD 2종), 교수-학습 환 경 변화에 따른 모듈식 교재 체제 개발(2001) 등 이다.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양성 및 연수에 관한 연구 (1997),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산업체 연수 방 안 연구(1999),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의 직무수행 기준 개발 연구(2001), 국내외 직업 교육훈련 교원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1999),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Ⅰ, Ⅱ)(2001-2002) 및 연수 사업 등이다.
직무분석 사업의 결과는 직업교육과정, 직업능력 개발훈련기준, 자격검정기준 개발 시에 현장 활 용 지침으로서 제공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인적
자원 개발·관리를 위한 통합 활용·관리 시스템 구축 정책 추진에 이론적·실증적인 토대를 제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결과는 학교단계의 직업교육 내실 화를 위한 관련 정책과 특수·취약 계층 대상의 새 로운 직업훈련 정책 추진 과정에 실제적인 안내 자 료로서 활용되었다.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연구 결과는 직업교육훈 련 환경 변화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에 대 한 구체적인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교재개 발 결과는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직 업교육훈련 교재개발 과정 개선을 위한 지침서로 서 활용되고 있다.
교원 연구 결과는 우수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확보 와 전문능력 함양을 위한 정책 추진에 기초 자료를 제공했으며, 교원교육 프로그램의 적정성 검토를 위한 기준을 제공하였다.
<직무분석 추진 실적>
20직종
직 종 수 12직종 13직종 10직종 10직종
1998 유망직업 중심 구 분
1999 향상·전환 필요
직종
2000 직업교육훈련 수요 급증 직종
2001 IT산업 중심
직종
2002 CT 산업 중심
직종
<실업계 고교 교과서 개발 사업 현황>
·교과서 : 32책
·실습소재 : 9종
·영상자료 : 6편 교재수
·교과서 : 31책
·실습소재 : 11종
·운영핸드북 : 1책
·교과서 : 73책
·보완교재(CD) : 2종
·교과서 : 8책 1997
공업계 고교(2·1체제) 전문교과서 및 영상자료 구 분
1997-1998 공업계 고교(2·1체제) 전문교과서 및 영상자료
1999 제7차 교육과정 실업계 고교 전문 교과서
2000-2001 제7차 교육과정 실업계 고교 전문 교과서
2. 사업 부문
지난 5년간 기본사업 82개와 외부 기관의 요청에 의 하여 실시하는 수탁사업 35개등 총 117개의 사업을 실 시하였거나 진행하고 있다.
가. 민간자격 국가공인 지원
1) 정책 기조
1996년「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은 자격제도의 개편과 특히 자격제도의 탄력성을 확보하고 자격운영에 있어서 민간 참여증대를 제 안하였다. 또「자격제도 규제개혁방안(1999)」도 국가의 독점 자격운영체제를 개선하고 민간자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으로 지원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결과 1997년「자격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이를 근거로 민간자격 공인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사업 의 목적은 자격제도 관리 주체의 다원화, 민간자격 의 질관리, 이를 통한 국가(기술)자격의 비유연성 보완 및 공인받은 민간자격 관리자들이 자격제도 의 운영 틀을 갖추고 자격제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계기를 갖는 것이다.
2) 직능원의 기여 및 의의
2000년부터 시행된 이 사업을 통해 2000년에는 28종목, 2001년에는 7종목 등 총 35종목의 민간 자격이 국가로부터 공인을 받았고, 2002년 현재에 는 재공인 6개를 포함하여 110개 종목이 공인을 신청 중에 있다. 그간에 민간가격을 공인해준 부처 는 교육인적자원부와 노동부 이외에 총 6개 부처 에 이르고 있다.
민간자격 국가공인사업 수행 결과 민간자격시장이 활성화되어 경쟁체제로 돌입되고 자격시장의 질관 리가 시작되었다. 이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 격기본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에 따라 현 재 자격기본법 및 동법시행령 개정(안)이 추진되 고 있다.
주요 연구
· 민간자격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1998)
·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위한 조사연구 사업(2001∼2001)
· 공인민간자격 사후관리 방안(2002)
<민간자격 국가공인 지원 분야의 실적>
<사업 수행 현황>
(단위 : 개)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10.17현재)
합계
기 본(A) 구 분
0 8 15 21 18 20 82
수 탁(B) 1 2 8 9 9 6 35
합계 (A+B) 1 10 23 30 27 26 117
나. 직업훈련기관 평가
1) 정책 기조
1997년에 제정된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제 21조(직 업교육훈련기관에 대한 평가)에서 국가 및 지방자 치단체는 평가업무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위탁 할 수 있도록(개정 1999.1.29) 규정하였다.
직업교육 평가와 관련하여 1999년 교육발전 5개 년 계획에서 실업계 고교의 교육환경 개선 및 전문 대학·산업대학의 다양화·특성화를 제안하면서, 이의 실현을 위하여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질적 관 리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으로서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직업훈련에서는 1999년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에 의해 제29조 (훈련과정의 평가 등)에 의거하여 노 동부장관은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질적 수준을 높이 기 위하여 노동부장관의 지원을 받는 훈련기관 또 는 훈련과정에 대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 도록 하였다.
2) 직능원의 기여 및 의의
직업교육훈련기관의 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직업교 육훈련 평가 영역 및 척도, 평가의 목적과 방향, 평 가 운영조직, 평가 절차, 평가 결과의 활용, 평가업 무 수행시 유의사항 등을 제시하여 직업교육훈련 기관 평가의 기본적 틀을 제시하였다.
직업교육훈련기관의 발전과 특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항목을 개발하고, 평가업무를 전 문적으로 전담하는 체제를 마련하였다.
직업능력개발 사업이 실업대책으로서의 기능과 역 할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촉진시키
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하 여 실업자훈련과정 중에서 우수한 과정을 보급하 고, 인센티브를 제공하였으며, 재직자훈련에 대한 평가의 틀을 구축하였다.
관련 법령의 정비에도 기여를 하였는데, 특히 실업 대책으로서의 실업자 직업훈련 종합 대책과 관련
주요연구
· 직업훈련 평가제도 발전 방안 연구(2000)
·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표준 평가도구 개발(1999)
· 2001년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및 과정 평가(2001)
· 단위학교의 현장실습 운영 평가방안(1999)
·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 기준 개발(2000)
<직업훈련기관평가 분야의 실적>
하여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의 개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실업자재 취직훈련에 대한 다양한 제도적 보완을 가져올 수 있었다.
다. 진로정보센터 운영
1) 정책 기조
급속한 변화와 지식 집약적 기술로 특징 지워지는 21세기 정보화사회를 맞아 국가적 차원에서 진로 개발 R&D 기관의 필요성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인적자원부의 위탁사업으로 ’99년 직능원에 진로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자신의 진로선택을 위한 정보제공과 지도를 받을 수 있는‘컴퓨터화
된 진로정보망’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진로정보센 터에서는 커리어넷(CAREERNET)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진로정보센터 상담 서비스 이용현황>
*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실적 개인상담(건) 전화상담(건) 사이버상담(건)
집단상담(건) 합 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합계
서비스명칭
545 546 83 299 1,473
1,163 1,095 2,292 752 5,302
892 359 5,422
917 7,590
433 228 3,365
448 4,474
30,033 2,228 11,162
2,416 18,839
급속한 변화와 지식 집약적 기술로 특징 지워지는 21세기 정보화사회를 맞아
국가적 차원에서 진로개발 R&D 기관의 필요성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인적자원부의 위탁사업으로
’99년 직능원에 진로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
2) 직능원의 실적과 의의
진로정보센터 조직 및 운영방안 연구(1999), 중고 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체제 구축방안 연구 (2000), 국가수준의 통합 직업진로정보센터 구축 사업(2000) 등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 정책을 지원 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로정보센터는 지난 3년간 학생에게 직업·진로 정보를 제공하고 진로상담 서비스를 수행하였으 며, 진로관련 정책개발을 위한 연구, 진로교육 지 원 및 전문가 연수 등을 통하여 진로서비스 및 관 련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직능원의 커리어넷은 일선 교사들의 진로지도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동시에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직업세계의 환경변화에 따라 각 집단별 특성에 적 합한 진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중요한 과제 로 제기되었으며, 직능원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 여 다양한 심리검사와 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 국민서비스를 수행하였다.
’99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조직 개편에 따라 진로지 도에 관련된 업무가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정책과에 서 시도교육청으로 이관됨에 따라 중앙에서는 진 로정보센터가 진로정책을 이끌어 나갔다.
라. e-Learning
1) 정책 기조
디지털 시대에 직업능력개발의 기회를 확대하고, 보다 편리한 직업교육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직업교육훈련 체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
며, 원격교육훈련이 대안적 체제로 부각되고 있으 나, e-Learning 관련 정책 및 제도는 기존의 집체 교육훈련과 구별되는 독립적인 틀을 갖추지 못하 였다.
정부는 1998년 시범운영 이래 1999년 인터넷 통 신훈련을 새로운 직업훈련의 형태로‘근로자직업 훈련촉진법’에 명시함으로써, 집체 교육훈련에 대 해서와 마찬가지로 고용보험법상 위탁 훈련비용 일부를 지원하게 되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의 핵심 과제는 우리 나 라 e-Learning 관련 정책과 제도의 효율화를 꾀하 고,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양질의 교육훈련 을 유도하는 데 있다.
2) 직능원의 실적과 의의
정착화 되지 못한 원격교육훈련에 대한 개념과 관 련법규 검토 및 국내·외 원격교육훈련 사례 등을 파악하여, 체계적 원격교육훈련의 실시 전략 및 기 준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웹기반 교육훈련의 내실화 및 질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종합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
주요연구
· 멀티미디어 원격교육훈련 실시 방안(1998)
· 웹기반 직업교육훈련(WBT)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1999)
· 웹기반 훈련(WBT) 평가 방안 연구(2000)
· 원격훈련의 효율적 관리 방안-인터넷 통신훈련을 중심으로- (2001)
· 인터넷 통신훈련 과정 지정 심사 운영 사업(2002)
· e-Learning 우수사례 발표회 및 경진대회(2002)
<e-Learning 분야의 실적>
여, 정부 부처의 웹기반 교육훈련 관련 정책 및 제 도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우리 나라 상황에 적합한 원격 직업교육훈련 실시 방향을 모색하여 소외된 중소기업 생산직 근로자 들의 직무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계획과 함께 훈련 비용 및 훈련시간 산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인터 넷 통신훈련 시행요령 등에 반영되어 관련 정책 수 립 및 현장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웹기반 훈련을 질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합리적인 평가 방안을 제시하여, 정부의 인 터넷 통신 훈련과정 지정 심사 운영의 방향 설정 에 기본이 되었다. 또한 직능원이 수행한 관련 연 구결과는 2002년 노동부‘e-Learning 활성화 사 업’의 핵심내용으로 반영되었다.
3. 정보개발 및 보급 부문
가. 국가인적자원개발 정보 구축 사업
1) 정책 기조
정부는 인적자원개발부가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 책을 총괄ㆍ조정하고(2001.1)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방편으로(‘대통령자문 교육인적자원위원 회’) 인적자원개발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마스터플랜 인‘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을 공포함과 (2001.12) 동시에 보다 구체적인 정부의 인적자 원개발 정책 보급 및 정보 확산을 위해 정보유통 체계인“국가 인적자원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이 제안되었다.
2) 직능원의 실적과 의의
국가 인적자원개발 정보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정 부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인적자원부의 의뢰 에 따라 직능원에서는 교육인적자원 관련 정보유 통체제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직능원은 우리 나라의 웹기반 훈련을 질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합리적인 평가 방안을 제시하여, 정부의 인터넷 통신 훈련과정 지정 심사 운영의 방향 설정에 기본이 되었다. 또한 직능원이 수행한 관련 연구결과는 2002년 노동부‘e-Learning 활성화 사업’의 핵심내용으로 반영되었다.
주요연구
·‘교육인적자원관련 정보유통체제 구축방안 기초연구’(2001)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주요 정책진단·분석 및 개발 연구’
(2000)
·‘국가 인적자원개발의 인프라 구축’(2001)
·‘국가 인적자원 종합 정보시스템(NHRD-Net) 구축 사업(Ⅰ)’
(2001)
·‘직업교육훈련지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1998)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지표’(1998, 1999, 2000, 2001)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2001)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
<국가인적자원개발 정보 분야의 실적>
이 연구·사업의 수행 결과, 국가인적자원개발 종 합정보시스템(NHRD-Net)이 가동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교육인적자원부 정책홍보의 장으로 활용 되며, 동시에 인적자원개발 전문가, 연구자 그리고 일반 국민들에게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중요한 정 보원(information source)으로 자리 잡고있다.
한편, 기존의 직업교육훈련에 관한 정부정책을 지 원하고, 유용한 자료제공을 위해 직업교육훈련지 표 개발 및 보급에도 힘쓰고 있다. 이 지표집은 직 업교육훈련분야의 사회경제적 척도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시장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에 관한 정보제공 이 인적자원개발과 직업교육훈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향후 청년층 교육·고용패널 조사의 틀을 구축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패널조사 로부터 기초자료가 생성되면, 학교에서 노동시장 으로의 이행에 관한 정보의 추출과 학생의 진로선 택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 각종 보고서 및 연구 자료의 발간 및 보급
연구한 결과를 연구보고서나 연구자료로 발간하여 관계부처와 전문가들에게 발송하여 활용하게 하고 인터넷에 탑재하여 누구나 다운받아 활용하게 하
고 있다. 그리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인적자원개발 및 평생학습분야의 최근 동향과 직능원의 연구동 향을 정기적으로 인쇄물로 발간하여 전국민에게 보급하고 있다. 또한 격월간 잡지인「직업과 인력 개발」과 직능원의 소식을 전하는 국문소식지인
「KRIVET Brief」를 연간 6회씩 발간하여 전국의 인적자원개발 및 평생직업교육기관과 관련 종사자 들에게 보급하여 이들의 능력개발을 지원하고 있 다. 한편 전문학술지인「직업능력개발연구」를 년 2회 발간하여 오고 있다. 우편 매체를 통한 보급 을 통해 연간 약 5,000여 무료회원에게 기관의 소 식지와 [직업과 인력개발]을 제공하고 있고, 유료 회원에게는 연간 발행하는 연구 및 사업보고서나 프로그램을 보급하고 있다. 그리고 Web site (www.krivet.re.kr)를 통해 다양한 연구 사업 결 과를 원문으로 제공하고 있다.
다. 각종 학술 활동 및 세미나
직능원은 각종 학술 활동 및 세미나의 개최를 통하 여 인적자원개발과 평생직업능력개발분야 학술적 논의의 중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각종 학술 행사를 주최하여 인적자원개발과 평생 직업능력개발의 토론의 중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연구한 결과를 연구보고서나 연구자료로 발간하여 관계부처와 전문가들에게 발송하여 활용하게 하고 인터넷에 탑재하여 누구나 다운받아 활용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인적자원개발 및 평생학습분야의 최근 동향과 직능원의 연구동향을 정기적으로 인쇄물로 발간하여 전국민에게 보급하고 있다. 또한 격월간 잡지인「직 업과 인력개발」과 직능원의 소식을 전하는 국문소식지인「KRIVET Brief」를 연간 6회씩 발간하여 전국의 인적자원개발 및 평생직업교육기관과 관련 종사자들에게 보급하여 이들의 능력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수행하여 왔다. 1999년부터 년 4회 KRIVET HRD 정책포럼을 개최하여 점차 중요하여 지는 인적자원개발분야의 쟁점 사항을 정리하는 기회를 계속적으로 가져왔다. 아울러 매년 개원기념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국내외적으로 연간 가장 중 요한 이슈에 대하여 논의하는 기회를 갖고 있다.
평균적으로 월 2회 학술활동 및 세미나를 개최하 여 평균 1개월에 2개정도 실시하여 왔다.
직능원은 설립이후 직업교육훈련자격박람회를 개 최하여 변화하는 직업세계 속에서 자기계발을 통 해 전문인으로서 거듭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평생교육 및 직업능력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 대를 조성하여 오고 있다.
1995년 UNESCO 직업기술교육 국제자문위원회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와 1996년 UNESCO 사무차장보(Assistant Director General)가 회의 개최 건의를 하고 그해 10월 우 리 나라 교육부장관과 UNESCO 사무총장간 서
울개최를 합의하면서 시작된 제 2차 세계직업기술 교육회의는 1997년 12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교육부에 의해 회의 및 박람회 개최준비기관으로 지정되면서 박람회를 개최하였으며 그 이후 박람 회를 계속 추진하고 있다.
박람회의 개최를 통하여 ①학부모, 교사, 학생이 함께 생각할 수 있는 진로선택의 장 마련, ②지식 기반사회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중요성 홍보, ③변 화하는 직업세계 속에서 자기계발을 통해 전문인 으로서 거듭나는 사회분위기 조성, ④평생교육 및 직업능력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 조성의 효 과를 얻었다. 특히 박람회의 진로상담관 운영을 통하여 학생과 구직자들이 심리검사에 대하여 매 우 많은 관심을 가지고 검사에 임하고 있었으며, 박람회 행사 기간 동안 진로상담관에서는 개인상 담실을 운영하였으며 박람회에서 각종 검사와 상 담 및 진로계획이 ONE STOP SERVICE가 되게 이루어 졌다.
<보고서 및 연구자료 발간 실적>
*연구자료 및 기타: 연구자료, 정책제안서, 동향지, 소식지, 학술지, 연차보고서, HRD포럼자료, 세미나 자료 포함.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10월 현재)
합 계
연구 사업 소계 연구 사업 소계
연구자료 및 기타(C)
개인연구 과제(D)
합계 (A+B+C+D)
기본(A) 수탁(B)
구 분
14 30 40 38 55 15 192
- 5 6 8 10
1 30
14 35 46 46 65 16 222
1 4 41 43 40 13 142
- 3 6 5 1 - 15
1 7 47 48 41 13 157
4 35 39 56 46 18 198
- - 10
9 9 11 39
19 77 142 159 161 58 616
<각종 세미나 개최 결과>
1997년~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합 계
HRD 정책포럼 각종 학술 활동 및 세미나 합 계
연도
0 2 4 4 4 14
11 16 16 28 30 101
11 18 20 32 34 115
<HRD 정책포럼 개최 현황>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10차 11차 12차 13차 14차
지식기반사회의 HRD전략과 평생직업교육체제 지식기반사회의 국가안전자원개발 방향과 과제 생산적복지구현을 위한 HRD전략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 기능 활성화 인적자원개발 : 다학문적 접근
남북한 화해협력시대의 인전자원개발 정책 방향과 전략 지식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지역 인적자우너개발 방향과 과제 민간부문의 인적자원개발 활성화 평생직업교육훈련의 질 관리 방안 대학생의 직업능력개발지원대책 중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 지원 대책 E-Learning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향 사회통합성제고를 위한 평생직업능력개발
1999. 4. 20 1999. 7. 28 2000. 4. 7 2000. 6. 23 2000. 8. 25 2000. 11. 26 2001. 2. 28 2001. 5. 25 2001. 9. 7 2001. 11. 22 2002. 2. 28 2002. 5. 24 2002. 8. 22 2002. 11. 8
주 제 일 시
구 분
(단위 : 권)
(단위 : 건)
4. 국제협력 부문
가. 정책 기조
직업기술교육훈련을 통한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 이 점차 증대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OECD, UNESCO, ILO 등의 국제기구 및 호주의 NCVER, 독일의 BIBB, 프랑스의 CEREQ 등과 같은 국제적인 유관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하고 있다.
UNESCO는 그간 지속적으로 전개해 온 직업기술 교육을 지역별 특성에 맞게 추진할 수 있도록 지역 센터 설치를 결의하고, 2000년 10월 직능원을 세 계 최초의 직업기술교육훈련 우수지역센터로 지정 한 바 있다. 직능원은 우수지역센터를 중심으로 직 업교육훈련과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연구사업을 수 행하고 있다.
직능원은 지난 40여 년간 우리 나라가 직업교육훈 련 분야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개발도상국에 전수하는 업무를 주요 기능의 하나로 설정하고 동 남아시아 지역과 구소련 지역은 물론 최근에는 중 동지역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컨설팅을 통한 개발 도상국의 직업교육훈련과 인적자원개발 정책 분야 의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설립 이래 국제기구와 해외의 유수한 전문 연구기 관과 상호 교류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여 각 기관과의 공동연구, 정보자료의 교환, 인적 교류 등 포괄적인 상호협력 관계를 유지해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나. 직능원의 실적
연구 :‘ILO와 실업자 직업훈련정책의 효과분석 에 관한 공동연구’, ‘APEC 인적자원개발 실무그 룹 현황과 한국에의 시사점’, ‘APEC주요 회원국 의 HRD 전략 비교연구’, ‘남북한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교류 및 협력방안 연구’, ‘한·남아공 직업 훈련 및 자격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한·호주 성 인근로자 향상훈련에 관한 연구’, ‘한·불 자격제 도 비교연구’, ‘한·호주 직업교육훈련기관과 산 업체의 연계 비교연구’
사업 :‘제2차 UNESCO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개최 사업’, ‘UNESCO 지역센터 network 구축 을 위한 해외 유관기관 기초 조사’, ‘UNESCO 회 원국 관계자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요 조 사’, ‘KRIVET 직업기술교육훈련 국제회의’,
‘아·태 지역의 UNESCO 회원국 관계자/전문가 연수프로그램’및‘아·태 지역 회원국 고위 공무 원 workshop 프로그램’, ‘아프가니스탄 고위 공 무원 연수 프로그램’
전문가 파견 : ‘직업기술교육시설 확대사업 검토’
(우즈베키스탄), ‘이동식 직업훈련사업 사후 평 가’(인도네시아), ‘실업교육개선사업 자문’(인도 네시아), ‘국립직업기능검정원 지원’(남아공), ‘직 업훈련사업과 관련된 제반 기술적 사항 자문’(캄 보디아), ‘사회보장보험분야 자문’(몽골), ‘직업기 술교육 프로젝트 수행’(베트남), ‘직업훈련부 자 문’(알제리), ‘직업훈련청의 직업교육훈련분야 개 혁 자문’(사우디 아라비아)
상호교류협력 체결 기구 및 연구기관:호주의 국립 직업교육연구소(NCVER), 독일의 연방직업교육 연구소(BIBB), 프랑스의 자격연구소(CEREQ), 중국의 직업기술교육연구소(CITVE), 사우디 아
라비아의 직업훈련청(GOTEVOT), 유네스코, 유 럽연합의 직업훈련개발센터(CEDEFOP)
다. 기여 및 의의
국가별 특성에 따른 직업기술교육훈련 정보 및 노 하우의 흡수 및 이의 확산과 효과적 보급을 목표로 하여 해외의 선진 연구기관은 물론 국제기구와 다 수의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함으로 써 아·태 지역 국가들의 직업기술교육훈련과 국 가인적자원개발 영역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직업기술교육훈련 분야의 우수한 사례를 후진국 및 개발도상국에 확산하고자 하는 UNESCO의 정책에 따라 직능원은 우수지역센터의 기능을 활 성화하기 위하여 아·태 지역 국가들을 대상으로 직업기술교육훈련 발전과 관행에 관한 최근의 정 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많은 국가들로부터 지지와 호응을 받고 있다. 이는 한국전쟁 이후 도움을 받 아왔던 수혜국의 지위를 완전히 벗어나 원조국으 로의 대전환을 이루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직능원의 전문가 파견을 요청하는 사례가 점증하고 있으며, 이는 직능원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노하우의 수월성, 지명도를 말 해주는 것으로서, 세계를 무대로 한 직능원의 주도 적 역할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직능원은 5년에 불과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호주,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의 국제적인 연구기 관은 물론 중국, 사우디 아라비아, 베네주엘라 등 개발도상국의 정부부처 및 연구기관과 연구·개발 분야와 인적·물적 교류 분야에서의 상호협력관계 를 체결함으로써 직능원의 국제적 기관으로서의 공신력은 물론 연구개발 분야의 수월성을 국제적 으로 인정받고 있다.
<국제협력분야 공동연구와 국제회의>
연 도 공동연구 project
1997년 ∼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국제회의명 한·영 직업교육훈련세미나
제2차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국제직업기술교육 박람회
한·호주 직업교육훈련 세미나, 아·태지역 직업 교육훈련 국제회의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인적자원개발 전략에 관한 국제회의, 2001년도 직업기술교육훈련 국제회의, KRIVET/ILO Workshop, OECD-KRIVET 성인 학습정책 국제학술회의, 환경 국제회의 한·호주 직업교육훈련기관과 산업체와의 연계 비교 연구, 한·호
주 성인 근로자 향상훈련에 관한 비교 연구, 한·불 자격제도 비교 연구, 한·남아공 직업훈련 및 자격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남북한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교류 및 협력 방안 연구
ILO와의 공동연구(실업자 직업훈련정책의 효과 분석), 한·호주 공동연구사업
한국의 진로정보·지도 및 상담 서비스 정책 협력사업(OECD), OECD 평생직업교육훈련지표 개발 사업, 2001년도 APEC HRD Working Group 지원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