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태백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구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태백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구조"

Copied!
8
0
0

Teks penuh

(1)

태백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구조

이정윤1*·조영준2·장면3·김경순4

1생태공간정보연구소, 2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3군산대학교 생물학과, 4국립생태원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Taebaeksan National Park

Jung-Yun Lee

1

*, Young-Jun Cho

2

, Jang Myun

3

and Gyung-Soon Kim

4

1Ecological & Spatial Information Institute

2Departmen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Kunsan National University

3Department of Bi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4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요 약 :본연구는태백산국립공원 일대의삼림식생을상관대분류및식생유형별주요특성과현황을포함하고있 다. 태백산국립공원의삼림식생은 입지의지형적특성에따라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산지습성림, 아고산 침엽수림, 산지초원식생, 암벽식생, 식재림등 40개 군락, 그리고 기타식생 6개 군락 등 총 46개 군락으로 조사되 었다. 상관대분류에의하여구분된각각의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17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3개 군락, 산 지습성림 10개 군락, 아고산침엽수림 4개 군락, 식재림 6개 군락, 기타식생 6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주요 군락의 분포비율은산지낙엽활엽수림의신갈나무군락 54.62%, 식재림의일본잎갈나무군락 15.41%, 산지습성림의층층나무- 들메나무군락 4.28% 등순으로분포하고있다.

주요어 :태백산국립공원, 삼림식생, 상관분류

Abstract :Forest vegetation in Taebaek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forest, coniferous forest, mountain valley forest, subalpine coniferous forest, afforestation forest and other vegetation. Including 40 communities of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6 communities of other vegetation, the total of 46 communities were researched; mountain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are 17 communities deciduous forest, 3 communities of coniferous forests, 10 communities of mountain valley forest, 4 communitie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6 afforestation and 6 other vegetation. As for the distribution rate for surveyed main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account for 54.62 percent of deciduous forest, Larix kaempferi communities 15.41 percent of afforestation forest, Cornus controversa-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takes up 4.28 percent of mountain forest.

Key words :Taebaeksan National Park, Forest vegetation, Physiognomy classification

서 론

태백산국립공원은 1989년 5월 13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

었으며, 2016년 8월 22일 국립공원 제 22호로 지정되었다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17). 태백산국립공원은 태백시, 정선군, 영월군, 봉화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식 물구계 구분에 의하면 한반도 중부아구(이와 임 1978)에 속

하며, 크게 온대북부, 온대중부, 기타 등 3개의 산림기후대 로 분포하고 있다. 태백산국립공원은 대덕산과 금대봉, 함백 산, 태백산 등 크게 4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나무림, 신갈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 자작나무림 등 13개 단위 식생으로 구분되었다. 금대봉 일원은 해발 700m 이상에 신 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해발 1,200m 인근에서 정상까지 는 산지초원이 분포하고 있다. 함백산과 금대봉 일원은 전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2)

반적으로신갈나무군락과소나무군락이 우점하는 지역으로 신갈나무군락은 해발고도가 높은 함백산, 천의봉, 금대봉, 대덕산으로 이어지는 주요 능선부에 분포하며, 고도가 낮은 지역에 소나무림이 분포하고 있다. 태백산 일원은 정상부에 신갈나무-분비나무군락, 신갈나무-주목군락, 철쭉-털진달래 군락 등과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에 산재하는 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등이분포하고 있다(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6). 또한, 태백산국립공원에 대한선행 연구로는 대덕산과 금대봉 지역에서 김 등(2003), 서 등 (2006), 함백산 지역에서 김(2001)과 박 등(2002), 태백산 지 역에서 조와 최(2002), 조 등(2005), 산림청(2007, 2012), 이 등(2016)에 의하여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산림구조 및 식생조사가 수행되었다. 특히, 태백산국립공원은 2016년 에 신규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전체조사지역에 대한식 생분포도가 작성되지 않은 실정이다. 현존식생조사는 식물 군락의 종조성과 서식처의 상호관계에 대응하는 중요한 근 거 자료로서 태백산국립공원의 식생자원 다양성과 특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태백산국립공원의 식생에 대한 주요 군락의 분 포 특성을 조사하고 국립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전반적인식생자원에대한식물군락의다양성, 분포특성, 지역적 특이성 등을 규명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사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및 기간

연구범위는 태백시, 정선군, 영월군, 봉화군 일대를 포함 하고있는태백산국립공원지역이다(Figure 1). 본식생조사 는 2017년 5월부터 10월까지 태백산국립공원에 포함되는 대덕산, 매봉산, 함백산, 태백산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 조사방법

현존식생도는 1:5,000의산림청임상도, 위성영상 등을참

고하여 지형도(1:25,000)상에식생을구분한 다음, 현지답사

를 통하여 식생 상관 등을 확인 및 수정하는 작업을 거쳐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의 최소면적은 250m × 250m(지형도 상의 1 cm × 1 cm)로 하고, 분포면적이 작아 지형도에 표기 하기 어려운 식생은 주변 군락에 편입하였다.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Mueller-Dombois &

Figure 1. A map of this study area.

Table 1. The result of the vegetation survey in Taebaeksan National Park.

Physiognomy classification Area (km2)

Percentage (%)

Deciduous forest 47.580 67.93

Coniferous forest 3.365 4.80

Mountain valley forest 4.535 6.47

Grassland vegetation 0.074 0.11

Subalpine Coniferous forest 1.705 2.43

Rock vegetation 0.065 0.09

afforestation forest 11.915 17.01

Other vegetation 0.813 1.16

Total 70.052 100.00

(3)

Ellenberg(1974)의 서열법에 따라식생단위를 도출하였으며, 식물군락의 유형화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환경 부·국립생태원 2017)에 따라 구분하였다.

결 과 1. 상관대분류에 따른 군락 분포

태백산국립공원 일대는 대덕산, 금대봉, 매봉산, 함백산,

태백산으로이어지는 지형적특성에따라산지삼림식생, 기 타식생등으로나타났다. 산지삼림식생은산지낙엽활엽수림 17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3개 군락, 산지습성림 10개 군락, 산지초원식생 1개 군락, 아고산침엽수림 4개 군락, 암벽식생 1개 군락, 식재림 6개 군락, 기타식생은 벌채지, 2차초지, 농 경지, 개발지 등 4개 군락으로 총 46개 군락으로 세분하여 조사되었다(Table 1~9).

Table 1의주요상관대분류별 분포면적으로산지낙엽활엽

Figure 2. Actual vegetation map of Taebaeksan National Park.

(4)

수림이 67.93%의 가장넓은 분포역을 점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식재림 17.01%, 산지습성림 6.47%, 산지침엽수림

4.80%, 아고산침엽수림 2.43%, 기타식생 1.16%, 산지초원식

생 0.11%, 암벽식생 0.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식생유형별 군락 분포 1) 산지낙엽활엽수림

태백산국립공원일대산지낙엽활엽수림은능선부, 산지사 면 상부와 중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전체 조사면적 70.052 km2 중 47.580 km2으로 약 67.93%를 차지하고 있어, 상관 대분류에 의한 산지삼림식생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군락을 이루는 구성 종으로는 신갈나무, 굴참 나무,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등이혼생하여군락을형성하 는 것으로 총 1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군락 중 최상층에 우점 하는 군락으로 신갈나무군락이 54.61%로 분 포면적 및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신갈나무-층층나무군 락 2.14%, 신갈나무-거제수나무군락 1.63%, 굴참나무-소나 무군락 1.35%, 신갈나무-소나무군락 1.32%, 신갈나무-주목

군락 1.19%, 굴참나무군락 1.14% 등 순으로분포하고 있다

(Table 2).

2) 산지침엽활엽수림

태백산국립공원일대 산지침엽수림은 능선부및사면상부 와 산의 저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전체 조사면적 70.052 km2 중 3.365 km2으로 약 4.80%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군 락을 이루는 구성 종으로는 소나무가 우점하거나 신갈나무, 굴참나무와 혼생하여 군락을 형성하는 것으로 총 3개 군락 으로구분되었다. 조사된군락중 최상층에우점하는군락 으로 소나무군락이 3.85%로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소나무-신갈나무군락 0.70%, 소나무-굴참나무군락

0.25% 등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Table 3).

3) 산지습성림

태백산국립공원 일대 산지습성림은 산지사면 하부와 계곡

부에분포하고 있으며, 전체조사면적 70.052 km2중 4.535

km2으로약 6.47%를차지하고있다. 주요군락을 이루는구

성 종으로는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혼생하여 군락을 형성하는 것으로 총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군락 중 최상층에 우점 하는 군락으로 층층나무군락이 4.28%로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이 가장 높 았으며, 층층나무-거제수나무군락 0.47%, 물푸레나무-층층나

무군락 0.41%, 층층나무-신갈나무군락 0.40%, 물푸레나무-

신갈나무군락 0.38% 등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Table 4).

Table 2. Plant communities of deciduous forest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38.249 54.62

Quercus mongolica-Cornus controversa community 1.502 2.14

Quercus mongolica-Betula costata community 1.145 1.63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0.943 1.35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0.923 1.32

Quercus mongolica-Taxus cuspidata community 0.837 1.19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0.800 1.14

Betula cost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0.559 0.80

Betula costata community 0.476 0.68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0.457 0.65

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0.415 0.59

Quercus mongolica-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0.400 0.57

Betula costata-Cornus controversa community 0.318 0.45

Betula costata-Taxus cuspidata community 0.270 0.39

Quercus mongolica-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0.143 0.20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0.118 0.17

Betula dahurica community 0.025 0.04

Total 47.580 67.93

Table 3. Plant communities of coniferous forest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Pinus densiflora community 2.700 3.85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0.493 0.70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0.172 0.25

Total 3.365 4.80

(5)

4) 아고산침엽수림

태백산국립공원 일대 아고산침엽수림은 함백산과 태백산

1,400m 이상에 분포하고 있으며, 전체 조사면적 70.052 km2

중 1.705 km2으로 약 2.43%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군락을 이루는 구성 종으로는 주목, 분비나무가 혼생하여 군락을 형성하는 것으로총 4개 군락으로구분되었다. 조사된군락 중 최상층에 우점 하는 군락으로 주목-신갈나무군락이

2.22%로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이 가장높았으며, 분비나무

군락 0.09%, 주목-거제수나무군락 0.08%, 주목군락 0.04%

등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Table 5).

5) 식재림

태백산국립공원일대식재림은 과거삼림복구지, 계곡부, 집단시설지구 주변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전체 조사면적 70.052 km2 중 11.915 km2으로 약 17.01%를 차지하고 있어, 상관대분류에 의한 산지삼림식생 중 산지낙엽활엽수림 분포 면적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군락을 이루는 구성 종으로는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자작나

무, 물오리나무, 전나무 등이 혼생하여 군락을형성하는 것 으로 총 6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군락 중 최상층 에 우점 하는 군락으로 일본잎갈나무군락이 15.41%로 분포 면적 및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잣나무군락 1.00%, 자 작나무군락 0.20%, 일본잎갈나무-신갈나무군락 0.17% 등 순 Table 4. Plant communities of mountain valley forest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Cornus controversa-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2.998 4.28

Cornus controversa-Betula costata community 0.329 0.47

Fraxinus rhynchophylla-Cornus controversa community 0.290 0.41

Cornus controversa-Quercus mongolica community 0.283 0.40

Fraxinus rhynchophylla-Quercus mongolica community 0.264 0.38

Cornus controversa-Acer pictum community 0.158 0.23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0.121 0.17

Acer pictum-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0.049 0.07

Cornus controversa-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0.031 0.04

Fraxinus mandshurica-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0.012 0.02

Total 4.535 6.47

Table 5. Plant communitie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Taxus cuspid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1.558 2.22

Abies nephrolepis community 0.065 0.09

Taxus cuspidata-Betula costata community 0.056 0.08

Taxus cuspidata community 0.026 0.04

Total 1.705 2.43

Table 6. Plant communities of afforestation forest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Larix kaempferi plantation 10.793 15.41

Pinus koraiensis plantation 0.699 1.00

Betula pendula plantation 0.139 0.20

Larix kaempferi-Quercus mongolica plantation 0.121 0.17

Alnus hirsuta plantation 0.106 0.15

Abies holophylla plantation 0.057 0.08

Total 11.915 17.01

Table 7. Plant communities of grassland forest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grassland forest 0.074 0.11

Total 0.074 0.11

Table 8. Plant communities of rock vegetation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Rock vegetation 0.065 0.09

Total 0.065 0.09

(6)

으로 분포하고 있다(Table 6).

6) 기타식생

태백산국립공원 일대 기타식생은 산지초원식생, 암벽식생, 경작지, 개발지, 벌채지, 2차초지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전체 조사면적 70.052 km2중 0.952 km2으로약 1.36%를 차지하 고 있다(Table 7~9).

3. 삼림식생구조 1) 신갈나무군락

계층구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4층구조

교목층의 수고는 10~15m, 식피율은 80~95%로 조사되었

다. 군락구분종인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수반종으로 는 거제수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 마 가목, 피나무 등이 출현하고 있다. 아교목층의 수고는 6~9

m, 식피율은 20~60%로 당단풍,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함박

꽃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관목층의 식피율은 30~80%

이며, 철쭉, 당단풍, 고로쇠나무, 나래회나무, 함박꽃나무, 팥 배나무, 물푸레나무, 노린재나무 등이 출현하고 있었다. 초 본층의 식피율은 15~90%이고, 조사지역의 입지특성에 따라 식피율의 차이가 컸다. 우점종은 조릿대, 큰개별꽃, 눈빛승 마, 노루오줌, 벌깨덩굴, 박새, 동자꽃, 일월비비추, 태백제비 꽃, 둥근이질풀, 대사초 등이조사되었다.

조사지역에서 주로산림의 북사면부와 해발고가 높은사 면부이며대덕산, 금대봉, 함백산, 태백산지역의사면부, 능 선부 등에 걸쳐 넓은 분포역을 보이고 있다.

2) 소나무군락

계층구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3~4층구조

교목층의 수고는 15~21m, 식피율은 90~95%로 조사되었

다. 군락구분종인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수반종으로는 신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이 혼효림을 나타내고 있다.

아교목층의 수고는 6~10m, 식피율은 15~60%로 신갈나무, 쇠물푸레, 음나무, 물푸레나무, 물박달나무, 함박꽃나무, 산 벚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관목층의 식피율은 55~85%

이며, 쇠물푸레, 진달래, 철쭉, 생강나무, 개옻나무, 함박꽃나 무, 당단풍, 물개암나무등이출현하고 있었다. 초본층의식 피율은 30%~90%이고, 조사지역의 입지특성에 따라 식피율 의 차이가 컸다. 우점종은 둥굴레, 그늘사초, 조릿대, 남산제

비꽃, 선밀나물, 새, 둥근털제비꽃, 고사리, 맑은대쑥, 대사초, 참취, 다래, 참나물, 매발톱꽃, 천남성등이조사되었다.

조사지역에서 태백산 남측 삼림지역의 능선부와 사면부에 대경목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참나무림 으로 이차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3) 거제수나무군락

계층구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4층 구조 교목층의 수고는 11~17m, 식피율은 80~90%로 조사되었 다. 군락구분종인 거제수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수반종으 로는 신갈나무, 층층나무, 주목 등이 혼효림을 나타내고 있 다. 아교목층의 수고는 6~9m, 식피율은 20~40%로 물푸레나 무, 털피나무, 당단풍,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관목층의 식피 율은 30~65%이며, 당단풍, 나래회나무, 복자기, 털피나무,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함박꽃나무, 귀룽나무, 산겨릅나무, 들메나무, 물참대, 작살나무 등이 출현하고 있었다. 초본층 의 식피율은 30∼85%이고, 조사지역의 입지특성에 따라 식 피율의 차이가 컸다. 우점종은 노루오줌, 터리풀, 지리강활, 귀박쥐나물, 여우오줌, 대사초, 참나물, 진범, 관중, 단풍취, 큰 괭이밥, 큰개별꽃, 등칡, 산수국, 할미밀망등이조사되었다.

거제수나무의자생지는북서방향의 사면부이며, 토양특성 은 수분함량이 다소 높고 양료가 비옥한 지역이다. 주로 함 백산과 태백산 지역의 계곡부에서 사면상부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군락 내 조조성의 다소 풍부하게 나타났다.

4) 주목군락

계층구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3~4층구조

교목층의수고는 9~13m, 식피율은 75~90%로조사되었다.

군락구분종인 주목이 우점하고 있으며, 수반종으로는 신갈 나무, 거제수나무 등이 혼효림을 나타내고 있다. 아교목층의 수고는 5~7m, 식피율은 15~85%로 주목, 당단풍, 층층나무, 소나무, 분비나무, 신갈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관목층 의 식피율은 50~90%이며, 당단풍, 철쭉, 주목, 함박꽃나무, 청시닥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붉은병꽃나무, 까치박달등 이 출현하고 있었다. 초본층의 식피율은 55~85%이고, 주요 출현종은 노루오줌, 큰개별꽃, 십자고사리, 박새, 곰취, 대사 초, 두루미꽃, 풀솜대, 동자꽃 등이 조사되었다.

주목은 가문비나무, 눈잣나무, 눈향나무 등과 같이 지구온 난화에의한 피해 정도가 높지는 않으나 전나무, 잣나무와 함께 여름에 기온이올라가면서생장과결실에장애가나타 나고, 분포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종이다. 조사지역 에서는 태백산, 부쇠봉, 문수봉 등 1,400m 이상 삼림일대에 신갈나무, 거제수나무 등과 혼효림을 형성하고 있다.

5) 일본잎갈나무군락

계층구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3~4층구조

교목층의 수고는 13~22m, 식피율은 85~95%로 조사되었

다. 군락구분종인 일본잎갈나무가 강하게 우점하고 있으며, 일부 입지에서는 신갈나무와 혼효림을 나타내고 있다. 아교 Table 9. Plant communities of other vegetation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Community Area (km2) Percentage (%)

Agricultural 0.402 0.57

Development Area 0.295 0.42

Fertilization 0.067 0.10

secondary meadow 0.049 0.07

Total 0.813 1.16

(7)

목층의 수고는 7~9m, 식피율은 5~40%로 고로쇠나무, 까치 박달, 난티나무, 함박꽃나무, 물푸레나무, 산뽕나무, 왕느릅 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의 입지특성에 따라 식피율의 차이가 컸다. 관목층의 식피율은 30~80%이며, 물 참대, 국수나무, 쉬땅나무, 고추나무, 피나무, 까치박달, 복자 기, 물개암나무, 산뽕나무, 노랜재나무, 두릅나무 등이 출현

하고있었다. 초본층의 식피율은 30~80%이고, 주요 출현종

은줄딸기, 병조희풀, 오갈피나무, 큰개별꽃, 지리강활, 태백 제비꽃, 다래, 참취, 등칡, 애기똥풀, 천남성, 눈빛승마, 홀아 비꽃대, 당개지치, 속새 등이 조사되었다.

조사지역에서는 토양무기영양염류가 풍부한 산림 저지대, 곡간지 및 계곡부이지만, 일반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만항재, 화방재 등에 넓게 조성되어 있다.

고찰 및 제언

본 연구는 태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삼림식생을 상관대분류 및 식생유형별 주요 특성과 현황을 포함하고 있다. 태백산 국립공원 지역에서 확인된 식물군락은 신갈나무군락군, 굴 참나무군락군, 거제서나무군락군, 물박달나무군락군, 소나무 군락군, 층층나무군락군, 물푸레나무군락군, 고로쇠나무-둘 메나무군락, 주목군락군, 분비나무군락군, 일본잎갈나무식재 림, 잣나무식재림, 자작나무식재림, 물오리나무식재림, 전나 무식재림 등으로 분류되었다. 식물군락 중 신갈나무군락이

54.62%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잎갈나무

식재림이 15.41%, 층층나무-들메나무군락이 4.28%, 소나무

군락이 3.85% 등순으로분포하고있다. 전체 식생유형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의 분포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대덕산 과 금대봉 지역에서는 신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 군락 등, 함백산 지역에서는 신갈나무군락, 거제수나무군락, 층층나무-들메나무군락 등, 태백산 지역에서는 신갈나무군 락, 주목-신갈나무군락, 거제수나무-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 락 등이우점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백산국립공원 내에서일본잎갈나무식재림은 15.41%로 단일군락으로는신 갈나무군락을 제외하고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 태백산 지역에 광산개발로 인해 복구과정에서 대단위 로 식재되어 관리된 결과이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분포는 설악산국 립공원, 오대산국립공원, 태백산국립공원, 소백산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등 6개 국립공원에 분포하 고 있다. 태백산국립공원 지역에서 아고산대 침엽수림은 공 원면적 대비 5.30%로 구상나무(식재지), 분비나무와 주목이 분포하고 있다. 아고산 침엽수림의 생육밀도를 살펴보면, 구 상나무(식재)는 25~50% 미만 0.61%, 50~75% 미만 0.22%로 나타났고, 분비나무와주목은 10~25% 미만 18.80%, 25~50%

미만 38.43%, 50~75% 미만 23.33%, 75% 이상 18.61%로 나타났다(국립공원·국립공원연구원 2016). 이는 태백산국립 공원 지역의 아고산대 침엽수림은 상층부가 열려 숲 내에 생긴 숲틈에 주로 신갈나무, 철쭉, 미역줄나무 등이 우점하

고 있었고 치수의 출현율은 매우낮은 양호한상태를 보이 지않았다. 국립생태원(2016)에 의하면아고산대침엽수림의 보전방안으로 미세기후요인(풍향 및 풍속, 대기 온·습도, 가 뭄 및 태풍), 곤충(가해곤충), 종간 경쟁(신갈나무, 소나무, 조릿대), 숲틈 발생 및 재생 특성, 수분스트레스 영향, 지형 및 지질 특성, 토양 온·습도 등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필요 함이제시하였다. 한편, 태백산국립공원은 국립공원 지정이 짧은 특성상현시점에서부터아고산대 침엽수림의분포범 위 변화, 고사목 및 고사 형태, 연륜연대 분석, 치수 측정, 미세기후 측정(온도, 습도, 풍향, 풍속)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태백산국립공원 지역의 조림식생은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일본잎갈나무-신갈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자작나무식재 림, 물오리나무식재림, 전나무식재림 등이 만항재 구간, 화 방재구간, 두문동재구간, 당골계곡등에 대단위로조성되어 있다. 특히, 조림식생 중 일본잎갈나무식재림은 15% 정도로 나타나 과거 산림녹화사업으로 아고산대 침엽수림 분포 한 계선까지 식재되어 있다. 이러한 자연림과 인공림이 인접해 분포하고 있는 경우 공간의 연속성을 가지게 되어 자연식생 의 변화가 예측되는바, 단계별 관리방향을 설정할 필요성 이 있다. 따라서 조림식생 내 균질성이 높은 곳에 영구방 형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식생조사를 토대로 잠재 자연식생을 도출하고, 조림식생 분포지의 고도, 경사, 사면 향 등을 파악하여 복원방향 설정을 위한 적지수종이 선정되 어야 한다. 식생 복원기술은 최소 교목성 수종과 아교목성 수종을 선정하여 표토층 복원, 식재 간격 등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식재 후 모니터링 기간을 설정하여 활착률, 생장 상태등을파악하여야한다.

사 사

본 연구는 2017년 태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의 일부 결과를 반영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16. 국립공원아고산대침

엽수림분포도.72pp.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16. 태백산국립공원 지정 을위한타당성조사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17. 태백산국립공원 자연 자원조사. 852pp.

국립생태원. 2016. 기후변화민감생태계관리및보전방안연구. 107pp.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 2003. 백두대간대덕산~금대봉자연생태

계보전지역의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9- 17.

김철남. 2001. 함백산의식물상과식생. 강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35pp.

박인협, 최윤호, 이석면, 최영철, 유석봉. 2002. 함백산지역계곡부

(8)

의사면방향과해발고에따른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61-368.

산림청. 2007. 백두대간자원실태조사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산림청. 2012. 백두대간자원실태변화조사및관리방안연구. 한국

환경생태학회.

서동주, 백원기, 이우철, 유기억. 2006. 대덕산의식물상과식생. 한 국자원식물학회지. 19(2): 277-295.

이상철, 강현미, 최송현, 박석곤, 유찬열. 2016. 태백산도립공원의 사면및해발고별식생구조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0(3):

376-385.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분포에관한연구. 한국

식물학회지. 8:1-33.

조현서, 최송현. 2002. 백두대간태백산지역백천계곡의식물군집

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69-378.

조현서, 김갑태, 추갑철. 2005. 백두대간태백산지역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관한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1): 55-62.

환경부·국립생태원. 2017. 제4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식생).

Mueller-Dombois 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pp.

(2018년 3월 8일접수; 2018년 3월 20일수정; 2018년 4월 26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Undang-undang Nomor20 Tahun 2003 tentang Sistem Pendidikan Nasional; 2.Undang-undang Nomor 12 Tahun 2012 tentang Pendidikan Tinggi; 3.Peraturan Pemerintah Nomor 4 Tahun 2014 tentang

1.Undang-undang Nomor 20 Tahun 2003 tentang Sistem Pendidikan Nasional; 2.Undang-undang Nomor 12 Tahun 2012 tentang Pendidikan Tinggi; 3.Peraturan Pemerintah Nomor 4 Tahun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