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특화자원을 활용한 탐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배준호1
⋅
남승민2*⋅
허학영2⋅
송창룡1⋅
박현숙11한라대학교, 2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 study on development of Exploration Program in Taeanhaean National Park using local resources
Joon-ho Bae
1, Seung-min Nam
2*, Hak-young Heo
2, Chang-ryong Song
1and Hyun-suk Park
11Halla University, Tourism Management, Wonju 26404, Korea
2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요약: 본 연구를 위해 먼저 국내⋅외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운영프로그램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사된 일부 사례의 경우 기후 및 지형적 요인, 그에 따른 생태환경의 차이, 그리고 관련 법령 차이 등의 이유로 즉시 국립공원에 도입하기 보다는 중⋅장기적 운영계획과 인프라의 확충, 전문성 확보 등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적합한 탐방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사업대상지 현장방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운영프로그램 현황, 각종 시설, 인력현황 파악, 주변 환경 분석, 담당자 인터뷰 등을 통해 맞춤형 탐방프로그램을 구성하였 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우, 연구원 협업 철새 가락지 부착체험, 태안 해변길 - 솔모랫길 탐방, 태안해변 드론 탐방, 마음의 의자, 연날리기, 새와 예술 그리고 … 등의 체험형 프로그램과 한서대학교와 함께하는 해양 안전 교육 프로그램, 유류 오염 교육 프로그램 등의 교육형 프로그램 등 모두 8가지 해양국립공원 운영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제안된 탐방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소 및 운영시설의 확충, 예산편성, 운영을 위한 타당성 검토 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탐방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지도자의 역량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새로 운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한 추가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태안해안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Abstract: For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currently operating programs of domestic and overseas maritime and costal national parks.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programs require systematic preparations such as mid- and long-term operation plans, infra- structur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professionalism rather than immediately introducing them into national parks due to the differences in climatic and geographic factors, ecological environment, and relevant regulations. To develop more suitable programs, on-site visits were made and the customized programs were suggested by closely examining the status quo and interviewing peo- ple in charge of running the currently offered programs. For Taean Coastal National Park, eight programs were recommended as fea- sible ones, including the experiential programs such as Bird Ringing, Taean Beach Trail - Sol Sand Trail Walking, Travel Taean Beach with Drone, Thinking Chair, Kite Flying, and Culture & Arts Program (Birds, Arts, and …),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Marine Safety Training and Oil Pollution Awareness Program. For the suggested programs to be realized, the expansion of separate places and operating facilities for each program, budgeting, and feasibility study should be preceded. To operate the program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program leaders, and additional discussion for supplement the currently operated programs and implement new programs.
Key words Taean Coastal National Park, Experiential Programs
서론
본 연구에서는 해상해안형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특히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맞춘 프로그램을 도출하고자 하였 다. 이는 급변하는 탐방트랜드에 맞춘 세부적인 프로그 램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운영 전략 및 시사점을 담았다.
Received 5 April 2021; Revised 24 May 2021; Accepted 7 June 2021
*Corresponding to 남승민(Seung-min Nam)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2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June 2021, 133-136
ISSN 2093-0674 / https://doi.org/10.54406/jnpr.2021.12.1.133
JNPR
134
국립공원연구지 제12권 제1호 (202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지역자원을 활용해서 탐방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 양한 프로그램이 도출될 필요가 있으며, 지속가능한 운 영 또한 필요하겠다.
태안 해안국립공원은 충청남도 태안반도를 중심으로 가로림만에서부터 안면도에 이르는 다양한 자원을 지닌 국내 유일의 해안국립공원으로서, 1978년 10월 20일 서 산해안국립공원으로 처음 지정된 후, 1990면
3월 22일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해안지역은 학암포에서 남쪽 으로 영목에 이르기까지 총 230km 길이의 리아스식 해 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안사구⋅갯벌⋅일몰 등 다양 한 경관자원을 가지고 있다(이성희, 2018). 또한 태안해 안국립공원에는 다양한 바닷새들이 살고 있어서 경관자 원을 활용한 탐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바닷새를 활용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다. 태안해안국립공 원 및 주변 지역의 다양한 탐방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를 위해서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이 가지고 있는 경관자 원, 바닷새, 해변길 등의 지역자원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며, 이들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의 적극 적인 개발과 운영은 지역관광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공 원 해상⋅해안 탐방프로그램의 운영현황, 효과성, 적정 성 등 제반여건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둘째, 해상⋅해 안 탐방프로그램 운영 관련 타 기관 사례 및 운영 전략 검토하여, 셋째, 국립공원 특화형 해양프로그램 적용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연구 방법
사례 분석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다양한 유사 사례들을 조 사하여 국립공원에서 활용 가능한 탐방프로그램을 선정 하여 적용여부를 살펴보았다. 국내사례들 중에서는 제 주 올레길이 태안해변길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벤치마 킹 대상으로 제안되었고, 한서대학교 해양스포츠교육원 의 재난안전교육, 해양레저스포츠 등은 태안지역에 협
업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해양소년 단 해양안전체험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등을 참고하여 생존수영, 해양사고예방교육 등을 국립공원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 다. 완도군의 해양치유센터(모래찜질, 미역팩) 테마가 국립공원 내에
‘해양치유’
컨셉으로 도입 가능하다. 또 한 현재 국내 유사기관에서 진행 중인 해양쓰레기 재활 용 관련 프로그램 벤치마킹을 통한 태안지역 맞춤형 프로 그램 운영은 당면 과제인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 해외 유수의 국립공원에서도 지역 특색에 맞 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 중이며, 이들 프로그램에는 조수 웅덩이 자연관찰, 오리엔티어링, 해안가 연날리기, 캐나다 국립공원에서 설치 중인 마음의 의자(Redchair), 탐조활동, 밤하늘 별보기, 섬투어 등이 있다. 특히 대부 분의 해외 국립공원에서 운영 중인 주니어 레인저 프로 그램은 조금 더 특화시켜 세분화된 분류군 별 주니어 레 인저 프로그램으로 운영 가능하다. 또한 잠수부가 캠을 들고 해양 속을 탐험하는 해양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수 중 시야확보가 가능한 지역에서 벤치마킹하여 적용할 수 있다.연구 범위 및 통계 분석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국립공원
연구원에서 수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지는 태안해안국립 공원 일대이다. 연구과정 중 도출된 프로그램에 대한 탐 방객 선호도 조사는2020년 11월부터 약 한달 간 태안해
안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방법 은 국립공원공단 사내 메일과 외부 메일을 통해1:1
온 라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표본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 추출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내 용은 인구통계학적특성 및 연구과제를 통해 도출된 탐방 프로그램 선호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는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입력 및 분석(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등)으로 결과 도출하였다.135 논제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분석 결과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
응답자는 총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성 별은 남성이 48.5%, 여성이 50.2%로 나타났으며, 나이는20~29세 이하가 12.0%, 30~39세 이하가 32.0%, 40~49
세 이하가 32.0%, 50~59세 이하가 14.0%, 60세 이상이8.0%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학졸업 이상이 전체의81.0%,
고등학교 졸업 16.0%, 중학교 졸업 4.0% 등으로 나타났다. 수입의 경우500만원 이상 37.0%, 400만원 ~ 500만원 미만 23.0%, 300만원 ~ 400만원 미만 19.0%
등 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별로는 경남지역27.0%,
경기13.0%,
충남 11.0%, 부산 11.0%, 서울 10.0%, 대전 9.0%, 인천, 광주, 충북 5.0%, 대구, 경북1.0%로 나타났다.
직 업군은 회사원(사무, 영업, 관리, 생산, 판매) 41.0%, 공 무원/교원19.0%,
전업주부10.0%,
자영업(개인사업)9.0%,
전문직 8% 등이었다. 응답자의 65%가 이전에 탐방프로그램을 경험한 참여자이므로 재방문 탐방객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하며, 평균 프로그램 참여횟수
는
2.2회로 2번 정도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가지고 있
었다. 또한 탐방프로그램을 가족/친지의 권유, 친구/동료 의 권유로 참여하고 있으므로 구전효과의 가능성에 염 두를 두고 홍보 방안 구상필요하며 탐방프로그램 동반 유형은 전체의
55%가 가족/친지이며,
지인/동료, 친구/연인 순으로 도출되었음으로 가족 동반 프로그램 구상 이 필요하다.
2. 탐방프로그램 도출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주요 테마는 ‘angry birds program’
이며 슬로건은 ‘사람과 새 그리고 바다를 품는다’로 도 출되었다. 이에 대한 의미는 일상생활의 스트레스로 힘 든 사람과 서식지를 잃어버린 새, 오염된 바다를 위한 국립공원의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총 3개의 분야로 새와 함께하는 체험프로그램인 가락지 부착체험 과
bird’s eye view tour,
사람을 위한 힐링프로그램인 솔 모래길 트레킹, 마음의 의자, 바다를 느낄 수 있는 연날 리기와 마음의 의자 프로그램 등이 도출되었다.프로그램명 내용
1
단기
가락지 부착체험 조류생태교육
2 솔모랫길 탐방 트래킹
3 연날리기 전통체험/축제
4 태안유류오염교육프로그램 환경교육
5
중기
마음의 의자(Thinking Chair) 힐링(치유)프로그램
6 새와 예술, 그리고... 문화예술체험
7 한서대와 함께하는 해상안전체험 재난안전교육
8 장기 Bird’s eye view tour 항공/드론체험
Table 1. Taeanhaean National Park Explorer Program Development List
구분 최소값 최대값 평균 순위 표준편차
철새 가락지부착 체험 1 5 4.01 4 1.062
솔모랫길 탐방 1 5 4.29 1 0.809
태안해변 드론 여행 1 5 4.09 3 0.886
마음의 의자 1 5 4.00 5 0.951
연날리기 1 5 3.61 8 1.011
새와 예술 그리고... 1 5 3.55 9 1.026
Zero Waste 1 5 3.80 6 1.032
유류오염교육프로그램 1 5 3.67 7 1.013
해안안전교육프로그램 2 5 4.10 2 0.880
Table 2. Results on preference test of Taeanhaean National Park program
136
국립공원연구지 제12권 제1호 (202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3. 탐방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결과
도출된 탐방프로그램 중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의 선호도를 예비 탐방객 대상 도출하 였다. 1위는 솔모랫길 탐방, 2위는 해안안전 교육프로그 램, 3위는 태안해안 드론 여행 순으로 도출되었다.
고찰 및 시사점
본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개발에 목 적이 있으며, 현황파악, 사례분석, 선호도조사 등의 순으 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태안해안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의 테마는 ‘Angry
Bird Program’이며,
연구를 통해 연구원 협업 철새 가락지 부착체험, 태안 해변길 - 솔모랫길 탐방, 태안해변 드 론 탐방, 마음의 의자, 연날리기, 새와 예술 그리고…, 한 서대학교와 함께하는 해양 안전 교육 프로그램, 유류 오 염 교육 프로그램 등이 제안되었다. 장기프로그램을 운 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소 및 운영시설의 확충, 예산 편성, 운영을 위한 타당성 검토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주민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사회 경 제활성화 및 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국립공 원 지역은 주민과의 갈등이 늘 상주하는 곳이기 때문에 가급적 주민들 자극이 없는 탐방프로그램도 개발될 필 요가 있다. 국립공원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주민들 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국립공원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주민인식을 높이는데 기 여해야 할 것이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바다를 주된 자 연자원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어촌 어민 만남, 바다-섬 음식 체험 등 바다와 연관된 삶의 현장을 체험 하는 탐방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사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행한 2020년 해상해 안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이성희. 2018.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 관자원 도출 및 특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s://www.nps.gov/chis/planyourvisit/programs.htm https://www.nps.gov/chis/learn/photosmultimedia/2020sts.htm https://www.nps.gov/chis/learn/education/learning/index.htm https://www.nps.gov/chis/learn/kidsyouth/beajuniorranger.htm https://www.nps.gov/prwi/planyourvisit/orienteering.htm https://www.nps.gov/asis/planyourvisit/osv.htm
https://www.nps.gov/caco/planyourvisit/cape-cod-national-sea shore-oversand-beach-driving.htm
https://www.nps.gov/acad/getinvolved/artist-in-residence.htm 뉴포트 연날리기 축제 공식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
om/newportkitefestival/photos)
https://www.pc.gc.ca/en/pn-np/ab/banff/activ/rouge-red https://www.pc.gc.ca/en/voyage-travel/chaises-chairs
https://theculturetrip.com/north-america/canada/articles/the-m ost-beautiful-red-chair-destinations-in-canadas-parks/
https://www.pc.gc.ca/en/pn-np/ab/banff/activ/rouge-red https://plasticwhale.com/
https://www.rspb.org.uk/birds-and-wildlife/
https://www.nps.gov/grsa/planyourvisit/sandboardingsandsled ding.htm
https://www.nps.gov/whsa/planyourvisit/sledding.htm https://www.nps.gov/media/photo/gallery.htm?pg=521463&id
=F15746F3-748C-4F3F-82C6-323D14687F71 https://www.nps.gov/brca/planyourvisit/astrofest.htm https://m.blog.naver.com/dibrary1004/220525821051 https://notefolio.net/eunjijung/79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