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일대 가락지부착조사 현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일대 가락지부착조사 현황"

Copied!
8
0
0

Teks penuh

(1)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일대 가락지부착조사 현황

박세영*·조숙영·서슬기·강화연·권영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Status of Bird Banding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Se-Young Park * , Sook-Young Cho, Seul-Gi Seo, Hwa-Yeon Kang and Young-Soo Kwon

Migratory Bird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Shinan-gun, Jeollanam-do 58863, Korea

요 약 :철새연구센터에서는 2014년 5월, 국내육상권역의첫상시가락지부착장소로서태안해안국립공원의학암포 일대에출장소를 개소하고 매년 이동성 소형 조류를 대상으로 가락지부착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출장소가 위치한 태안해안국립공원은동아시아를이동하는조류들의중간기착지중하나로서, 국내서해안을통과하는철새의이동현 황을파악할 수 있는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12월까지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일대에

새그물(mist-net)을 설치하여 포획된 총 81종 3,244개체를 대상으로 가락지를 부착하였으며, 이 중 25종 256개체가

총 410회 재포획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박새 Parus major, 촉새 E. spodocephala, 붉 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쑥새 E. rustica 순이었으며, 전체 포획된 개체의 50% 이상이 멧새과

(Emberizidae)로 확인되었다. 향후 해당 일대에도래하는 철새의 종류와도래시기 등의 정밀한파악을 위해서는 지

속적인연간자료 축적이필요할것으로판단되며, 앞으로도 상시가락지부착조사를통해조류생태변화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수행할계획이다.

주요어 :가락지부착조사,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중간기착지, 참새목

Abstract :Established in May 2014, Hakampo banding sta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has been banded landbirds in migration season to understand status of migrants and arrival pattern of migratory population. Taeanhaean National Park is one of the important stopover sites for migratory passerines which migrate on East-Asian countries: therefore, this area is suitable to survey the migration ecology of birds passing through 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We banded a total of 81 species 3,244 individuals using mist-nets in Hakampo during spring of 2014 ~ autumn of 2015, and 256 individuals of 25 species are recapture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the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the Great Tit Parus major, the Black-faced Bunting E. spodocephala,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the Rustic Bunting E. rustica. Family Emberizidae took more than 50% of the total banded birds. Long-term banding results on numbers, species, arrival dates and trends will be a vital ingredient to clarify migratory strategy and behaviors on the East-Asian flyway.

Key words :Bird banding, Taeanhaean National Park, Hakampo, Stopover site, Passeriformes

서 론

국내 상시 가락지부착조사는 한반도 최서남단에 위치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홍도와흑산도(N 34° 41’, E 125° 25’) 를 시초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이동성 참새목(Passeriformes) 조류를 대상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해오고 있다(Chae et

al. 2010; 국립공원연구원 2014). 가락지부착조사는 해당 조

사지를 통과하는 철새의 이동경로, 도래시기 및 개체군 변 동에 대한 파악 외에도 분류군별 외형적 및 유전적인 정보 의 수집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Dunn and Ralph 2004).

국립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에서는 이러한 가락지부착조사 를 육상권역으로 확대하고자 2014년 5월, 태안해안국립공원 의 학암포 일대(N 36° 53’, E 126° 12’)에 출장소를 개소하 였으며, 이후 해당 일대의 적절한 조사지 및 조사 운영 방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안을 확립해오며가락지부착조사를상시적으로실시하고있 다(국립공원연구원 2014). 출장소가 위치한 태안해안국립공 원 일대는 리아스식 해안선(rias coast)을 포함하여 갯벌과 해안사구의 다양한 해양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지역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백 등 2010). 또한 해안가 인근에

크고 작은 농경지와 산림임연부가 이어져 있어 해양성 조류 뿐만아닌 이동성참새목의 휴식지및 채식지와 같은중간

기착지 역할을하고 있다(백운기 1995).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조류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해안가나 무인도서 일대의 물새류 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2007, 2009, 2010, 2011, 2012, 2013), 태안해안국립공원 일대의 참 새목 조류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 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학암포 일대에서 지속적인 가락지부착조사를 통해 참새목 조류의 도래 및 서식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며, 향후에는 보다 정량 적인 조사방법을 바탕으로 국내 서해안을 통과하는 참새목 의 도래시기 및 개체군 변동 등의 이동 전략에 대한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기간 및 지역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태안해안국 립공원 내에 위치한 학암포 일대(N 36° 53’, E 126° 12’)에 서 수행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된 태안 학암포 일대는 모래 해변과 사구습지, 침엽수림, 갈대밭, 잡목 패치 및 농경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국립공원연구원

2015). 특히 사구습지와 곰솔림이 발달한 곳으로 사이사이

에 갈대밭과 잡목림 패치가 있어 참새목 조류가 주로 이용 하는 지역이며(강화연 등 2015), 태안해안국립공원 일대에서 산림성 조류가 높게 관찰된 지역 중 하나이다(국립공원관리 공단 2007). 학암포 출장소의 개소 이후 적합한 조사지와

조사 체계의확립을위해 2015년 상반기까지시범적으로조

사가운영되었으며, 2015년 하반기부터고정조사구를선정 하여 매일 정량적인 규모(16개 그물로 24시간 그물 설치)로 상시 가락지부착조사(Constant effort survey)를 실시하고 있 다(Table 1). 조사 기간의 범위는 철새의 이동패턴에 따라 봄철과 가을철을 중심으로 나누었다.

2. 연구방법

태안해안국립공원학암포일대의 갈대밭과초지, 산림임 연부 지역을 대상으로 최소 8장에서 최대 16장(30 mm × 2.6 mm × 12 m)의 새그물(mist-net)을 설치하여(Figure 1) 일출 이후 매시간 마다 포획된 개체를 확인하였다. 포획된 개체 에게 가락지를 부착하고 종 동정 및 부위별 측정을 마친 후 에는 즉시 현장에서 바로 방사하였다. 간혹학암포 일대에 서 구조된조류에게도 상태가회복된이후 가락지를부착하 여 방사하였고, 본 내용에도 포함하였다. 종의 분류와 목록 정리는 한국 조류 목록(한국조류학회 2009)을 기준으로 하 였다. 국내 법적 보호종은 환경부 야생생물법 시행규칙 별 표(2012.7 개정)를 따랐으며, 천연기념물 목록은 문화재청의 천연기념물목록을 기준으로하였다.

Figure 1. Netting site with reed beds (left), woodlands, thickets (right).

Table 1. Bird banding schedule in Hakampo (Spring 2014~Autumn 2015).

Survey period Survey days Number of mist-net (Max.) Netting time

2014. 5. 1. ~ 5. 31. 15 8 06:00~12:00

2014. 8. 1. ~ 11. 30. 41 9 07:00~12:00

2015. 3. 1. ~ 6. 30. 48 11 06:00~12:00

2015. 7. 17. ~ 12. 31. 151 16 00:00~24:00

※ Mist-net size: 30 mm (mesh) × 2.6 m (height) × 12 m (length)

(3)

결과 및 고찰 1. 전체 현황

2014년 5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학암포 일대에서 가락

지부착조사를 실시한 결과, 새그물에 포획된 총 81종 3,244 개체에게 가락지를 부착하였다(Appendix). 그 중 50.9%가

멧새과(Emberizidae)로서 가장 많이 포획되었으며, 박새과

(Paridae) 14.6%, 솔딱새과(Muscicapidae) 8.8%, 휘파람새과 (Sylviidae) 7.9%, 붉은머리오목눈이과(Timaliidae) 6.8% 순으 로 우점하였다. 포획된 종별 우점현황으로는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37.4%), 박새 Parus major (12.8%), 촉새 E. spodocephala (7.6%),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6.8%), 쑥새 E. rustica (3.6%) 순으로 나타났다.

학암포일대의시기별개체군크기나종별 도래시기현황은

2015년하반기이후 실시된정량적인조사의결과로서파악

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학암포 일대에서 가 락지를 부착한 종 중 국내 보호종은 총 3종으로, 환경부지 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1종,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2종이 확인되었다(Table 2). 아직까지 짧은 조사기간으로 인 해 가락지부착조사로 확인된 보호종이 적으나, 포획된 종 말고도 실제 학암포 일대에 도래하는 보호조류는 훨씬 다양 할 것으로판단되며, 조사기간이축적될수록보호종의기록 이 추가될것으로생각된다.

2. 계절별 현황

조사기간 중 포획된 개체를 대상으로 계절별 가락지부착 현황을 파악한 결과, 봄철에는 박새 Parus major (26.8%)가 최우점하였으며, 가을철에는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45.4%)가 최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Figure 2; Figure 3). 특 히 봄철에는 특정한 기간내에 박새의 포획개체수가 폭발

Figure 2. Species dominance (%) by banded birds of Hakampo in spring.

Table 2. Banded species in Hakampo,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protected species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Natural Monument) and Ministry of Environment (Endangered Wildlife).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Natural Monument Endangered Wildife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소쩍새 324-6

Otus bakkamoena Collared Scops Owl 큰소쩍새 324-7

Emberiza yessoensis Japanese Reed Bunting 쇠검은머리쑥새 II

※큰소쩍새는학암포일대에서구조된개체로서, 방사직전가락지를부착하였으므로본내용에포함하였다.

(4)

적으로 증가하였는데(박세영 등 2015), 이는 박새 중에서도 효율적인 번식환경을 찾기 위해 부분적인 이동을 하는 개체 군의 영향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Smallegange et

al. 2010). 가을철의 최우점종인 노랑턱멧새는 국내에서 흔

히번식하는텃새이자일부 이동하는나그네새로알려져있

으며(박종길 2014), 학암포일대에서는 10월이후 높은개체

수가 관찰되었다(강화연 등 2015). 특히 가락지부착조사를 통해 가을철에 포획된 전체 개체수의 약 61% 이상이 멧새 과(Emberizidae)로서 가장 높은 포획율을 보였는데, 이는 번 식지로부터 남하 이동하는 개체군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 한시기에따른종별 혹은종내개체군별이동 특성을보다 자세하게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량적인 조사방법과포 획개체의번식지와월동지추정을위한추가적인조사가필 요할 것으로 보인다.

3. 재포획 현황

첫 포획시 가락지가 부착된 이후, 다시 포획된 개체를 대 상으로 재포획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락지를 부착한 전체 개체 중 25종 256개체가 총 410회 재포획되었다(Table 3).

재포획율이 높은 종은 쇠박새 Parus palustris (35.3 %), 붉은

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34.5%), 진박새 P.

ater (25%) 등으로 학암포 일대에서 연중 내내 관찰되는(강 화연 등 2015) 텃새류들이 주로 해당되었다. 한편, 주로 이 동하는 종들로 알려진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노랑눈 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유리딱새 Tarsiger cyanurus 등(박종길 2014; 이우신등 2014)은재포획율이모두 6% 이 하로 텃새류에 비해 재포획율이 훨씬 낮게 나타났다. 이러 한 낮은 재포획율을 통해 위 종들이 이동시기 동안, 학암포 일대에 잠시 중간기착했다가 다시 번식지나 월동지로 이동 하는 집단(나그네새)임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노랑턱멧새 는 국내에서 텃새이자 나그네새로 알려져 있으나(박종길

2014), 본 재포획결과를 통해학암포일대노랑턱멧새의대

부분이 주로 이동하는 개체군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박 새의 경우 다른 텃새류에 비해 재포획율이 18.1%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텃새로 알려진 박새가(박종길

2014) 다른 텃새류에 비해 재포획율이 낮게 나타났다는 것

은 전체 포획 개체수 중 상당수가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개 체군일가능성이 있다고추측되며, 번식기에 보다효율적인

환경으로 부분이동(partial migration)하는현상으로 추정된

다(Smallegange et al. 2010). 이렇듯 같은 종 내에서도 연중 Figure 3. Species dominance (%) by banded birds of Hakampo in autumn.

(5)

내내 서식하는 개체군(residents)과 번식기나 월동기에 이동 하는 개체군(migrants)으로 나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해당 종의 현황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향후 정량적 (quantitative)이고 상시적인 조사(constant effort survey)가 필 수적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재포획 기록은 이동성 조류인 지를간접적으로판단하는 기준이될 수있으며, 향후이동 성 조류가 중간기착지에서 머무르는 기간이나 이동생태에 대한중요한정보를 제공할수 있다고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시 가락지부착조사를 통해 태안해안국립 공원 학암포 일대의 조류상과 이동성 참새목 조류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육상권역 최초로 상시가락지부착조사가실시된결과로서, 국내서해안에도 래하는 이동성조류에 대한기초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온 것에 의미가 있다. 비록 출장소의 개소 이후 2015년 상

반기까지 정량적인 자료의 수집과 축적된 자료가 부족한 실 정이었으나, 그동안 다양한 시범 단계를 거쳐 온 결과, 현재 에는 고정 조사구의 선정과 상시조사의 실시에 이르게 되었 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상시조사를 통해 기초정보를 축적해 나간다면, 국내서해안에도래하는 이동성조류의도래시기 및시기별개체군의변화를장기적으로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할수 있을것이다. 이를위해앞으로는보다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방법을 지속해야 할 것이며, 국 내·외적인 정보교류를 활성화하여 철새 이동생태에 대한 정 밀한 모니터링의 지속이 필요할 것이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조류 조사·연구 사업의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조사에참여해주신 조류

전문자원봉사자분들에게감사의뜻을전합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1차 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2차 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 허베이스피리트호유류유출사고에따 른생태계영향장기모니터링 1차년도.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10. 허베이스피리트호유류유출사고에따

른생태계영향장기모니터링 2차년도.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허베이스피리트호유류유출사고에따

른생태계영향장기모니터링 3차년도.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12. 허베이스피리트호유류유출사고에따

른생태계영향장기모니터링 3차년도.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13. 허베이스피리트호유류유출사고에따

른생태계영향장기모니터링 4차년도.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연구원. 2007. 조류가락지부착조사안내서. 국립공원연

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연구원. 2010. 2010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 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연구원. 2014. 2013~14 국립공원조류조사·연구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원주.

국립공원연구원. 2015.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 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원주.

강화연, 서슬기, 박세영, 이지용, 권영수. 2015.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지역의조류현황. 국립공원연구지 6(4): 194-202.

박세영, 서슬기, 조숙영, 강화연, 이지용, 권영수. 2015. 태안해안국 립공원학암포일대가락지부착조사현황. 제 70회한국생물과 Table 3. Total recaptured birds in Hakamp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Recaptured

individuals

Newly captured individuals

Recapture frequency(%)

Parus palustris 쇠박새 6 17 35.3

Paradoxornis webbianus 붉은머리오목눈이 76 220 34.5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9 29 31.0

Parus ater 진박새 6 24 25.0

Lanius bucephalus 때까치 2 11 18.2

Parus major 박새 75 414 18.1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5 35 14.3

Garrulus glandarius 어치 6 44 13.6

Parus varius 곤줄박이 1 11 9.1

Cettia diphone borealis 휘파람새 1 17 5.9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2 36 5.6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4 78 5.1

Phoenicurus auroreus 딱새 3 75 4.0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40 1,214 3.3

Luscinia sibilans 울새 1 33 3.0

Anthus hodgsoni 힝둥새 1 48 2.1

Phylloscopus inornatus 노랑눈썹솔새 1 105 1.0

※재포획율산정을위해종별전체포획개체수가 10개체미만인종은목록에서제외하였다.

※ Recapture frequency(%): 포획된 전체 개체수(newly captured individuals) 중 재포획된 개체수(recaptured individuals)의 비율

(6)

학협회정기학술대회. 서울. (포스터발표)

박종길. 2014. 야생조류필드가이드. 자연과생태, 서울.

백운기. 1995. 태안해안국립공원생태계연구. 국립중앙과학관.

백인환, 진선덕, 유재평, 백운기. 2010. 태안해안국립공원의번식 기조류상과관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139-146.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14. 한국의새. LG 상록재단. 서울 조숙영, 박세영, 남현영, 박창욱, 서슬기, 이승연, 빙기창, 권영수.

2014. 다도해해상국립공원흑산도에서의가락지부착조사현

황. 국립공원연구지 5(2): 54-61.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 서울.

Chae HY, HY Nam, HJ Kim, GC Bing (eds.). 2010. Stopover sites for Migratory Birds: Ecological Importance and Conservation

Efforts. Proceeding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gratory Birds. Publication of the National Park Migratory Birds Center, Shinan, Korea. Pp. 1-180.

Dunn EH, CJ Ralph. 2004. Use of mist nets as a tool for bird population monitoring. Studies in Avian Biology. 29: 1-6.

Smallegange I., Fiedler W, Koppen U, Geiter O, Bairlein F. 2010.

Tits on the move: explor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 on blue tit and great tit migration distance. Journal of Animal Ecology 79: 350-357.

(2016년 2월 5일접수; 2016년 3월 21일채택)

Appendix.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4 2015

Spring Autumn Spring Autumn

ORDER GALLIFORMES 닭목

Family Phasianidae 꿩과

Phasianus colchicus 꿩 1

ORDER COLUMBIFORMES 비둘기목

Family Columbidae 비둘기과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3

ORDER CUCULIFORMES 두견이목

Family Cuculidae 두견이과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1

ORDER STRIGIFORMES 올빼미목

Family Strigidae 올빼미과

Otus bakkamoena 큰소쩍새 1

Otus sunia 소쩍새 2

ORDER PICIFORMES 딱다구리목

Family Picidae 딱다구리과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2 2 3 1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딱다구리 1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2 11 4 12

Picus canus 청딱다구리 1 1 2

ORDER PASSERIFORMES 참새목

Family Laniidae 때까치과

Lanius tigrinus 칡때까치 2 2 3

Lanius bucephalus 때까치 2 5 4

Lanius cristatus 노랑때까치 3 12 3

Family Oriolidae 꾀꼬리과

Oriolus chinensis 꾀꼬리 1

Family Corvidae 까마귀과

Garrulus glandarius 어치 2 5 10 27

Cyanopica cyanus 물까치 1

Pica pica 까치 1 1

Family Paridae 박새과

Parus major 박새 8 91 177 138

Parus venustulus 노랑배진박새 4 2

Parus ater 진박새 5 19

Parus varius 곤줄박이 4 7

Parus palustris 쇠박새 2 5 5 5

Family Aegithalidae 오목눈이과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14 5 16

Family Pycnonotidae 직박구리과

Microscelis amaurotis 직박구리 1 3 4 6

Appendix. List of the banded birds in Hakampo (2014~2015).

(7)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4 2015

Spring Autumn Spring Autumn

Family Sylviidae 휘파람새과

Urosphena squameiceps 숲새 12 5

Cettia diphone 휘파람새 2 3 4 8

Locustella lanceolata 쥐발귀개개비 8

Locustella ochotensis 알락꼬리쥐발귀 1 2

Locustella fasciolata 붉은허리개개비 1

Acrocephalus aedon 큰부리개개비 1

Acrocephalus orientalis 개개비 4

Acrocephalus bistrigiceps 쇠개개비 1

Phylloscopus fuscatus 솔새사촌 2

Phylloscopus schwarzi 긴다리솔새사촌 1

Phylloscopus proregulus 노랑허리솔새 4 1

Phylloscopus inornatus 노랑눈썹솔새 2 21 82

Phylloscopus borealis 솔새 3 9 1 23

Phylloscopus tenellipes 되솔새 1 1 3 13

Phylloscopus coronatus 산솔새 1 24 13

Family Timaliidae 붉은머리오목눈이과

Paradoxornis webbianus 붉은머리오목눈이 9 57 27 127

Family Zosteropidae 동박새과

Zosterops erythropleurus 한국동박새 2

Family Regulidae 상모솔새과

Regulus regulus 상모솔새 1 4

Family Troglodytidae 굴뚝새과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1 1 5

Family Certhiidae 나무발발이과

Certhia familiaris 나무발발이 1

Family Turdidae 지빠귀과

Zoothera sibirica 흰눈썹지빠귀 1

Zoothera aurea 호랑지빠귀 3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3 15 18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1 2

Turdus naumanni 노랑지빠귀 5 1

Turdus eunomus 개똥지빠귀 1

Family Muscicapidae 솔딱새과

Luscinia calliope 진홍가슴 2 7

Luscinia cyane 쇠유리새 2 6 2

Luscinia sibilans 울새 4 29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1 53 24

Phoenicurus auroreus 딱새 2 13 42 18

Saxicola torquatus 검은딱새 1 14

Muscicapa griseisticta 제비딱새 2 4

Muscicapa sibirica 솔딱새 1 1

Muscicapa dauurica 쇠솔딱새 7 2 12 7

Ficedula zanthopygia 흰눈썹황금새 2 2 8

Ficedula mugimaki 노랑딱새 1 1 6

Ficedula albicilla 흰꼬리딱새 1 6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1

Family Passeridae 참새과

Passer montanus 참새 8

Family Prunellidae 바위종다리과

Prunella montanella 멧종다리 1 10

Family Motacillidae 할미새과

Anthus hodgsoni 힝둥새 3 14 31

Family Fringillidae 되새과

Appendix. Continued

(8)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4 2015

Spring Autumn Spring Autumn

Fringilla montifringilla 되새 3 21

Carduelis sinica 방울새 10 1

Carduelis spinus 검은머리방울새 7

Uragus sibiricus 긴꼬리홍양진이 2

Family Emberizidae 멧새과

Emberiza cioides 멧새 2

Emberiza tristrami 흰배멧새 8 8

Emberiza fucata 붉은뺨멧새 1

Emberiza pusilla 쇠붉은뺨멧새 42

Emberiza chrysophrys 노랑눈썹멧새 3

Emberiza rustica 쑥새 1 116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60 54 1,100

Emberiza rutila 꼬까참새 1 2

Emberiza spodocephala 촉새 5 6 7 230

Emberiza pallasi 북방검은머리쑥새 4

Emberiza yessoensis 쇠검은머리쑥새 1

Emberiza schoeniclus 검은머리쑥새 1

종 수 24 29 51 68

개체수 68 307 623 2,246

총 종 수 81

총 개체수 3,244

Appendix. Continued

Referensi

Dokumen terkait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21.1%, the Brambling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the Great Tit Parus major 12.7%, the Vinous-thro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