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편집의 변 - S-Space - 서울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편집의 변 - S-Space - 서울대학교"

Copied!
2
0
0

Teks penuh

(1)

4

편집의 변

󰡔

동양음악

󰡕

제39집을 발간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40주년을 맞이하는 동양음악연구소는 2015년 하반기부터 토대연구를 시작하 였습니다. 개인이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조사한 ‘민속악 관련 자료’를 수집하 여, 정리하고 DB를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 속담에 ‘서 말 구슬도 꿰어야 보배 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구슬도 어떻게 꿰느냐에 따라 예술품이나 명품이 되기 도 하고, 평범한 구슬로 남기도 합니다.

명품에 해당하는 DB를 만들기 위하여 3명의 연구원들이 상근하고, 대학원과 학부의 학생들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소를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기찬 연구소의 기운은 이전의 정적인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관된 DB를 만들기 위하여, 교내외에서 연구원들과 연구보조원들을 대상으로 토론회 를 열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DB 작성에 필요한 기준과 용어, 항목 등 에 대한 의견을 조율할 수 있었습니다.

5월 19일에는 우에무라 유키오(植村幸生) 교수의 <일본의 민족음악학과 세계 음악 교육의 현황과 과제>라는 특강을 개최하여, 일본의 민족음악학과 교육에 대한 정보를 대학원과 학부학생들에게 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5월 20일에는 (사)한국국악학회와 공동으로 토대연구 자료를 근간으로 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공동연구원들의 수준 높은 논문들이 발표되었습니다. 그 동안 연구원들이 채록하고 정리한 일부 DB를 이용하여 공동연구원들이 연구 한 논문들은 그 수준이 매우 높았다는 평가도 들었습니다. 공동연구원들의 논문 은

󰡔

한국음악연구

󰡕

에 수록하고, 일본에 소재한 고이즈미 후이오(小泉文夫)의 자 료에 대한 우에무라 유키오 교수의 논문만

󰡔

동양음악

󰡕

에 수록하게 되었습니다.

(2)

5

지난 6월 2일에는 이병원 교수를 초청하여, <민족음악학자에 의한 한국음악 현지조사 자료의 현황>이란 특강을 개최하였습니다. 민속음악에 대한 현장조사 가 매우 드물던 1960년대 초기에 존 레비(John Levy)와 로버트 가피어스(Robert

Garfias)가 한국음악을 조사․채집하였던 과정에 대하여 생생한 증언을 청취할

수 있었습니다.

󰡔

동양음악

󰡕

은 연 1회 발간을 하여왔고, 2015년부터 연 2회 발간을 시작하여 이제 지령 40집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는 많은 논문이 투고되었으나, 엄 격한 심사과정과 수정을 거쳐 통과된 6편의 학술논문만 싣게 되었습니다. 지난 호에 비하여 편수가 적어보이지만, 내용은 여느 호에 못지않아 보입니다. 특히 실기를 담당하는 김정승 교수와 연주 활동을 하는 강효선(강가민) 박사의 연구 는 실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관심이 가는 논문입니다.

좋은 원고를 투고해 주신 강효선(강가민) 박사, 김정승 교수, 신은주 교수, 우 에무라 유키오 교수, 이용식 교수, 최선아 박사 6분과 심사를 맡아주신 위원님들 그리고 원고의 수합과 편집을 맡아 수고해주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2016년 6월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장 김우진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와 같이 영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구조로서의 문볍의 효용성을 인정하는 입장은 흔히 교육 문법 가설 Pedagogical Grammar Hypothesis 이라고 불리는데, 이 가설의 주된 요지는 영어 교육 내용 구성에 언어 구조적 요언을 체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의사 소통 중 심의 교수 방법론이 지니는 근본적 제한점을 극복할

조직 개편에 따른 인력 변화 중앙도서관은 3과 1팀으로의 조직 개편을 통해 과별 적정 인원을 균등 배치하고 실을 업무 중심별로 통폐합하 여 인력 활용을 최대화함으로써 교수, 학생, 연구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비법정 체제의 5팀 12실을 해체함에 따라 직위 명칭도 본부와

170 국어피육연구 제낀 집 습자가 일정한 수의 운엉 용어를 훈악하고 있어야 국어 문엉 세계에 대한 본격적인 당구가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문법 용어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곧 문엉 교수 학습어 서 의도송}는 국어의 문법적 이혜의 중요한 부분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적 맥락에서 문법 용어는 매우 갱.lll하게 접근 되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