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 업 과 인 력 개 발
2
한 완 상
한성대학교 총장 [email protected]
우
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학력 중시 사회는 학력이 개개인의 능력이 나 노력과는 무관하게 한 사람의 사회·경제·정치적 지위를 결정적으로 좌우할 뿐 아니라 점차 그 자식에게도 세습되며, 이에 따라 온 국민이 피 해자이자 가해자인 파행적인 교육열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이 지금의 우 리 현실이다.왜곡된 학력주의가 우리 사회에 얼마나 커다란 부작용을 끼치고 있는 지 따져보기로 하겠다. 가장 큰 문제는 특정 학교 출신들이 공식·비공식 적으로 파벌을 형성하여 사회적 지위와 부, 권력을 독·과점적으로 향유 함으로써 나머지 대다수의 국민들로 하여금 좌절과 체념의 늪에 빠뜨린 다는 점이다.
학력주의는 노동시장 진입 준비단계에서 학부모와 학생, 그리고 교육 현장에 질곡으로 작용하고 있다. 학부모의 파행적인 교육열과 자녀에 대 한 과잉교육을 강제하고 있으며, 엄청난 사교육비 부담을 지우고 있다.
우리 사회의 학력주의는 이제 본격적으로 수술대 위에 올려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 사회의 수많은 문제들이 학력 중시의 의식과 관행에 뿌리박 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비교육적이고 비인간적인 학력주의라고 하는 곪 을 대로 곪은 환부를 도려내야 하는 시점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 권 두 언 ₩
‘학력 중시 사회’ 에서
‘능력 중시 사회’ 로의 전환
Vo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3
‘학력주의’가 아무리 뿌리깊다고 하더라도 그 병폐가 더 이상 용인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면 마땅히 극복 해야 한다. 비록 시간이 걸리겠지만 정부와 민간, 학부 모와 지식인, 교육기관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협 력한다면 할 수 있다.
‘학력 중시 사회’를 지양하고‘능력 중시 사회’를 만 드는 일은 크게는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위한 일이며 작 게는 우리 모두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려는 노 력이다. 개개인의 능력이 제대로 평가되고, 공정한 경쟁 의 기회가 보장되는 사회, 능력과 성과에 따라 사회경제 적 보상이 주어지며, 경쟁의 결과에 승복할 줄 아는 사 회, 그러면서도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더불어 함께 살아 가는 지혜를 발휘하는 사회, 이것이 우리가 그리는‘능 력 중시 사회’의 모습이다.
이런 사회는 저절로 다가오지 않는다. 의식, 관행, 법과 제도, 사회 집단의 여러 차원에 걸쳐 수많은 장애 물들이 가로놓여 있다. 정부는 명확한 정책목표와 의
지를 가지고‘능력 중시 사회’의 구현을 위한 법과 제 도,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기업은 글로벌 경제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스스로의 경쟁력을 좀먹는 비합리적인‘학력·학벌주의’를 넘어서 능력 에 따라 인재를 발굴하고, 능력과 업적에 따라 대우하 는 인사 관행을 정착시켜야 한다. 지식인을 포함한 국 민들은 그 동안 학력주의에 찌든 왜곡된 교육관을 떨 쳐버리고 참된 교육관으로 재무장하여야 하며, ‘능력 중시 사회’구현을 위한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야 한다. 교육기관 역시 타성을 벗어 던지고 이러한 변 화를 교육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경 주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을 때, 우리의 교육 현장 은 본궤도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며, 사회 전체적으로는
‘능력에 기반한 공정한 경쟁 공동체’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온 국민의 삶의 질을 한 단계 높이는 일로 귀결된다.
정부는 명확한 정책목표와 의지를 가지고‘능력 중시 사회’ 의 구현을 위한 법과 제도,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
지식인을 포함한 국민들은 그 동안 학력주의에 찌든 왜곡된 교육관을 떨쳐버리고
참된 교육관으로 재무장하여야 하며, ‘능력 중시 사회’구현을 위한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야 한다.
직 업 과 인 력 개 발
4
능력중심 사회구현 관련서적 소개
「미래의 직업세계 2003」제1권 직업편은
‘직업세계의 변화와 전망’ 과‘직업별 소개와 전망’ 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래의 직업세계 2003」제2권 학과편은 전문대학, 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생의 사회진출을 개관하는‘교육환경의 변화와 전망’ 과‘학과별 소개 와 전망’ 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래의 직업세계 2003
●가 격 : 19,000원
●가 격 : 11,000원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공모한 능력중심사회 구현 수범 사례집1,2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