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간의 무역구조 분석 *
이 재 득|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부교수
중국과 한국은 최근 2001년부터 년 동안 각각의 수출의존계수를 약 배 증가시키고 있으며 한5 2 국의 중국에 의한 수출의존계수는 중국의 한국에 대한 수출의존계수보다 약 배 정도 높다 중국에 3 . 대한 수출품 중 화학물 및 관련제품이 한국의 중국무역에 있어 수출특화하고 있는 주요한 품목이고, 중국과 한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비식용원재료 동식물 유지 및 왁스 음료 및 , , 담배 광물성 연료 윤활유 및 관련물질 기계 및 운수장비의 산업내지수가 등은 높게 나왔다 우리, , , . 나라의 중국에 대한 상대적 시장집중도지수가 2000년대 들어 크게 증가하여 보다 크게 나타났으3 며 화학물 및 관련제품의 , MRCA지수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우리나라는 중국시장에 서 대부분의 제품에서 시장비교우위가 매년 조금씩 감소하고 있다 대중국 . CTB지수를 살펴보면 기 계 및 운수장비 제품과 화학물 및 관련제품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주제어 산업내무역 무역특화도 시장집중도 비교우위 무역수지 기여도: , , , ,
*본 연구는 2004년도 부산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신임교수 연구정착금 에 의한 연구임( ) .
서언 I.
년대 중국의 개방과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몰락과 독일의 통일 등 1980
으로 인해 사실상의 정치이념분쟁이 종식됨으로써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공산주의제도가 몰락하고 독일이 통일되어 정치이념 분쟁이 사실상 종식되 어 세계 각국들은 현재 WTO 체제의 국제자유무역시스템하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경제는 1995년 월부터 1 WTO가 공식출범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다자 간 교역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EU의 확대 및 북미 주의 NAFTA의 출범 그리고 아시아태평양지역의 , APEC을 중심으로 지역 내경제협력의 강화움직임이 매우 활발하다.
최근의 세계경제는 북미 유럽 아시아의 개 지역의 무역량이 세계무역의 , , 3 약 90%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 내의 역내무역(intra-regional trade) 및 산업내무역(intra-industry trade)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A. Smith와 D. Ricardo의 국제분업의 원리는 세계 자유무역을 지탱하는 이론적인 뒷받침이 되어 왔는데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국제무역 은 주로 선진국과 후진국의 무역 혹은 공산품과 농산품등무역 등의 산업간 무역이 관심의 초점이 되어왔지만 1980년대 들어서는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산업간 무역문제뿐만 아니라 아울러 선진국과 선진국 즉 공업국과 공업국간 혹은 개도국과 개도국간의 산업내무역문제도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고 국 가 간의 무역구조분석에 대한 관심도 부각되었다.1
년대 동북아지역과 중국의 경제환경에도 많은 대내외적 변화와 체제 1990
개혁과 시장개방이 일어났다 특히 중국은 . 1995년 출범한 WTO 체제 내에
1. 산업내무역에 관한 전통적인 대표 논문으로는 Aquino(1978), Balassa(1986), Balassa 와 Bauwens(1987), Caves(1981), Gubel과 Lloyd(1975), Falvey(1981), Greenway와
와 등이 있으며
Milner(1981,1987), Tharkan(1986), Wickham Thompson(1989) , 와 그리고 는 산업내무역의 원인에 대한 연구를 Loertscher Wolter(1980), Toh(1982)
하고 있다.
서 무한경쟁이라는 세계경제의 틀속에서 정치적인 사회주의제도에도 불국하 고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고 개방화를 지속적으로 노력한 가운데 2000년대 들어서는 정치군사적으로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무역대국이 되어 가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은 1990년대 이래 자유무역을 지향하여 최근 무역량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전통적으로 약 . 50여 년 동안 미국과 일본과 가장 많은 교역을 하고 있었지만 우리나라와 중국은 , 1992년 한중수 교로 교역이 급격히 증가하여 중국은 최근 마침내 제 의 교역국이 되어가고 1 있다 한국과 중국은 상호간의 필요와 동북아 지역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 경제적인 측면에서 양국은 굉장히 중요한 교역상대국이 되어 가고 있다 따. 라서 중국은 이제 정치적인 면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면으로도 그 중요성이 참으로 크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일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중요 성으로 향후 경제 및 교역협력을 위한 한중 혹은 한중일 자유무역협정 등이 연구되고 있다. 1990년대에는 한국과 중국은 각각 비교우위가 있는 공산품과 농산품에 특화를 하는 산업간 무역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최근 2000년대 들 어서는 한국의 전자 및 통신 기업들이 중국에 많이 진출함으로 인해 중국과 한국에 있어서도 산업내무역이 활성화되고 있다.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을 연결하는 동북아시아는 하나의 점점 더 커다, 란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고 1990년대부터 이들 국가들의 지역경제협력과 교 역에 관한 연구와 경제통합에 관한 논의가 많이 나오고 있다.2 그리하여 우 리나라는 전통적인 경제대국인 미국과 2007년 초 현재 자유무역협상이 진행 중이고 향후 일본뿐만 아니라, 1990년대 이래 역동적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 는 중국과도 자유무역협상에 대한 논의가 연구되고 있다. 1990년대에는 지역 간 경제통합 및 무역협정이 급증함에 따라 Grossman과 Helpman(1993),
등과 박번순 와 정인교
Frenkel(1996), Bergsten(2001) (2001a; 2001b) (2001a;
등이 최근 이 지역의 자유무역협정과 경제통합에 관한 연구를 하였 2001b)
2. 2000년대 이전의 동아시아 지역협력과 무역에 관한 연구로는 정영록(1992), 이창재 서근태와 이재득 등의 연구를 들 수 있다
(1994), (1995) .
다.
물론 이들 지역경제통합에 대한 연구와 중국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의 , 동북아시아의 무역구조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서술적인 분석이거나 혹 은 단순한 도표에 의한 사실들의 나열에 지우친 감이 있었다 특히 . 1990년대 부상하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에 관한 연구는 주로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에 관한 제도적 법적 혹은 경영사례적인 문 헌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이들 국가간의 무역구조에 대한 무역이론, 적인 심층적인 연구가 미흡하고 더구나 최근의 통계자료를 이용한 실증적인 분석이 별로 없다.
동북아시아의 무역구조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으로는 박경진(2002), 최의 현(2002; 2006), 이재득(2004a; 2004b), 이승신(2006), 양평섭(2006), 그리 고 양평섭과 박귀임(2006) 등의 연구가 있다 박경진. (2002)은 우리나라의 세 계시장에서의 수출상품의 경쟁형태와 비교우위를 연구하였고 이재득(2004a;
의 연구들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무역 매트릭스를 이용한 국제무역파 2004b)
급효과와 국제무역승수를 실증적으로 계산하여 구하였다. 년대 들어 한
2000 ․중 간 무역구조 분석들을 보면 최의현, (2002, 2006)은 한중간 섬유산업구조와 국제분업체계속에서 첨단산업구조를 연구하였다 양. 평섭(2006)의 연구는 한국과 중국간의 교역구조를 이론적 혹은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보다는 교역규모와 교역구조 등을 주로 통계현황 중심으로 살펴보 고 있다 그 외 박찬일. (2001)은 1990년대 자료를 사용하여 간단한 한․중간 무역구조분석을 하고 있고 이준엽, (2003)은 한․ 중․일 산업내 무역구조분석 을 통한 국제분업을 연구하였고 이경숙, (2007)은 가전부문에 있어 한․중간 무역구조분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한. ․ 중 간 교역구조 분석은 주로 간 단한 현시비교우위분석만을 주로 하고 있다 산업내무역에 대한 최근 연구로. 는 황윤진(2006, 2007), 오영석과 황윤진(2003) 등이 있는데 이들은 우리나 라 산업의 국제분업패턴과 비교우위를 제품의 질에 따라 산업내무역이 일어 나는 Falvey(1981)류의 Neo-Heckscher-Ohlin 이론과 연관시켜 분석하였다.3
3. 그 외에도 산업내무역의 국내연구로는 박재진․최봉호(2000), 오근엽․주혜영(2000) 등이 있다.
그리하여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현시비교우위와 산업내무역 패턴 에 중점을 두고 있고 나름대로 공헌을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제일 큰 수, 출시장인 중국과 한국간의 무역구조의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중요성에 도 불구하고 산업내무역 패턴뿐만 아니라 비교우위 측정 무역특화도와 수출, 경쟁력 수출의존도 무역수지 기여도 등 다양한 교역구조 분석방법을 통한 , ,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실증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 별로 도입하지 않았고 다소 소홀했던 다양한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중국과 한 국간의 교역관계를 최근 2000년대의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계량적으로 분석을 함으로써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고자 한다 그 분석대. 상과 내용은 다음과 같은 중국과 한국무역에 있어 무역구조와 그 특성을 파 악하기 위한 실증분석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첫째, 1990년대 이래 급격히 증가하고 변화하고 있는 중국과 한국간의 무 역구조 및 수출 경쟁력을 살펴보기 위해 최근 2000년대의 통계자료를 이용 하여 중국과 한국에 있어 상호간의 무역특화도와 무역의존도 등을 분석한다.
둘째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중국과 한국간의 무역구조의 특성을 ,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내무역과 연관하여 여러 가지 산업내무역지수를 통하 여 구하고 살펴본다.
셋째 기존의 문헌연구와 달리 정량적으로 중국과 한국간의 무역에 있어 , 수출경쟁력을 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시장집중도 현시시장 비교우위 그리, , 고 무역수지 기여도 등의 지수를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그리하여 1990년대부터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한국 의 무역구조를 객관적으로 엄밀히 살펴봄으로써 1995년 WTO 출범 전후에 특히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중국과 한국의 무역구조와 향후 국제경제협력 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장의 서언에 이어 장에서는 최근 I II 2000년대의 한국의 대중국 무역현황을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한국의 대중국 무역구조를 살펴보 기 위해 무역특화도와 산업내무역 지수 등을 분석한다. IV장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무역결합도와 비교우위를 분석한다. V장에서는 본연구의 결언으로서 요약과 그 향후과제를 살펴본다.
중국과 한국의 교역현황과 교역구조 II.
최근의 교역현황 1.
우리나라는 1960년대 수출드라이브 정책이후 주로 1980년대까지는 주로 미국과 일본에 많은 비중을 수출하였고 1980년대에도 우리나라의 대 수출3 시장인 미국 일본, , EU에 대한 수출비중이 약 60%에 달하였으나 1990년 이 후에는 중국의 개방으로 우리나라의 중국으로의 수출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3 대 수출시장의 비중이 1995년에는 46.5%로 각각 떨어졌다 특히 . 1960년대 이래 우리나라의 제일 큰 수출시장이던 미국과 일본을 누르고 중국은 현재 한국의 제 의 수출대상국이 되었다 1
그림 과 1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2005년 중국과 한국의 교역은 1,006억 달러로 전년대비 26.7%가 증가하였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 619억 달러, 수입은 386억 달러를 각각 기록하여 대중국 무역수지 흑자는 23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의존도는 . 1992년 4.0%, 2000년 9.4%, 2004 년 16.6%를 기록하였는데 2005년에는 18.4%로 전년대비 1.8%p가 증가하였 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의존도는 . 1992년 3.5%, 2000년 10.7%, 2004년
를 기록하였는데 년에는 를 기록하는 등 점점 높아지고 있
19.6% 2005 21.8%
다.
한편 중국의 대한국 무역의존도는 , 1992년 3.1%, 2000년 6.0%, 2004년 를 기록하였는데 년에는 를 기록하였고 중국의 대한국 수입
7.8% 2005 7.9% ,
의존도는 1992년 3.3%, 2000년 10.3%, 2004년 11.1%를 각각 기록하였는데 년에는 를 기록하였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은 국교를 맺은지 얼마
2005 11.6% .
안 되었지만 그림 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상호간에 무역량을 , 1 2000년대 들 어 크게 가파르게 증가시키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의 무역의 상호의존도와 , 각각의 수출의존도도 굉장히 높아지고 있다.
그림 1. 최근의 한국의 대중국 무역동향(단위: 억달러)
0 200 400 600 800 1000 1200
2001 2002 2003 2004 2005
수출입 대중국수출 대중국수입 대중국무역수지
2. 교역구조
한국의 대중 수출품목 구성은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2005년 기준으로 볼 때 일차산품 , 0.6%, 반제품 42.0%, 부품 40.0%, 자본재 14.0%, 소비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국의 대중 수입품목 구성은 일차산품
3.3% , 9.4%,
반제품 35.3%, 부품 19.4%, 자본재 18.5%, 소비재 17.3%를 기록하였다. 그리하여 최근 중국과 한국의 교역은 중간재 중심구조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는데, 2005년 한국의 대중국 수출 중 중간재비중은 82%로 전년대비 가 상승한 반면 최종재비중은 로 전년대비 감소하였다
2.3%p , 17.3% 2.4%p .
년 한국의 대중국 수입 중 중간재비중은 로 전년대비 증가
2005 54.7% 1.9%p
한 반면 최종재 비중은 , 35.8%로 2.3%p가 하락하였다.
중간재수출에 있어서는 반제품에서 부분․부분품 중심구조로 빠르게 전환 되고 있다 이것은 . 2000년대 들어 중국내 LG전자 삼성전자 등이 중국내 휴, 대폰, LCD TV와 PDP TV 등의 하이테크 가전제품 및 컴퓨터 생산시설을 중국으로 이전하면서 휴대폰 부품 반도체, , LCD, 모니터 및 컴퓨터 부품과
등의 하이테크 전자부품 수출이 호조를 보였고 또한 년 이후 현
PDP , 2002
표 한중간 교역규모와 한국의 대중 중간재 수출
< 1>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교역규모 억 달러
( )
수출입 315 412 570 793 1,006
대중수출 182 238 351 498 619
대중수입 133 174 219 296 386
무역수지 49 64 132 202 233
대중국수출 구성비(%)
전품목 100 100 100 100 100
일차산품 0.4 0.5 0.5 0.6 0.6
중간재 83.4 76.1 76.5 79.7 82.0
반제품 64.0 52.0 46.2 43.9 42.0
부품 부분품, 19.5 24.1 30.3 35.8 40.0
최종재 16.2 23.4 23.0 19.7 17.3
자본재 11.1 18.5 18.6 16.2 14.0
소비재 5.1 4.9 4.4 3.5 3.3
대중국수입 구성비(%)
전품목 100 100 100 100 100
일차산품 12.9 12.6 12.5 9.1 9.4
중간재 48.9 48.2 48.0 52.8 54.7
반제품 32.0 31.4 29.9. 34.2 35.3
부품 부분품, 16.9 16.8 18.1 18.6 19.4
최종재 38.2 39.1 39.4 38.1 35.8
자본재 14.5 14.9 16.9 18.4 18.5
소비재 23.6 24.3 22.5 19.8 17.3
자료: www.kita.net. 교역규모는 한국측 통계이며 중국측의 중국해관통계는 약간 차이가 남
대자동차의 북경공장 베이징 현대 가 완성차 조립을 시작하면서 자동차부품( ) 의 대중국수출이 2002년부터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양평섭( , 2006 참조).
최종재수출에 있어서는 소비재수출은 극히 저조한 가운데 자본재비중도 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자본재 비중의 하락은 한국의 대
2003 .
중국 투자 증가율의 둔화 중국의 , FDI 유입의 둔화에 따른 한국으로부터 투 자용 설비의 수입감소에 기인한다.
한편, 2005년 한국의 대중국 수입 중 중간재비중은 54.7%로 전년대비 가 증가한 반면 최종재 비중은 로 하락하였다 년
1.9%p , 35.8% 2.3%p . 2005
기준으로 하였을 때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일차산품은 9.4%, 반제품 35.3%. 부분․부분품 19.4%, 자본재 18.5%, 소비재 17.3% 를 각각 기록하고
있다 중간재 비중의 상승은 중국과 한국의 전기통신분야의 산업내분업의 확. 대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전기전자제품 및 부품의 수입증가 등에 기인, 한다 특히 중국에 진출한 . PC 업체의 역수입확대에 따른 2003년 이후의 중 국산 노트북 컴퓨터 부품 등의 수입과 메모리 반도체 수입 등의 급증과 중, 국의 철강판 및 중국산 철강의 수입이 급증하였다.
그리하여 2005년 우리나라의 대중국 무역수지를 보면 일차산품 32억 달러 적자 중간재 , 296억 달러 흑자 반제품 ( 124억 달러 부분, ․부분품 173억 달 러 최종재 ), 31억 달러 적자 자본재 ( 15억 달러 흑자 소비재 , 46억 달러 적자) 등을 각각 기록하였고 부분․부분품의 대중국무역 흑자는 전년대비 40.3%
증가하였지만 자본재 흑자는 4.4% 감소 일차산품 적자는 , 35.6% 증가를 각 각 기록하였다.
년에 반도체 전자제품 정밀광학기기부품 자동차부품 화학원료 합
2005 , , , , ,
성수지 등은 흑자가 확대되었지만 통신기기부품 철강교역에서는 적자로 전, , 환되었다 최종재에 있어서는 운송기기 기계류를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중. , 국에 대해 우리나라는 적자를 유지하였으며 그 폭은 증가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무역특화도와 산업내무역 분석 III.
본 절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무역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특화분석 산업, 내무역 무역의존도 혹은 수출의존도 등의 여러 가지의 분석기법을 통해 살, 펴본다 본 연구의 여러 가지 무역구조 분석 등에 사용된 모든 통계자료는 .
상품 품목분류에 따라 한국무역협회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자에
SITC .
따라 여러 가지 품목분류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SITC 2단위 분류 를 채택하면 산업보다 100개의 제품품목분류, 3단위 분류는 너무 세분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중국과 한국간의 산업의 전반적인 산업내교역뿐만 아니라, 무역특화도 무역의존도 그리고 다음 절의 무역수지 기여도 등의 전반적인 , , 교역구조와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SITC 1단위 분류를 채택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무역특화도 분석 1.
한국이 중국에 대하여 최근 년간 어떤 산업과 품목에 수출입특화가 있는5 지 알아보기 위해 한국의 중국에 대한 무역특화도 지수를 사용하여 구하였 다.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식품 및 산동물은 2001년 -0.86을 기록한 이래 비슷한 수치를 보이다가 2005년 -0.81을 기록하여 이 부문에 있어 예상한 대로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입특화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음료 및 담배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부문도 무역특화지수가 아주 낮지, ( ) 만 2004년의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의 수출특화지수가 ( ) 0.03으로 나타난 것 을 제외하고는 계속 음으로 나타나 지난 년간 우리나라는 대체로 수입이 수5 출을 근소하게 초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광물성 연료 윤활유 및 관련물질은 , 2002년 -0.08로 근소한 수입특화로 나 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낮지만 모두 양으로 나타나 근소한 수출특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식물성 유지 및 왁스부문은 무역특화지수가 . 2001년 -0.10, 2002년 -0.23, 2003년 -0.35, 2004년 -0.43, 2005년 -0.70 등으로 계속 수입 특화와 비교열위를 가지고 있으며 수입특화의 정도는 매년 점점 크게 높아지 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화학물 및 관련제품 부문은 한국이 매우 큰 수출특화를 하고 있는데 무역, 특화도는 2001년 0.63, 2002년 0.64를 기록한 이래 2004년까지 계속하여 매
표 연도별 한국의 대중국 무역특화도
< 2>
품목
코드 구 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0 1 2 3 4 5 6 7 8 9
식품 및 산동물 음료 및 담배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 광물성연료 윤활유관련물질, 동식물성 유지 및 왁스 화학물 및 관련제품 재료별 제조제품 기계 및 운수장비 기타 제조제품 달리 취급되지 않은 상품
-0.86002 -0.11142 -0.07597 -0.13655 -0.10709 -0.62886 -0.31835 -0.14639 -0.40868 -0.92213
-0.87850 -0.01832 -0.07277 -0.08339 -0.22827 -0.63681 -0.21336 -0.29538 -0.46912 -0.75760
-0.86124 -0.17122 -0.00333 -0.07119 -0.34594 -0.64928 -0.25021 -0.37699 -0.36097 -0.45292
-0.76469 -0.04791 -0.03454 -0.14127 -0.42759 -0.67515 -0.08088 -0.37472 -0.09442 -0.12044
-0.81331 -0.08927 -0.07734 -0.17693 -0.69839 -0.65264 -0.02614 -0.33441 -0.10365 -0.68427
년 조금씩 증가하여 2004년 0.68이 되었다가 2005년 0.65로 조금 낮아졌다. 따라서 화학물 및 관련제품 부문은 한국의 중국무역에 있어 한국이 비교우위 를 가지고 수출특화하고 있는 주요한 품목임을 알 수 있다.
재료별 제조제품 역시 2001년 무역특화도가 0.32, 2002년 0.21, 2003년 등을 기록하여 약간의 수출특화가 일어나고 있었으나 년 로
0.25 2004 0.08
수출특화가 아주 낮아졌고 2005년에는 무역특화지수가 -0.03을 기록하여 아 주 낮지만 수입특화로 전환되고 있다 기계 및 운수장비는 년간 모두 상당. 5 한 정도의 수출특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2001년 0.14를 기록한 이래 2002년
년 년 등을 기록하고 있다
0.30, 2004 0.37, 2005 0.33 .
기타 제조제품은 무역특화지수가 2001년 -0.41, 2002년 -0.47, 2003년 -0.36 등으로 나타나 상당한 수입특화가 일어났으나 2004년에는 그 수입특 화도가 낮아져서 -0.09로 되었다가 2005년에는 미소한 수출특화가 일어나고 있다 달리 취급되지 않은 상품 및 취급물은 무역비중에 있어 얼마되지 않지. 만, 2004년을 제외하고는 년 모두 상당한 수출특화가 발생하고 있다5 .
한국과 중국의 산업내무역 분석 2.
무역특화도는 한 국가의 수출특화 혹은 수입특화를 나타내주지만 산업내, 무역의 정도를 명확히 나타내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양국간의 산업내무역의 . 정도를 측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Grubel-Lloyd(1975)의 표준 산업내무 역지수(IIT)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 Xi와 Mi는 한국과 중국에 있어 각각 산업i 의 수출과 수입을 나타낸다.
Grubel-Lloyd IIT = 1 -∣Xi - Mi∣/ (Xi + Mi).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표준화 된 Grubel-Lloyd 산업내무역지수를 이용하여 구했는데 <표 3>에서 나타나 있다 먼저 . 2001년에는 비식용원재료의 산업내무역지수가 0.92로 나오고 있
고 동식물 유지 및 왁스 0.89, 음료 및 담배 0.89, 광물성 연료 윤활유 및 , 관련물질 0.86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기계 및 운수장비의 산업내. 지수도 0.85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문에 있어 중국과 한국은 서. 로 많은 산업내교역을 하고 있다 그 외 기계 및 운수장비 . 0.68, 기타 제조제 품 0.59 등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산업내무역을 하였다 그리하여 이러한 . 부문에 중국과 한국은 많은 산업내 수평적인 교역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그러나 화학물 관련제품 . 0.37, 특히 식품 및 산동물 0.14, 달리 분류되지 않은 상품 및 취급물 0.08 등으로 나타나 산업내무역의 정도가 아주 낮게 나 타나 중국과 한국은 수직적인 산업간 무역을 하고 있다.
년부터 년까지의 산업내무역지수의 동향을 살펴보면
2002 2005 , <표 3>에
서 나와 있듯이 2001년의 산업내무역지수와 대부분 크기와 순위에 있어 비 슷하게 나타났다 음료 및 담배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 ( ), 광물성연료 윤활유 , 및 관련물질 등의 산업은 Grubel-Lloyd 산업내무역지수가 약 0.9를 오르내리 는 등 산업내무역의 정도가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식물성 유지 및 왁스제품은 산업내무역지수가 2001년 0.89로 아 주 높았으나 2002년 0.77, 2003년 0.65, 2004년 0.57, 그리고 2005년에는
등으로 각각 나타나 해가 갈수록 점점 산업내무역지수가 상대적으로 크 0.3
게 낮아지고 있다 이것은 중국과 한국이 동식물성 유지 및 왁스제품 부문에 . 양 방향의 무역을 크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화학물 및 관련제품의 산업내무역지수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0.35 전
표 표준 산업내 무역지수
< 3> Grubel-Lloyd (IIT) 품목
코드 구 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0 1 2 3 4 5 6 7 8 9
식품 및 산동물 음료 및 담배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 광물성연료 윤활유관련물질, 동식물성 유지 및 왁스 화학물 및 관련제품 재료별 제조제품 기계 및 운수장비 기타 제조제품
달리 취급되지 않은 상품
0.13998 0.88858 0.92403 0.86345 0.89291 0.37114 0.68165 0.85361 0.59132 0.07787
0.12150 0.98168 0.92723 0.91661 0.77173 0.36319 0.78664 0.70462 0.53088 0.24240
0.13876 0.82878 0.99667 0.92881 0.65406 0.35072 0.74979 0.62301 0.63903 0.54708
0.23531 0.95209 0.96546 0.85873 0.57241 0.32485 0.91912 0.62528 0.90558 0.87956
0.18669 0.91073 0.92266 0.82307 0.30161 0.34736 0.97386 0.66559 0.89635 0.31573
후의 값을 각각 보이고 있어 비교적 낮은 산업내무역을 하고 있다 이것은 . 화학물질 부문의 기술우위가 높은 한국이 중국으로 수출을 주로 하기 때문이 다 재료별 제조제품은 산업내무역지수가 . 2001년 0.68, 2002년 0.79, 2003 년 0.75 등을 기록하다가 2004년 0.92, 2005년에는 0.97 등으로 산업내무역 이 크게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타 제조제품 산업도 산업내무역지수가 2001년 0.59, 2002년 0.53, 2003 년 0.64, 2004년 0.91, 그리고 2005년에는 0.90 등을 각각 기록하여 최근에 와서 산업내무역지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계 및 운수장비 산. 업은 2001년 산업내 무역지수가 0.85를 기록하고 있지만, 2002년 때부터 다 소 산업내무역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주종 수출특화품인 화학물 및 관련제품과 중국의 주종 수 출특화품인 차산품에서 산업간무역이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중국과 한1 , 국의 교역에 있어 예상과는 달리 대부분의 산업에 있어 산업내 수평적인 분 업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특징을 알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표준화된 , Grubel-Lloyd 산업내무역지수는 한나라의 수출입이 균형이 이루어 지지 않을 때 무역불균형이 커짐에 따라 무역균형을 전제로 하는 산업내무역지수가 낮아지게 되어 산업내무역의 정도가 과소평 가되어 하향편기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Grubel-Lloyd는 이를 극복하기 위 해 무역불균형을 조정한 산업내무역지수(AIIT)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AIIT = Σi(Xi+Mi)-Σi∣Xi-Mi∣
Σi(Xi+Mi)-∣ΣiXi-ΣiMi∣ = IIT*/(1-k),
IIT* = 1 - Σ[ i ∣Xi - Mi / i(Xi + Mi)],∣ Σ k = ∣ΣiXi - ΣiMi / i(Xi + Mi).∣ Σ
한편, Aquino(1978)는 무역불균형을 국가전체로서가 아닌 산업차원에서 산업별로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 그러나 Greenway와 Milner(1987)는
4. Aquino(1978)는 Grubel과 Lloyd가 무역불균형조정시 개별산업 무역불균형을 고려하 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개별산업 무역불균형조정후의 산업내무역지수(Q)는 다음과 같
의 산업별무역불균형에 대해 모든 산업에 동일한 비율로 조정하는 것 Aquino
은 비합리적일뿐 아니라 그 무역불균형이 산업자체의 특성에서 발생하며 거 시경제적조정이 아니라는 점에서 조정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Kol과
및 등은 무역불균형의 근거가 미약하다는 점을 Mennes(1989) Vona(1991)
들어 조정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Grubel-Lloyd 산업내무역지수 외에 Grubel-Lloyd의 무역불균형을 조정한 산업내무역지수(AIIT)를 2001년부터
년까지 구해보았는데 그 결과가
2005 ,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에서 나 타난 것과 같이 표준화된 Grubel-Lloyd 산업내무역지수로 분석하였을 때와 무역구조의 큰 차이점은 없었지만 무역불균형시 하향편기를 조정하였으므로 표준화된 Grubel-Lloyd 산업내지수에 비해 산업내지수가 조금 더 높게 나타 났다.
표 불균형조정 산업내 무역지수
< 4> Grubel-Lloyd (AIIT) 품목
코드 구 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0 1 2 3 4 5 6 7 8 9
식품 및 산동물 음료 및 담배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 광물성연료 윤활유관련물질, 동식물성 유지 및 왁스 화학물 및 관련제품 재료별 제조제품 기계 및 운수장비 기타 제조제품
달리 취급되지 않은 상품
0.16570 1.05182 1.09378 1.02207 1.05694 0.43932 0.80687 1.01043 0.69995 0.09218
0.14369 1.16091 1.09653 1.08397 0.91263 0.42950 0.93026 0.83327 0.62782 0.28665
0.18056 1.07845 1.29692 1.20862 0.85110 0.45638 0.97567 0.81070 0.83154 0.71190
0.31556 1.27678 1.29470 1.15158 0.76762 0.43563 1.23257 0.83851 1.21441 1.17951
0.24289 1.18486 1.20039 1.07082 0.39239 0.45192 1.26700 0.86594 1.16616 0.41076
이 구하였다.
Q = [Σi(Xi + Mi) - Σi∣aXi - bMi∣]/Σi(Xi + Mi), a = Σi(Xi + Mi)/2ΣiXi, b = Σi(Xi + Mi)/2ΣiMi.
중국과 한국의 무역의 상호의존도 분석 3.
본 절에서는 중국과 한국이 무역을 통하여 양국간 어느 정도 만큼 상호 의존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국가간 수출의 상호의존도계수( 12)η 를 구 해보았다 수출의 상호의존도계수는 한 국가와 다른 국가간의 수출이 양국경. 제규모에 비교하여 어느 정도 중요한가를 나타내는 측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 해진다.
η12=
∑2
i= 1Xi12+∑2
j= 1Xj21
∑2
r = 1GNPr
윗 식에서 Xijk는 Xi 제품의 국에서 국으로의 수출을 의미하며j k , GNPr은 국의 총국민소득을 의미한다 년부터 년까지 한국과 중국
r(r=1, 2) . 2001 2005
의 국민총생산에 대한 수출의 상호의존도계수를 살펴보면 그림 와 , 2 <표 5>
에서 나타났듯이 2001년 0.0174, 2003년 0.025, 2005년 0.0333으로 매년 증 가하고 있으며 중국과 한국은 2000년대 들어서만 년 만에 약 배로 증가하5 2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은 최근 상대국에 대한 무역량을 .
그림 2. 중국과 한국의 무역의존도
0 0.02 0.04 0.06 0.08 0.1 0.12 0.14
1 2 3 4 5
상호무역의존도 한국의 중국수출의존도 중국의 한국수출의존도
표 중국과 한국의 무역의존도 지수
< 5>
중국과 한국의 상호 무역의존도(trade-dependance)
2001 2002 2003 2004 2005
0.017430 0.020569 0.025353 0.030372 0.033272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의존도(uni-trade dependence)
2001 2002 2003 2004 2005
0.065338 0.075248 0.093781 0.11653 0.12770
중국의 한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의존도(uni-trade dependence)
2001 2002 2003 2004 2005
0.023771 0.028307 0.034747 0.041078 0.044995
증가시키고 있으며 국민소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출의존을 하고 있는 주요 시장이 되고 있다.
그러나 상호의존도계수의 문제점은 소국과 대국 간의 경제규모의 격차에 도 불구하고 대등하게 다룬 것이고 개별국가가 상대방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일방적 수 출의존계수( )ς 를 또한 구하여 보았다.
12 = (ς Σi Xi12 + Σj Xj21)/ GNP1.
여기서 일방적의존계수와 상호의존도계수간의 관계는 (1/ς12 + 1/ς21)=
1/η12이다.
그리하여 먼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의존계수를 보면 그림, 2와
<표 5>에서 나타났듯이 2001년 0.0653, 2002년 0.0753, 2004년 0.1165, 년 등으로 아주 크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에 대한 일방
2005 0.1277 .
적 수출의존계수는 2001년 0.0237, 2002년 0.0283, 2004년 0.0411, 2005년 등으로 상당히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은 최근
0.0450 . 2001
년부터 년 동안 각각의 수출의존계수를 약 배 증가시키고 있음을 알 수 5 2 있다 그러나 한국의 중국에 의한 수출의존계수는 중국의 한국에 대한 수출.
의존계수보다 약 배 정도 높으며 3 2000년대 들어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의 입장에서 한국이 주요한 수출상대국이지만 한. , 국의 입장에서 볼 때 중국은 보다 더 주요한 수출상대국이 되어 가는 중요한 국가임을 알 수 있다.
중국과 한국의 무역결합도와 비교우위 분석 IV.
중국과 한국의 무역결합도 분석 1.
무역결합도이론 (1)
국제무역의 전통적 이론들은 주로 2국간의 무역을 가정하고 국제무역이 국가들 간에 존재하는 비교우위의 차이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 나 다국이 존재하는 국제무역의 흐름은 순수한 비교우위의 결정요인 이외에 도 국가간 무역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형태의 저항(resistance) 즉 지리적 거리에 따른 수송비와 차별적 관세 등 제도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 한 제비용등을 포함시켜 고려해야 한다.
다수국가의 무역흐름에 영향을 주는 저항요인을 고려하여 개국간의 무역2 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접근방법으로 중력모형(Gravity Model)과 무역결합도 접근법(Trade Intensity Approach)이 있다.
중력모형은 국경제의 잠재적인 무역량과 저항요인에 의하여 국간의 무2 2 역흐름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명한다 즉 한국의 중국에 대한 수출은 한국의 . 미국 혹은 일본 등에 대한 수출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며 따라서 한국의 총수출과 총수입은 이러한 국간의 무역의 합계에 의해 2 결정된다.
무역결합도이론은 특정국가의 총수출과 총수입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모 든 개 국가간 무역흐름에 존재하는 저항이 동일한 경우의 무역규모를 가정2 하여 이러한 가상적 무역규모로 부터의 이탈을 무역장애에 의해 설명한다.
무역결합도이론은 중력모형이 가진 중요한 문제점인 국간의 무역흐름이 각2 각 독립적으로 결정된다고 하는 가정을 하지 않으며 모든 국가간의 무역규모 의 상호의존성을 인정한다.
무역결합도이론은 한나라의 무역흐름에 있어 저항요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동아시아국가간의 무역흐름을 분석하기위 해 수입국의 수입흡수력과 수출국의 비교우위 그리고 국 간의 무역흐름을 , 2 종합적으로 고려한 경쟁력 지표인 Yamazawa(1970)가 제시한 국의 국에 대i j 한 수출의 상대적 집중도를 나타내는 무역결합도(Trade Intensity Index)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도입한다.5
TIIJ = (XIJ/TXI)
(TMIJ/MW) ,
, TI단 IJ = I국의 국에 대한 무역결합도J , XIJ = I국의 국에 대한 수출J
TXI = I국의 총수출, TMJ = J국의 총수입 MW = 세계의 총수입 총수출( ).
무역결합도의 경제적 의미를 다시 살펴보면 국의 국 시장점유율을 국의 I J I 세계시장점유율로 나눈 것으로 다음과 같이 수출국의 수입국에 대한 수출의 상대적인 시장집중도(RMI: Relative Market Intensity)로 나타내 진다.
RMIIJ = (XIJ/TMJ)
(TXI/MW)
중국과 한국의 무역결합도 분석 (2)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무역결합도를 나타내는 상대적 시장집중도지수 를 살펴보면
(RMI) <표 6>에서 나타났듯이 2001년도 3.17, 2002년 3.28,
5. 무역결합도는 무역보완도와 무역편향도의 곱으로 표현되며 그리고 무역보완도는 수 출특화도와 수입특화도의 합으로 표시된다.
표 중국과 한국의 무역결합도
< 6>
RMI 2001 RMI 2002 RMI 2003 RMI 2004 RMI 2005 3.17297 3.28774 3.40099 3.30977 3.53495
년 등으로 점점 높아지다가 년에는 로 약간 감소하였지만
2003 3.40 2004 3.31
다시 2005년에는 3.53으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상대적 시장집중도(RMI) 지수가 보다 1 훨씬 크고 더욱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우리나라는 여타 세계국가, 3 보다 중국에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수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 라는 1994년에는 RMI 지수가 2.38을 기록하였지만 2005년에는 크게 증가 하여 3.53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와 중국 간에는 거리의 근접성과 경제구조 와 산업구조의 보완성 등으로 많은 산업내무역과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진출 과 직접투자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경제협력 등으로 최근 한중간에 많은 무, 역이 일어나고 있음에 기인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에 있어 . 2000년대 들어 최대의 수출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에 상대적으로 집중적으로 많은 수 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인구가 많고 시장잠재력이 큰 새로운 시. 장인 중국은 최근 우리나라에 있어 미국이나 일본보다 더 큰 무역상대국이 되어가고 있음을 볼 때 더욱더 많은 기업간 산업간 경제협력 및 통상협력들, 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대중국시장 비교우위 분석 2.
우리나라의 중국시장에 대한 수출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생산비차이뿐만 아니라 중국의 수출시장의 비가격경쟁력도 감안하는 수출상품의 비교우위를 분석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비교우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 지가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각국의 실제수출액에 의해 비교우위를 산정 하여 Balassa(1966)의 현시비교우위(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지수를 채택하고 있다
RCA)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채택하고 있는 Balassa(1966)의 현시비교우위 지수는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어느 한 국가의 특정수 출시장에 대한 특정품목 수출비중을 세계의 특정품목수출비중으로 나눈 것’ 으로 비교우위의 국가간차이를 주로 측정하는데 유용한 개념 중의 하나이지 만 한 국가수출의 입장에서 보는 각 수출시장에서의 비교우위를 측정하지 , 못하고 있다.6
따라서 본 절에서는 중국시장에서 한국의 수출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RCA 지수보다는 ‘어느 한 국가의 특정수출시장에 대한 특정품목의 수출비중을 그 국가의 세계시장에 대한 특정품목수출비중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되는 다음 과 같은 RCA를 원용한 시장현시비교우위(Market RCA)개념을 도입한다.
MRCA = (XIJ/XI)
(TXIJ/XI) , XIj: 특정시장에 대한 국의 품목 수출액I j , XI: 특정시장에 대한 국의 총수출액I ,
TXIj: (세계시장에 대한) I국의 품목 수출액j , TXI: (세계시장에 대한) I국의 총수출액 .
즉 MRCA는 어느 특정수출시장에 대한 특정품목의 수출비중을 어느 한 국가의 내부적인 입장에서 비교우위를 파악하므로 어느 한 국가의 수출패턴 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비교우위개념이다 따라서 어떤 . I 국가의 국 수출시장J 의 특정 품목에 대한 MRCA=1.2라는 것은 국의 총수출에 대한 그 상품의 I 수출비율보다 국은 국에 그 상품을 I J 20% 더 많이 수출하고 있음을 의미한 다(Min Chung-Ki, 1993).
그러나 MRCA도 RCA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수출실적만을 기준으로 하고
6. RCA 개념은 수입국시장에서의 실현된 수출비중을 중시하지만, D. Ricardo의 비교생 산비우위 개념은 수출국내의 생산비차이를 중시하므로 완전한 자유무역이 발생하는 시장을 제외하고는 두 개념은 차이가 난다.
있고 국제경제학적인 정의상 장래의 성장잠재력을 예측하지 못하고 수입측 면과 산업자체의 시간의 경제성(Economies of Time)을 고려한 동학적인 비 교우위를 계산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별국가적인 차원에. 서 시장개방이 불완전하고 무역 및 산업정책이 많이 시행되는 개발도상국의 경우 무역불균형을 시정하는 무역정책이나 산업구조 조정 등에 의해 더욱더 수출경쟁력과 비교우위지수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 . 국가의 수출만을 고려하고 수입을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일반균형에 입각한 진정한 비교우위지표로 대체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경쟁지수보다 구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 실증분석을 하는데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MRCA에 의해 현시비교우위를 구하였다 그리하여 최근 . 2001년과 2005년 동안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무역에 있어 산업별 시장비교우위를 구해보면 <표 7>과 같다.
먼저 2005년의 우리나라의 대중국 MRCA 지수를 살펴보면 화학물 및 관 련제품이 1.88로 나타나 중국시장에서 굉장히 큰 시장비교우위를 가지고 있 으며 중국에 우리나라의 세계시장 수출평균비율의 1.88배나 많이 화학공업제 품을 수출하고 있다 그 외 중국시장에서 시장비교우위를 가진 우리나라 제. 품의 MRCA 지수를 살펴보면 2005년 기준으로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
재료별 제조제품이 동식물성유지 및 왁스 기타제조제품
1.41, 1.05, 1.06,
등으로 각각 보다 높게 나타나 중국시장에서 현시시장 비교우위를 가지
1.53 1
표 한국의 중국에 대한 시장 비교우위 지수
< 7> (MRCA)
품목
코드 구 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0 1 2 3 4 5 6 7 8 9
식품 및 산동물 음료 및 담배 비식용원재료 연료제외( ) 광물성연료 윤활유관련물질, 동식물성 유지 및 왁스 화학물 및 관련제품 재료별 제조제품 기계 및 운수장비 기타 제조제품 달리 취급되지 않은 상품
0.39147 0.20144 2.17216 1.75909 1.59859 2.71004 1.57933 0.55101 0.69230 0.15346
0.39475 0.21273 1.90967 1.30610 1.49688 2.41540 1.38436 0.71409 0.75746 0.19710
0.43666 0.17290 1.57341 1.49381 1.32561 2.02871 1.32414 0.78023 0.85214 0.12634
0.53264 0.20650 1.49092 1.35409 1.13905 2.02453 1.19071 0.77246 1.33309 0.11454
0.49131 0.16483 1.41399 0.98394 1.05561 1.87700 1.05206 0.79008 1.52910 0.9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