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번호 21A20132000001
사업분야 공학 신청분야 건설 단위 지역 구분 사업단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구분 관련분야 관련분야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명 건축공학 건축공학일반 토목공학 기타토목공학 환경공학 환경공학일반
비중(%) 35% 35% 30%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학과개설일 201303
사업단명
국문) 친환경융합건설기술인력양성사업단
영문) Center for Eco-Integrated Construction
사업단장
소 속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직 위 교수
성명
국문 조완근 전화
팩스 영문 JO WAN-KUEN 이동전화
E-mail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4차년도
('16.3~'17.2)
5차년도 ('17.3~'18.2)
6차년도 ('18.3~'19.2)
7차년도 ('19.3~'20.2)
8차년도 ('20.3~'20.8)
국고지원금 1,148 1,148 1,148 1,148 574
총 사업기간 2016.3.1. ~ 2020.8.31.(54개월) 재선정평가 대상기간 2013.9.1. ~ 2015.8.31.(24개월) 본인은 『BK21 플러스』사업신청서를 다음과 같이 제출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 하여 소정의 사업성과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5년 09월 18일
작성자 사업단장 (인)
확인자 산학협력단장 (인)
확인자 총장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공학분야) 사업단 재선정평가 신청서
조완근
<신청서 요약문>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최근 글로벌 건설시장은 현 시대 인간생활공간을 위해 건설되는 건축물이 인간과 자연 의 상생을 방해하지 않도록 친환경융합건설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세계적 인 이상기후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고 환경을 보존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이룸으로 서 인간생활공간에 쾌적함과 자연의 풍요로움을 담기 위한 친환경융합건설의 중요성이 더 욱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기준이 자율시행 단계에서 점차 의무화 단계로 확대 시행중에 있으며, 2011년 6월 개정안에는 공공기관에서 건축하는 연면적 10,000 평방미터 이상의 건축물은 반드시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취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환 경공단에서는 한국환경공단이 직접 발주하는 공공하수폐수시설, 가축분뇨시설, 환경자원 화시설 등 일정규모 이상의 환경시설물들이 건축물 생애기간동안의 에너지 절감량과 친환 경적 요소의 정량적 평가를 공사 입찰 평가시 반영하는 환경시설분야 녹색 건축물 설계기 준 제정하여, 2013년 6월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친환경융합건설에 대한 세계적인 추세와 사회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는 친환경융합 전문 건설인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사업단에서는 이러한 시대 적 요구에 부응하는 글로벌 친환경융합건설인력을 양성하여 국가와 지역사회에 이바지 하 고자 한다.
사업 목표
본 사업단에서는 친환경융합건설에 대한 세계적인 추세와 시대적 흐름 및 사회적인 요 구, 그리고 사업단의 참여 교수진과 학생 및 교육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친환경융합건 설인력양성”을 사업목표로 설정하였다. 사업목표 달성을 위하여 3가지 세부 사업목표 즉, 1) 글로벌 친환경융합 전문건설인력 양성 2) 세계적 수준의 친환경융합 건설연구역량 강화 3) 대구 경북의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 및 산학 협력체계 구축을 세부 사업목표로 설정하여 운영한다.
설정된 사업목표가 대학원 교육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교육 과정을 이수한 대학원생들의 사업목표 달성도를 평가하여 졸업생들의 품질보장(QA)과 지 속적 품질개선(CQI)이 되도록 수요지향교육과 성과중심교육을 도입함으로서 체계적인 교 육체계를 구축한다.
교육역량 영역
본 사업단에서는 21세기 삶의 질 향상 및 미래 복지사회의 구현에 필수적인 글로벌 친환 경융합 전문건설인력양성을 교육비전 및 목표로 설정하고, 사업 목표 달성과 글로벌 수준 의 연구윤리 확보를 포함한 교육과정을 계획, 운영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인 학사관리를 위해 수요지향교육과 성과중심교육 제도를 도입하고 제도를 규정화하여 지속적이고 체계 적으로 관리되도록 함으로서 대학원생들의 확보 및 배출실적, 취업률과 질적 우수성, 대 학원생들의 연구실적에 대한 품질관리 및 지속적 품질개선을 실시하여 지속적으로 향상되 도록 운영하여 교육역량강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대학생들의 국제교류 활성화, 해외석학 초빙, 외국어 강의 확대, 우수 외국인 학생의 유치, 학위논문의 외국어 작성비율의 증대 등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의 국제적 역량강화에 큰 관심과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연구역량 영역
본 사업단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친환경융합 건설연구역량 강화를 연구비전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사업단장의 선정 시 연구실적 및 행정역량 및 수행의지 를 고려하여 사업단장을 선정하였으며, 참여 교수진의 구성 또한 친환경융합 건설연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참여 교수진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하여 참여교수의 국제적 학술활동 및 연구활동 참여실적, 참여교수의 연구비, 국제저명학술지 게재 실적, 특허등 록 실적에 대한 성과관리 및 지속적 성과개선을 실시하여 지속적으로 향상되도록 운영하 여 연구역량강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친환경융합건설기술의 국제화 전략, 지역 산업체 중심어
친환경융합건설 친환경건축물 친환경전문인력
창의인재양성 창의적교육역량강화 글로벌연구역량강화
선도형건설 지역산학협력 현장밀착교육
연구과제와 연계한 사업단 교육 및 연구실적, 지역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제품화 및 사업화, 연구비전에 부합하는 산학 간 인적, 물적 교류에 큰 관심과 노력을 집중하고 있 다.
기대효과
본 사업단은 융복합분야의 친환경융합 건설인력양성을 통하여 추격형 경제로부터 선도형 경제로의 전환에 선도적 역할을 하며 창조경제를 주도할 최고의 석박사급 창의인재를 양 성하는 허브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대학 교육과 연구의 창의적 분위기 제고 및 독창성 있는 성과창출을 통하여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 중심의 친환경융합 건설기술 발전을 이루고 창의성 있는 선도형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거점대학으로서 대학원 교육과 연구가 지역사회와 연계되어 친환경융합 건설산업과 관련된 현장밀착형 지 식과 기술지원 및 석박사급 인재 공급 등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밀착형 석박사급 인재양성 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사업단 현황
1 사업단 구성
1.1 사업단장
T _ 1 _ 1 :성명 T _ 1 _ 2 :한글 D _ 1 _ 3 :조완근 T _ 1 _ 4 :영문 D _ 1 _ 5 :JO WAN-KUEN
T _ 2 _ 1 :소속기관 D _ 2 _ 3 :경북대학교 D _ 2 _ 4 :공과대학 D _ 2 _ 5 :환경공학과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현황
<표 1-1>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교수 현황 (단위: 명, %)
T _ 1 _ 1 :기
준 일
T _ 1 _ 2 :대
학 원 학 과(
부)
T _ 1 _ 3 :전체 교수 수(교육, 분
교, 기금 제외)
T _ 1 _ 8 :기존교수 수(교육, 분
교, 기금 제외)
T _ 1 _ 1 3 :신임교수 수(교육, 분
교, 기금 제외)
T _ 1 _ 1 8 :교육, 분교, 기금 교수
수
T _ 2 _ 3 :전
체
T _ 2 _ 4 :참여
T _ 2 _ 7 :참
여 비 율 (%)
T _ 2 _ 8 :전
체
T _ 2 _ 9 :참여
T _ 2 _ 1 2 :참
여 비 율 (%)
T _ 2 _ 1 3 :전
체
T _ 2 _ 1 4 :참여
T _ 2 _ 1 7 :참
여 비 율 (%)
T _ 2 _ 1 8 :전
체
T _ 2 _ 1 9 :참여
T _ 2 _ 2 2 :참
여 비 율 (%)
T _ 3 _ 4 :전
임
T _ 3 _ 5 :겸
임 T _ 3 _ 6 :계 T _ 3 _ 9 :전
임
T _ 3 _ 1 0 :겸
임 T _ 3 _ 1 1 :계 T _ 3 _ 1 4 :전
임
T _ 3 _ 1 5 :겸
임 T _ 3 _ 1 6 :계 T _ 3 _ 1 9 :전
임
T _ 3 _ 2 0 :겸
임 T _ 3 _ 2 1 :계
T _ 4 _ 1 :접
수 마 감 일
D _ 4 _ 2 :건
설 환 경 에 너 지 공 학 부
D _ 4 _ 3 :31 D _ 4 _ 4 :23 D _ 4 _ 5 :0 D _ 4 _ 6 :23 D _ 4 _ 7 :74.
19% D _ 4 _ 8 :29 D _ 4 _ 9 :22 D _ 4 _ 1 0 :0 D _ 4 _ 1 1 :22 D _ 4 _ 1 2 :75.
86% D _ 4 _ 1 3 :2 D _ 4 _ 1 4 :1 D _ 4 _ 1 5 :0 D _ 4 _ 1 6 :1 D _ 4 _ 1 7 :50% D _ 4 _ 1 8 :0 D _ 4 _ 1 9 :0 D _ 4 _ 2 0 :0 D _ 4 _ 2 1 :0 D _ 4 _ 2 2 :0%
<표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대학원생 현황 (단위: 명, %)
T _ 1 _ 1 :기준
일
T _ 1 _ 2 :대학원
학과(
부)
T _ 1 _ 3 :대학원생 수
T _ 2 _ 3 :석사 T _ 2 _ 6 :박사 T _ 2 _ 9 :석·박사 통합 T _ 2 _ 1 2 :계
T _ 3 _ 3 :전체 T _ 3 _ 4 :참여 T _ 3 _ 5 :참여비
율(%) T _ 3 _ 6 :전체 T _ 3 _ 7 :참여 T _ 3 _ 8 :참여비
율(%) T _ 3 _ 9 :전체 T _ 3 _ 1 0 :참여 T _ 3 _ 1 1 :참여비
율(%) T _ 3 _ 1 2 :전체 T _ 3 _ 1 3 :참여 T _ 3 _ 1 4 :참여비
율(%)
T _ 4 _ 1 :접수
마감일
D _ 4 _ 2 :건설환
경에너 지공학
부
D _ 4 _ 3 :116 D _ 4 _ 4 :68 D _ 4 _ 5 :58.62% D _ 4 _ 6 :78 D _ 4 _ 7 :36 D _ 4 _ 8 :46.15% D _ 4 _ 9 :6 D _ 4 _ 1 0 :6 D _ 4 _ 1 1 :100% D _ 4 _ 1 2 :200 D _ 4 _ 1 3 :110 D _ 4 _ 1 4 :55%
Ⅱ 부문별
<교육역량 영역>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가.친환경융합건설인력양성의필요성
건설환경은 인간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건설환경을 구성하는 기술과 인력들은 인류사회의 발전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시대적 요구를 만족시키며 발전해왔다. 근현대에 이르러 건설업계에 주어졌던 과제가 도시화·
산업화에 대응하기 위한 공간에 대한 양적 수요 충족이었다면, 앞으로의 과제는 지구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복합적 인 사회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질적 수요 충족의 요구가 높아져 갈 것이다. 따라서 쾌적한 정주환경 구축과 제로에너 지 건축(도시)을 근간으로 하는 친환경 주거지 등과 같은 친환경융합건설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최근 글로벌 건설시장은 거주민의 쾌적한 정주환경 확보를 위해 건설되는 건축물이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방해하지 않도록 친환경융합건설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이상기후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고 환경 을 보존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이룸으로써 인간생활공간에 쾌적함과 자연의 풍요로움을 담기 위한 친환경융합건설의 중 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기준이 자율 시행 단계에서 점차 의무화 단계로 확대 시행 중에 있으며, 2011년 6월 개정안에는 공공기관에서 건축하는 연면적 10,000 평방미터 이상의 건축물은 반드시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취득하 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 환경공단에서는 한국환경공단이 직접 발주하는 공하수 폐수시설, 가축 분뇨시설, 환 경자원화 시설 등 일정 규모 이상의 환경시설물들이 건축물 생애기간 동안의 에너지 절감량과 친환경적 요소의 정량적 평가를 공사 입찰 평가 시 반영하는 환경시설 분야 녹색 건축물 설계 기준을 제정하여, 2013년 6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현재 건설산업에 의한 지구환경의 현주소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에 따른 에너지 고갈과 이에 따른 환경오염의 악화는 지속될 전망이며 이로 인해 생물종 감소,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수자원 에너지 고갈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하는 최대 위협으로 등장하 고 있다.
○ 건설 생산 활동은 국내 산업 전체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42%, 에너지 소비량의 24%, 폐기물 발생량의 30%를 차지 하는 대량소비/대량 폐기를 특징으로 하는 반환경적인 산업이다.
○ 이로 인한 국제적인 환경 관련 협약 강화와 자연공생형 생활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대로 인해 건설산업에 있어 서 녹색융합을 통한 환경부하 저감과 삶의 질 개선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 이에 정부는 2025년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 제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 그린 홈 인증 제도 등의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융합 건설에 대한 세계적인 추세와 사회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국내 친환경 융합 전문 건설인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나. 교육 비전과 교육 목표 1) 교육비전
“미래사회를 선도할 친환경 융합건설분야 창조전문인재 양성"
본 사업단은 다양한 전공분야(건축, 토목, 환경, 에너지)에 대한 융합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 을 선도하는 글로벌 친환경융합건설 전문인력양성을 비전으로 목표하여, 세계화 및 전문화, 국가의 균형발전 및 창조 경제 사회의 흐름에 부합하는 위상을 갖는 교육기관으로의 자리매김하였다.
2) 교육목표
본 사업단의 교육 목표로 글로벌 인력양성, 국가 그리고 지역 건설환경 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친환경융합건설 기술 교육기관으로의 선도적 역할 수행 및 도약을 위하여 친환경건설기술 분야의 전문교육과 R&D 역량을 강화하고 건설환경 에너지 분야의 요소 기술들을 통합적이며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창조적인 융합 건설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였으 며 나아가, 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삶의 질 확보와 행복 증진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 응할 수 있는 건설환경 제공과 미래가치 창출을 이루고자 한다. 이러한 사업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립한 세부 전문 인재 양성 목표는 다음과 같으며 이를 통한 친환경건설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 해오고 있다.
○ 저에너지 친환경 건축물 건설기술 전문 인재 양성
○ 친환경 도시 인프라 구축 및 유지 기술 전문 인재 양성 ○ 차세대 환경 및 에너지기술 전문 인재 양성
○ 글로벌 역량과 연구 윤리의식을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 ○ 지역사회 발전을 견인할 글로벌 역량을 가진 전문인재 양성
□ 저에너지 친환경 건축물 건설기술 전문 인재
정부는 2025년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 제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 그린 홈 인증 제도 등의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건설업 현장과 사무실에서도 환경영향 및 에너지 사용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의 방안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건설공사는 단순한 구조물이라도 수백 개의 작업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이들 작업에는 많은 직종의 인력과 재료가 소요된다. 또한 건설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도 운용 폐기 단계 를 거치며 많은 환경 자원을 소모한다. 따라서 건설업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설재료, 구조, 시공 및 관리, 운영, 폐기 등 건물 각 생애 주기에 걸친 친환경 전문 인력양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배출된 인력은 환경과 공 생하면서도 삶의 질을 높이는 정주환경 제공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 친환경 도시 인프라 구축 및 유지 기술 전문 인재
지속 가능한 사회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실질적 친환경 융합 건설 기술을 습득한 기술인력 양성은 전문 인력 일자리 창출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및 산업 기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각종 용도 건축물을 기본 유닛으로 구성되 어 있는 도시는 거대한 에너지 소비에 의해 기능이 유지된다. 따라서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건설 기술과 친환경 유지 관리 기술 등을 숙지하고, 도시 인프라 최적 유지 관리 기술 등을 숙지한 전문 인재의 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기후변
화 및 게릴라성 호우 등의 기상이변에 대응한 도시 인프라 관리 기술은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전성 확보에 기여 한다. 또한 산업체, 학계, 정부의 연계를 통한 경험, 정책, 기술 등의 적극적 이전을 통해 지역사회에 공헌하며 선진 화된 건설 기술 인력은 해외 건설시장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차세대 환경 및 에너지 기술 전문 인재
2006년의 유망 신기술 분야별 인력수급 추정에 따르면 환경에너지 분야는 약 53% 정도의 인력 과부족이 발생하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0-2030년까지 미국, 일본, 영국, 호주 등이 선정한 5개의 공통 주력 과학기술 분야(정보전 자, 재료, 에너지, 환경, 생명의료) 중에 에너지와 환경이 포함되어 있으며, 미래에 국가 발전을 주도해 나갈 산업으 로 청정생산 및 에너지와 관련된 고급인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차세대 에너지 및 신성장 동력인 폐자원 및 바이오 매스 에너지화 분야의 국내 환경산업 육성 및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고급인력 양성 필요하기 때문에 분야별 고등 인 력 양성을 진행하고 있다.
□ 글로벌 역량과 연구 윤리의식을 겸비한 전문인재
건설환경에너지에 대한 각각의 교육 과목에 대한 연구윤리의식 강화를 위해 기초적 윤리의식 강화 교과목을 신설하 고, 석·박사 학위 논문지도 교과목에 대한 비중을 강화시킴으로서 차후 학술 및 학위논문 작성 시 비윤리적 문제 발 생 여부를 최소화한다. 또한, 대학원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대학원 교과 과정의 영어화를 점진적으로 의무 화하여, 향후 전문 인력의 글로벌화에 앞장선다. 나아가, 논문작성법과 관련하여, 외국어 논문 작성법도 추가적으로 개설하여, 국제적 저명 학술지 게재 및 학위논문의 국제화에도 앞장서서 배출된 인력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 며 이후 배출될 인력에 대한 역량강화 또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지역사회 발전을 견인할 글로벌 역량을 가진 전문 인재
건설분야는 본 사업단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중점산업분야 중의 하나로 친환경융합건설의 전문인력 양성은 지 역사회의 발전과 직결된다. 본 사업단에서 배출하는 인력은 건축, 토목, 환경 및 에너지 분야 연구 이외에도 지역 내 여러 산업체와 행정조직에서 대경권 광역발전산업의 성공을 이끌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있다. 특히 저에너지 설계, 저탄소시공, 저에너지 유지관리, 자원재순환 폐기기술을 습득한 인력의 배출은 대경권의 중점산업인 그린에너 지, IT융복합 사업과 연계하여 지역의 유관 산업분야의 발전을 견인 할 것이다. 또한 본 사업단은 지역 내 인프라와 산학간의 유기적 연계를 유지하여 지역사회의 경제구조 및 생산여건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 및 대처하고 지역산업에 적합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본 사업단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친환경융합건설 전문인력 교육을 강화 하였다.
다. 교육 목표 및 비전 달성을 위한 사업단의 노력 (최근2년간)
○ 저에너지 친환경 건축물 건설기술 전문인재 양성 (성공하기위한 노력 꼭지 기술) ○ 친환경 도시 인프라 구축 및 유지 기술 전문인재 양성
○ 차세대 환경 및 에너지기술 전문인재 양성
○ 글로벌 역량과 연구 윤리의식을 겸비한 전문인재 양성 ○ 지역사회 발전을 견인할 글로벌 역량을 가진 전문인재 양성
1)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수준의 교육 환경 구축
**********************
□ 수요자 중심 맞춤형 교육 확충
□ 맞춤형 취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전문 인력 확보 □ 지역사회를 견인하는 글로벌 역량을 가진 전문 인재 양성 □ MOU 체결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 및 면담 진행 □ 강의형태의 다양성확보
□ 외부 전문가 활용 세미나 개최 □ 진로네트워킹구축사업
□ 스피치/프리젠테이션 능력 강화 스쿨개설
□ 해외교류 프로그램 및 교육봉사 프로그램을 통한 전문 인력의 글로벌화
**********************
□ 수요자 중심 맞춤형 교육 확충
- 원어 강의 교과목 증설을 통하여 글로벌 역량 강화 - 교육 부분 국제화 인프라 구축 (이중언어 교과과정 개발) - 지역 선도사업체 연계 실무교육 활성화
□ 맞춤형 취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전문 인력 확보
- 기업탐방 프로그램의 확대(국내 기업 견학 및 글로벌기업, 연구소 등) - 비즈니스 교실 및 프리비즈 캠프 운영을 통한 기업 수요 측면의 교육 운영 - 전공분야의 취업 수요에 따른 새로운 지원체계 구축
□ 지역사회를 견인하는 글로벌 역량을 가진 전문 인재 양성
본 사업단 참여 연구진은 지역 내 기업과의 면밀한 연계를 통해 기업 수요에 맞는 인재 공급과 연구개발 역량을 강 화하는 사업인 “지역 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교육부)" 에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선정되어 수행하였다.(3건)
○ 수행 내역 : 기업 수요를 반영한 수요자 맞춤형 교과 신설, 공동 기술 개발, 지역업체로의 인력 취업, 기업탐방 프로그램의 확대, 장학제도 등
- 과제명(1) : ICT-BIM 기반 건설품질보증 시스템 / ㈜보원
해당 참여 대학원생: 이형국, 곽한성, 박상민, 박영준, 손상혁, 김률희, 이홍철, 서병욱 (8명) - 과제명(2) : 강구조 시설물 설계 및 시공기술 인력 양성 사업단 / ㈜동성중공업
해당 참여 대학원생 : 박성영, 박성현, 권학섭, 강일민, 민기요 (5명)
- 과제명(3) : 그린에너지 활용 대체수자원 확보 융합기술 인력양성사업 / ㈜ 시노펙스
해당 참여 대학원생 : 김진수, 황호경, 이승훈, 최승요, 최치명, 박규준, 정혜원, 맹성진(8명) □ MOU 체결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 및 면담 진행
- ㈜보원, ㈜동성중공업, ㈜시노펙스, ㈜조일콘크리트, ㈜대평이앤씨, ㈜동우E&C건축사사무소, ㈜신일이앤씨, 유에 이 건축사(주), 건축사 사무소 준, ㈜화인종합건출, ㈜예맥 건축, ㈜ 이명E&C, ㈜ 유성건설, ㈜두성중공업, ㈜삼 한C1, ㈜서린건축사사무소, ㈜남양건축사사무소, ㈜토담건축사사무소, ㈜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도시21
□ 강의형태의 다양성확보
- 융합교과목에 대한 e-learning 확대
=> 특히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Online 강의채널 확장,(2015) - 산·학·연 실무진에 의한 초청강연 확대(학기당 1과목) - 콜로키움형 강의 확대 (토론 및 논리적 사고 능력 배양) - 심화 캡스톤디자인 및 창의연구발표회 장려
□ 외부 전문가 활용 세미나 개최
본 사업단에서는 참여 대학원생에 대한 융합적 사고 배양과 새로운 형태의 참여형 강의 유도를 위하여 학계·지역 산업계·연구소의 전문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POOL을 구성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여 초빙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개최일 | 연사 | 소속 | 직급 2014-03-27 손병훈 대구공업대학 건축설비소방안전계열 조교수 2014-04-03 원양수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교수 2014-04-10 양승주 ㈜동국 S&C 대표이사 2014-05-01 전규엽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조교수 2014-05-08 조지혜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원순환연구실 부연구위원 2014-05-15 최지나 환경자원공정연구센터 선임연구원 2014-05-22 김승남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2014-05-29 김영훈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2014-09-25 김명균 대구보건대학,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자원순환연구실 박사 2014-10-02 김지훈 대구보건대학교 보건환경과 교수
2014-10-16 최준영 효림산업 이사/기술연구소장 2014-10-30 김영모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부 조교수
2014-11-06 Edwin.R.Galea University of a Greenich 교수 (국제심포지움) 2014-11-06 황광일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국제심포지움) 2014-11-06 박준영 금오공과대학교 교수 (국제심포지움) 2014-11-06 Kimiya Murakami Shibaura 공대 교수 (국제심포지움) 2014-11-06 Satoru Sadohara Yokohama University 교수 (국제심포지움) 2014-11-13 김영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선임연구원
2014-11-20 황인성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2014-11-27 최준호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조교수 (세미나 개최시) 2014-11-27 Zhang, Feng-Jun Anhui Jianzhu University 교수 (세미나) 2014-11-27 WANG, Xiaomei Suzhou 공대 교수 (세미나) 2014-12-04 하영철 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2015-03-19 윤정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5-03-26 Ingmar Nopens University of Gent 교수 2015-04-02 오정익 LH공사 연구원 박사 2015-04-09 이지수 경주대학교 교수 2015-04-16 정경순 신천하수처리장 연구원 박사 2015-04-30 나욱정 창신대 소방안전학과 교수 2015-05-07 이진우 대흥엔지니어링 이사 박사 2015-05-14 윤영수 현대자동차
2015-05-21 임우택 안동대학교 교수 2015-06-04 안영희 동아대학교 교수
<주요세미나 개최 내용>
**********************
일시 - 2015년 03월 19일
강연제목 - 취업특강(못난선배의조언) 강연연사 - 안전보건공단 윤정민 연구원
강연내용 - 우리나라 산업현장에서 산업재해 예방의 중심이 되고 있는 안전보건공단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공단의 채용 계획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졌다.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의 전공과 안전보건공단의 전공 적합도를 상세 설명하며 대학원생들의 보건공단에 대한 관심도를 끌어올릴 수 있었으며 자신의 취업 준비 수기를 설명하며 참여 대학원생들의 취업의식을 고취시켰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31명
**********************
일시 - 2015년 03월 26일
강연제목 - BIOMATH - Model-based bioprocess analysis & optimization 강연연사 - University of Gent Ingmar Nopens 교수
강연내용 - 현재 전 세계적으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바이오매스 연료에 대한 집중적인 강연이 이루어졌다. 재활용 이 가능한 바이오매스는 주원료를 무엇으로 사용할지 선정하는 작업에서부터 시작이며 이때 사용될 주 원료의 선정 방법, 바이오매스 제작한 모델링 산정 등 바이오매스에 대한 전체적인 강연을 통해 참여 대학원생의 바이오매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함양을 이루었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24명
**********************
일시 - 2015년 4월 2일
강연제목 - 미래를 선도하는 창조적인 환경공학도 강연연사 - 한국토지주택공사 오정익 연구원
강연내용 - 21세기 대한민국의 발전에 밑거름이 된 토지주택공사의 연구 실적,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경연이 이루어졌다. 또한 국내외 주택 건설의 트렌드와 토지주택공사에서 진행될 미래지향 기술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본 사업단 대학원생들의 기술 패러다임 인식 변화와 세계적인 건선 트렌드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30명
**********************
일시 - 2015년 4월 9일
강연제목 - 공간정보 기반의 방재·재난 관리 기술 강연연사 - 경주대학교 이지수 교수
강연내용 - 현재 우리나라의 방재분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이루어졌다. 또한 방재 분야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 및 본 사업단 참여 대학원생들의 방재 분야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21명
**********************
일시 - 2015년 4월 16일
강연제목 -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Basic Environment Facilities in Daegu City 강연연사 - 신천하수처리장 정경순 연구원
강연내용 - 본 사업단이 소속되어있는 대구시에서 각 구 별로 이루어지는 수 처리 공정과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현재 개발하고 있는 미래지향적 수 처리 기술 개발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다. 현재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수 처리 공정과 학문적으로 습득하는 수 처리 공정의 차이 사이의 상호보완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본 사업단 소속 학생들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본 사업단 대학원생들의 수 처리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19명
**********************
일시 - 2015년 4월 30일 강연제목 - 건축과 소방기술 강연연사 - 창신대 나욱정 교수
강연내용 - 현재 우리의 일상생활 및 사회 활동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안전이 확대되어야 하는 기술은 소방안전 기술이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도 재난, 재해 사고는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과 설비, 성능 중심의 소방설계 개발을 통한 소방안전성을 높이는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또한 미래 지향적인 소방기술 제시를 통해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들의 소방안전에 대한 인식 변화와 기술에 대한 지식 함양을 이루어냈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36명
**********************
일시 - 2015년 5월 7일
강연제목 - 환경영향평가법·제도 강연연사 - 대홍엔지니어링 이진우 이사
강연내용 - 1970년부터 환경영향성에 대한 국내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며 환경영향성 평가 법이 시행됨과 동시에 다양한 환경영향평가 법들이 제정되고 개정되어 왔다. 환경보전법을 시작으로 통합 환경영향평가 법까지 우리나라의 환경영향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전문 인력 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문 인력의 수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사업단의 주요 목표인 차세대 환경 및 친환경 에너지 기술 전문 인재 양성을 통해 위의 친환경 전문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강연이 이루어졌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46명
**********************
일시 - 2015년 5월 14일
강연제목 - 취업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강연연사 - 현대자동차 윤영수 연구원
강연내용 - 현재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들의 큰 이슈인 취업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이루어졌다.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들이 가지고 있는 이상적인 취업과 강연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취업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이 이루어졌으며 취업과정에 있어 필요한 준비사항과 전반적인 취업 Process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다.
또한 강연자의 소속인 현대자동차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이루어졌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25명
**********************
일시 - 2015년 5월 21일
강연제목 - Superselective Zeolitic Materials for Cesium Uptake from Seawater 강연연사 - 안동대학교 임우택 교수
강연내용 - 현재 각광받고 있는 Nano 물질을 이용한 바닷물 속 Cesium 환원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이루어졌다.
지난 2011년 후쿠시마 대지진을 통해 바다로 배출된 Cesium 및 Uranium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상황 에서 이를 회수함과 동시에 바다 생태계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Nano Zeolitic Material을 이용한 Cesium 환원에 대한 강연이 이루어졌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34명
**********************
일시 - 2015년 6월 4일
강연제목 - Removal of perchlorate in spent regenerant bring using sail-tolerant microorganisms 강연연사 - 동아대학교 안영희 교수
강연내용 - Perchlorate는 다양한 양이온들과 혼 함하여 염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염들은 폭발물, 연료, 고무 등 다양한 산업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perchlorate 상태의 염들이 인체로 들어오게 되면 호흡부전 등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며 한국 및 미국에서는 토양 및 수자원 속 perchlorate의 제거를 목표로 다양한 연구의 진행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국내 및 국제적인 시각에서 perchlorate 제거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이루어졌으며 본 사업단 참여 대학원생들과의 다양한 perchlorate 제거 방법에 대한 토의가 이루어졌다.
참석대상 및 인원 - 본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및 학부학생 포함 33명
**********************
□ 진로네트워킹구축사업
- 실무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동문 선배들과의 만남을 통해 이들의 커리어 로드맵을 인터뷰함으로써 대학원생 자신 의 진로설계 및 역량 강화
- 멘토 DB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관계망 형성 및 취업지원 자원으로 활용
<진로네트워킹 개최실적>
2014-04-17 취업특강 (대구, 경북대학교, 참여대학원생 및 일반인 60여명) 2014-11-06 취업특강 (대구, 경북대학교, 참여대학원생 및 일반인 60여명)
2015-05-14 대학원생을 위한 미래설계 seminar (부산, 해운대, 참여대학원생22명) 상시 사업단학과 출신 OB들을 바탕으로한 네트워크 구성
□ 스피치/프리젠테이션 능력 강화 스쿨개설
- 자기표현력과 발표능력 습득을 통한 기초직무능력 및 취업경쟁력 강화
- 사회생활에서 요구되는 네트워크 형성능력과 지식공유를 통한 업무 수행능력 배양
- 경북대학교 LINC사업단에서 주최하는 TRZ(창의력강화)캠프 및 스피치 캠프 연계, 년 2회 개최 및 참여대학원생 참여 권장
- (계획) 2015년 하반기 참여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프리젠테이션/IP확보전략 워크숍 개최 예정 □ 해외교류 프로그램 및 교육봉사 프로그램을 통한 전문 인력의 글로벌화
- 피난/방재공학 관련 실무교육 및 자격 취득 지원 : PPEM(PRINCIPLES AND PRACTICE OF EVACUATION MODELLING) 교육 및 자격취득 : 영국 그리니치대학 파견 및 교육, 자격증취득 ( 2013년도 : 이수호, 이호연, 김혜진, 2014년
도: 배영훈)
- NRF-NSF간 연구자교류 프로그램을 활용한 해외 석학 초빙과 참여대학원생 교류 (2013) (1개월간의 연수지원, Alena Mikhaylova,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 MOU근거 日 키타큐슈 시립대와의 교류프로그램 운영 : 일본 키타큐슈 대학
(방문 및 합숙 교육프로그램, 공동세미나 수행, 키타큐슈시 스마트에코프로젝트 견학, 2014년 10명 기 수행 : 서 윤규, 김강민, 이지애, 서현철, 류지혜, 강병주, 김광원, 김민주, 손진웅, 안병욱 )
- SDEWES2014 에너지, 물, 환경시스템 분야에 대한 개발에 대한 워크샵 : 마케도니아 (2014년 4명 참가 : 류지혜, 서현철, 이지애, 강병주)
- Digital Technology and BIM Work Shop(2015) : Data Visualization , 친환경적 Building Information Design,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015년 1명 참가 및 교육프로그램 수행 : 서현철)
- 참여대학원생의 회화능력 향상을 위한 회화스쿨(국제화 소통능력강화) 지원 (2013~2014, Luke Mawer, Jessica Gascoigne, 참여대학원생 12명)
2) 자발적 경쟁체제 도입
**********************
□ 우수대학원생에 대한 BK 장학금 우선 수혜자 선정 □ 경쟁에 의한 참여대학원 성과급 지급
□ 교과과정 개편
□ 졸업생 영어능력 기준 강화 □ 대학원생 연구활동 졸업기준 강화
□ 연구 윤리의식 배양을 위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설 □ 사업단 운영을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체계적인 운영실적 □ 사업단 내규 신설 및 대학원 내규와의 연계
**********************
□ 우수대학원생에 대한 BK 장학금 우선 수혜자 선정
본 사업단은 BK PLUS 사업의 지향점인 창조적이고 경쟁력 있는 고등인력 양성을 목표로 참여 대학원생의 60%를 선별 하여 장학금을 지급하였다. 이러한 제도를 바탕으로 우수논문 게재 대학원생을 매년 선발하여 장학금 지급 대상의 우 선 수혜자로 선정하고 있으며, 참여 대학원생 간의 선의의 경쟁을 통한 논문의 질 및 양적 향상을 이루었다.
□ 경쟁에 의한 참여대학원 성과급 지급
본 사업단은 참여 대학원생의 교육·연구분야 성과물의 양적/질적 향상을 장려하기 위해 참여 대학원생의 성과를 바 탕으로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근거로 표창 및 성과급 지급 체계를 구축하였다. 성과급 제도가 시행 전후로 대 학원생 연구 논문의 질적/양적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평가 지표 및 성과급 지급 규모는 다음과 같다.
- 평가 지표 : SCI(E) 게재 논문, 국제 학술발표대회 논문, 학진 등 재지 및 SCOPUS 학술지 게재 논문, 국내 학회 발표, 개인의 영어능력 향상, 사업단 개최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정도
<참여대학원생 성과급 집행 현황>
2014년 상반기 : 18명, 3,440 천원 2014년 하반기 : 54명, 12,850 천원 2015년 상반기 : 34명, 9,400 천원
□ 교과과정 개편
○ 현장밀착형 신규 교과목 신설
본 사업단은 강의실 위주 수업 체계로 일관되어 있는 강의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지역 현안에 맞는 융합 기술 및 인력양성을 위해, 지역 업체로의 파견 및 답사,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현장밀착형 신규 교과목을 신설(2015) 하고 운 영하였다.
과목명 : 지역혁신기업인턴쉽교육 교과목번호 : ARCH826-001
수강인원 : 참여대학원생 및 학석연계과정생 13명 (이준섭, 박동휘, 이유현, 김소영, 강일민, 권학섭, 박성현, 신승 훈, 김사빈, 김일헌, 민기요, 최동규, 변상민)
○ 대학원 융·복합 심화교과목 확대
친환경 건축물의 엔지니어링, 시공, 사용/유지관리, 폐기 단계를 각각 예측, 측정, 최적화, 평가의 단계로 각각 분 석하여 친환경 건설 프로젝트 라이프 전반에 걸친 친환경 건설 기술 지식횔(Knowledge Wheel)이 어떻게 관련되는지 규명하고 규명된 지식체계를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였으며, 연구기술들을 심화시켰다. 심화된 교과 과정을 연구팀 에 따른 단계별 단편화 교육이 아닌 융합적 유기 연계 교육과정으로 운영함으로써 각 연구 분야의 융합적 사고 지식 을 양성하여 일련 과정을 다양한 사고로 연계시켜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융합적 전문지식 인력을 양성하였다.
□ 졸업생 영어능력 기준 강화
○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내규 신규 제정 (2014년 10월, 대학원 운영위원회 논의 및 2015년 4월 규정 제정) 본 사업단에서는 배출 인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졸업을 위한 공인영어능력 기준을 신규 제정하고 이를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내규에 반영하였다.
- 대학원 내규 주요 골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재학생 중, BK21PLUS 사업에 참여하는 자가 졸업을 위한 학위논문 심사 요청서 제출 시 내 규에 따른 공인영어능력 시험 점수를 제출토록 한다.
- 석사과정 기존 : TOEIC(585) -> 변경후 : TOEIC(700) - 박사과정 기존 : TOEIC(585) -> TOEIC(750)
- 향후 개선방향 : OPIC, 토익 스피킹과 같이 말하기 능력에 대한 공인시험 점수 고려 예정
* 공인영어능력 점수 이외도 사업단장 및 대학원장이 인정하는 영어시험에 응시하여 70점 이상 획득시 동일한 자 격을 취득 가능 함
□ 대학원생 연구활동 졸업기준 강화 ○ 석사과정
- 국내학술발표회 논문발표 2편 이상 (발표자 자격) - 학진등재 학술지 논문 1편 (주저자 또는 교신저자 자격) ○ 박사과정
- SCI급 국제학술지 논문 1편 (주저자 또는 교신저자 자격) - 학진등재 학술지 논문 1편 (주저자 또는 교신저자 자격) - 국내외 학술발표대회 논문 발표 4편 이상 (발표자 자격)
- 학위논문의 영어논문 작성 비율 강화 (7차년도->사업신청대비 30% 증대 목표) □ 연구 윤리의식 배양을 위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설
○ 연구 윤리 및 논문 작성법 교과목 수강 의무화
연구 윤리의식 배양을 위한 교과목을 개편 및 확대 개설하고 이를 학부 내 졸업 자격요건에 추가해 수강을 의무화 하였다. 이와 함께 외국어 논문 작성법 교과목의 커리큘럼을 추가적으로 개설해 대학원생의 국제적 역량을 배양하 고 대학원생 논문의 저명 학술지 게재를 장려하였다.
○ BK21PLUS 사업 참여연구원을 위한 연구 윤리 교육 시행
본 사업단은 사업단 내 참여 대학원생들의 연구 윤리의식 배양을 통한 세계 수준의 인력양성을 위해 본교 대학본부 와의 협의하에 “BK21PLUS 사업 참여 연구원을 위한 연구 윤리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참여 대학원생의 교육 참여 독려하였다. 교육과정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외부기관(한국생산성본부)에 의해 진행되고, 수료자에게는 수료증을 배부하였다.
- 일시 및 내용 : 2015년 6월 2일, 연구윤리교육 (6시간교육, 수료증발급) - 교육대상 : BK21PLUS 사업 참여대학원생 , 신진연구인력, 참여교수 - 교육기관 : 한국생산성본부
- 기타사항 : 수료증 발급
○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연구 윤리의식 배양
모든 참여 대학원생에 대한 연구 윤리 교육 시행을 위해, 오프라인 연구 윤리 교육 미 이수자 및 추가 수요자의 온 라인 교육 프로그램 수강을 의무화하였다. 온라인 교육 또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기관(한국 과학 기술기획평가원 부설 국가 과학기술인력개발원)에서 시행하는 온라인 프로그램 수강을 장려하였다.
- 일시 및 내용 2015.07.01 ~ 2015.07.30. 1개월 중, 4시간 교육
- 교육대상 : BK21PLUS 사업 참여대학원생 중 오프라인교육 미이수자 및 추가수요자 - 교육기관 : 국가과학기술 인력개발원
- 기타사항 : 수료증 발급
□ 사업단 운영을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체계적인 운영실적
본 사업단은 “BK21 플러스 사업 관리 운영 지침 제18조(자체 평가)”에 따라 아래와 같이 자체 평가 위원회를 구 성하고, 사업단 내규, BK21 관리 운영 지침에 따른 운영위원회를 통해 사업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였으며, 자체 평 가 결과와 사업단 개선방안 등을 기록한 자체 평가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운영위원 조직 : 친환경융합건설기술인력양성사업단>
조완근 사업단장 최세휴 부단장 홍원화 운영위원 김영주 운영위원
<운영위원회 개최실적>
개최일 | 안건
2013-10-02 사업단 내규마련, 신진연구인력 임용건 2013-12-13 사업현황 정검 및 전용 업무지원공간 마련건 2014-07-15 사업 전반적인 현황 점검 및 논의
2014-08-27 신진연구인력 및 참여대학원생 인센티브 사정
2014-10-20 BK21플러스 사업성과에 대한 자체평가 및 개선방안 논의 2014-12-16 2015.1학기 교과과정 개편 및 융합 교과목 개설 논의 2015-01-27 BK21플러스 중간평가 관련논의 및 사업현황점검
2015-04-15 2차년도 결산 주요내역 사업운영 관련논의 2015-06-03 BK21플러스 중간평가 및 재선정평가 관련논의
2015-08-05 중간평가/재선정평가 보고서 작성본 검토, 운영현황논의
<자체평가위원 조직>
자체 평가 위원회는 기본적으로 아래의 사업단 참여 교수를 위원으로 위촉하여 조직하나, 자체 평가의 공정성을 기 하기 위하여 사업단장 및 자체 평가 위원이 추천하는 외부 전문가를 자체 평가 위원에 포함 시킬 수 있다.
조완근 사업단장 최세휴 부단장 윤영묵 자체평가위원 이동은 자체평가위원 박현웅 자체평가위원
<년간 사업단 자체 평가 실적>
- 평가 목적 : 자체 평가의 목적은 사업단의 사업목표 및 실적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사업단의 , 운영 및 성과를 평 가 분석하여 그에 대한 조치계획을 수립하고 개선사항을 문서화하여 사업단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함 - 평가 프로세스 : 평가위원위촉 -> 위원회구성 -> 자체평가 -> 평가결과의 환류 및 개선
- 평가 부문 : 자체 평가 형식은 사업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 및 평가 형식에 준하여 실시
- 자체 평가 실적 : 2013-2014년도 자체 평가 (13.09.01~14.08.31) 기간의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자체 평가 수행함 - 평가 위원 : 사업단장 조완근 부단장 최세휴 참여교수 김영주 박현웅 윤영묵 이동은 홍원화 경상북도 보건환경연 구원 김모근 (외부전문가 참여로 공정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함)
□ 사업단 내규 신설 및 대학원 내규와의 연계
본 사업단은 사업 신청 당시 제시한 교육목표 및 비전 달성을 위해 건축공학, 토목공학, 환경공학, 에너지공학으 로 분리된 체제의 대학원을 융합한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 공학부를 신설하고, 커리큘럼 개선, 신규 교과목 편성, 각종 지원을 통한 교육역량 강화 활동을 수행하였다.
특히 본 사업단 “친환경융합건설인력양성사업단”은, BK21PLUS 사업단장이 대학원 학부장을 겸임하여, 참여 대학 원생들의 행정업무를 지원하고, 사업단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아래는 사업의 운영과 효율 적인 지원관리를 위해 제정된 사업단 내규로, 대학원 내규와 연계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교육역량 강화를 달성하였 다.
<아 래 : BK21PLUS 친환경융합건설인력양성사업단 내규>
**************************************************************************************************************
경북대학교 BK21플러스 친환경융합건설기술인력양성사업단 운영지침
2013. 10. 2 제정 2015. 1. 27 일부개정
제1조 (목적) 본 내규는 ‘친환경융합건설기술인력양성’사업단(이하 사업단)의 운영 및 활동의 효율적인 지원과 관리 를 위해 필요한 사항과 체계를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적용기간) 본 내규의 적용기간은 본 사업단이 참여하는 BK21플러스 사업기간이 종료할 때 까지로 한다.
제3조 (용어의 정의) 본 내규에서 사용하는 정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사업”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고급 연구 인력의 양성과 지원을 위해 우수대학원 육성을 하는 제 2단계 두뇌한국 지원 사업인 BK21 플러스 사업 내에서 본 사업단이 수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2. “사업단장”은 본 사업단의 운영을 총괄하는 장을 말한다.
3. “참여교수”는 본 사업에 참여하는 교수를 말한다.
4. “참여대학원생”은 참여교수의 지도 대학원생 중 본 사업팀에 참여하는 전일제 등록 대학원생을 말한다.
5. “신진연구인력”은 본 사업에 참여하는 박사급 연구인력을 말한다.
제4조 (사업단의 구성원) 사업단의 구성원은 BK21사업 기준에 요하는 사업단장, 참여교수, 참여대학원생, 신진연구 인력으로 구성된다.
제5조 (사업단장) 사업단장의 자격과 임기는 다음과 같다.
1. 사업단장은 참여교수 중 연구경력과 경영능력이 탁월하며 사업단의 능률적인 관리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능 력을 지닌 자로 한다.
2. 사업단장은 사업 신청서 상의 사업단장과 동일해야 한다.
3. 사업단장의 임기는 사업의 안정성을 위해 본 사업의 종료시까지를 원칙으로 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교체할 수 없다.
4. 기존 사업단장의 휴직, 퇴직 등으로 사업단의 경영 및 관리가 불가능한 시점이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운영위원회 의 결을 통해 교체할 수 있다.
제6조 (사업단장의 권한) 사업단장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권한을 가진다.
1. 사업단장은 운영위원회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가진다.
2. 사업단장은 예산운영 및 조정의 권한을 가진다.
3. 사업단장은 엄정한 기준에 따른 참여교수의 교체와 인센티브 및 성과급 조정 등의 권한을 가진다.
4. 사업단장은 운영위원회의 의결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최종 결정권을 갖는다.
5. 사업단장은 운영위원회의 의결이 필요 없는 제반 사항에 대한 결정권을 갖는다 제7조 (사업단장의 책임) 사업단장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책임을 가진다.
1. 사업단장은 사업이 종료될 때까지 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수행할 책임을 가진다.
2. 사업단장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사업단의 사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
3. 사업단장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사업단 내규를 어겨서는 안 된다.
4. 사업단장은 사업 예산을 사적이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5. 사업단장은 연구 인력들의 양성에 필요한 지원 체계를 마련할 책임을 가진다.
제8조 (참여교수의 자격 및 변경)
1. 참여교수는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소속으로 최근 3년 동안 SCI급 논문 3편이상 게재한 실적이 있으면서 연구능력이 우수한 전임교원으로 한정한다. 단, 사업단 운영 또는 실적에 기여도가 큰 전임교원은 대상이 된다.
2. 휴직 중이거나 연구 참여 제한 조치 기간 내에 있는 교수는 참여교수 대상에서 제외한다.
3. 사업기간 중 휴직, 퇴직 등의 이유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사업팀 참여 교수를 교체한다.
제9조 (참여교수의 의무) 참여교수는 연구 실적에 있어 목표치를 유지해야 한다.
제10조 (참여교수에 대한 지원) 참여교수의 연구실적에 따라 성과급 및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한다.
제11조 (참여대학원생의 자격과 선발)
1. 참여대학원생은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에 재학중인 자로 한정한다.
2. 참여대학원생은 참여교수의 지도학생 중 석사 2년, 박사2년, 석박사 통합과정 6년이 경과하지 않은 전일제 대학원 생을 대상으로 한다.
3. 참여대학원생의 선발은 운영위원회에서 우수 성적과 실적을 가진 대학원생 중 면접과 엄정한 평가를 거친 후에 의 결을 통해 이뤄진다.
4. 신입생의 경우 석사과정은 학부 성적, 박사과정은 석사과정 성적을 반영한다.
제12조 (참여대학원생의 의무)
1. 참여대학원생은 사업 참여 기간 동안 사업에서 요구하는 연구 실적 및 경제 활동 정보, 취업 및 진로 현황 등을 제 공해야 한다.
2. 참여대학원생은 매주 40시간 이상의 과제 관련 연구 및 수업에 전념하여야 한다.
3. 참여대학원생은 사업단에서 요구하는 일정 기준 이상의 실적을 충족해야 한다.
가) 석사과정 : 사업 참여 기간 동안 1편 이상의 논문발표(한국연구재단 등록학회가 주관하는 학술대회) 및 논문게재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
나) 박사과정 : 1년 내에 1편 이상의 논문발표(한국연구재단 등록학회가 주고나하는 학술대회) 및 논문게재(한국연구 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
4. 참여대학원생의 연구 참여나 실적이 미달할 경우에 사업 참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5. 참여대학원생의 졸업은 국가 공인 영어시험 (TOEIC)의 점수가 석사과정 700점, 박사과정 750점 이상이어야 가능하 며 기타 공인 영어시험의 경우 이에 준하는 성적을 달성하여야 가능하다. 단 6학기 이상 점수 미달성시 사업단장 이 지정한 사업단내 자체 영어 시험을 통과하여야 졸업이 가능하다. (이는 2014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제13조 (참여대학원생에 대한 지원)
1. 참여대학원생의 지원금은 석사과정생 월 60만원, 박사과정생 월 100만원 이상으로 하며 실적 및 참여도에 따라 인 센티브를 지급한다.
2. 연구 및 학사보조업무 등의 의무에 있어 태만함과 낮은 참여도, 기여도를 보일 경우 지원을 중지한다.
가) 학사보조업무란 강의, 실험, TA 및 기타 학부와 사업단에서 규정하는 제반 학사업무를 말한다.
3. 연구실에서 지정한 외부장학금은 RA 장학금으로 간주하며, 지정 외부 장학금이 연구실에 편성된 장학금 상한을 초 과할 경우 지원금을 양보해야 한다.
4. 인센티브의 지급은 년 2회(1학기 1회, 2학기 1회) 지급하되, 인센티브 기준표에 명시된 점수에 따라 차등 지급하 며, 지급금액은 각 년도별 예산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한다.
제14조 (신진연구인력의 임용 및 지원)
1. 사업단 성과 극대화를 위해 공개적 절차를 거쳐 박사후과정생 및 연구교수를 신진연구인력으로 임용할 수 있다.
2. 신진연구인력의 임용은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진행한다.
3. 신진연구인력의 계약기간은 한국연구재단의 규정을 준수한다.
4. 신진연구인력의 지원은 사업단의 예산에서 월 250만 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
제15조 (운영위원회)
1. 사업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사업 참여교수 전원을 포함한 운영위원회를 조직한다.
2. 운영위원장은 사업단장이 겸임한다.
3. 운영위원은 소속학과의 추천을 받아 사업단장이 선정한다.
4. 운영위원의 임기는 2년(연임가능)으로 한다.
5. 운영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의결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결정을 내릴 때 소집한다.
가) 참여 대학원생의 선발 및 교체 나) 신진연구인력의 임용
다) 사업예산의 편성 및 변경 라) 사업단장의 교체
마) 참여교수 및 참여대학원생의 인센티브 지급 라) 사업의 기획 및 운영에 관한 사항
바) 운영지침 변경 사) 해외연수생 선발
아) 참여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인력 지원에 관한 사항 자) 기타 사업 운영 관련
6. 운영위원회의 의결은 과반수의 참석 및 과반수의 동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6조 (자체평가위원회)
1. 사업단은 사업 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한 자체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자체평가 위원회를 구성한다.
2. 자체평가위원장은 사업단장이 겸임한다.
3. 자체평가위원은 소속학과의 추천을 받아 사업단장이 선정한다.
4. 자체평가위원의 임기는 2년(연임가능)으로 한다.
5. 자체평가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운영된다.
가) 년 1회 이상 자체평가를 실시한다.
나) 자체평가 기준은 제 18조~ 제 19조의 평가기준을 따른다.
다) 평가 기준의 변경이 있을시 자체평가위원회의 의결에 따른다.
라) 자체평가위원회의 의결은 과반수의 참석 및 과반수의 동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7조 (연구 업적 평가) 사업단 참여교수 및 참여대학원생들은 연구실 현황 파일 관리 규정에 따라 각 참여교수와 참 여대학원생들의 연구업적, 교육활동, 국내외 학술대회 참여 등의 제반 사항에 대해 제출된 자료를 근거해 업적 평가를 실시한다.
제18조 (참여교수 평가) 참여교수의 연구 업적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1. 연구업적은 제출된 각 연구업적물에 대하여 BK21플러스 평가 기준으로 평가한다.
가) 연구비 수주 실적 (최대 15 점)
참여교수 연구비 수주실적 중 산학협력단으로 입금된 실적 (개인지분 기준)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실적은 2배의 가중치 나) 논문실적 (70 점)
논문 환산 편수와 환산 보정 IF를 계산하여 해당 실적으로 평가 (1) 논문환산편수 (30)
(2) 주저자 1인의 논문 환산 편수 = min(1/(m+0.5), 0.5) (단, n=0일 때는 1/m) - m: 주저자(제1저자+교신저자) 수
- n: 기타저자(주저자를 제외한 저자) 수 - T: 총 저자 수 (= m + n)
(3) 기타 저자 1인의 논문 환산 편수 (n>0) = {1-m*min(1/(m+0.5),0.5)}/n (4) 환산보정 IF (25)
: 환산보정 IF는 해당저널의 보정 IF값에 환산편수를 곱한 수치보정 IF는 각 저널의 IF를 JCR category 별 상위 20%
저널의 IF 평균수치로 나눈 값이며, 해당 저널이 여러개 category에 속해 있을 때 보정 IF 중 최대값 선택 (5)우수논문 (15)
: IF>10 이상 논문 또는 분야별 5% 이내 논문 다) 산학협력 (15 점)
(1)특허실적 (3점)
참여교수가 발명자로서 기관 명의로 등록한 특허를 대상으로 특허 등록 환산건수로 평가 - 특허등록 환산 건수 산출 방식
: 특허등록 환산건수=P/T
(T:총 발명인 수, 국내특허등록:P=1, 국제특허등록:P=2)
국제특허의 경우 동일한 특허로 1개국을 초과하여 등록한 경우 초과국 1개국 당 0.2건을 “가중치”에가산하되, 동일특허로는 최대 3개국까지만 가산 인정
- 예: 5개국에 개별국가별로 등록한 경우,
가중치 = 2.6건(국제특허 가중치 2건+(3개국 × 0.2건) = 2.6건) (2)기술이전 실적 (2점)
참여교수의 기술이전에 따른 기술료 수입이 산학협력단으로 입금된 실적 (3)인적/물적 교류 (10점)
산업체와의 교류 및 과학대중화 등 사회기여도 2. 교육실적 (100 점)
석박사 학생 지도, 강의시수, 외국어 강의, 강의평가, 석박사과정 지도학생의 외국어 학위논문작성비율에 대하여 평가 한다. 평가 기간 중의 졸업학생 수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석사 및 박사 졸업은 차등 평가한다. 학부과목의 경우도 평 가에는 그대로 인정한다.
학생지도: 학생 1인당 10점, 박사 20점, 최대 50 점까지 반영 함.
외국어 강의 학점당 10점.
강의평가: 5.0 만점 기준으로 강의평가점수 그대로 반영함.
석박사과정 지도학생의 외국어 학위논문작성비율: 100% 기준 10점.
3. 봉사활동 (50 점)
BK21 플러스 관련 교내외 회의, BK21플러스 보고서 작성, 교수회의 참석, 각종 학과 행사, 대학원 입시, 홍보 등의 학과 및 교내외 업무의 참여도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100% 참석: 50 80% 이상 참석: 40 60% 이상 참석: 30 60% 이하: 지원금액 조정 4. 학술저서 (최대 10 점)
외국어로 저술된 단행본 10 점/저자수 외국어로 저술된 Book Chapter 3점/저자수 한글로 발간된 단행본 5 점/저자수
5. 초청강연 (최대 10 점)
해외학술회의 초청강연 1건당 3 점 국내학술회의 초청강연 1건당 2 점 해외기관 초청강연 1건당 2점 국내기관 초청강연 1건당 1점 6. 학술대회발표 (최대 10 점)
해외학술회의 논문발표 1건당 구두발표 2 점 Poster 1 점
국내학술회의 논문발표 1건당 구두발표 1점 Poster 0.5 점
7. 지도학생 취업 (최대 10 점) -지도학생수:2점/석사졸업학생
-취업학생/당해년도 학위취득학생: 100% (3점) -박사의 경우 2배 인정
제19조 (참여대학원생 평가) 참여대학원생에 대한 평가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실시한다.
1. SCI(E)급 논문실적 건수 가) 상위 10% SCI저널
- 주저자 30점, 기타저자 20점 나) SCI 저널
- 주저자 25점, 기타저자 15점 다) SCIE 저널
- 주저자 20점, 기타저자 10점 * 주저자(제1저자+교신저자) 수 * 기타저자(주저자를 제외한 저자) 수 2. 학술대회 발표실적 건수
가) 국제 학회 발표
- 주저자 15점, 기타저자 5점 나) 국내 학회 발표
- 주저자 1점, 기타저자 0.5점
- 단, BK21플러스사업 국제학술대회 인정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국제학회는 국내학회 로 인정
3.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및 SCOPUS 학술지 게재 논문 건수 - 주저자 4점, 기타저자 1점
4. 특허등록 실적
- 국내특허 1건 5점, 2건 이상 10점 - 국제특허 1건 10점, 2건 이상 20점 5. 외국어 성적
- 석사과정 : 정기토익 700점 이상에 해당하는 성적 (5점) - 박사과정 : 정기토익 750점 이상에 해당하는 성적 (5점) 6. BK21플러스사업 참여실적(기여도)
- 정성적 평가(최대 27점)
제20조 (사업비 교부) 사업비는 사업단이 소속된 대학의 산학협력단 계좌로 교부한다.
제21조 (사업비 계정관리) 사업비는 반드시 중앙관리를 해야 하며 사업단별로 별도 계정을 설정하여 계리하되, 사업비 의 비목별 수입 및 지출 내역이 구분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제22조 (사업비 부당사용에 대한 조사 및 처리)
1. 사업비 집행에 관한 민원발생시 일차적으로 해당 대학에서 자체 점검을 실시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전문기관의 장 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 전문기관의 장은 해당 대학의 자체 점검 결과에 따라 필요할 경우 별도의 조사팀을 구성하여 추가 조사를 할 수 있 다.
3. 전문기관의 장은 조사결과에 따라 사업비 부당사용에 대하여 관련자 사업 참여 배제, 형사 고발, 행·재정 조치 등 을 취하거나, 해당 대학에 이에 대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제23조 (사업비 지출항목)
1. 사업비는 사업 유형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지출계획을 수립하고 결산하여야 한다.
가)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나) 인건비(신진연구인력 또는 산학협력 전담인력) 다) 국제화경비
라) 사업단운영비 마) 교육과정개발비 바) 실험실습지원비 사) 간접비
2. 사업단의 장은 제1항의 간접비 항목을 제외하고 사업계획에 따라 별표3「BK21 플러스 사업비 항목별 예산 편성 기 준」에 의해 예산을 편성한다.
3. 사업단(팀)의 사업비 항목별 편성 비율은 사업수행 과정에서 별표3「BK21플러스사업비 항목별 예산 편성 기준」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4. 사업비는 참여교수, 참여대학원생, 신진연구인력 또는 산학협력 전담인력이 사용할 수 있다.
제24조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1. 사업비는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원생 연구장학금으로 지출할 수 있다. 다만 지급 형태에 있어서 대학 및 사업단이 학기별, 월별, 분기별 지급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2.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단가는 석사 월 60만원, 박사 월 100만원을 최저 기준액으로 하며, 사업단 내 자체 규정을 통 해 기준 단가 이상으로 지급할 수 있다.
3. 대학원생 연구장학금은 개인별 계좌 입금, 장학증서 교부 및 학비 보조금 형태로 지원되어야 한다.
4. 대학원생 연구장학금은 BK21 플러스 사업 참여 대학원생 개인에게 지급되는 연구장학금이므로 각 개인의 통장이나 도장을 일괄 관리하거나 대학원생들로부터 일정 금액을 회수하는 등의 행위는 엄격히 제한된다. 사업단이 이를 위 반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전문기관의 장은 해당 사업단과의 협약을 해지할 수 있다.
제25조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1. 사업비는 박사후과정생과 계약교수에 대하여 정기적인 보수로 지출할 수 있다.
2. 신진연구인력 인건비는 월 250만원 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
3. 신진연구인력 채용계약시 급여, 법정 보험, 인센티브, 근무조건, 의무, 계약해지 조건 등을 명시하여야 한다.
4. 신진연구인력의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로를 한 경우 실제 퇴직할 때 지급하여야 하고 계약서에 퇴직금 중간 정산, 퇴직금 지급 등에 대하여 명확하게 명시하여야 한다.
제26조 (교육과정 개발 및 실험실습 지원비)
1. 고급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육과정 개발 및 실험실습에 소요되는 각종 경비를 지출할 수 있다.
2. 기자재 및 장비는 구매할 수 없다.
제27조 (국제화경비)
1. 사업비는 대학원생, 신진연구인력 또는 산학협력 전담인력의 국제학회 논문 발표 및 참가, 국제 전시회 출품(디자 인·영상분야에 한함), 장ㆍ단기 해외연수, 해외학자 초빙 경비, 국제(학술)대회 개최 경비, 국제 공동 워크숍, 산 학협력 우수 기관 방문 등으로 지출할 수 있다.
2. 사업비를 지원할 수 있는 국제학술회의는 사업단의 장이 대학원생 교육목적상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가) 과학기술분야: 4개국 이상이 참여하며 총 구두발표 논문이 20건 이상, 구두발표 논문 발표자 중 외국기관 소속 외 국인이 50% 이상(다만, 국내 개최 시에는 3분의 1 이상)
나) 인문사회분야: 4개국 이상이 참여하며 총 구두발표 논문이 10건 이상, 구두발표 논문 발표자 중 외국기관 소속 외 국인이 50% 이상(다만, 국내 개최 시에는 3분의 1 이상)
3. 사업 예산운영계획서에 명기된 벤치마킹대학과의 워크숍은 년 1회에 한하여 경비 집행을 허용한다.
4. 제1, 2항의 규정에 의한 국제학술회의 참가 시 지원대상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가) 대학원생의 경우 발표별 논문 저자 중 3인 이내 또는 지정토론자(단, 권위있는 국제 전시회 출품은 국제학회 참가 와 동일한 기준 적용)
나) 교수의 경우 제1호 학생과 동행하는 지도교수(학생이 발표논문의 저자로서 참여하는 경우 지원 가능) 다) 신진연구인력 및 산학협력 전담인력
라) 단순참가의 경우에는 참여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인력(산학협력전담인력 포함) 총 3인 이내 가능
5. 해외 기관으로의 단기연수는 해외 기관에서 실시되는 교육과정 참여, 현지 연구 수행을 위한 경비로 집행 가능하 다.
6. 국제학술회의 발표 및 장ㆍ단기 해외연수를 위한 학생 선발 등 운영에 관해서는 사업단 자체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7. 30일 초과의 해외연수생에 대해서는 해당 연수기간 동안 국제화경비를 통한 지원비 외 대학원생지원비를 지급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