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합성거동
2. 합성거더의 종류 3. 바닥판 유효폭 4. 환산단면
5. 구조용 강재
5. 강합성교 설계
6. 활하중 절대최대모멘트 7. 휨강도
8. 전단강도
9. 전단연결재 설계
1. 합성거동
강합성거더:
철근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 거더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거더의 플랜지와 바닥판을 전달연결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만든 거더
비합성거더에 비하여 강성이 커지고, 거더중량이 일반적으로 20~30% 감소한다.
2. 합성거더의 종류
활하중 합성형(반합성형, Unshored Construction) :
강형을 양지점에서만 지지한 상태로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
1차 고정하중 : 강재, 바닥판, 거푸집 중량 :강형만으로 지지
2차 고정하중과 활하중 : 포장, 난간, 방호벽, 조명주, 통신구 등 : 합성단면으로 지지
사활하중 합성형(전합성형, Shored Construction) :
바닥판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충분한 강도에 도달할 때 까지 거더를 지보공으로 지지 모든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합성단면으로 지지하므로 사용 강재량을 감소시킬 수 있지 만 가설 시 지보공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경제적이라 할 수 없다
3. 바닥판 유효폭
내측거더의 플랜지 유효폭은 다음의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으로 한다.
• 등가지간장의 1/4
• 슬래브 평균두께의 12배
+ Max(복부 두께, 거더 상부플랜지폭의 1/2 )
• 인접한 보 사이의 평균 간격 외측거더의 플랜지 유효폭은 인접한 내측거더
유효폭의 절반과 다음 값 중의 최소값의 합으로 한다.
• 등가지간장의 1/8
• 슬래브 평균두께의 6배 +Max(복부 두께의 절반, 거더 상부플랜지폭의 1/4 )
• 내민 부분(overhang)의 폭
여기서, 등가지간장은 단순지지된 지간에서은 실제지간장을 사용하고, 연속지지의 경우에는 고정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모멘트 구간의 거리 혹은 부모멘트 구간의 거리 중에서 고려하고 있는 단면이 속한 구간의 거리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