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 및 선발에 관한 델파이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 및 선발에 관한 델파이 연구*"

Copied!
18
0
0

Teks penuh

(1)

* 본 논문은 2013학년도 호남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한 논문임.

** 호남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 및 선발에 관한 델파이 연구*

A Three-round Delphi Study on Cabin Attendant Recruitment and Selection

이동희**

Lee, Dong-H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sideration of a cabin attendant candidate in the job interview. Using the delphi technique, this study was to find aspects for consideration in selection of cabin attendant candidates. An in-depth interview and two rounds of delphi technique were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a series of surveys to obtain the consensus of a group of experts for cabin managers and training instructors.

In the first rou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4 experts who were qualified to respond to define the cabin attendant`s role and consider selection of cabin attendants.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 the result, there were 13 considerations and 21 variables in the cabin attendant job interview.

: ‘Characteristics’, ‘Sense & Judgment’, ‘Affinity & Coordination’, ‘Facial image’, ‘Physical outfit,’ ‘Appearance’,

‘Walking & Posture’, ‘Attitude’, ‘’Verbal Communication, ‘Foreign language’, ‘Specialized knowledge’, ‘Service mind’, and ‘Stamina’ were extracted by in-depth interview.

In the second and third round, the same procedures were repeated to obtain the consensus of 31experts in the importance of considerations. As a result of the Kendall’s W performed for the internal reliability test of the Delphi research., ‘Characteristics’, ‘First impression’ ‘Affinity & Coordination’, Verbal Communication, and ‘Service mind’

a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develop the curriculum related educational fields like department of airline service in universities, and stewardess academy.

Key Words : Considerations of selection, Job interview, In-depth interview, Delphi technique, Recruitment, Cabin attendant candidate, Cabin attendant`s role, Kendall’s W

(2)

Ⅰ. 서 론

최근 아시아태평양 항공시장의 동향을 살펴보면, 저비용 항공사의 성장으로 인한 항공 승객의 증가 와 국제선 취항 노선 확대, 항공 자유화로 인한 중 국인 항공승객의 증가 등으로 인해 객실승무원 채 용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 내항공시장의 객실승무원 채용현황을 살펴보면, 저 비용항공사의 성장으로 인해 2007년은 사상 최대

규모인1,300여명의 객실승무원을 선발하였고, 이후

채용규모가 유지되어오다가 2013년에는 1,167명을 채용하였고, 2014년은7개의 국적항공사가 총1,210 명의 객실승무원을 채용할 계획이다(항공포탈사이

트2014). 항공사 승무원 채용 규모는 기존 승무원

의 퇴직이나 항공기 신규 도입, 노선 취항 계획 등 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채용규모 증가 에 힘입어 해마다 객실승무원을 지원하는 수도 크 게 증가하여 평균300-400대1의 엄청난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아시아경제뉴스 www.asia.co.kr, 2014).

미국의 경영자들은 'Hire hard, manage easy'라고 채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채용 단계에서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면 입사 후 직원교 육이나 관리부분에서 불필요한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Bienstock, Caro & Smith, 2003).

대부분의 국내 기업들은 인적자원관리에서 채용과 정보다는 이미 채용된 기존 인력에 대한 평가, 육 성, 보상 등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여 왔으나, 채용 및 선발에 대한 부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 았다(한국경영자총협회, 2013). 서비스직원은 가장 일선에서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하며 타 기업과 차 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이미지를 형성한다. 서비스 직원의 수준은 기업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 하므로, 기업을 대표하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직원 의 선발과 채용은 매우 중요하다(Bacon & Pugh, 2004; Bienstock, Caro & Smith, 2003).

항공사의 경우 급변하는 세계항공운송시장에서 타 항공사와의 차별화된 전략과 성공을 위해 다각 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경영 성과뿐만 아니 라 항공서비스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 적자원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이영희 박혜윤,

2005; 윤성주․양정미․최종률, 2013; 정명희 박정

민 하동현, 2014). 그중에서도 항공사를 대표하여 고객과 대면하며 기내서비스를 수행하며 항공서비 스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객실승무원의 역량 개발에 관심을 두고 객실승무원 선발 및 교육 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들이고 있다(이동희, 2007).

항공사 객실승무직은 세련된 국제매너와 서비스 전문지식을 갖춘 항공운송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 직으로 크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타 직종에 비해 높은 연봉과 다양한 복리후생제도로 인해 지원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항공사 채용 규모의 확대와 객실승무직에 대한 관심과 지원자 수의 증가에 힘입어 국내에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 과 승무원 아카데미 등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으며, 항공서비스전공 개설 대학만도 전국에 70 여개 이상으로 향후에도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처럼 항공사 채용 및 선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있지만 관련 분야의 연구나 논문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지금까지 항공 분야의 선행 연구들 을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서비스 지향성, 심리적 소진, 조직문화, 교육훈련 프로그램, 객실승무원의 이미지, 유니폼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왔다(윤성주․양 정미․최종률, 2013; 양유경․이정현․이동한, 2013;

정명희 박정민 하동현, 2014).

이상에서 살펴본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항공사의 객실승무원 채용과정과 객실승무원 선발 시 채용 면접관이 지원자의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는지, 객실승무원으로서 어떠한 자질을 갖추 어야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객실승무원 선발에 대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 기 위하여 먼저 항공사 채용에 대한 뉴스 및 자료를

(3)

검토하였고, 항공사 승무원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 찰하였다. 그리고 객실승무원 선발에서 항공사들이 고려하고 있는 중점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항공사 면접관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 를 시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각 전문가 들이 생각하는 선발시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를 객관화하고자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 하였다.

요즘과 같은 치열한 취업환경에서 항공서비스전 공 대학이나 아카데미에서 항공사에서 객실승무원 을 선발할 때 고려하는 사항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인재육성을 한다면 도움 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객실승무원을 지원하 고자 하는 지원자들도 항공사 면접관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용들을 참조하여 대학에서 미리 준비를 한다면 항공사 취업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항공사 객실승무원 선발의 중요성

인적자원관리에서 선발은 기업과 개인을 결합하 는 첫 번째 과정으로 기업은 유능한 인재를 선택하 는 목적뿐 아니라 선발과정이 조직 이미지에 미치 는 영향도 고려되어야 한다. 21세기 성공한 기업들 은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채용 및 선발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다양한 채용과정과 면접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채용 및 선발에 관 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개인이 어떻게 조직을 선택 하는가보다는 조직이 개인을 어떻게 선택하는가에 대한 관점 하에서 이루어져 왔다(Spence & Petrick, 2000).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은 일반 기업의 채용과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항공사의 경우 인적자원 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 하는 접점에 있는 항공승무원의 역할은 항공사의

경영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Berry &

Bendapudi, 2003). 또한 객실승무원은 승객들의 가장

근거리에서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 들의 이미지가 곧 항공사의 이미지로 직결되므로 항공사들은 객실승무원 선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미숙, 2003; 민정원․신충섭․김섭, 2011). 항공

사는 다양한 선발 도구 중 면접에 중점을 두고 있는 데, 면접은 다른 선발도구(서류전형, 인 적성 검사,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등)와는 달리 쌍방향 의사소 통이 가능하며, 서류전형이나 필기시험 등에서 판 단 할 수 없는 지원자들의 특성들을 잘 파악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Dressler, 1998).

객실승무원 채용은 항공사 이미지에 중요한 영향 을 미치며 고객 접점에서 항공서비스 수준을 결정 짓고 고객들의 항공사 선택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 소이므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으로서 적합한 인재들 이 취업결정을 하도록 해야 한다(박혜영, 2011; 정 명희 박정민 하동현, 2014). 항공사들은 객실승무원 을 채용하여 추구하는 서비스 모토 및 지향하는 서 비스 품질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장기간에 걸쳐 신 입기본교육을 실시하고, 이후에도 항공기 안전교육, 클래스별 서비스교육, 기내방송교육 등 다양한 보 수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인적자원 개발에 힘 쓰고 있다(이정민․이종호, 2009; 이용덕, 2009).

2.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 현황

1) 채용 절차

항공사 객실승무원 채용과정은 다른 직무 채용과 정 보다 복잡한 단계를 거친다. 직무적합성 및 조직 적합성을 높여 성과를 내기위하여 객실승무직에 맞 는 성향을 지닌 사람을 선발하기 위하여 항공사들은 기본 소양에 관한 인터뷰, 직무관련 적성 등 여러 단계의 면접절차를 거쳐 지원자의 특성을 파악해내 고 있다. 또한 면접과 더불어 장거리 노선이나 야간 비행 등을 무리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체력을 갖추었 는지 체력테스트를 하고, 비상 착수시 승객 구조에 필요한 수영이 가능한지, 외국인 승객과의 원활한

(4)

의사소통이 가능한지에 대한 영어인터뷰, 인․적성 검사 등 다양한 채용 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채용절차는 온라인으로 지원 서류를 접수하고 1 차 서류심사가 이루어지고, 서류 합격자에 한해2차 로 실무면접이 이루어진다. 3차 임원면접에서는 면 접과 더불어 수영 및 체력 테스트 등과 신체검사가 이루어지고 항공사에 따라서는 추가로 4차 사장단 면접 등으로 이루어지며, 평균2개월 이상의 채용과 정이 소요된다.

국내항공사 실무면접은 일반적으로 지원자 8명 이 한 조로 구성되어10-15분 정도 면접이 이루어지 며, 면접관들은 실무면접에서 항공서비스에 적합한 성격과 이미지를 갖추었는가에 중점을 두고 선발한 다. 실무면접 통과하면 임원면접이 이루어지는 데

이때는5-6명이 한조로15-20분정도 지원자의 인성,

가치관, 서비스마인드 등에 중점을 둔 면접관들의 질문으로 이루어진다. 임원면접과 더불어 방송문 읽기 테스트나 영어인터뷰를 시행하는데 항공사에

따라서는TOEIC Speaking Level 6 이상인 지원자는

인터뷰를 면제해주기도 한다.

항공사들은 공개 채용이외에도 최근에는 교육기 간과 교육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항공서비스전공 자나 중국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인턴승무원을 선발 하기도 한다. 인턴승무원 선발은 8-10명씩 한조로

10-15분정도 면접이루어지고 한편으로는 키 측정,

기내방송 테스트와 중국어 능력 테스트 등이 이루 어진다. 국내 저비용항공사는 중국인 승객의 비중 이 점차 높아지는 상황을 반영하여 중국어 가능자

나HSK 4급 이상 성적소지자를 우대하여 채용하고

있다.

또한 한국취항 외국항공사들도 한국인 승무원 지 원자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채용을 확대해가고 있다. 외국항공사 승무원 채용은 대학캠퍼스나 산업인력 공단과 연계하여 오픈 채용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서류 접수하고 그룹별 토의과제를 주고 모니터링을 통하여 영어소통능력과 지원자의 적합성 등을 파악 하여2차 인터뷰대상자를 선정하여 발표한다. 외항

사에 따라서는 한국의 채용대행기관과 공조하여 1 차 면접을 수행하기도 한다.

2) 채용정보 및 지원 요건

채용 공지는 항공사 홈페이지나 채용안내 사이트

에서2주일 정도 공지하고 온라인으로 지원서를 접

수하도록 한다. 채용 공지를 보면 객실승무원으로 서 지원 자격을 알 수 있다. 국내 항공사 지원 자격 은 학력은2년제 전문학사 또는4년제 학사 학위 소 지자(졸업 예정자)로 전공 제한은 없다. 신체조건으 로 신장162㎝이상(여승무원 지원자), 교정시력 1.0 이상자, 공인 토익성적(토익 550점 이상자) 제출해 야 하며,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 능통자인 경우 우대하며,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한다.

해외항공사들도 한국인 승무원의 수준이나 서비 스마인드 등에 호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 인 승무원 채용인원이 증가하고 있다. 해외항공사 의 경우는 항공사마다 지원 자격 기준은 다소 상이 하나 전반적 사항을 보면, 학력은 고교졸업이상 또 는 전문학사이상자로 개별영어인터뷰나 그룹토의 를 통하여 영어소통능력을 확인하고 있다. 외국항 공사는 호감주는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국내 항공사보다 성격이나 영어에 중점을 두고 선발하고 있다.

최근 중국 항공사들도 항공여행 수요의 증가로 인해 승무원 선발 인원이 급증하고 있는데 그 영향 으로 인해 한국인 객실승무원 채용인원도 증가하고 있다. 중국 항공사 응시자격으로는 학력은2년제 또

는 4년제 정규대학 졸업자(졸업예정자), 신장

163cm-175cm 이내, 학업성적이 우수하고 해외여행

에 결격사유가 없으며, 어학부분에서TOEIC 600점

이상, 중국어HSK 4급이상의 소지자로 자격요건을

제시하고 있다.

3) 채용규모

항공사 승무원 채용은 해마다 달라지며, 객실승 무원으로서 업무수행에 필요한 전문적인 능력을 갖

(5)

추는데 평균 3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항공사들은 채용 시 우선 필요한 인력의 수도 고려 하지만 평균 퇴직자 수, 항공시장의 성장 및 향후 수요 등을 예측하여 채용 규모와 채용 시기를 결정 한다.

각 항공사별 채용 현황을 살펴보면 대한항공은

2012년480명, 2013년410명의 신입 승무원을 선발

하였고, 2014년은 총500여명의 승무원을 선발한다.

대한항공은2014년은 항공업계 최초로 시간 선택제 승무원을100명 정도 선발할 계획인데, 시간 선택제 채용은 승무원 경력1년 이상의 경력자를 채용하며

월 평균60시간정도 국내선 및 단거리 국제선에 투

입되어 비행근무를 하게 된다. 아시아나항공은 2012년510명, 2013년470명의 승무원을 채용했으

나, 2014년은370명을 선발한다. 제주항공은2013년

52명의 신입 승무원을 선발하였고, 2014년은 신규 항공기4대를 도입하며7개 국적항공사 중 유일하 게 채용 규모를 확장하여120여명을 선발할 계획이 다. 이외에도 진 에어(70여명), 에어부산(40여명), 이 스타항공(50여명), 티웨이항공(60여명) 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서 신입 승무원을 뽑을 예정이다(아 시아경제뉴스www.asia.co.kr, 2014).

3. 항공사 객실승무원 특성에 관한 연구

객실승무원 채용에서 지원자의 다양한 부분에 대 한 개인적 자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심도 있고 체계 적인 선발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나 항공사 객 실승무원 선발에 관한 논문은 거의 찾아볼 수 없어 본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항공사 객실승무원 관련 논문을 고찰하여, 서비스직에서 고려하는 사항이나 특성들을 도출하였다.

이동희(2006)의 연구에서는 객실승무원은 고객접 점에서 항공사 이미지를 결정짓고, 고객 만족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항공사는 우수한 자질과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여 교육 훈련을 통해 고 객에게 보다 높은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

해야한다고 하였으며, 권현택(2003)은 항공사 객실 승무원이 기본적으로 지녀야 할 역량으로 고객응대 의 마음가짐, 고객응대 매너, 고객응대시 대화, 조 직 적응성, 적당한 경쟁심 및 적극성, 정서적 안정, 업무상식, 긍정적 사고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동희

(2007)는 객실승무원 직무역량에 관한 연구에서 객

실승무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중요 역량으로 긍정적 사고, 적극적인 성격, 고객지향성, 책임감, 자기관리 능력, 친화력, 순발력, 전문적 지식과 스킬 등을 제 시하였다.

이현정․류성민(2013)은 객실승무원은 다양한 고 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방면에 걸친 풍 부한 상식과 교양을 갖추어야하고, 높은 수준의 서 비스 전문지식, 정확한 업무 지식, 감성을 갖추어야 하며, 승무원 개인의 성격이나 특징을 버리고 항공 사가 추구하는 이미지나 서비스 컨셉을 가지도록 교육 훈련을 받는다고 하였으며, 박혜영․허선주

(2012)는 항공사는 객실승무원 직종에 맞는 사람을

선발하고자 노력하며, 항공사 이미지나 기준에 부 합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한다고 하였다. 선행연 구에서 제시하는 고객서비스직 특성에 관한 내용들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적합성

이현정․류성민(2013)의 연구에서는 개인과 조직 의 적합성은 기업의 장기적인 성과에도 중요한 영 향을 미치므로 기업은 직원 채용 시 개인의 스펙도 고려하지만 지원자가 조직에 잘 맞는지 조직 적합 도와 조직에서 타 직원과 조화를 잘 이루어 갈 수 있는가도 고려해야한다고 하였으며, 최보인․장철 희․권석균(2011)의 연구에서는 개인과 직무간 적 합성(fit)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적 자원을 확보하 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기준이 된다고 하였다. 류성 민․안성익(2008)의 연구에서는 개인-조직 문화 적 합성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바는 공유된 조직 가치로 대표되는 조직문화와 개인가치의 적합

(6)

성이 높을수록 조직이 원하는 행동양식과 개인이 생각하는 행동양식간의 유사성이 높아지며, 개인의 만족과 긍정적인 태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2) 성실성

이현정․류성민(2013)의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은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채용단계를 거쳐 선발되며, 고객만족을 위해서 근무기간 동안에도 지속적인 교육 훈련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으며, 바 쁜 비행 스케줄과 함께 많은 교육 과정을 소화해내 야 하는 승무원들은 철저한 시간관리가 필요하며, 힘든 과정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성실성이 요구 된다고 하였다.

3) 감성능력

정민주(2012)는 감성능력이 높은 서비스 직원은

고객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인식하여 서비스 실패를 줄이고 고객만족 향상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최금 창․최우성(2006)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감성능력이 뛰어날수록 동료들과의 팀워크 역량 또한 높으며 조직 구성원을 배려하고 업무에도 충실하므로 신입 사원 선발과정에서 감성지능을 고려해야한다고 하

였다. 한익현(2014)은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은 인간관계에서 지혜롭게 행동하고 사

람들을 이해하고 다루는 능력이며, 상황에 맞게 적 절하게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수행하여 자신의 목 적을 이루는 능력으로 이런 사회적 지능은 특히 객 실승무원이라는 직군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4) 팀 융화력

윤성주 외(2013)의 연구는 객실승무원 개인의 특 성 중 심리적 성숙 요인(인내, 도전성, 심리적 안정 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심리적 성숙이 높 은 객실 승무원이 업무수행을 더 잘해낼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심리적 성숙은 입사 후 객실승 무원의 업무수행 능력발휘를 돕고 고객 서비스품질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므로 승무원 선발 시 심

리적 성숙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객실 승무원으로서 업무수행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능과 팀 융화력 또한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민주․장대성(2012)의 연구에서는 객실서비스 는 사무장을 팀장으로 하여 팀 단위로 업무를 수행 하므로 팀에 관련된 변수들은 팀 전체 성과와도 밀 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최보인․장철희․권석

균(2011)은 항공사 기내업무는 대부분 팀 단위 활동

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개인이 아무리 우수한 능력 을 가지고 있어도 팀 융화력을 갖고 있지 않다면 업 무수행과정에서 우수한 결과를 가지고 오기는 힘들 다. 따라서 팀의 일원으로서 얼마나 조직과 잘 융화 할 수 있는지 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5) 신체적 조건

서비스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서 주목할 만 한 현상은 종업원의 선발 과정에서 외모가 중요한 평가요소가 되는 점이다. 사회심리학 분야의 인상 연구와 연결할 경우 외형에 의하여 형성된 첫 인상 의 초두 효과(primacy effect)의 영향력은 큰데, 처음 으로 만난 직원의 인상이 고객의 항공사 전반의 서 비스 품질 평가에도 영향을 준다고 한다. 서비스 조 직에서 종업원의 외형적 매력은 고객들에게 우호적 인 인상을 갖게 하며 고객만족 수준을 높인다. 특히 항공사의 경우 지원자의 신장과 시력, 연령, 엄격한 외형적 기준을 적용하여 객실 승무원을 선발하고 있다(신명순․김민주, 2011).

신미정(2007)은 고객들의 객실승무원에 대한 우 호적 인상 형성에 신체적 용모, 유니폼, 매너 등이 영향을 미치며, 승무원의 외형적 요소를 선발 기준 중 하나의 지표로 하는 것은 어느 정도 과학적 타 당성이 인정된다고 하였다. 또한 객실승무원의 직 무나 근무환경과 관련하여 지원자의 신장(키)을 고 려하고, 눈에 보이는 흉터 는 없는지를 보고자 면 접 복장으로 반팔 상의와 무릎선의 스커트 착용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치아나 피부상태는 지

(7)

원자의 건강상태를 보여주는 요소이므로 국내․외 항공사 모두 관심 있게 보는 부분이고, 국내 항공 사의 경우 밝은 이미지를 추구하여 생기 있고 건강 해 보이는 피부상태와 피부 톤도 고려하고 있다고 하였다.

6)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외국어능력

서비스직종의 직원들은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소 통으로 수준 높은 고객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센스와 더불어 상냥하고 친절한 말투 등 언어적 표 현 능력이 중요하다. 또한 기내에서 만나는 다양한 외국인 승객과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수준 높은 서 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영어 회화능력이 기본적으 로 필요하며, 최근 급속히 증가하는 중국인 승객들 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중국어 능 력도 요구되고 있다. 이외에도 세계 각국의 승객들 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다양한 외국어 능 력이 필요하다.

Ⅲ. 연구 방법

1. 델파이 조사(Delphi Study)

본 연구는 항공사에서 객실승무원을 선발할 때 어떤 요소를 고려하는지, 면접관들이 그 중 어떤 요 소를 중점으로 보고 선발하는지에 대하여 전문가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수행하고, 전문가들이 언급 한 내용들을 분석하여 범주화하고 이를 객관화하여 전문가들의 합의 과정을 도출하기 위하여 가장 타 당하다고 생각하는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을 사용하였다.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은 선행연구의 자료 가 미흡하고 전문가들의 견해가 중요한 자료일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전문가들의 합의를 이루는데 유용한 의사결정 수단이다(Bugler,

1995; 고재윤․정미란, 2006).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은 전문가 의견의 반복적 수집과 교환을 통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사례에 관한 정보가 부족 하거나 특정 연구 분야에서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 한 지표 혹은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이종성, 2006).

또한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은 조사 대상자 들이 직접 한자리에 모여 논쟁하지 않고도 구성원 의 합의를 유도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응답을 수정할 기회를 주는 장점이 있다(김병성, 1996). 델파이기법

(Delphi technique)은 예측하려는 문제에 대하여 전

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으로 정 리하는 일련의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나윤서․

김홍범, 2011). 델파이조사에서의 연구 대상자수는

통계적 타당도보다 대상 집단의 역동성을 고려하여 전문가집단의 수가10-18명 정도면 적합하고, 델파 이 반복횟수는 연구자의 필요에 의해 정해지지만3 라운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 Okoli & S.

Polowski, 2007; 이오복, 2014).

2. 전문가 패널 구성

전문가 패널은 항공사 면접관으로서 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사무장(Cabin manager)이상으로 현재 수행하고 있는 주요 역할에 따라 사무장/캐빈 매니저(24명), 교육훈련 교관(7명), 캐빈서비스 지원 분야 팀장(13명)으로 항공사 면접관으로서 대표성 (Representative)을 확보한 사람들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전문가들의 생각과 의견 을 조사자가 충분히 이끌어내어 만족할 만한 결과 를 도출하기 위해서 사전에 먼저 연구의 목적과 흐 름을 충분히 설명한 후 인터뷰 약속을 잡고, 전문가 패널로 하여금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자신 의 생각을 정리하여 인터뷰에 응할 수 있도록 인 터뷰 참고자료 와 함께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인 터뷰를 요청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인터뷰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여 전문가들이 보다 적극적 인 의견 제시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8)

<표 2> 조사내용 및 분석방법

연구절차 조사방법 조사내용 분석 방법 비 고

전문 가 패 널

라운드

1 심층

면접법 - 객실승무원 선발시 고려해야할 사항 - 객실승무원으로서 필요한 자질

인터뷰내용을 항목으로 범주화.

빈도수 산출

내용분석(빈도분석) 결과를 토대로 설문항목 구성

라운드

2 1차

설문조사

- '라운드 1' 인터뷰 내용분석 결과에 대한 추가 의견 요청

- 인터뷰 내용을 항목별 범주화 - 설문지 작성 전 예비 조사(Pre-test)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설문지 구성에 대한 추가 의견 참조

- 선발시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 (Likert 7점 척도)

평균값과 표준편차 산출 Kendall’s W검정

자료 분석결과를 참조하여 '라운드 3'

설문지 구성 라운드3 2차

설문조사 - 선발시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 재확인 (Likert 7점 척도)

평균값과 표준편차 산출 Kendall’s W검정

최종분석결과를 토대로 측정항목의 중요도 체크

<표 1> 델파이 전문가 패널 및 조사기간

분 류 전문가 패널 및 조사기간

델파이연구

조사 대상

* 전문가 패널 : 1차 34명 [주요 역할에 따라 구분]

: 사무장/캐빈매니저(14명), 교육훈련교관(7명), 캐빈서비스 지원분야 팀장(13명)

* 전문가 패널 : 2차 31명 / 3차 31명

: 사무장/캐빈 매니저(14명), 교육훈련교관(6명), 캐빈서비스 지원분야 팀장(13명) 유효 표본 Round 1: 34 명 Round 2: 31부 Round3: 31부

조사방법 전문가 인터뷰 설문조사 설문조사

조사기간전문가 2013년6월22일-8월2일

(5주) 2014년1월6일-28일

(4주) 2014년2월5일-28일

(3주)

‘라운드 1’에서는 전문가 패널에게 ‘객실승무원 을 선발 할 때 고려해야할 요소는 무엇인지, 어떤 역량이나 자질을 갖추어야 하는지, 면접에서 중점 적으로 보는 부분이 무엇인지 등을 질문하였다. 질 문에 대하여 전문가가‘인성’ 이라고 답할 경우‘면 접에서 지원자의 인성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를 묻고 제시한 내용에 대하여 세부설명을 하도록 하였다.

‘신체적 조건이 맞아야한다’ 고 대답하면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하는지 면접에서 주로 어떤 부분을

보는지, ‘신장(키)과 체형’을 고려해야한다고 하면

객실승무원으로서 신장(키)은 어느 정도가 적합하

다고 생각하는지, ‘호감 주는 이미지’라고 하면 이 미지에서 어떤 부분을 중점으로 보는지 등 질문을 거듭하여 전문가들의 응답 내용을 상세히 기록하고, 전문가들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질문을 거듭 하며 내용을 확인하는 대면인터뷰 방식을 취하였다. 전문가 패널의 인터뷰내용을 분석해보니 예상했던 바와 같이 각 전문가들의 의견들이 상호간에 큰 차 이를 보이지 않아 델파이연구를 수행하였다.

3. 자료 분석 방법

‘라운드1’에서는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9)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에서 빈 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인터뷰내용은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후 설문항목으로 구성하고, 각 항 목이 인터뷰 내용과 부합하는지를 체크하고, 내용 이 중복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유사한 항목들은 묶 어 범주화하였다. 각 설문항목에 대한 구성타당성

(Construction Validity)을 확보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수행하였다. 예비조사(Pre-test)는 인터뷰 내용 분석 의 결과를 토대로 범주화한 역량 항목에 대하여 항 공사 사무장(Cabin manager), 교육훈련팀장인 전문 가4인과 연구방법론 전문가3인의 검증을 받았고, 추가되어야할 항목이나 분리하거나 통합해야 할 범 주들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라운드2'와‘라운드3’ 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 원을 선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에 대한 설문지

를E-mail과 전화, 설문지를 직접 송부하는 방식 중

전문가가 원하는 대로 설문지를 전달하여 설문지 항목의 중요도 평가와 추가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 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하여Likert 7점 척도에 서 중요도4(보통이다)이하 항목에 대해서는‘라운 드3’설문조사에서는 제외하려고 하였으나, 삭제할 항목이 없어 모든 항목을‘라운드3’설문지에 포함 시켜 조사를 수행하였고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결 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선정된 패널중31명의 패널이 성실한 응답을 주어 31명의 전문가 결과를 분석하 였다. 분석은SPSS 18.0 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추출하고, 델파이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검정인Kendall의 W 계수를 추출하여 의견 일치도를 점검하였다.

Kendall의W 검정은 모집단의 수가 작을 때 사용하

는 비모수검정으로 여러 평가자들이 여러 대상을 평가할 때 평가자들간의 일치성(agreement)정도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Ⅳ. 조사 결과

1. 전문가 심층인터뷰(In depth interview) :

‘라운드 1’

항공사 면접관들은 객실승무원 선발시 지원자의 어떤 부분을 중점을 두는 지 선발시 고려 사항에 대 하여 알아보고자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 터뷰조사에서는 먼저 전문가 패널로 하여금 면접시 지원자의 어떤 점을 주로 보는가를 질문하였고, 전 문가들의 응답내용을 상세히 기록하고, 전문가들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고자 질문을 거듭하며 확인하 는 방식을 취하였다. 전문가들과의 인터뷰의 내용 을 분석하여 유사항목은 묶고 각 항목들에 대한 세 부설명을 하였다.

선발시 고려하는 사항에 대하여 각항목별 사례수 는 전문가별 별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으나 면접관으로서 경험이 많은 교관 출신이나 팀장급의 전문가의 경우 지원자의 특성을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는 질문으로 보다 세부사항까지 파악하고 평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에 따라서 개 인별 차이를 보이나 면접 시 참고사항으로 지원자 의 성장환경, 과거 병력, 취미나 스포츠 활동 등에 대한 질문을 하여 지원자의 배경이나 건강상태, 시 간 관리와 같은 라이프 사이클도 고려한다는 의견 이 있었다.

‘라운드1’의 결과는 다음의<표3>와 같다.

2. 델파이 조사 결과

'라운드1' 인터뷰 내용의 분석 후 도출된 결과에 대하여 ‘라운드 2’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수행하기 전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선발시 고려해야할 사 항에 대한 예비조사(pre-test)의 결과‘얼굴이미지’나

‘체형’과 같은 신체적 특성은 가시적인 부분이어서 세부 항목별로 중요도 체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 나 항공사 선발 체크리스트 관련 향후 연구수행에 서 활용할 수 있도록‘얼굴이미지’는6개 세부항목

(10)

<표 3> 객실승무원 선발시 고려사항(Round 1)

범 주 세부 내용

사례수(n=34) 사무장

(14) 교관 (7) 팀장

(13) 합계

인성/성격 (Characteristics)

긍정적인 사고를 가졌는가

13 6 13 32

밝고 적극적인 성격인가

신뢰를 주는가 / 정직한가 (서류전형 내용 참고) 성실한가 (대학생활 및 학점 참고)

안정감이 있는가 / 감정조절을 잘 하는가 센스/판단력

(Sense & Judgment)

상황 판단력이 있는가 (면접관 질문의도 파악여부)

11 5 12 28

순발력이 있는가 (센스있는 답변) 융통성이 있는가 (유연한 사고) 대인 관계

(Affinity &

Coordination)

상냥하고 친절한가 (말투나 표정)

11 6 12 29

타인을 배려하고 사람들과 화합하려고 하는가 (다른 질문자가 답할 때 경청 자세 체크)

얼굴이미지 (Facial Image)

얼굴균형과 크기(미소 지을 때 표정근을 체크)

13 6 13 32

인상이 좋은가 (얼굴표정과 미소)

또렷한 눈매를 가졌는가 (시선처리 및 사시체크) 치열은 보기 좋은가 (덧니 체크)

피부상태는 양호한지 (피부 톤, 흉터 체크) 메이크업이 눈에 거슬리지는 않는가 체 형

(Physical Outfit)

신장(키)은 적당한가 [※선호하는 키(여): 165-170cm ]

13 6 13 32

균형 잡힌 체형인가

다리가 휘지는 않았는지(선 자세에서 O자 다리 체크) 종아리나 발목 등 관찰 (너무 굵거나 가늘지나않는지)

(Appearance)복 장 복장이 단정한가, 세련미를 갖추었는가유니폼에 잘 어울리는가 10 5 10 25 걸음걸이 및 자세

(Walking

& Posture)

바른 걸음걸이인가 (입장할 때 걸음걸이 체크)

8 5 9 22

선 자세 / 앉은 자세 / 제스쳐는 어떤가 자신감과 당당한 모습을 보여 주는가

(Attitude)태 도 말할 때와 질문이나 상대가 말하는 동안의 경청 태도겸손하고 예의 바른가 11 6 13 30

언어 표현력 (Verbal Communication)

말할 때 발음은 명확한가

13 6 13 32

공손하고 지적인 말투인가

말의 속도, 음성 톤이나 억양은 적절한가 자신의 의사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가 외국어능력

(Foreign Language)

영어성적고려 및 영어인터뷰

(공인TOEIC / TOEIC Speaking level 등) 13 6 11 30 중국어(HSK) / 일본어(JPT) 등 외국어능력

(Specialized전문지식 Knowledge)

항공 업무관련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6 5 7 18

객실승무원으로서 역할이나 직무에 대한 지식의 정도 서비스마인드

(Service Mind)

서비스 맨으로서 적합한 성향을 가졌는가

12 6 12 30

봉사와 희생정신을 가졌는가

(대학 생활 및 그룹 활동 / 봉사활동 경험) 체 력

(Stamina Test) 건강상태 및 체력 테스트

(근력, 유연성, 악력, 수영 등) 13 6 13 32

(11)

으로 구분하여 중요도를 체크하도록 하였으며, ‘체 형’의4개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중요도를 체크하도록 하였다.

예비조사(Pre-test)를 실시한 후13개 범주21개의 항목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제작된 설문지를 전 문가 패널에게 메일발송 또는 직접 설문지를 전달 하여 리커트 7점 척도로 중요도를 체크해줄 것을 요청하였고, 31명의 응답을 받았다. 그리고 설문지 내용에서 설문항목이나 세부설명에 대한 의견을 조 사한 결과, 선발 도구로 면접과 서류전형뿐만 아니 라 인성/ 적성검사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고, 기존의 신체검사보다 체력 테스트 부분은 강화해야한다고 체력과 건강관리를 강조하였다.

가. ‘라운드 2’조사 및 분석 결과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객실승무원 선발시 고려해 야할 사항의 중요도 순서는<표4>와 같이 인성/성

격(m=6.74)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첫인상

(m=6.39), 대인관계(m=6.29)순으로 중요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언어표현력(m=5.94), 센스/판

단력(m=5.90), 서비스마인드(m=5.90) 순으로 중요도

를 차지하였다. 이외에도 지원자의 면접 시 보여주 는 태도, 또렷한 눈매나 시선처리, 자세, 피부상태, 외국어능력, 체력, 다리상태, 체형, 복장, 얼굴 크기 나 균형, 미소 지을 때 입모양과 치아 상태확인, 다 리나 발목의 굵기, 신장(키), 메이크업, 전문지식 순 으로 나타났다. 이때 신장(키)은 승무원으로서 근무 에 필요한 자격요건에 맞는지와 다른 지원자들과 선 자세에서 비교해서 본다고 한다. ‘Round 2’ 설 문조사의 결과 모든 항목이 중요도의4이상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평균(Mean)은5. 45로 나타났고, 표

준편차(S.D)는1.16으로 나타났다. 델파이조사의 신

뢰도를 검증하고 전문가 패널의 의견 일치도를 알 아보기 위하여Kendall의W검정을 실시한 결과, 캔 달의 일치도 계수는.0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 타났다.

나. ‘라운드 3’ 조사 및 분석 결과

‘라운드2’의 결과에서 각 항목 모두 평균값이4

점 이상으로 나타나13개 범주로 된21개 설문 문항 으로 채택하여 ‘라운드 2’에서 산출된 전문가들의 중요도 평균값을 제시하고 ‘라운드 3’에서 선발시 고려사항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 여 중요도(리커트7점 척도)를 재평가하도록 하였다.

‘라운드3’의 조사에서도 중요도는 <표4>와 같

이 인성/성격(m=6.65)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첫

인상(m=6.29), 대인관계(m=6.19), 언어표현력

(m=5.90), 태도(m=5.74), 서비스마인드(m=5.71), 센스

/판단력(m=5.68)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순위로

외국어능력, 다리상태, 자세, 피부상태, 체력 등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라운드3’에서는 각 항목의 전체 평균값(Mean) 은 중요도 평균이5.43으로‘라운드2’와 비슷한 결 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표준편차(S.D)를 비교해보면

‘라운드2’의 표준편차(S.D=1.16)보다‘라운드3’에서

는 표준편차(S.D=0.79)가 낮아졌으며, ‘라운드 3’의 전문가 패널의 의견 일치도를 Kendall의 W검정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캔달의 일치도 계수가.336으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나 전문가들의 합의가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다.

‘라운드3’ 결과도‘라운드2’의 결과와 유사하게

항공사에서 객실승무원을 선발 할 때 고려하는 요소 로‘인성/성격’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으며, ‘첫인상’,

‘대인관계’ 항목이 평균6점 이상으로 매우 중요하

게 나타났다. ‘인성/성격’과‘대인관계’, ‘센스/판단력 등 지원자가 가지고 있는 자질인 개인적 특성을 매 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신체적 조건으로는 얼굴이미

지에서 ‘첫인상’과 ‘눈매’를 중요시하고, ‘체형’과

‘다리의 상태’, ‘언어표현력’과 승무원 직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승무원으로서 서비스 마인드를 갖추 었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선발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델파이조사결과는 다음의<표4>과 같다.

(12)

<표 4>객실승무원 선발시 고려사항 ( Round 2 & 3 )

선발시 고려사항 라운드 2 (n=31) 라운드 3 (n=31)

평균 순위 표준

편차 평균 순위 표준

편차 인성/성격 (Characteristics) 6.74 1 0.47 6.65 1 0.61 센스/판단력 (Sense & Judgment) 5.90 5 1.16 5.68 7 0.75 대인 관계 (Affinity & Coordination) 6.29 3 0.81 6.19 3 0.60

얼굴이미지 (Facial Image)

얼굴균형 및 크기 5.07 16 1.40 5.19 16 0.83 첫인상 (얼굴표정/ 미소) 6.39 2 0.58 6.29 2 0.59 또렷한 눈매 (시선처리) 5.68 8 1.76 5.32 13 0.87

치열 체크 4.87 17 1.58 4.58 20 0.89

피부상태 (피부톤, 흉터 등) 5.55 10 1.12 5.45 11 0.77 메이크업 상태 4.39 20 1.51 4.68 19 1.06 체 형

(Physical Outfit)

신장(키) (선호: 165 cm~170 cm) 4.74 18 1.60 4.97 17 0.71 체형 (체중과 균형 고려) 5.13 14 1.58 5.29 14 0.82 선 자세(무릎 벌어지거나 다리가 휜 정도) 5.52 11 1.60 5.52 9 0.89 다리 모양 및 발목 굵기 4.61 19 1.25 4.81 18 0.83 복 장 (Appearance) 5.10 15 0.89 5.23 15 0.72 걸음걸이 및 자세 (Walking & Posture) 5.65 9 1.04 5.52 9 0.63

태 도 (Attitude) 5.81 7 0.70 5.74 5 0.68

언어 표현력 (Verbal Communication) 5.94 4 0.53 5.90 4 0.79 외국어 능력 (Foreign Language) 5.52 11 0.86 5.58 8 0.62 전문지식 (Specialized Knowledge) 4.03 21 1.70 4.39 21 1.02 서비스마인드 (Service Mind) 5.90 5 0.96 5.71 6 1.10 체 력 (Stamina Test) 5.52 11 1.20 5.42 12 0.89

※ 중요도 (Importance) 1 - 2 - 3 - 4 - 5 - 6 - 7 전혀 중요하지 않다 보통이다 매우중요하다

※ Round 2

N=21 Kendall’s W=.098 Chi Square=61.498, dl=30, Sig=.001, [ M=5. 45 , S.D=1.16 ]

※ Round 3

N=21 Kendall’s W=.341 Chi Square=214.699, dl=30, Sig=.000, [ M=5. 43 , S.D=0.79 ]

Ⅴ. 결 론

1. 분석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선발 할 때 고려 해야할 요소는 무엇인지 항공사 면접관들이 어떤 요소를 중점적으로 보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델 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공사 면접관으로서 경 험이 있는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거쳐 개발된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두 차례의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객실승무원 선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개인적 특성, 신체적 특성, 자기표현능 력, 전문적 능력, 체력 등13개 범주의21개 항목이 도출되었고, 이 항목들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생각 하는 각 항목별 중요도를 조사하고 델파이조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Kendall의W검정을 통하 여 전문가들의 의견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선발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항목 중 ‘인성/적성’, ‘첫인상’,

‘대인관계능력’, ‘언어표현력’까지는 두 번의 설문조 사 결과에서 중요도 순위가 일치하여1위-4위를 차 지하였고, 중요도 순위 5위-7위는 ‘서비스마인드’,

‘태도’, ‘센스/판단력’ 항목으로 두 번의 설문조사

(13)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델파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면접관들은 지원자가 긍정적 사고 를 가졌는지, 밝고 적극적인 성격인지, 성실하고 정 직한지, 안정감을 보여주는지 등과 같이 객실승무 원으로서 적합한‘인성/성격(Characteristics)’을 갖추 었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 다음으로는 지원자의‘첫인상과 이미지 (First impression & Image)’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 다. 특히 한국인 승객의 객실승무원의 외모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것을 고려하여 국적 항공사 면접관 들은 지원자의‘첫인상’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인상’은 미모보다는 호감 주는 이미지인가를 고려하는데 지원자의 얼굴표정을 통 하여 미소가 자연스러운지 자신감 있고 당당한 모 습을 보여주는지 등과 시선 처리를 눈여겨본다.

셋째, 타인을 배려하고 화합하려는 사람인지 상 냥함을 갖추었는지 ‘대인관계능력(Affinity &

Coordination)’ 등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면접관의 질문에 대한 지원자의 응답내용 뿐 아니라 대답할 때의 모습, 음성, 말투로 파악할 수 있으며, 다른 지원자가 말하는 동안 경청하는 자세 및 태도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표현력(Verbal Communication)’은 서비 스 직종에서 매우 필요한 능력으로 적합도와 더불 어 지원자의 객실승무원으로서 준비된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는 부분으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눈빛 과 시선 등으로 자신감이 있는지 심리적 안정감이 있는지, 적극적인 성격인지도 보고, ‘태도(Attitude)’

를 통해 눈에 거슬리는 부분은 없는지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지 등도 파악하고 있다. 이외에도 어떤 항 공사들은 면접 대기실에서 부터 지원자들의 행동을 모니터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승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이해와 봉사 정신 등을 고려하여 지원자가 ‘서비스 마인드 (Service Mind)’를 갖추고 있는지를 중요하게 고려한 다. 또한 객실승무원으로서 수준 높은 고객서비스

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 사항인 ‘센스/판단력 (Sense & Judgment)’을 갖추었는지를 중점적으로 보 고 있다. 이는 면접관이 질문할 때 질문 의도를 파 악하여 센스 있게 대답하는지, 상황에 맞는 순발력 을 보고, 지원자의 답변내용으로 유연한 사고를 가 지고 있는지 등도 파악하고 있다. ‘센스/판단력’은 가시적인 부분이 아니라 파악이 쉽지는 않지만 면 접관의 능력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나 지원자의 답변과 말할 때 태도로 파악해내고 있다.

여섯째,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신체적 조건이 직 무에 적합한지를 체크한다. 지원자가 면접장으로 들어올 때의 걸음걸이 및 자세(Walking & Posture)

와‘체형(Physical outfit)’등을 중요하게 보고 있는데

이 부분은 가시적이어서 평가하기가 용이한 것으 로 나타났다. 항공사들은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객실 승무원 지원 자격으로 국내항공사에서는 신장(키)

을162cm이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직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조건으로165-170cm를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무 수행시 비상장비가 있는 곳이나 선반(Overhead bin)이나 서비스공간인 겔리

(Galley)내의 천정 선반에 쉽게 팔이 닿는지 등 직업

특성을 고려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서 있을 때 지원자의‘체형’도 보고 있는데 허리가 길고 무릎이 벌어지거나, 다리가 휜 경우 장기간 서서 근무하고, 비행중 요란(turbulence) 등으로 척추디스크로 인한 장기 병가(病暇)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났다. 대한항공의 경우 유니폼에 어울리는 이미지인가를 보기 위해 유니폼을 착용하고 면접을 한다.

2.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본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 구의 결과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항공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어 온 지원자의 인성/성격, 지원 자의 첫인상, 대인관계능력, 언어표현력, 센스/판단 력 등을 면접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지원자의 타고난 신체조건도 쉽게 바꿀 수 없는 부

(14)

분이라 생각하며 이점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선발하 고 있다. 그러나 항공 분야의 전문지식(Specialized

Knowledge)은21개의 항목 중 중요도가 가장 낮은

21위를 차지하였다. 그 이유는 항공사 객실승무원

신입기본교육(대형항공사:12주-15주, 저비용항공

사:9주 이상)에서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이나 스킬

등은 충분히 개발시킬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현재 항공서비스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이 전국에70여개나 되지만 국내항공사들은 전공에 상 관없이 객실승무원을 선발하고 있으며, 객실승무원 지원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평균 300-400대 1정 도의 치열한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에서 항공서비스 관련 대학에서 전공자들의 항공사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 번째 단계로 대학 입 학 면접에서 항공사에서 요구하는 신체적 조건과 성격 등을 충분히 고려한 학생 선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항공서비스전공 개설 대학의 교과목 구성을 살펴 보면 전공실무분야에 중점을 둔 과목의 비중이 매 우 높으며, 2년제 대학에서는 그 비중이 더 높다. 그 러나 항공사에서는 대학교육과정에서 객실승무원 신입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교육내용과 항공사 교육훈련 기간 동안 쉽게 만들어 낼 수 없는 부분인 학생들의 인성이나 자질 등을 함양 시킬 수 있도록 교육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교육과 정에서 항공서비스 전공자들이 항공사에서 요구하 는 인성 및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인성함양교육에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외국인 승객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수준 높은 서비스를 할 정도가 되도록 대학에서 영어와 중국어 등 외국어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며, 특 히 최근에는 중국어의 필요성을 커지고 있으니 중 국어 교육에도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 선발시 항공사에서 고려하는 요소를 상세히 알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 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를 가질 수 있 으나 연구의 초점이 국내 대형항공사에 맞춰져 있

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최근 채용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저비용항공사와 한국인 승무원을 선발하는 외 국항공사의 객실승무원 선발 및 채용에서 고려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 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국내 항공서비스 개설대학 의 교육과정 개발과 전공 교수들이 후학을 양성하 고 지도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객 실승무원을 준비하는 지원자들도 본 연구의 내용을 참조하여 항공사 채용 면접에 대비하여 역량을 강 화하고, 면접시 자신의 어떤 부분을 부각시켜 객실 승무원으로서 적합성을 보여줄 것인지, 부족한 부 분은 어떻게 보완해야 할 것인지를 파악하여 항공 사 취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고재윤

정미란

(2006).

소믈리에자격증 평가항목개발 에 관한 연구

. 『

관광학연구

』, 30(5): 133-151

권현택

(2003).

항공사객실승무원의 핵심역량 결정요인

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

한국항공대학교 김민수

(2003).

항공사 여승무원의 외적 용모품질에 대한 기대와 고객만족 및 구매에 한 연구

.

석 사학위논문

,

경기대학교

.

김수진

이진형

(2009).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채용

,

교육훈련 및 비행과정과 정서노동

:

정서노동 영역과 과정의 확장

. 『

관광학연구

』, 33(4):

469-488.

김병성

(1996).『

교육연구방법

』.

학지사

김은상

(2005).

객실승무원이미지가 항공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석사학위논문

,

전주대학교 나윤서

김홍범

(2011).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 『

관광학연구

』, 35(9): 164-488.

민정원

신충섭

김섭

(2011).

항공사와 객실 승무원

이미지 요인과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와 인

(15)

과관계 분석

-

인천국제공항 고객들을 대상으 로

-.『

호텔리조트연구

』12(2): 217-239.

박소연

(2006).

항공사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실무전 이 연구

.

박사학위 논문

,

경기대학교

박혜영

(2011).

항공사 객실승무원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 Borich

우선순위를 중심으로

.

호텔관광연구

』41(0): 204-221

박혜영

허선주

(2012).

항공사 서비스 교육투입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교육과정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항공경영학회 지

』, 10(2): 99-117.

신명순

김민주

(2011).

항공사 여승무원의 외형과 인상형성

,

서비스품질 지각간의 인과관계 분 석

.『

대한관광경영학회

』25(6): 199-220.

신미정

(2007).

취업면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석사 학위 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

양유경

이정현

이동한

(2013).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

.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 11(2):

3-27.

염윤섭

(2003).

항공사 객실 여승무원 채용연구

.

석사 학위 논문

,

경기대학교

.

오은영

(2013).

현실적 직무소개

(Realistic job preview)

가 입사 후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 –K

항공사를 중심으로

-. 『

춘 계학술발표대회

한국항공경영학회

, 199-208.

유승혜

(2007).

비서직 취업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비서학논총

』, 16(1): 151-173.

윤문길

이휘영

윤덕영

이원식

(2011). 『

글로벌 항공운송서비스 경영

』.

한경사

.

윤성주

양정미

최종률

(2013).

항공사 객실승무원 의 심리적 성숙이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2): 203-217.

이동희

(2006).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공통역량과 역 량모델링에 관한 연구

.『

관광연구저널

』, 20(2): 335-350.

이동희

(2007).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책별 차이역 량에 관한 연구

. 『

호텔경영학연구

』, 16(1):

201-216.

이수정

(2011).

항공사 승무원 지원자들의 미의식과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지불의사 연구

.

석사학 위 논문

,

부경대학교

.

이오복

(2014).

여성결혼이미자 취업향상을 위한 지 원방안에 관한 델파이분석

. 『

한국콘텐츠학 화논문지

』, 14(8): 197-206

이용덕

(2009).

객실승무원의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실증연구

.

석사학위 논문

,

항공대학교

.

이우상

(2000).

인적의존성과 감각적 이미지

, 『

관광

레저연구

』, 9(2): 122-145.

이영훈

(2006).

역량을 기초로 한 교육체계의 수립

.

현대경제연구원구소

, HRI

현대인재개발원 이종성

(2006). 『

델파이방법

(

연구방법

21)』.

서울

:

교육과학사

이종완

(1995).

종업원 선발결정에 있어서 면접에 미 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

단국대학교

이정민

이종호

(2009).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승무 원 이미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

춘계학 술발표논문집

한국항공경영학회

, 175-185

이현정

류성민

(2013).

항공사 승무원의 적합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오너십의 매개효과

. 『

추계학술발표대회

』,

한국항공 경영학회

, 239-266.

장대성

김민수

(2003).

항공사 여승무원의 외적 용 모품질 구성요인과 고객만족 및 서비스 재이 용 의도에 관한 연구

. 『

대한경영학회지

』, 41(2): 511-528.

장재복

(2000).

한국기업의 면접시험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

단국대학교

.

정명희 박정민 하동현

(2014).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미지가 직업선택 동기와 취업결정 요인에 미 치는 영향

:

대구 경북지역으로

. 『

호텔경영 학연구

』, 16(2): 492-515.

정민주

장대성

(2012).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개인적

감성능력과 사회적 감성능력이 팀웍 역량에

(16)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항행학회논 문지

』, 16(2): 318-329.

정은유

(2012).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비언어적 커뮤 니케이션과 고객 접점 인적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학연구

』, 36(4): 143-164.

조경희

(2005).

항공사 승무원의 신체적 매력성이 대 인지각과 서비스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얼굴매력성과 체형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 문

,

경기대학교

.

조경희

(2013).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성격유형과 감 성지능

,

직무만족

,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 『Tourism Research』, 38(2): 145-165.

조영신

(2012). A

항공사 국제선 객실 승무원 교육훈 련 전이에 관한 연구

. 『

호텔관광연구

』, 45(0): 299-314.

최금상

최우성

(2006).

호텔종사원의 감성지능이 성 과에 미치는 영향

.『

관광학연구

』,30(6):

113-133.

최미숙

(1999).

항공사 객실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

경기대학교

.

최보인

장철희

권석균

(2011).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

-

직무 적합성의 효과성 연구

. 『

조직인사 관리연구

』35(1): 199-232.

최훈

(2010).

미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항공사 승무원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관광연구저 널

』, 24(1): 55-56.

한국경영자총협회

(2012). HR Trend :

대기업 채용 문화가 달라지고 있다

.『

월간 경영계

』, 393:

54-57

한국경영자총협회

(2013). 2013

년 신규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

:

올해 신규인력 채용규모

,

기업 규모별 채용 양극화 뚜렷

. 『

월간 경영계

』, 407: 68-69

한익현

(2013).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사회지능이 성 과에 미치는 영향

.『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한국항공경영학회

, 2013(0): 295-305.

홍희정

홍경완

(2013).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외적이 미지가 인적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 는 영향

. 『

관광연구

』, 27(6): 177-195 Barnes-Nelson J.(1996). The boundary-less

organization: Implications for job analysis, recruitment, and selection. Human Resource Planning, 20: 39-49.

Bacon, T. R.․Pugh, D. G.(2004). Ritz-Carlton and EMC: the Gold Standards in Operational Behavior and Differenti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Excellence, Spring, 61-76.

Beach, D. S.(1985). Personal: The Management of people at work.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Bugler, M. W.(1995) A Three-round Delphi Study of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Doctoral level Educational Technology Program. Ph. D Dissertation, Univ. of Iowa.

38

C. Okoli & S. Polowski (2007).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Information

& Management, 42(1): 15-29.

Dessler. G.(1988). Personnel Management. London : Prentice-Hall International.

Green P. C.(1999). Building robust competencies:

Linking human resource system to organizational strategic. San Francisco, Jossey-Bass.

Shannon, M. L., & Stark, P(2003). The influence of physical appearance on personnel selec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6): 210-227.

Spencer L. M., McClelland D. C., & Spencer S.(1994). Competency assessment methods:

History and state of the art. Boston Hay-Mcber Research Press.

Spence, L & Petrik, J.(2000) Multinational

(17)

interview decision: Integrity capacity and competing values.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10(4): 49-67.

Wood, R., & Payne, T.(1998). Competency-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New York: John Wiley, 23-26.

Klein, K. J. (1987). Employee stock ownership and employee attitudes: A test three mod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20): 319-332.

2014년 7월 29일 원고접수 2014년 9월 19일 1차 수정본 접수 2014년 10월 21일 2차 수정본 접수 2014년 11월 19일 최종 수정본 접수 3인 익명심사 畢

(18)

A Three-round Delphi Study on Cabin Attendant Recruitment and Selection

이동희**

Lee, Dong-Hee

국문초록

항공사 객실승무직은 세련된 국제매너와 항공서비스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항공운송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 직으로 크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타 직종에 비해 높은 연봉과 다양한 복리후생제도로 지원자 수가 해마다 증가하 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항공서비스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이 70여개나 되며 계속적으로 항공서비스관련 대학 과 승무원 아카데미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항공사 객실승무원 선발에서 면접관들이 고려하는 사항 에 대한 논문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선발 할 때 항공사 면접관들이 어떤 요소를 중점적으로 보는가를 알아보고 자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공사 면접관으로서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패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거쳐 개 발된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델파이연구를 수행하였다. 델파이 조사결과의 신뢰도를 검중하기위하여 Kendall’s W 검 정을 수행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공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어 온 지원자의 인성/성격, 지원자의 첫인상, 대인관계능력, 언어표현력, 센스/ 판단력 등을 면접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지원자의 타고난 신체조건도 쉽게 바꿀 수 없는 부분이라 생각하며 이점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선발하고 있다. 그러나 항공 분야의 전문지식(Specialized Knowledge)은 21개의 항목 중 중요도가 가장 낮은 21위를 차지하였다. 그 이유는 항공사 객실승무원 신입기본교육(대형항공사:12주-15주, 저비용항공사:9주 이상)에서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이나 스킬 등은 충분히 개발시킬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항공사는 선발시 전문지식이나 스킬과 같이 교육훈련으로 보완이 가능한 부분보다는 교육으로서 개 발하기 어려운 지원자의 인성이나 성격, 얼굴이미지나 체형 등 타고난 신체적 조건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항공서비스 전공 개설 대학에서는 항공사에서 요구하는 요건과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교육과정에 항공사 관련 전문지식과 실무에 대한 내용보다는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는 인성 함양이나 영어와 중국어 등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항공사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 는 대학 입시 면접에서부터 항공사에서 요구하는 신체적 조건과 성격 등을 충분히 고려한 학생 선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용어: 항공사 채용, 취업 면접, 선발시 고려사항, 심층인터뷰, 항공사 객실승무원 특성

* 본 논문은 2013학년도 호남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한 논문임.

** 호남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Referensi

Dokumen terkait

따라서 민간사업자에서는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기존의 전국 무선국을 4 번에 걸친 대대적인 작업을 통해, 현재 1개의 집중국과 다수의 기지국대부분 무인국으로 대 해상통신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으며, 조난 및 안전통신은 물 론 일반 공중통신서비스를 위한 경제적이고도 신뢰성 있는 신속한 통신 서비 스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남북한은 상호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분 단국가로서 국제법상의 제도인 이익보호국 제도는 남북관계에 적용될 수 없다는 소극적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익보호국 제도는 양자 차원인 남북관계의 문제가 아니라 제3국이 개입되는 다자관계라 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이 연구대상 도로구간인 제1도시고속도로 내 도심방향과 부도심방향의 교통 상황 변화에 따른 혼잡통행료 추정결과를 살펴보면,교통류모형도심방향 ; Drakeetal .모형  ,부도심방향 ;Drakeetal .모형  에 따라 도심 방향과 부도심방향의 혼잡통행료 추정 결과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심방향과

Kydland와 Prescott 그리고 Barro와 Gordon에 의하면, 미기마다 정책결정을 하는 재량적인 ‘최적통제’ 정책은, 지식문제 및 역인센티브 문제가 없을 때에도, 달성할 수 있는 최선의 결 과를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통화당국이 통화증가율의 변동이 인플레이 션과 실업률에 미치는 호과의 타이밍과

본 연구자의 조각 작품에서 나타나는 역동적 인체표현은 본인이 본래 내면에 가지 고 있는 인체 표현에 대한 관념을 버리고, 휴식기를 거쳐 역대의 인체 구상조형 작품 들을 감상하고 연구하여 본인의 청구전을 통해 인체조각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 다.. 역동적인 움직임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 무예인 택견에 대해 다시

소구할 수 있는 요건으로는 만기 일자에 지급인이 지급거절을 하 는 어음부도의 경우 외에 만기 전이라도 환어음에 대한 인수의 전부 또는 일부의 거절이 있는 경우 지급인 또는 약속어음 발행인의 무자력 상태가 발생한 경우 등에 인정된다.. 32 팩토링은 운전자금을 지원하는 것이지만 대출이 아니기 때문에 기업의 대차대조표에 부채로 기

불법 제품 유입 증가로 인해 화재 및 감전 등의 안전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 세이다 이렇게 증가하는 화재 및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조업체 역시 제조기술 및 품질의 향상을 통해 제조사의 설계 마진 및 보호회로 등을 통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열화 된 제품에 대한 화재 및 안 전사고를

첫째, 원고들이 Oyster Creek 수명연장허가와 가상 테러 공격의 환경영향 사이에 “합리적으로 밀접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하지 못하였다.138 둘째, NRC는 이미 수명연장허가를 위한 GEIS에서 원전에 대한 가상 테러공격의 환경 영향을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이 이미 EIS에서 다루고 있는 중대사고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