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이규창
남북교류협력 재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변보호 문제를 연구주제로 선정하였다. 이번 연구보고서는 남북 교류협력을 재개하는 과정에서 남측에서 나올 수도 있다.
본 연구보고서는 법적, 정치적 관점에서 향후 남북교류협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현재 남북한의 특수관계 하에서는 남북영사협정(합의서)이 체결되고 있다.
남북영사협정 체결 가능성과 신변안전 관련 법제
영사접견권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영사인터뷰 입장에서 정리가 되어 있는지,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북한 억류자 현황과 영사접견권
이러한 맥락에서, 영사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구금, 조사 및 재판 중에 영사접견권을 인정했습니다.
남북영사협정 체결과 국가승인
많은 국제법 교과서에는 영사관계를 수립하려면 국가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영사인정서 발급, 국민승인, 영사관계 수립 및 국민승인에 관한 사항입니다.
영사접견 관점에서 신변안전 관련 법제의 문제점
접근 및 숙박 협정은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지구를 포함한다. 103) 개성공동연락사무소는 남북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최초의 기관이다.
소결
또한, 분단된 국가의 법률은 개인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분단국가의 개인보안에 관한 법률을 분석하여 제4장에서 살펴본다.
본 장에서는 남북합의서를 통한 신변보호를 위한 첫 번째 조치로 남북이 체결한 영사합의서를 분석해 본다. 남북한 사이에 영사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과 양자영사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비엔나영사관계협약과 남북한이 체결한 양자 영사협정
공화국간에 영사 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1957년 구소련과 체결한 영사협정에는 영사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이 있다.
영사접견 기능 관점에서의 분석
이는 영사가 파견국 시민을 만날 수 있는 권리를 규정합니다. 이는 영사접근권을 결정합니다. 이는 영사 접근 및 통지 권리를 규정합니다.
이를 파견국 영사관에 통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파견국 영사관에 통보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소결
남측 인사의 신변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영사접견권과 통보권을 제도화하라. 기존 입국/거주 계약서의 개인 보안에 대한 논의. 남북합의서는 영사접근권과 통보에 관한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여행하는 직원의 개인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때 영사 보호가 제공됩니다. 적교류에 관한 협정에서 일반주민의 신변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
동서독의 신변안전 보호 관련 제도
서베를린 당국(Die Verenaarungen zwischen dem Senat und der Regierung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über Erleichterungen und Verbesserungen des Reise- und Besucherverkehrs) 간의 협정(이하 “여행 및 방문 협정”이라 함)이 체결되었습니다.211) 총 9개 조항 중 합의가 존재합니다. , 서 베를린에 거주하는 시민은 인간, 가족입니다. 동서독기본조약 제8조는 상대국 정부 소재지에 '상주대표부(Ständige Vertretung)'를 교환하고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217) 영구대표부는 일반적으로 국제기구에 파견되는 대표부를 말한다. . 결과적으로, 1974년 3월 14일, 동서독은 상설 대표부 설치에 관한 동서독 정부 간의 의정서(Das Protokoll zwischen der Regierung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der Regierung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über die Errichtung der)에 서명했습니다. ) 서명됨. Ständigen Vertretungen)"(이하 "상설 대표"). "재단 의정서")와 의정서에 첨부된 각서가 합의되고 서명되었습니다.220)
대부분의 경우 동독 경찰청이 서독 정부나 서베를린 시 당국에 직접 통보하지만, 동독 외무부를 통해 상주대표에게 연락하는 경우도 있다.233) 공공신분증 소지의무 및 신고의무242) .
중국-대만의 신변안전 보호 관련 제도
2장은 본토인의 대만 방문을 규제합니다. 제3장은 대만 만주인들의 본토 방문을 규제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만의 본토 지역 진출과 진출 측면에서.
대만 관련 중대한 형사 사건 처리에 있어 대만사무판공실의 협력에 관한 공지”. 방법은 본토에서 대만 주민을 체포, 구금하는 경우이다.
제3국을 통한 신변안전 보호 방안: 이익보호국
북한과 미국은 외교관계나 영사관계가 없다. 이에 미국은 북한에 억류된 자국민의 영사접견권 실현의 일환으로 스웨덴을 보호국(혹은 보호국)으로 활성화시켰다. 북한은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스웨덴이나 제3국, 국제기구 등을 이용하고 있다.
북한에 투옥되었거나 향후 남북교류협력을 재개·확대하는 과정에 있는 것. 북한과 미국이 수교나 영사관계를 수립하지 않은 것처럼, 남북한도 서로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영사관계도 수립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제기될 수 있는 문제이다.
이익보호국의 개념 및 관련 국제법
제네바협약에 규정된 보호국가체제는 제네바형 보호국가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비엔나 대외관계협약에서 정의한 보호국 제도는 B이다. 비엔나형 보호국 제도, 제네바형 보호국 제도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둘째, 퓨즈의 국가를 결정하는 절차에 차이가 있습니다. 국가는 또한 이익의 보호자 역할을 합니다.
이익보호국 제도의 실행
이란에 대한 영국의 이익 보호. 보호 국가 보호 국가(보내는 국가) 억류 국가(받는 국가) 명령. 이와 관련하여 파견국은 자국의 이익을 보호합니다.
대표사무소는 제3국 대사관에 있는 그 나라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이다. 미국은 또한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 내에 이해 대표 사무소를 설립할 수도 있습니다.
한반도 문제에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
둘째, 이와는 달리 남북관계의 이익을 보호하는 나라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위의 이익보호제도가 남북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저자는 남북관계도 이익을 보호하는 나라라고 믿는다.
첫째, 보호령 제도가 남북관계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그러나 보호체제는 남북관계의 양자적 차원의 문제이다.
결론| 이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