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의 설립목적은 서울의 복잡하고 다양한 도시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주요 정책과제를 체계적, 전문적으로 연구·분석하고 정책을 조사·개발함으로써 서울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15일 서울시 발전연구원 육성 조례 시행. 14 서울시개발연구원 설립.
서울시 미래비전 실현을 위한 대표기획과제 추진 현장 중심 연구과제에 대한 투자 및 지원 확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연구사업 확대를 강화합니다.
연구는 학계, 해당 분야 전문가, 외부 전문가의 자문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합니다. 연구기획부터 보고서 발간까지 전 과정에 대한 관리체계를 강화합니다. 연구보고서를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집하고 스토리텔링 제공 - 그래픽 이슈를 기반으로 맞춤형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점검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서울시 정책지원 강화
비전과 추진전략
- 서울 미래연구 시즌 II
- 서울 경제시리즈 : 서울, 뭘 먹고 살 것인가?
- 안전한 서울 만들기
- 서울 도심의 재발견과 새로운 가치
- 도시재생과 균형발전
- 서울시 도시정책사 25년 기획연구
사회적 변화와 요구를 반영한 현장연구 확대를 추진한다. 서울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지진대응전략. 시민과의 공통가치가 높은 콘텐츠를 중심으로 다양한 도서를 기획, 출판합니다.
지방분권 ∙시민의 삶, 지방자치, 지방분권 및 자치조직에 관한 재정법. 주요 연구성과 : 『영어도서』 해외 출판 및 보급 - 서울연구원 연구요약서 발간(매년). 서울의 경험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기 위한 'English Summary' 출간
센 터
- 고령화 시대에 대응하는 서울형 지역사회전략 연구
- 서울시 발달장애인의 서비스 욕구와 복지시설 이용 실태조사
- 서울협치모델로서 서울복지거버넌스의 성과와 발전과제
- 서울의 미래 먹거리, MICE 산업 육성 전략 연구
- 사물인터넷(IoT) 산업실태 분석과 발전방안
- 저성장시대 서울의 재정전략
- 해외 대도시 수도 비교를 통한 서울시 자치분권 전략연구
- 교통기능을 고려한 도로 위계체계 정립 및 관리 방안
- 도시철도 민간투자 사업 제안 검토 세부 기준 마련
- 서울의 지역특성을 반영한 지진 대응전략
- 서울시 초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의 기상패턴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 서울시 소규모 공사장(안전사각지대) 붕괴사고 저감방안
- 대기질 개선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운행제한제도 발전방안
- 서울 생물다양성 설계지표 적용 및 개선방안
- 효과적인 재난사고 대처를 위한 시민 초기대응 활성화 방안
- 감성을 통한 숨겨진 서울의 재발견
- 전환기 세계 대도시 공간발전전략 비교 연구
- 서울시 인구동태 연구 : 집단별 수요분석 및 정책방안
- 서울 미래세대를 말하다
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서울형 커뮤니티 전략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고령화를 위한 서울시 지역사회혁신 전략 도출 2. 서울시 의료급여제도 개선방안 연구.
다양한 사회에서 서울시 문화정책의 방향과 의제에 관한 연구. 서울시 청년참여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장애인 건강증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근거조사 연구.
서울시 미래 먹거리 및 MICE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전략. 협력적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서울시 위원회 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 서울시 민관교통체계의 합리적 개선방안.
서울투자기부진흥원 경영시스템 개선방안. 서울시 교통정책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개인교통수단의 다양화에 따른 서울시의 대응전략.
서울시 교통서비스 적정성 분석 및 분야별 개선방안. 서울시 주택정책의 새로운 의제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도시관리계획(용도지구)정비용역(2차).
도시재생정책과 서울시 활성화사업 진단연구. 서울의 인구동태에 관한 연구: 집단별 수요분석 및 정책방안.
서울시의 우수한 정책: 해외 도시나눔사업 투자 및 지원 확대. 서울시 노동권단체 현황과 평가. 서울시 마을공동체 정책 및 지원사업 개요.
서울시 여성가족정책 현황 및 분석.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사업 현황 분석.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운영실태 분석.
서울의 산업경제 유형별 대표거리. 서울시의 지방자치단체 평가제도 현황 및 운영 분석. 서울시 위원회 제도의 기본현황 및 운영현황 분석.
서울시위원회 운영현황 및 정책요구사항입니다. 서울시 소도시 공공부문 산업분석, 실태조사, 지원정책 설계. 서울시 도시공간계획사업(서비스) 추진체계 진단.
서울시 도시공간계획 업무체계의 문제점. 저성장시대 서울시의 재정지출전략. 서울시 도시공원의 건강현황 분석.
서울시의 국가 및 광역자치단체의 높은 수준의 재생에너지 정책 및 계획입니다. 서울시 공공투자사업 현황 및 추진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