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20학년도 목포해양대학교 교직과정 설명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2020학년도 목포해양대학교 교직과정 설명회"

Copied!
16
0
0

Teks penuh

(1)

교원양성지원센터

목포해양대학교 교직과정 설명회

(2)
(3)

평가기준(100점 만점)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적격 성적(60점) 면접(30점) 이수계획서(10점)

자격 요건

1학년 재학생 38학점 이상 수료 평점 2.7이상 징계無(근신, 정학 등)

• 항해학부: 5명

• 해상운송학부: 5명

• 항해정보시스템학부: 3명

항해(13명)

• 기관시스템공학부: 8명

• 해양메카트로닉스학부: 5명

기관(13명)

학부별 선발 인원

(승인정원의 1.5배수 ) 자격요건 및 평가기준

(4)

교직과정

이수절차

(5)

교직 교육과정

전공과목(50학점 이상)

기본이수과목(21학점 이상)

(1)분야 필수, (2)~(7)분야 중 각 분야에서 1과목 이상 이수

교과교육영역(8학점 이상)

교직과목(22학점 이상)

교직이론 12학점(6과목) 이상 교직소양 6학점(3과목) 이상

교육실습 4학점 이상

졸업학점

(150학점)

기본전공

• 80학점

심화전공

• 28학점(교과 교육영역 포함)

교양과목

• 20학점

교직과목

• 22학점

(6)

표시과목 구분 분야 교과목명 학년 학기 학점

항해

기본 이수 과목

(1) 수산교육론 수산교육론 4 2 2

전파항해학 전자항해학 2 2 2

(2) 지문항해학

(또는 천문항해학) 지문항해학 1 2 2

(3) 선박조종 선박조종학 2 1 3

선화운송 적화 및 복원성 2 1 3

(4) 선박관리

(또는 선박운용) 선박구조 및 정비 1 1 2

(5) 해사법규 해사법규 1 1 2

해사영어 해사영어 2 2 3

(6)

해상안전공학 안전 및 비상대응 1 1 3

해상교통법 해상충돌예방규칙 1 2 3

해양기상 해양기상학 4 1 2

계 27

교과 교육 영역

(1) 교과교육론 4 1 2

(2)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2 2 3

(3) 교과논리 및 논술 4 2 3

계 8

항해학부

(7)

표시과목 구분 분야 교과목명 학년 학기 학점

항해

기본 이수 과목

(1) 수산교육론 수산교육론 4 2 2

전파항해학 전자항해학 2 2 2

(2) 지문항해학

(또는 천문항해학) 지문항해학 1 2 2

(3) 선박조종 선박조종학 2 2 3

선화운송 적화 및 복원성 2 1 3

(4) 선박관리

(또는 선박운용) 선박구조 및 정비 1 1 2

(5) 해사법규 해사법규 1 2 2

해사영어 해사영어 2 1 3

(6)

해상안전공학 안전 및 비상대응 1 1 3

해상교통법 해상충돌예방규칙 1 2 3

해양기상 해양기상학 2 2 2

계 27

교과 교육 영역

(1) 교과교육론 4 1 2

(2)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2 2 3

(3) 교과논리 및 논술 4 2 3

계 8

해상운송학부

(8)

표시과목 구분 분야 교과목명 학년 학기 학점

항해

기본 이수 과목

(1) 수산교육론 수산교육론 4 2 2

전파항해학 전자항해학 2 1 2

(2) 지문항해학

(또는 천문항해학) 지문항해학 1 1 2

(3) 선박조종 선박조종학 2 2 3

선화운송 적화 및 복원성 2 1 3

(4) 선박관리

(또는 선박운용) 선박구조 및 정비 1 1 2

(5) 해사법규 해사법규 1 1 2

해사영어 해사영어 2 1 3

(6) 해상안전공학 안전 및 비상대응 1 2 3

계 22

교과 교육 영역

(1) 교과교육론 4 1 2

(2)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2 2 3

(3) 교과논리 및 논술 4 2 3

계 8

항해정보시스템학부

(9)

표시과목 구분 분야 교과목명 학년 학기 학점

기관

기본 이수 과목

(1) 수산교육론 수산교육론 4 2 2

(2) 해사영어 해사영어 4 1 3

(3) 기계공작법 기계공작 및 용접실습 2 2 2

(4) 내연기관 내연기관 2 1 3

(5) 선박보조기계 선박보조기계 2 1 3

(6) 선박기관운전 기관실 시뮬레이션 4 2 2

(7) 선박전기·전자 전기공학 1 1 3

전기·전자공학 전자공학 1 2 3

계 21

교과 교육 영역

(1) 교과교육론 4 1 2

(2)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2 2 3

(3) 교과논리 및 논술 4 2 3

계 8

기관시스템공학부

(10)

표시과목 구분 분야 교과목명 학년 학기 학점

기관

기본 이수 과목

(1) 수산교육론 수산교육론 4 2 2

(2) 기관직무 직무일반 및 국제해사협약 1 1 3

해사영어 해사영어 2 2 3

(3) 기계공작법 기계공작 및 용접실습 1 1 2

(4) 내연기관 내연기관 2 1 3

열역학 열역학 1 2 3

(5) 선박보조기계 선박보조기계 2 1 3

유체역학 유체역학 1 2 3

(6) 선박기관운전 기관실 시뮬레이션 4 2 2

(7)

선박갑판관리 갑판기기와 하역제어 4 1 2

선박전기·전자 전기공학 1 1 3

전기·전자공학 전자공학 2 1 3

계 32

교과 교육 영역

(1) 교과교육론 4 1 2

(2)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2 2 3

(3) 교과논리 및 논술 4 2 3

계 8

해양메카트로닉스 학부

(11)

교직과목(공통, 22학점 이상)

영역 과목명 학년 학기 학점/시수 구분

필수 선택

교직이론 (12학점 이상)

교육학개론 2 1 2 v

교육심리 2 1 2 v

교육평가 2 1 2 v

교육과정 2 2 2 v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2 2 2 v

교육사회 3 1 2 v

교육철학 및 교육사 3 1 2 v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3 2 2 v

교수-학습이론 3 2 2 v

생활지도 및 상담 4 1 2 v

교직소양 (6학점 이상)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2 2 2 v

교직실무 4 1 2 v

특수교육학개론 4 2 2 v

교육실습 (4학점 이상)

학교현장실습 4 1 2 v

교육봉사활동 4 2 2 v

(12)

구분 이수학점 성적기준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전공과목 (50학점 이상)

기본이수과목 21학점 이상(7과목)

평균 75점 이상

적격판정 2회 이상

2회 이상 (기초안전교육,

상급안전교육) 교과교육영역 8학점 이상(3과목)

교직과목 22학점 이상(교육실습 4학점 포함) 평균 80점 이상

무시험검정 합격기준

(13)

교직과정은 추가로 몇 학점을 이수해야 합니까?

• 전공과목: 108학점(기본전공 80학점, 심화전공 28학점)

• 교양과목: 30학점→20학점(영역별 교양선택 필수 이수 제한 없음)

• 교직과목: 22학점

추가 10학점[교과교육영역(8학점), 수산교육론(2학점)] 이수

최종 교직과정 이수 대상자는 언제 결정됩니까?

• 3학년 1학기 수강신청 전 최종 통보

탈락한 교직과정 이수 예정자가 2학기 동안 이수한 교직교과목은 어떻게 처리됩니까?

• 일반선택 및 교양학점으로 대체

자주하는 질문

(14)

교육실습(학교현장실습)은 언제 어디서 하나요?

• 시기: 4학년 1학기, 4주간 80시간 실시(공무결석 처리로 출석인정)

• 장소: 우리대학 교육실습 협력학교(인천해사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 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완도수산고등학교)

임용고사에 합격하면 승선근무예비역 복무의무가 면제되나요?

• 임용고사에 합격하더라도 군 복무의무가 면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졸업생, 휴학생, 복학생도 교직과정 이수가 가능한가요?

• 교육부로부터 교직과정을 승인 받은 2019학년도 신입학생부터 참여 가능

자주하는 질문

(15)

우리대학 교육실습 협력학교

교육청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

인천 6 18 3.0:1

부산 7 20 2.9:1

2019학년도 항해/기관 과목 중등교사 채용 경쟁률

[참고자료 1]

[참고자료 2]

(16)

교직과정에 많은 관심과 지원 바랍니다.

교원양성지원센터

(A7 대학본부 1층 교무처 內)

061-240-7049

센터장: 김누리 교수 팀장: 민혜영

담당자: 고정순

Referensi

Dokumen terkait

[별표] 해기교육 지정교육기관 현황 ○ 해양수산부 국가승인통계의 ‘선원교육기관현황’에 따른 아래 19개 기관 한국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부산해사고등학교, 인천해사고등학교, 부경대학교, 전남대학교, 제주대학교, 군산대학교, 경상대학교, 강원도립대학,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