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20. 3. - 강원도립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2020. 3. - 강원도립대학교"

Copied!
159
0
0

Teks penuh

(1)

2020. 3.

2020학년도 강원도립대학교 중기발전계획

Rolling 보고서

(2)

0. 프로젝트 목적 및 범위 3

Ⅰ. 외부환경 진단 5

Ⅱ. 내부역량 진단 79

Ⅲ. 비전 및 전략체계도 131

[별첨]실행과제 기술서 159

(3)

- 3 -

0. 목적 및 범위

중장기 발전전략 Rolling

대학 비전과 목표 (기존 유지)

교육목표

인재상의 구체성

달성 가능성

일관성 등 분석

대학 혁신 전략 (기존 유지)

대학 혁신전략 연구

연차별 추진계획 연구

교육혁신 방안 연구

중단기 발전계획 핵심전략 및 전략과제

담당부서

성과지표

지표성격

연차별 목표 값

대학 외부환경 분석 대학 내부환경 분석

대학 정량적 현황 분석

대학 정성적 현황 분석 학과 경쟁력 분석 등

정책환경

경제환경 사회환경

경쟁환경

➍ 세부 실행과제 및 세세부 실행과제 (고도화)

세부 실행과제 정의

세세부 실행과제 정의서 작성

(4)

- 4 -

0. 목적 및 범위

창조적 교육환경 구축을 통해 국가와 지역산업 활성 화를 지원하고 지역사회의 교육복지를 실현한다

사명

인성 실용 융합 지향 4차 산업혁명 지역거점대학

비전

7대 혁신 분야(발전 목표)

(교육혁신, 학사행정혁신, 학생역량혁신 외 4개)

혁신 분야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기존)

유지

유지

유지

대내외 환경분석결과 및 현 이슈에 따른 고도화 방향

고도화 12대 추진 전략

(스마트직업교육활성화, 학사 구조 첨단화 외 10개)

추진 전략

58개 세부실행과제

(인재상-핵심역량 정립, 교육방법 혁신 외 56개)

세부 과제

100개 세세부 실행과제 (핵심역량과 교과목연계 외 99개)

세세부 과제

창조적 교육환경 구축을 통해 국가와 지역산업 활성 화를 지원하고 지역사회의 교육복지를 실현한다

사명

인성 실용 융합 지향 4차 산업혁명 지역거점대학

비전

7대 혁신 분야(발전 목표)

(교육혁신, 학사행정혁신, 학생역량혁신 외 4개)

혁신 분야

12대 추진 전략

(스마트직업교육활성화, 학사 구조 첨단화 외 10개)

추진 전략

58개 세부실행과제

(인재상-핵심역량 정립, 교육방법 혁신 외 56개)

세부 과제

100개 세세부 실행과제 (핵심역량과 교과목연계 외 99개)

세세부 과제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Rolling 범위

유지

고도화

(5)

. 외부환경 진단

(6)

P E S T 분 석 시 사 점

(7)

- 7 -

대학 여건 분석 _PEST 분석

P olitical

고등교육정책 변화

T echnological 기술 변화

S ocial 사회문화 변화

E conomic 지역산업정책 변화

(대학의 사명) 대학의 자율성·공공성 강조

(평생교육)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체계 구축, 지역 커뮤니티센터 역할 강조

(지역협력·기여) 대학의 지역공헌센터 역할 강조

(대학의 정체성) 도립대:지역인재 육성 + 전문대:전문직업인 육성 → 대학의 정체성 명확화 필요

(인프라 산업) 건설, 환경, 치안 등 공공시설 인프라 및 서비스 산업 분야

(국가성장동력 산업) 지능화인프라, 스마트이동체, 융합서비스, 산업 기반 분야 13대 혁신성장동력 선정

(지역 주력산업) 1) 레저휴양지식서비스 산업, 2) 웰니스식품 산업, 3) 세라믹신소재 산업

(지역경제) 지역경제 활성화 주체로서의 전문대 역할 강조

(대학-산업 특성화율) 강원지역 대학 중 주력산업 기반 학과 특성화율 18% 수준 → 특성화 개념 재정립 필요

(기존 산업 연계성) 4차산업혁명 관련 산업과 기존 산업이 공존 → 4차산업화 대비와 동시에 기존 산업 활성화 노력 병행 필요

(4C역량 요구) 4차산업혁명 창의융합 인재 요구

(ICBM 기반) 4차산업혁명 선도학과 신설

(기술적 실업) 직업 및 직무 소멸과 출현의 일상화

(4차산업혁명 시대 삶의 문법) 협업이 일상화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삶의 문법 → 디지털 문해+인성기반 창의·융합 전문인재 필요

(인구절벽) 출산율 저하, 입학자원 감소, 노령인구 증가 등

(대학위기) 기존 대학의 40% 폐교 위기

(100세 시대) 인생 다모작 시대 도래

(일자리 창출) 취·창업역량 강화 필요

(Z세대 특성) 교육수요자 Z세대의 특성 파악 및 대응

▶ 전문대학 육성정책 기반 현재 + 미래 산업 기반 ◀

▶ 4차산업혁명기술 기반 라이프스타일 기반 ◀

강원도립 대학교

(8)

- 8 -

대학 여건 분석 _PEST 분석 시사점(1)

분석 프레임워크 분석 포인트 현실태 파악(기회/위협) 시사점

P olitical Analysis (고등교육정책 변화)

『전문대학 육성정책 기반』

경쟁력 (위협)

규모의 경제 중심 대학 경쟁력 평가

대학의 사명에 기반한 지역거점대학으로 서 도립대의 정체성 강화 필요

소규모 대학의 인적· 물적 자원의 한계

자율성· 공공성 (기회)

기본역량진단을 통한 자율개선대학 선정

지역거점대학으로서 도립대의 역할 강조

E conomic Analysis (지역산업정책 변화)

『현재 + 미래 산업 기반』

기존 산업 (위협)

지역산업 기반 취약

기존 산업과 공공인프라 산업, 국가성장 동력 산업, 지역 주력산업을 고려한 특성 화 분야 전면 재설정 필요

대학-산업 특성화 미스매칭

인프라 산업

국가성장동력 산업

지역 주력산업 (기회)

공공인프라 산업 관련 학과 보유

4차산업기술 관련 학과 보유 및 신설 가능

지역 주력산업 관련 학과 보유

(9)

- 9 -

대학 여건 분석 _PEST 분석 시사점(2)

분석 프레임워크 분석 포인트 현실태 파악(기회/위협) 시사점

S ocial Analysis (사회문화 변화)

『라이프스타일 기반』

인구절벽

Z세대 특성 (위협)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생 충원율 저하

지역 커뮤니티센터 역할 강화를 통한 평생 직업교육대학으로서 정체성 확립 필요

지역산업 기반 취약으로 인한 취업률 저하

100세 시대

일자리 창출 (기회)

평생교육대학으로서 정체성 재정립 기회 도래

직업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

T echnological Analysis (기술 변화)

『4차산업혁명기술 기반』

기술적 실업 (위협)

급변하는 기술 변화로 인한 고급 전문인력 요구 증가

4차산업혁명기술 기반 실용· 실무 중심의

직업교육대학으로서 인재육성 역량 필요

현장미러형 기술 숙련 공간 부족

마이크로 테크놀로지 (기회)

소규모 대학으로 기술변화에 대응력 높음

소규모 개방형 창의융합공간을 통한 4차산업

혁명기술 관련 학생역량 강화 가능

(10)

정 책 환 경 분 석

(11)

- 11 -

정책환경 분석

분석 내용

시사점

(직업교육체제 혁신) 직업교육 트랙 조성과 4차산업혁명 대비 학교교육 내실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지역 커뮤니티센터 구축) 지역 평생직업교육 기반 마련, 국가-지자체-대학 거버넌스 구축,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의 평생직업교육 수요가 반영된 커뮤니티 센터 구축

(평생교육 강화) 수요자 맞춤형으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평생직업교육훈련 체계 수립

(학사제도유연화) 융합전공제, 유연학기제 및 집중이수제 등 도입을 통한 학교교육 내실화

(12)

고등교육정책 패러다임

(13)

- 13 -

고등교육 정책환경 변화

○ 고등교육에 대한 각종 재정지원사업, 기본역량진단평가 등 정부 주도의 교육 정책이 강화되는 추세이므로,

향후 고등교육정책 방향에 선제적 대응 필요

(14)

- 14 -

교육부 고등교육정책 방향(1)

○ 교육부는 대학의 공공성과 자율성 확대를 통한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를 통해, 대학 경쟁력 강화와 대학의 영역 및 역할의 확대를 목표로 대학 재정지원사업 재구조

※ Source : 새 정부 고등교육정책 비전 및 목표, 교육부, 2017.11.30 ※ Source : 대학 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안), 교육부, 2018.03

정부의 주요 요구사항과 개편방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중기 발전계획 및 대학 특화 전략 수립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필요

새 정부 고등교육정책 비전 및 목표 대학 재정지원사업 재구조화

(15)

- 15 -

교육부 고등교육정책 방향(2)

*출처: 교육부 업무 계획 보고(’18.1)

(16)

- 16 -

대학혁신지원사업(1)

○ ’19년부터 추진되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대학이 스스로 수립한「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라 재정을 지원하고,

사업비도 발전계획에 부합하도록 자율적인 집행을 허용하며, 하나의「중장기 발전계획」을 교육부의 다른 재정지원 사업 평가에 공동 활용하여 사업 간 정합성, 중복방지 효과를 제고하려 합니다.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및 활용

항목 평가 내용

대학의 비전 및

목표

• 대내외 여건 분석 및 대학 현황 분석, 대학의 건학이념 및 인 재상

• 대학의 혁신비전 및 중장기 발전 목표

혁신전략 대학

• 대학의 비전과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대학 혁신 방안

• 대학 혁신 프로그램(예시) : 교육과정(교양, 전공, 비교과) 개발 및 운영 지원, 교육지원 시스템의 총체적 개선 지원, 창업 교육 및 현장형 학습 시스템 도입

• 기존 재정지원사업(ACE+, CK, PRIME, CORE, WE-UP 등)의 성과 유지확산이 대학의 발전계획에 부합하도록, 이를 포 함하여 작성

종합재정 투자계획

• 교육부를 포함한 모든 정부부처, 지자체, 교내 예산 등 예산 확보 현황 및 계획을 각 영역별로 기술

*출처: 대학 자율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 재정지원사업 개편 계획(안)(교육부,18)

중장기 발전계획 작성 이슈

대학별로 자율적으로 작성하되, 중요 요소 포함

1. 대학의 비전 및 목표(인재상), 대학 혁신 전략(중점 육성 분야), 종합 재정 투자 계획(재정계획, 투자 우선 순위, 예산 투입 계획), 성과관리 방안 → 투자 영역 범위 및 분류 등은 대학이 자율로 설정하 되, 세부사업 단위로 예산(안) 작성

2. LINC+(산학협력), BK21 플러스(연구), 대학혁신지원사업 등의 교당 지원 예산을 반영(국립대는 국립대학 육성사업 포함)

3. 대학 자체 및 타부처 사업 예산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발전계획을 수립 → (재정투자계획) 중장기 발전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재정사업별(교육 부, 타부처, 지자체), 자체 재원별(발전기금 등등) 활용 방안 기술

4. 기존 재정지원사업의 성과 유지확산이 대학의 발전계획에 부합하도 록, 이를 포함하여 작성

(17)

- 17 -

대학혁신지원사업(2)

○ 대학의 발전계획 수립, 투자우선순위에 따른 예산 설정, 성과 목표 등에 대한 근거 자료 필요

(18)

- 18 -

정책환경 분석 _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1)

대학(원) 학사제도 개선방안 주요 내용 유연학기제(예시)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기준 주요 내용

*출처: 대학(원)의 자율적 발전을 위한 학사제도 개선 추진 방향. 행복한 교육 특별기획(2018.10월호). 교육부 발간

(19)

- 19 -

정책환경 분석 _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2)

○ 대학의 자율적 발전 및 다양성 보장을 위해 학사제도 유연화, 다양한 학습기회 보장, 시공간 제약 없는 수업 제공 등 제도(고등교육법 시행령) 명료화 및 개선(교육부, ’16.12, ’17.5, ’17.12. ’18.1)

기존

2~4학기 중 선택 통상 동일한 학기 운영 (전공, 학년, 학위과정 무관)

융합전공제 통상 같은 대학 내 학과간 연계전공 운영

전공선택제 소속학과 전공필수

2학기 이상에서 선택 전공별, 학년별, 학위과정별 다른

학기 운영 허용

국내외 대학간 새로운 전공설치 가능 (학과 조정 필요 없음)

소속학과 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 중 선택 가능 (

전공필수폐지

)

집중이수제 수업일수(30일 이상) 규정하에서

학기당 통상 15주 수업 교육과정 운영상 필요 시 교과별 집중 수업 가능

출석기준 규정 없음 출석 등 학위취득 기준 학칙에 규정

원칙적 금지 제한적 허용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기준 내)

유연학기제 다학기제

이동수업

관련 조항

시행령 10 개정

시행령 10② 신설

시행령 19① 개정

시행령 19① 개정 시행령 11① 신설 시행령 11④ 신설 시행령 14② 신설

시행령 14조의2 신설

개선

원격수업 기준 없음 질 관리 등 운영기준 마련

시행령 14조의3 신설

대학간 복수학위 교육부 규정상 금지 명시적 허용

시행령 13② 개정

대학의 해외진출 등 기준 없음 프랜차이즈 방식 해외진출 기준 마련

시행령 13조의2, 15조 신설

*출처: 대학학사제도개선방안(’16.12), 대학 학사제도개선관련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사항안내(‘17.5), 전문대학제도개선 추진방안(’17.12), 고등교육법시행령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18.1). 교육부

(20)

- 20 -

정책환경 분석 _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3) 1) 학사제도 유연화

다 학 기 제 유 연 학 기 제 도 입

 (다학기제) 종래 2~4학기 중에서 학칙으로 학기제 선택 가능

→ 매 학년도 2학기 이상이면 4학기를 초과한 학기제 운영 가능

 (유연학기제) 교육과정 운영상 필요한 경우, 학과(전공)별, 학년별,

학위과정별로 학기를 달리 정할 수 있음

- 같은 대학 내에서도 학과(학부), 전공별로, 같은 학과 내에서도 학년별로, 학위과정별로 학기의 운영기간을 다르게 운영 가능

 (학기 자율) 2학기 이상의 학기제를 대학 자율적 채택, 운영

 (학년도) 학교가 정하는 학교 전체 학년도 범위내에서 운영

 (수업연한) 고등교육법령에서 정한 각 학위과정 수업연한 준수

 (등록금) 고등교육법과 대학등록금에 관한 규칙 적용

 (국가장학금) 대학별 사례 등을 고려하여 제도 개선 예정

집 중 이 수 제 도 입 출 석 기 준 명 확 화

 (수업일수) 학교가 운영하는 수업일수는 종전과 같이 매 학년도

30주 이상을 유지하되, 개별 교과별로 학점당 이수시간을 준수 하는 범위에서 교과의 수업일수를 단축하여 운영

 (출석시간) 1학점당 최소 1시간 이상의 이수시간을 준수하는

범위에서 교육과정 특성에 따라 교과목별로 15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으로 학점당 이수시간을 설정하는 근거를 명확히 함

 학점당 15시간 이상 강의가 이루어지면, 학습자와 교과목 특성 등 교육과정 운영상 필요를 고려하여 학칙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교과별 수업일수의 제한 없이 집중수업 가능

 단, 교과목이 요구하는 학습량(예습, 복습, 과제물 작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수업일수 편성 및 운영

 1학점당 15시간 이상의 이수시간은 반드시 확보, 학점당

15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으로 학점당 이수시간을 정할 수 있음 대학

수업일수 30주 이상 개강, 일반, 계절, 실습학기 포함

교수시간 학점당 15시간 이상 기준, 집중수업 허용 출석시간 출석시간 기준을 학칙으로 근거 마련

교수

학생

< 이행 주체별 학사운영 주요개념의 의무>

*출처: 대학학사제도개선방안(’16.12), 대학 학사제도개선관련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사항안내(‘17.5), 전문대학제도개선 추진방안(’17.12), 고등교육법시행령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18.1). 교육부

(21)

- 21 -

정책환경 분석 _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4) 2) 다양한 학습기회 보장

 (대상)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학교간, 원격대학 학교간,

전문대학 학교간, 기술대학, 각종학교 학교간 복수학위 수여 가능

 (범위) 학위과정이 동일한 경우(전문학사, 학사, 학석사 통합,

석박사 통합, 박사)에만 운영 가능(일반, 전문, 특수대학원간 제한)

 (규모) 대학 간 협약을 통해 자율 책정

 (학위) 각 대학이 정하는 졸업요건을 모두 충족 시에만 가능

국 내 대 학 간 복 수 학 위 허 용

 소속학과 전공 필수이수제를 폐지하고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소속학과 전공, 연계ㆍ융합 전공, 대학간 연계ㆍ융합 전공, 학생 설계 전공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전공을 선택하여 이수 가능

 기존학과는 그대로 둔 채 모든 학과 사이에서 새로운 연계ㆍ융합 전공의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근거를 명확히 함

 연계ㆍ융합 전공은 같은 대학 또는 다른 국내외 대학과 개설 가능 융 합 전 공 전 공 자 율 선 택 강 화

 (적용대상) 대학(산업대학, 원격대학 포함, 교육대학,전문대학,

기술대학 등 제외), 대학원에 적용(단, 대학과 원격대학 간에는 융합전공 개설ㆍ운영이 허용되지 않음, 본교와 분교 간 가능)

 (전공선택제) 소속학과(부)와 관계없이 다양한 전공 중에서 하나

이상의 복수전공을 할 수 있도록 학칙 등 마련 후 시행

<경인 지역 대학 복수학위제 운영합의(안)>

구 분 내 용

이수자격 - 재학생 및 복학예정자(신청 직전 학기까지 성적 평점 평균이 학사경고 학점 이상인 자)

이수방법 - 소속대학 4년, 교류 대학 1년 수학, 모듈학기제도 활용 가능 - 소속대학 정규학기 중 학점 교류가능(이수학점 제한 필요) 이수허가 - 교류대학 신청 학과는 소속대학의 학과와는 다른 것을 원칙으

로 하며, 세부 운영 방안은 교류 대학의 규정에 따름 수업료 - 소속대학 학비와 별도로 교류 대학에 수업료 납부

- 복수학위 수업료는 수강과목 학점 단위로 납부(학점당 10만원) 취득조건 - 교류대학의 복수학위 취득 조건은 교류대학 자율에 맡김(단,

학생이 복수학위 신청 전 충분한 정보 전달)

 (제한) 본교/분교 간, 동일법인 대학 간, 행정처분 사유가 해소되지

않은 대학 및 정부 재정지원 가능대학이 아닌 대학은 실시 불가

*출처: 대학학사제도개선방안(’16.12), 대학 학사제도개선관련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사항안내(‘17.5), 전문대학제도개선 추진방안(’17.12), 고등교육법시행령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18.1). 교육부

(22)

- 22 -

정책환경 분석 _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5) 3) 시공간 제약 없는 이동ㆍ원격수업 제공

 (공통) 운영비율, 출결처리 및 평가 등 학사관리 운영기준을

마련하여 대학 원격수업 및 대학간 공동 원격수업에 적용

 (질 관리 강화) 일반대학에서 양질의 원격수업에 필요한 적정

수준의 서버, 통신장비 및 콘텐츠 개발 설비 등에 대한 기준 마련

 (대학원) 학위의 전문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학교 자율로

원격수업 운영(졸업학점의 20%까지 원격수업 학점취득 허용) 원 격 수 업 운 영 기 준 마 련 대 학 원 원 격 수 업 허 용

<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기준 주요 내용>

구 분 내 용

개념 - 교수-학습활동이 상이한 시간 또는 공간에서 진행되는 수업 - 혼재된 수업도 원격수업의 비중이 70% 이상이면 인정 운영 시간 - 학점당 이수 시간은 매 학기 15시간 이상으로 운영

- 재생시간 25분, 총 학습시간 50분 이상이면 1차시 수업 인정 출석 관리 - 대면수업에 준하여 출석관리 및 대리출석 차단 시스템 마련

- 출결관리기록은 대학기록물 보존 기간 책정 기준 가이드 준수 교과목 구성

- 매 학기별로 각 전공별로 개설한 총 교과목 학점 수의 2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원격 수업 교과목 개설 가능 - 전공과 교양 교과목을 구분하여 관리

이수 가능 학점

- (학부) 원격수업으로 이수 가능한 학점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원격수업 교과목을 과도하게 이수하지 않도록 운영

- (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원양성 과정은 졸업 학점의 20%를 초과 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수 가능하도록 제한

질 관리 - 중간ㆍ기말고사 등 학생 성적 평가는 출석평가를 원칙으로 함 - 원격수업관리위원회에서 3년마다 콘텐츠품질에 대한 평가 실시

 (이동수업) 교수가 대학이 위치한 시도 행정구역 내에서 지역을

순회하며 학교 밖 일정한 장소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

 (추진내용)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이동수업에 대한 기준(대상, 요건,

과정 등)에 따라 학교 밖에서 수업을 할 수 있는 근거 마련

* (대상) 교사, 국가대표 선수, 군인, 경찰, 산업단지 근무자 등, (요건) 교원, 시설, 교육과정, (과정) 학부, 대학원 등

이 동 수 업 의 제 한 적 허 용

 (승인사항) 전문, 특수대학원 석사과정 또는 체육계열 학부 등

제한적 과정에 대해 교육부장관 승인 후 운영

*출처: 대학학사제도개선방안(’16.12), 대학 학사제도개선관련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사항안내(‘17.5), 전문대학제도개선 추진방안(’17.12), 고등교육법시행령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18.1). 교육부

(23)

- 23 -

정책환경 분석 _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6) 4) 국내 대학의 해외 진출 지원 및 기타

 (수업연한) 수업연한 단축기간 확대(기존 6개월 → 개정 1년)

- 대학이 연구, 프로젝트 실적, 집중이수, 전공분야 등 수업연한의 단축기준을 학칙에 구체적으로 규정, 석사학위 질적 수준 유지

 (졸업요건) 석사학위 논문제출 필수규정을 삭제하고, 대학이

학위논문 제출, 프로젝트 수행 등 학위취득 요건을 학칙으로 규정 * (기존) 석사학위 논문제출 의무 → (개정) 학칙으로 졸업요건 제정

석 사 과 정 수 업 연 한 단 축 졸 업 요 건 자 율 화

 (트위닝) 국내대학과 해외대학간 협약을 체결하고, 국내대학

주도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공통의 교육과정을 분담하여 운영

 (프랜차이즈) 국내대학이 외국대학에게 국내대학 교육과정 사용을

승인 → 외국대학이 교육과정 전부를 운영 → 국내대학 학위 수여

 (합작학교) 국내대학이 외국대학(정부)과 협약을 맺고 제3의

새로운 대학을 설치, 이사회 공동 참여

교 육 과 정 제 공 방 식 의 해 외 진 출 기 준 마 련

< 국내대학의 해외진출 방식>

구 분 트위닝

(twinning) 프랜차이즈

(franchise) 합작학교 (alliance)

교육과정 - 국내대학 주도 - 국내대학 주도 - 외국대학 협력

관계 - 협업(collaboration) - 협약(arrangement) - 협업(collaboration)

협약 - 3~5년 협약 - 3~5년 협약 - 별도 규정

이사회 - 별도 운영 - 별도 운영 - 공동 구성 교수파견 - 자율 - 자율 - 보편적 학생이동 - 이동 - 이동하지 않음 - 이동하지 않음 수업장소 - 외국/국내(1+3,

2+2, 3+1 등) - 외국대학 - 외국대학

학위 - 공동/복수학위 - 국내대학 학위 - 신설대학 학위 - 공동/복수 학위

 재직자 등 학습자 특성과 공학 등 전공 특성을 고려, 대학 자율로 졸업요건을 정하도록 하여 고등교육 국제적 추세에 동참

 학습자 수준과 여건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 가능

*출처: 대학 학사제도 개선방안(’16.12), 대학 학사제도 개선 관련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사항 안내(‘17.5), 전문대학 제도 개선 추진 방안(’17.12),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18.1). 교육부

(24)

- 24 -

○ 직무역량 개발기회를 전 생애에 걸쳐 실질적으로 보장하여 급변하는 미래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향후 직업교육훈련이 나아가야 할 혁신 방향과 주요 과제를 제시(관계부처합동, ’18.7.27)

평생직업교육훈련 정책 패러다임 전환 비전 및 기본방향

*출처: 평생직업교육훈련 혁신 방안(’18.7.27), 관계부처합동

정책환경 분석 _평생직업교육훈련

(25)

전문대 육성정책

(26)

- 26 -

전문대 육성 현황과 과제 _교육부의 전문대 육성 전략별 추진과제

*출처: 전문대학 육성방안(2017. 12). 교육부

(27)

- 27 -

전문대 육성 현황과 과제 _교육부의 전문대 육성 전략별 추진과제

*출처: 전문대학 육성방안(2017. 12). 교육부

(28)

- 28 -

전문대 육성 현황과 과제 _교육부의 전문대 육성 전략별 추진과제

*출처: 전문대학 육성방안(2017. 12). 교육부

(29)

도정 ( 강원2040)·시정 ( 강릉 2018) 계획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30)

- 30 -

강원비전 2040 비전하우스

강원도의 비전을 고려하여 강원도립대학의 대학 특화 분야를 전략적으로 선정하여 경쟁력을 강화하여야 하며, 지역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개편 및 인재양성 방안 마련이 필요함

< 동해안지역권 주요 사업 구성도 >

< 2040 강원도 권역별 구상 >

< 미래 권역별 산업입지 분석 >

< 2040 강원의 새로운 권역구상(안) >

※ Source : 강원도 홈페이지, 강원비전 2040, 강원비전 2040 비전하우스. 2017. 10.

강원비전 2040 비전하우스 체계도

○ 강원도는 9대 메가트렌드를 반영한 <강원비전 2040 비전하우스>에서 Wonderful-Stay와 Dramatic-Nature로

자연과 사람의 미래를, Well-Come과 Dream-Works로 Login 강원을 실현하고자 함

(31)

- 31 -

강릉시 비전 및 시정목표

○ 강릉시는 『뜨거운 열정과 도전! 세계속의 감동 강릉!』 비전 달성을 위해 1) 경제도시 실현, 2) 문화·관광 도시 건설 , 3) 복지·교육도시 구현, 4) 평화도시 조성의 4가지 시정목표를 설정하였음

강릉시의 비전, 시정현황, 지역발전 중점과제를 고려하여 강원도립대학의 대학 특화 분야를 전략적으로 선정하여 경쟁력을 강화하여야 하며, 지역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개편 및 인재양성 방안 마련이 필요함

※ Source : 강릉시 홈페이지, 강릉 2018 시정현황, 강릉 2018 시정 역점시책

강릉시

< 강릉시 시정현황 > < 강릉시 비전 / 시정목표·방침 > < 2018 강릉 지역발전 중점과제 >

(32)

- 32 -

강릉시 2018 시정 역점시책

○ 강릉시의 2018 시정 역점시책은 『2018년 세계속의 강릉 건설』을 목표로 8가지 역점시책을 시행 중에 있음

강릉시의 역점시책을 고려하여 강원도립대학의 대학 특화 분야를 전략적으로 선정하여 경쟁력을 강화하여야 하며, 지역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개편 및 인재양성 방안 마련이 필요함

< 일반현황 > < 2018 강릉 역점시책 >

※ Source : 강릉시 홈페이지, 강릉 2018 시정 역점시책

강릉시 시정 역점시책

< 민선6기 비전과 목표 > < 2018년도 시정 방향 >

(33)

- 33 -

강원 4대 아젠다 세부사업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1)

비전 목표 4대

아젠다 실천전략 아젠다

주요 추진과제

강원도립대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

대표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자연과 사람의 미래, Login 강원

삶의 질

1등도

연간유동 인구 2억명

연간 GRDP

3%+α

Ⅰ.

Well-Come 강원:

국내외 연결 성이 강력한

열린 공간

[Ⅰ-1]

고도화된 교통•물류

인프라와 네트워크형

공간

Ⅰ-1-1.

강원도발 국내외 교통•물류 네트

워크 확대

[Ⅰ-1-1-1]

쾌도 강원 2x4 U-route

[Ⅰ-1-1-3]

친환경 광역 철도망 구축

① 동해선(강릉~제진) 철도

② 경원선·금강산선 철도복원

③ 홍천~용문철도

④ 제천~삼척 고속화(ITX) 철도

[Ⅰ-1-1-4]

2X4 고속도로망

구축

① 동서 6축(제천~삼척) 고속도로

② 중앙고속도로(춘천~철원)연장

[Ⅰ-1-1-2]

‘FLY-TRAIN- CRUISE’

연계 국제 크루즈 항로개발

③ 평화고속도로

④ 남북 6축 고속도로(양구~강원도 경계)

[Ⅰ-1-1-5]

동해안 하늘 길

~바닷길 확충

① 강원도 국제 크루즈 항로개설

② 동해항 3단계 개발사업

③ 항만배후 융복합 물류클러스터 구축

④ 양양 국제공항 정기노선 확대

Ⅰ-1-2.

신기술 대응 교통 물류 인프라 구축

[Ⅰ-1-2-1]

미래형 충전 인프라와 자율주행 EV 보급

[Ⅰ-1-2-2]

충전인프라 보급 확대

①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확대 보급

② 태양광 충전 플랫폼 구축 및 확대

③ 충전인프라 통합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Ⅰ-1-2-3]

신교통수단 도입 및 확산

① 소형전기차 등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확대

② 산악철도 및 트램 건설

③ 드론을 활용한 물류오지 해소 전공(전략산업 연계)

[Ⅰ-1-2-4]

신교통수단

공유서비스 역세권/관광거점지 이모빌리티 공유서비스

(34)

- 34 -

강원 4대 아젠다 세부사업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2)

비전 목표 4대

아젠다 실천전략 아젠다

주요 추진과제

강원도립대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

대표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자연과 사람의 미래, Login 강원

삶의 질

1등도

연간유동 인구 2억명

연간 GRDP

3%+α

Ⅰ.

Well-Come 강원

국내외 연결 성이 강력한

열린 공간

Ⅰ-2.

통일 인프라 동북아 협력구축과

확대

Ⅰ-2-1.

남북교류협력 다각화 및 신 협력체계 구축

[Ⅰ-2-1-1]

강원 평화특별 자치도 설치

[Ⅰ-2-1-2]

분야별 대북교류 협력의 다양화

① 동해안 국제관광자유지대 조성

② 평창동계올림픽과 남북강원도 스포츠 교류협력

③ 철원 평화산업단지 조성

④ 북한 동해안 소재자원의 공동개발협력

⑤ 북강원도 산림복원 교류협력 [Ⅰ-2-1-3]

DMZ 자원의 남북한 공동이용 및 관리

① 태봉국 도성의 공동 발굴·복원

② 동해 평화의 바다 조성 [Ⅰ-2-1-4]

남북강원 교류협력 거버넌스 구축

① 강원평화특별자치도 설치

② 남북 접경지역 공유하천 유역 공동체 설립

Ⅰ-2-2.

통일 역량강화 및 접경지역 인프라

구축

[Ⅰ-2-2-1]

통일경제특구 조성 및 운영

[Ⅰ-2-2-1]

통일대비 남북 강원 통합기반 구축

① 통일 관련 산·학·연 협력체 구성 및 운영

② 북강원도 D/B 구축과 남북강원도 지식공유

③ 평화도시·평화문화 연구 [Ⅰ-2-2-2]

접경지역 주민 삶의 질 제고

① 통일경제특구 조성 및 운영

② 토지이용규제 강화

Ⅰ-2-3.

북방과 4차 산업 혁명시대 대응 동북아 국제협력

확대·강화

[Ⅰ-2-3-1]

동북아 에너지·자원 교류협력 중심지

[Ⅰ-2-3-2]

동북아 경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① 러시아 천연가스 연계망 구축

② (가칭)극지R&D센터 조성

③ 동북아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④ 동북아 벤처 네트워크 구축

⑤ Safe Farm 동아시아 위원회 설립 [Ⅰ-2-3-3]

동북아 지방대학 간 네트워크 구축

① 동북아 지방대학 간 청년 창업 아카데미 공동운영

② 동북아 지방대학 간 대학원 공동운영

③ 동북아 지방대학 간 직업교육 네트워크 구축

(35)

- 35 -

강원 4대 아젠다 세부사업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3)

비전 목표 4대

아젠다 실천전략 아젠다 주요 추진과제 강원도립대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

대표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자연과 사람의 미래, Login 강원

삶의 질

1등도

연간유동 인구 2억명

연간 GRDP

3%+α

Ⅰ.

Well-Come 강원

국내외 연결 성이 강력한

열린 공간

Ⅰ-3.

강원도가 주도하는 신 관광시장 생태계 구축

Ⅰ-3-1.

기술 기반형 관광 서비스 체계구축

[Ⅰ-3-1-1]

4차 산업혁명 기반의 개인 맞춤형 관광 플랫폼 구축

[Ⅰ-3-1-2]

스마트관광 인프라 구축

① 관광상품 직거래 기반 조성

② 융합관광산업 육성(VR, AR 콘텐츠 제작 등)

③ K-ICT 고도화

④ U-Health 컨버전스 리조트 벨트 조성 [Ⅰ-3-1-3]

스마트관광 체험기회 확대

① ‘미리 가보는 강원도‘ 가상체험관 조성 및 이벤트 개최

② 3D프린터를 활용한 ‘나만의 추억만들기 체험관’

Ⅰ-3-2.

융복합 관광산업

생태계 조성 -

[Ⅰ-3-2-1]

자연자본주의 관광생태계 구축

① 청정 자연기반의 국민여가지대 조성

② 웰니스 중심의 산림치유 관광 육성

③ 스포츠 의료관광 육성 [Ⅰ-3-2-2]

미래 관광산업 및 인재육성

① 지역산업 연계형 산업관광 기반 구축

② 관광 R&D와 지역관광인재 육성 전공(전략산업 연계)

Ⅰ-3-3.

강원도 관광 스타일 완성

[I-3-3-1]

사계절 체류형 관광환경조성

[I-3-3-3]

강원 관광의 차별성 제고

① 동계올림픽을 활용한 관광명소 지속가능성 확보

② 청정자연과 콘텐츠파워의 창조관광

③ 다크투어리즘 활성화

[I-3-3-2]

강원관광브랜드 파워업

[I-3-3-4]

소통과 감성의 강원관광 육성

① 문화관광해설사 활용 고도화(스토리텔링 상품개발)

② 체험형 수학여행상품 발굴

③ 글로컬 관광지 조성

(36)

- 36 -

강원 4대 아젠다 세부사업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4)

비전 목표 4대

아젠다 실천전략 아젠다

주요 추진과제

강원도립대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

대표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자연과 사람의 미래, Login 강원

삶의 질

1등도

연간 유동 인구 2억명

연간 GRDP

3%+α

Ⅰ.

Well-Come 강원

국내외 연결 성이 강력한

열린 공간

Ⅰ-4.

세계 수준의 관광·레저

인프라

Ⅰ-4-1.

DMZ와 동해안 국제 관광지대

조성

[Ⅰ-4-1-1]

DMZ·동해안 르네상스 관광지대 조성

[Ⅰ-4-1-2]

DMZ 평화생태로드

① 철새탐방로 및 전망대

② 파서탕 생태체험 관광지

③ 원통역사 테마거리 조성

[Ⅰ-4-1-3]

국제 수준의 해양관광지대 조성

① 세계적 수준의 DMZ 생태관광벨트로 명소화

② 속초·동해 크루즈 관광 여건 확대 전공(전략산업 연계)

③ 해양레저관광 고도화를 위한 N-Land 서프파크 조성

④ 해양 로프웨이 건설

Ⅰ-4-2.

산악환경 활용고도화 및

웰니스 관광 육성

[Ⅰ-4-2-1]

힐빙(Heal-being) 산악관광지 조성

[Ⅰ-4-2-2]

융복합 산악관광지 조성

① 매봉산 산악관광지 조성

② 대관령 국제 산악관광 명소

③ 두루웰 숲 속 문화촌 [Ⅰ-4-2-3]

자연 치유 관광벨트 구축

① 인제 하추 치유의 숲 조성

② 화천 만산령 치유의 숲 조성

Ⅰ-4-3.

세계적 도시관광 명소 발굴 및

브랜딩 강화

[Ⅰ-4-3-1]

글로벌 도시관광 육성

[Ⅰ-4-3-2]

글로벌 도시관광 브랜드 구축

① 강원도 소규모 숙박시설인증 브랜드 런칭 및 운영

② 로컬푸드 중심의 지역관광 먹거리 서비스 강화

③ 지역 여행업 육성

④ 철도관광 활성화

[Ⅰ-4-3-3]

젊은 관광상품 발굴 및 육성

① 감성 어메니티 육성을 위한 아트 투어리즘 확대

② 강원도 야간관광 10선 육성

③ Young & Smart MICE 산업육성

(37)

- 37 -

강원 4대 아젠다 세부사업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5)

비전 목표 4대

아젠다 실천전략 아젠다 주요 추진과제 강원도립대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

대표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자연과 사람의 미래, Login 강원

삶의 질

1등도

연간 유동

인구 2억 명

연간 GRDP

3%+α

Ⅱ.

Wonderful- Stay 강원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지역공동체

Ⅱ-1.

자연·생태 환경과 함께하는 스마트 정주기반

Ⅱ-1-3.

생태가치가 실현 되는 생활환경

조성

[Ⅱ-1-3-1]

지역유형별 도시재생사업 추진

[Ⅱ-1-3-2]

청정강원 정주환경 조성

① 도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커뮤니티공원 조성

② 환경위해 요소로부터 안전하고 청정한 생활환경 육성

③ 자연치화적 정주공간

④ 사회구성원이 함께 완성하는 선진 친환경 도시

⑤ 제로에너지 하우스 보급 [Ⅱ-1-3-3]

도시·농촌 토지이용 고도화

① 3대 핵심 토지이용규제 개선과 개발가용 토지자원의 확보

② 중소도시형 복합용도지구 조성

[Ⅱ-1-3-4]

강원도 도시재생 모델 구축

① 미래산업 창의공간 재생

② 쇠퇴지역 활력공간 재생

③ 지역브랜드 창조공간 재생

④ 빈집 재생 프로젝트

Ⅱ-2.

첨단 보건/

복지 인프라와

상생의 가치 공동체

Ⅱ-2-1.

공유·협업경제의 확산과 사회적경제

고도화

[Ⅱ-2-1-1]

강원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

① 사회적경제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개발 및 비즈니스 지원

② 사회적 창조기업 제도도입 및 육성

③ 사회혁신 클러스터 조성 및 육성사업

④ G-몬드라곤 프로젝트 추진

⑤ 공유경제 확산과 지원체계 구축

⑥ 협업경제 구축과 공공조달 확산

⑦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및 네트워크화

⑧ 사회적경제 확산을 위한 도민홍보 활성화

Ⅱ-2-2.

미래형 보건/복지 시스템 구축

[Ⅱ-2-2-1]

빅데이터 기반 개인맞춤형 보건복지 서비스

제공

[Ⅱ-2-2-2]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보건의료 서비스

구축

① 지역별 맞춤형 의료서비스 기반 구축

② 도민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③ 건강정보은행 구축

④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민 의료서비스 시스템 구축

[Ⅱ-2-2-3]

강원도형 사회 복지망 구축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

① 강원도 사회복지서비스 빅데이터 구축

② 빅데이터 활용 개인별 맞춤형 복지 추진

③ 사회서비스 기반 사회적 기업·협동조합 확대

④ 고령화 대응 컨트롤 타워(가칭) 강원 60+지원센터 설립

⑤ 사회적기업을 활용한 읍면 별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38)

- 38 -

강원 4대 아젠다 세부사업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6)

비전 목표 4대

아젠다 실천전략 아젠다 주요 추진과제 강원도립대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

대표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자연과 사람의 미래, Login 강원

삶의 질

1등도

연간 유동 인구 2억명

연간 GRDP

3%+α

Ⅱ.

Wonderful- Stay 강원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지역공동체

Ⅱ-3.

강원도 가치창조 문화의

Ⅱ-3-1.

강원도 문화예술의

글로벌화

[Ⅱ-3-1-1]

강원유산 가치발굴 사업

[Ⅱ-3-1-2]

글로벌 거점 추진

① 유네스코 창조도시 거점구축

② 국제 문화예술치유센터 설치

③ 문화적 다양성 증진 기반 구축 [Ⅱ-3-1-3]

글로벌 문화역량 및 국제네트워크 강화

① (가칭) 첩첩산중 아트페스트벌 & 마을디자인 프로젝트

② 국제작가 레지던시 사업

Ⅱ-3-2.

지역민을 위한 문화예술 인프라

확대

[Ⅱ-3-2-1]

지역주도형 문화 공동체 역량구축

[Ⅱ-3-2-2]

지역문화생태계구축을 위한 인프라 조성

① 유휴시설 활용한 작은 생활문화복지공간 조성

② 생활문화예술 지원체계 구축

③ 문화귀촌 활성화 및 지원체계 구축

④ 예술인 창작활성화 지원 사업

Ⅱ-3-3.

문화예술인 양성 창조적 - [Ⅱ-3-3-1]

예술창작인력양성 및 일자리 창출

① 강원청년 창의산업 육성

② 강원 예술창조 플랫폼 조성

③ 강원도민문화대학 설립

Ⅱ-4.

초연결사회에 대응한 교육환경 미래형

Ⅱ-4-1.

창조적 스마트 교육기반 구축

[Ⅱ-4-1-1]

비상(飛上) 할 수 있는 강원교육시스템

구축

[Ⅱ-4-1-2]

초연결사회 대응

교육인프라 구축(HW) ① 강원도 미래형 스마트 교실 구축

[Ⅱ-4-1-3]

미래 창의적 교육방안 제시(SW)

① 지역대학과 연계한 코딩교육 활성화

② 미래형 학습방법 전환(PBL, GBL, Flipped Learning)

③ 핀란드형 학습교육지원(5C, Topic 중심 교육)

Ⅱ-4-2.

평생교육 플랫폼 조성

[Ⅱ-4-2-1]

Home Edu 플랫폼 강화

[Ⅱ-4-2-2]

평생 이음 교육체계 구축

①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 확대 교육(평생교육)

② 고학력·경력단절 여성 및 스포츠 의료 전문인력 양성 교육(평생교육)

Ⅱ-4-3.

강원도 미래인재 양성

[Ⅱ-4-3-1]

하이브리드 인재 양성

[Ⅱ-4-3-2]

맞춤형 인재역량 강화

① 마이스터고·특성화고·폴리텍대학 연계 활성화

② 통일대비 평화인성교육 강화

③ 글로벌 인재유치

(39)

- 39 -

강원 4대 아젠다 세부사업과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7)

비전 목표 4대

아젠다 실천전략 아젠다

주요 추진과제

강원도립대 중기발전계획 연계성 검토

대표프로젝트 단위 프로젝트

자연과 사람의 미래, Login 강원

삶의 질

1등도

연간 유동 인구 2억명

연간 GRDP

3%+α

Ⅲ.

Dream-Works 강원

일하고 투자하고 싶은

신 산업지대

Ⅲ-1.

디지털 경제 시대에 대응한 강원경제

시스템

Ⅲ-1-1.

빅데이터 중심의 거점 인프라

조성

[Ⅲ-1-1-1]

빅데이터 산업이 집 적된 K-Cloud Park

조성

-

①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SDDC)건립

② ABC규제가 해소된 “규제 DMZ(규제 샌드박스)” 지정

③ 강원도 통합 클라우드 플랫폼(G-Cloud Platform) 구축

④ G-Cloud 연구·지원센터 설립

Ⅲ-1-2.

균형성장을 위한 지역별 특화발전

전략

[Ⅲ-1-2-1]

지역특화형 스마트 라이프스타일

산업육성

-

① 신소재·비철산업 클러스터

② 차세대 콘텐츠산업 육성

③ 해양심층수산업 벨트 조성

④ 폐광지역 지원체계 구축과 폐특회계 신설

Ⅲ-1-3.

미래 신산업 일자리 창출과 혁신체계 구축

[Ⅲ-1-3-1]

양질의 청년 Job

생태계 조성 -

① 신산업 창출 펀드 조성

② 창업지원기관 고도화 사업

③ 창업붐 조성 사업

④ 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사업

Ⅲ-2.

국가 선도 4차 산업혁명

생태계

Ⅲ-2-1.

강원도 미래 신산업 육성과 인프라 조성

[Ⅲ-2-1-1]

국가선도 AI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

[Ⅲ-2-1-3]

미래대표 신산업 (헬스케어, 이모빌리티)

인프라 조성

① 디지털 헬스케어 국가산업단지 조성

②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신산업 일자리 창출 사업

③ 스마트 응급지원 시스템 구축

④ 이모빌리티 생산·수출 인증지원 인프라 조성

⑤ 스마트 카-디지털헬스 융합 R&BD 사업

[Ⅲ-2-1-2]

e-mobility 생산·수출 거점화

벨트 조성

[Ⅲ-2-1-4]

지역별 특화 신산업 육성

① 산림드론 클러스터 조성(영월)

② 레고랜드 연계 스마트토이 산업육성(춘천)

③ 특수목적형 자동차 튜닝 클러스터 조성(인제, 원주, 횡성)

④ 3D 프린팅 활용 맞춤형 의료기기 생산(강릉, 원주)

⑤ 강원도형 수소산업 육성(삼척, 강릉)

⑥ 소재독립, 바잘트(현무암) 섬유 산업 육성(철원)

⑦ 카올린(고령토)의 첨단 소재화(양구 외)

Referensi

Dokumen terkait

Ⅵ 유의사항 ❍ 청년면접수당 사업은 온라인 신청ㆍ접수이며, 신청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첨부파일로 올린 증빙자료가 부정확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선정 에서 제외되오니 정확하게 입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신청자가 입력한 정보 중 허위사실이 있을 경우, 지원대상자 선정 취소, 청년면접수당 지원금 환수 및 관계법령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