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CODE BOOK -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CODE BOOK -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Copied!
7
0
0

Teks penuh

(1)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CODE BOOK

자료번호 A1-2011-0005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1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2 년

(2)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1. 「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 .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 년. 자료번호: A1-2011-0005.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2. 「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A1-2011-0005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area

응답자 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특별시 1 225 22.2 22.2

부산광역시 2 87 8.6 8.6

대구광역시 3 55 5.4 5.4

인천광역시 4 62 6.1 6.1

광주광역시 5 42 4.1 4.1

대전광역시 6 28 2.8 2.8

울산광역시 7 24 2.4 2.4

경기도 8 215 21.2 21.2

강원도 9 30 2.9 2.9

충청북도 10 40 3.9 3.9

충청남도 11 32 3.1 3.1

전라북도 12 35 3.5 3.5

전라남도 13 27 2.7 2.7

경상북도 14 52 5.1 5.1

경상남도 15 52 5.2 5.2

제주도 16 7 0.7 0.7

1,012 100.0 100.0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506 50.0 50.0

여자 2 506 50.0 50.0

1,012 100.0 100.0

ages

응답자 연령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 대 1 231 22.8 22.8

30 대 2 258 25.5 25.5

40 대 3 256 25.3 25.3

50 대 4 162 16.0 16.0

60대이상 5 105 10.4 10.4

1,012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 데이터 참조

1

(4)

edu

응답자 학력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초등학교졸업 4 0.4 0.4

중학교졸업 15 1.5 1.5

고등학교재학 10 1.0 1.0

고등학교졸업 386 38.1 38.1

대학교재학 96 9.5 9.5

대학교졸업 400 39.5 39.5

대학원재학 15 1.5 1.5

대학원졸업이상 60 6.0 6.0

기타 26 2.5 2.5

1,012 100.0 100.0

job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화이트칼라 1 334 33.1 33.1

블루칼라 2 179 17.6 17.6

자영업자 3 123 12.1 12.1

전업주부 4 163 16.1 16.1

학생 5 113 11.2 11.2

기타 6 100 9.9 9.9

1,012 100.0 100.0

job_1

응답자 상세직업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화이트칼라 334 33.1 33.1

블루칼라 179 17.6 17.6

자영업 123 12.1 12.1

가정주부 163 16.1 16.1

학생 113 11.2 11.2

농/임/수산업 5 0.5 0.5

무직 20 2.0 2.0

기타 75 7.4 7.4

1,012 100.0 100.0

(5)

A1-2011-0005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income

월평균 가구 소득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이하 74 7.3 7.3

101~150만원 108 10.7 10.7

151~200만원 157 15.5 15.5

201~250만원 143 14.2 14.2

251~300만원 165 16.3 16.3

301~400만원 166 16.4 16.4

401~500만원 104 10.3 10.3

501만원이상 95 9.4 9.4

1,012 100.0 100.0

q1

역사지식 중요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중요하다 1 783 77.4 77.4

대체로 중요하다 2 217 21.4 21.4

별로 중요하지 않다 3 10 1.0 1.0

전혀 중요하지 않다 4 2 0.2 0.2

1,012 100.0 100.0

q2

국사과목의 선택과목으로의 변경 인지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알고 있다 1 525 51.9 51.9

모르고 있다 2 487 48.1 48.1

1,012 100.0 100.0

q3

국사과목의 선택과목 변경에 대한 찬반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찬성한다 1 126 12.4 12.4

반대한다 2 846 83.6 83.6

모르겠다 3 41 4.0 4.0

1,012 100.0 100.0 문1.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 올해부터 고등학교에서 국사과목이 필수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이 된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문3. 귀하께서는 고등학교의 국사과목이 선택과목이 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6)

q4

국사과목의 필수과목 vs 선택과목 지정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 1 930 91.9 91.9

선택 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 2 82 8.1 8.1

1,012 100.0 100.0

q5

청소년들의 역사지식 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높은 수준이다 1 23 2.3 2.3

대체로 높은 수준이다 2 76 7.5 7.5

보통 수준이다 3 316 31.2 31.2

대체로 낮은 수준이다 4 461 45.6 45.6

매우 낮은 수준이다 5 136 13.4 13.4

1,012 100.0 100.0

q6

국사교육 강화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공감한다 1 641 63.4 63.4

대체로 공감한다 2 325 32.1 32.1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3 36 3.5 3.5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4 5 0.5 0.5

모르겠다 5 6 0.5 0.5

1,012 100.0 100.0

q7

글로벌 시대에 따른 국사의 선택과목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공감한다 1 108 10.7 10.7

대체로 공감한다 2 185 18.3 18.3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3 404 40.0 40.0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4 298 29.4 29.4

모르겠다 5 17 1.7 1.7

1,012 100.0 100.0 문7. 글로벌 시대에서 폭넓고 다양한 인재 육성을 위해 고등학교부터는 학생들에게 모든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게 해야 하며, 이에 국사과목도 선택과목으로 지정 돼야 한다는 입장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4. 고등학교 국사과목을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 중 어느 쪽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문5.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역사 지식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문6. 국사를 공부해야 자국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자긍심을 느낄 수 있다며 국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7)

A1-2011-0005 국사교육에 대한 여론조사

q8

역사 중요성 인식을 위한 제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공감한다 1 599 59.2 59.2

대체로 공감한다 2 361 35.7 35.7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3 38 3.8 3.8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4 4 0.4 0.4

모르겠다 5 9 0.9 0.9

1,012 100.0 100.0

q9

역사교육 강화 vs 축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역사교육을 강화하는 입장 1 925 91.4 91.4

역사교육을 축소하는 입장 2 55 5.5 5.5

모르겠다 3 32 3.2 3.2

1,012 100.0 100.0 문8. 갈수록 국사 교육이 축소되면서 우리 역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할€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 요하다는 입장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9.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의 국가들은 자국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역 사 교육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한국은 글로벌 시대 세계 역사의 일부분으로 한국사를 조망해야 한다며 국사교육을 축소하고 있습니다. 어느 쪽의 입장에 더 공감하십니까?

5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일류국가로 가기 위해 정치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추진되어야할 과제는 다음 중 무엇이 라고 생각하십니까?. 두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