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조사 , 2014
CODE BOOK
자료번호 A1-2014-0012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4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5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5년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4. 상속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조사 , 2014 . 연구수 행기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 도 : 2015 년 . 자료번호 : A1-2014-0012.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5. 상속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조사, 2014 CODE
BOOK . pp. 1-6.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A1-2014-0012 상속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조사, 2014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556 49.6 49.6
여자 2 565 50.4 50.4
1,121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4 108 9.6 9.6
30대 5 248 22.1 22.1
40대 6 223 19.9 19.9
50대 7 192 17.1 17.1
60대 이상 8 350 31.2 31.2
1,121
100.0 100.0
area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305 27.2 27.2
부산 2 91 8.1 8.1
대구 3 49 4.4 4.4
인천 4 60 5.4 5.4
광주 5 32 2.9 2.9
대전 6 22 2.0 2.0
울산 7 15 1.3 1.3
경기 8 276 24.6 24.6
강원 9 27 2.4 2.4
충북 10 24 2.1 2.1
충남 11 41 3.7 3.7
전북 12 37 3.3 3.3
전남 13 36 3.2 3.2
경북 14 53 4.7 4.7
경남 15 44 3.9 3.9
제주 16 6 0.5 0.5
기타 19 3 0.3 0.3
1,121
100.0 100.0
1
job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업체 경영주 1 4 0.4 0.4
자영업주 2 74 6.6 6.6
전문직 3 99 8.8 8.8
관리직 4 23 2.1 2.1
사무직 5 230 20.5 20.5
서비스직 6 57 5.1 5.1
기술/기능직 7 78 7.0 7.0
판매직 8 12 1.1 1.1
생산직 9 15 1.3 1.3
농업/임업/어업/수산업/축산업 10 35 3.1 3.1
군인/경찰 11 2 0.2 0.2
학생 12 79 7.0 7.0
전업주부 13 261 23.3 23.3
무직/실업 14 91 8.1 8.1
기타 15 61 5.4 5.4
1,121
100.0 100.0
inc_h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75 6.7 6.7
0-100만원 미만 1 101 9.0 9.0
100-200만원 미만 2 181 16.1 16.1
200-300만원 미만 3 236 21.1 21.1
300-400만원 미만 4 194 17.3 17.3
400-500만원 미만 5 148 13.2 13.2
500-600만원 미만 6 81 7.2 7.2
600-700만원 미만 7 40 3.6 3.6
700-800만원 미만 8 22 2.0 2.0
800만원 이상 9 43 3.8 3.8
1,121
100.0 100.0
A1-2014-0012 상속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조사, 2014
inc_i 월평균 개인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104 9.3 9.3
0-100만원 미만 1 328 29.3 29.3
100-200만원 미만 2 280 25.0 25.0
200-300만원 미만 3 194 17.3 17.3
300-400만원 미만 4 113 10.1 10.1
400-500만원 미만 5 52 4.6 4.6
500-600만원 미만 6 26 2.3 2.3
600-700만원 미만 7 7 0.6 0.6
700-800만원 미만 8 5 0.4 0.4
800만원 이상 9 12 1.1 1.1
1,121
100.0 100.0
marr 혼인상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혼 1 352 31.4 31.4
기혼 2 691 61.6 61.6
이혼 3 35 3.1 3.1
사별 4 43 3.8 3.8
1,121
100.0 100.0
q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360 32.1 32.1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564 50.3 50.3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119 10.6 10.6
적극 반대한다 4 34 3.0 3.0
잘 모르겠다 5 44 3.9 3.9
1,121
100.0 100.0
혼인 기간 동안 형성된 재산의 50%를 배우자의 기여를 인정해 선취분으로 떼 줘야 한다는 내용에 대한 생각
문1. 혼인 기간 동안 형성된 재산의 50%는 배우자가 기여를 했기 때문에 배우자의 재산으로 인 정해 선취분을 떼 줘야 한다는 내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q2 선취분을 떼 줘야 한다는 내용에 반대하는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녀에게 상속할 재산이 줄어서 1 3 0.3 2.0 선취분 50%의 비율이 너무 높아서 2 37 3.3 24.2 배우자가 재산형성에 기여했다고 인정할 수 없어서 3 43 3.8 28.1 상속 시 남은 배우자와 자녀들의 분쟁이 우려돼서 4 44 3.9 28.8 현재 시행되고 있는 법으로도 충분해서 5 26 2.3 17.0
비해당 0 968 86.4
1,121
100.0 100.0
q3 배우자 사망 시 남은 배우자에게 우선 떼어 주는 선취분의 적정 비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 미만 1 65 5.8 5.8
20% 이상 ~ 30% 미만 2 161 14.4 14.4
30% 이상 ~ 40% 미만 3 194 17.3 17.3
40% 이상 ~ 50% 미만 4 325 29.0 29.0
50% 이상 5 376 33.5 33.5
1,121
100.0 100.0
q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394 35.1 35.1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549 49.0 49.0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84 7.5 7.5
적극 반대한다 4 31 2.8 2.8
잘 모르겠다 5 63 5.6 5.6
1,121
100.0 100.0
황혼재혼이나 별거, 기타 특수한 상황의 경우, 배우자의 선취분을 50% 미만으로 낮출 수 있는 조 항에 대한 생각
문2. 만약 반대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3. 배우자 사망 시 남은 배우자에게 혼인 기간 동안 형성된 재산 중 일정 비율을 우선 떼어 주는 선취분의 비율은 몇 %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4. 황혼재혼이나 별거, 기타 특수한 상황의 경우, 배우자의 선취분은 50% 미만으로 낮출 수 있
습니다. 이 조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1-2014-0012 상속법 개정안에 대한 여론조사, 2014
q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288 25.7 25.7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464 41.4 41.4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220 19.6 19.6
적극 반대한다 4 85 7.6 7.6
잘 모르겠다 5 64 5.7 5.7
1,121
100.0 100.0
q6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174 15.5 15.5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443 39.5 39.5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293 26.1 26.1
적극 반대한다 4 127 11.3 11.3
잘 모르겠다 5 84 7.5 7.5
1,121
100.0 100.0
q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극 찬성한다 1 403 36.0 36.0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다 2 405 36.1 36.1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166 14.8 14.8
적극 반대한다 4 74 6.6 6.6
잘 모르겠다 5 73 6.5 6.5
1,121
100.0 100.0
문6. 사망자가 혼인 기간에 자신의 부모 등에게서 상속이나 증여를 받아 늘어난 재산의 50%도 배우자의 선취분으로 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7. 남은 배우자가 받게 되는 50%의 선취분에 대해 현행보다 세금 공제한도를 더 늘려 상속세 를 부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유언으로 자녀들이나 제3자에게 재산을 상속하더라도 남은 배우자가 받는 선취분 50%는 보호받 도록 한 조항에 대한 생각
사망자가 혼인 기간에 자신의 부모 등에게서 상속이나 증여를 받아 늘어난 재산의 50%도 배우자 의 선취분으로 주는 것에 대한 생각
남은 배우자가 받게 되는 50%의 선취분에 대해 상속세를 부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생 각
문5. 유언으로 자녀들이나 제3자에게 재산을 상속하더라도 남은 배우자가 받는 선취분 50%는 보 호받도록 한 조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q8 상속법 개정과 관련해 우려되거나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용
==> 데이터 참조
q9 응답자 가정의 상속재산 총액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억 원 미만 1 917 81.8 81.8
5억 원 이상 ~ 10억 원 미만 2 160 14.3 14.3
10억 원 이상 ~ 30억 원 미만 3 41 3.7 3.7 30억 원 이상 ~ 50억 원 미만 4 3 0.3 0.3
1,121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