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한글에 대한 인식조사 - Seoul National Universi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한글에 대한 인식조사 -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ied!
15
0
0

Teks penuh

(1)

CODE BOOK

자료번호 A1-2010-0067 연구책임자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0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2 년

(2)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2010. 「 한글에 대한 인식조사 」 . 연구수행기관: KBS 방 송문화연구소.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2년. 자 료번호: A1-2010-0067.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2. 「 한글에 대한 인식조사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sex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성 1 5,832 50.4 50.4

여성 2 5,740 49.6 49.6

11,572

100.0 100.0

age 응답자 연령

==> 데이터 참조

age_re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대 1 1,596 13.8 13.8

20대 2 2,267 19.6 19.6

30대 3 2,538 21.9 21.9

40대 4 2,481 21.4 21.4

50대 이상 5 2,691 23.3 23.3

11,572

100.0 100.0

area 조사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2,509 21.7 21.7

인천,경기,강원 2 3,494 30.2 30.2

부산,울산,경남 3 1,885 16.3 16.3

대구,경북 4 1,232 10.6 10.6

대전,충청 5 1,148 9.9 9.9

광주,전라 6 1,180 10.2 10.2

제주 7 125 1.1 1.1

11,572

100.0 100.0

(4)

job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104 .9 .9

농/축/수산업 1 103 .9 .9

경영/관리직 2 432 3.7 3.7

자영업/판매/서비스 3 757 6.5 6.5

생산직/기능직/노무직 4 357 3.1 3.1

사무직 5 2,137 18.5 18.5

전문직/기술직 6 1,123 9.7 9.7

주부 7 1,554 13.4 13.4

중/고등학생 8 1,409 12.2 12.2

대학(원)생 9 1,696 14.7 14.7

무직 10 311 2.7 2.7

기타 99 1,588 13.7 13.7

11,572

100.0 100.0

edu 응답자 최종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졸이하 1 3,501 30.3 30.3

대재 2 1,588 13.7 13.7

대졸이상 3 6,484 56.0 56.0

11,572

100.0 100.0

marr 응답자 혼인상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혼 1 5,754 49.7 49.7

기혼 2 5,518 47.7 47.7

이혼,사별 3 300 2.6 2.6

11,572

100.0 100.0

inc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1,235 10.7 10.7

100-150만원 미만 100 1,126 9.7 9.7

150-200만원 미만 150 1,438 12.4 12.4

200-300만원 미만 200 2,743 23.7 23.7

300-500만원 미만 300 3,393 29.3 29.3

500-800만원 미만 500 1,201 10.4 10.4

800-1000만원 미만 800 210 1.8 1.8

1000만원 이상 1000 225 1.9 1.9

11,572

100.0 100.0

(5)

q1 한글의 우수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우수하다 1 9,931 85.8 85.8

약간 우수한 편이다 2 1,301 11.2 11.2

보통이다 3 307 2.7 2.7

약간 열등한 편이다 4 22 .2 .2

매우 열등하다 5 11 .1 .1

11,572

100.0 100.0

q2 한글의 우수성 중 가장 큰 것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배우기 쉽고 효율적인 문자체계 1 3,419 29.5 29.6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뛰어난 소리표현 능력 2 3,414 29.5 29.5

어감, 정감, 음감 등 풍부한 표현력 3 3,085 26.7 26.7

발음기관 모양과 문자가 일치하는 음성학적 우수

성 4 1,512 13.1 13.1

기타 99 137 1.2 1.2

11,572

100.0 100.0

q2_etc 한글의 우수성 중 가장 큰 것(기타의견)

==> 데이터 참조

q3 한글날을 법정공휴일로 지정하는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경일만으로도 충분하다 1 2,447 21.1 21.1

법정 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 2 8,780 75.9 75.9

잘 모르겠다 3 345 3.0 3.0

11,572

100.0 100.0

문1. 한글은 다른 언어들에 비해 얼마나 우수한 언어라고 생각하십니까?

문2. 한글의 우수성 중 가장 큰 것은 어떤 점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문3. 10월 9일 한글날은 국경일이지만 법정 공휴일은 아닙니다. 이에 한글날을 법정 공휴

일로 지정하자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

q4 한글오염의 원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문법/어법 파괴, 비문 사용 1 2,793 24.1 24.1

비속어, 은어 사용 2 2,824 24.4 24.4

외국어나 외래어 남용 3 2,205 19.1 19.1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신조어, 유행어 4 3,590 31.0 31.0

기타 99 159 1.4 1.4

11,572

100.0 100.0

q4_etc 한글오염의 원인(기타의견)

==> 데이터 참조

q5_1 한글오염의 심각성1: 방송 언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심각하지 않다 1 431 3.7 3.7

별로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2 3,617 31.3 31.3

어느 정도 심각한 편이다 3 6,112 52.8 52.8

매우 심각하다 4 1,412 12.2 12.2

11,572

100.0 100.0

q5_2 한글오염의 심각성2: 인터넷 언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심각하지 않다 1 76 .7 .7

별로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2 265 2.3 2.3

어느 정도 심각한 편이다 3 2,047 17.7 17.7

매우 심각하다 4 9,185 79.4 79.4

11,572

100.0 100.0

문4. 다음은 한글 오염이나 훼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들입니다. 이 중 어떤 문제가 가 장 심각하다고 보십니까?

문5. 다음의 각 분야별로 한글 오염이나 훼손은 얼마나 심각한 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방송 언어

문5. 다음의 각 분야별로 한글 오염이나 훼손은 얼마나 심각한 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인터넷 언어

(7)

q5_3 한글오염의 심각성3: 상표, 상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심각하지 않다 1 155 1.3 1.3

별로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2 2,547 22.0 22.0

어느 정도 심각한 편이다 3 6,418 55.5 55.5

매우 심각하다 4 2,452 21.2 21.2

11,572

100.0 100.0

q6_1 지상파 방송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품격 평가1: KBS 1TV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낮다 1 218 1.9 1.9

대체로 낮은 편이다 2 710 6.1 6.1

보통이다 3 3,580 30.9 30.9

대체로 높은 편이다 4 5,443 47.0 47.0

매우 높다 5 1,621 14.0 14.0

11,572

100.0 100.0

q6_2 지상파 방송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품격 평가2: KBS 2TV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낮다 1 284 2.5 2.5

대체로 낮은 편이다 2 1,659 14.3 14.3

보통이다 3 5,811 50.2 50.2

대체로 높은 편이다 4 3,272 28.3 28.3

매우 높다 5 545 4.7 4.7

11,572

100.0 100.0

문5. 다음의 각 분야별로 한글 오염이나 훼손은 얼마나 심각한 편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상표, 상호

문6. 다음의 지상파 TV채널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품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KBS 1TV

문6. 다음의 지상파 TV채널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품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KBS 2TV

(8)

q6_3 지상파 방송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품격 평가3: MBC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낮다 1 344 3.0 3.0

대체로 낮은 편이다 2 1,896 16.4 16.4

보통이다 3 5,714 49.4 49.4

대체로 높은 편이다 4 3,083 26.6 26.6

매우 높다 5 534 4.6 4.6

11,572

100.0 100.0

q6_4 지상파 방송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품격 평가4: SBS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낮다 1 1,052 9.1 9.1

대체로 낮은 편이다 2 3,299 28.5 28.5

보통이다 3 4,889 42.2 42.2

대체로 높은 편이다 4 1,893 16.4 16.4

매우 높다 5 440 3.8 3.8

11,572

100.0 100.0

q7 인터넷 언어로 불리는 한글변형 사례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글을 오염시키거나 훼손하는 행위이므로 사용

하지 말아야 한다 1 2,761 23.9 23.9

인터넷의 특성상 어느 정도 불가피하지만 최소화

해야 한다 2 8,226 71.1 71.1

인터넷에서만 쓰는 용어이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3 585 5.1 5.1

11,572

100.0 100.0

문6. 다음의 지상파 TV채널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품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MBC

문6. 다음의 지상파 TV채널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품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SBS

문7. 인터넷에서 신속한 의사소통이나 표현의 재미를 위해 한글을 변형시키거나 신조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명‘인터넷 언어’로 불리우는 한글 변형의 주요 사례는 아

래와 같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자주 사용한다 1 620 5.4 5.4

대체로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2 4,147 35.8 35.8

거의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3 5,798 50.1 50.1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4 1,007 8.7 8.7

11,572

100.0 100.0

q9 일상생활에서 표준어와 인터넷 언어 사용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주 있다 1 1,631 14.1 14.1

가끔 있다 2 7,709 66.6 66.6

전혀 없다 3 2,232 19.3 19.3

11,572

100.0 100.0

q10 신문기사의 한자사용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자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1 906 7.8 7.8

어느 정도의 한자 사용은 불가피하지만 최소화해

야 한다 2 8,070 69.7 69.7

예전부터 한자를 섞어 사용해왔으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3 2,435 21.0 21.0

잘 모르겠다 4 162 1.4 1.4

11,572

100.0 100.0

q11 관공서 공문서, 민원서류의 한자사용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글로만 쓰는 것이 좋다 1 6,211 53.7 53.7

한글과 한자를 적당히 섞어 쓰는 것이 좋다 2 5,112 44.2 44.2

한자를 많이 쓰는 것도 좋다 3 134 1.2 1.2

문8. 인터넷 이용(블로그, 게시판, 메신저 등)을 할 때 앞서 제시된 사례와 같은 인터넷 언 어를 어느 정도 사용하는 편입니까?

문9. 일상생활에서 표준어와 인터넷 언어를 섞어 사용한 적이 있습니까?

문10. 신문이나 잡지 등의 기사에서 한자를 쓰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11. 관공서의 공문서, 민원서류 등에서의 한자 사용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0)

q12 병원의 진료기록이나 처방전을 한글로 사용하자는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글로 쓰는 것이 좋다 1 6,825 59.0 59.0

전문용어이므로 영어 사용은 불가피하다 2 3,031 26.2 26.2

의학계에 맡겨야 한다 3 1,514 13.1 13.1

잘 모르겠다 4 202 1.7 1.7

11,572

100.0 100.0

q13 향우 자녀의 이름을 한글이름으로 사용할 의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7,630 65.9 65.9

없다 2 1,632 14.1 14.1

아직 모르겠다 3 2,310 20.0 20.0

11,572

100.0 100.0

q14 한글과 영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의견에 대한 찬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찬성한다 1 2,318 20.0 20.0

반대한다 2 7,926 68.5 68.5

잘 모르겠다 3 1,329 11.5 11.5

11,572

100.0 100.0

q14_1 영어 공용어를 찬성하는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영어가 세계 공용어화되어 있으므로 1 893 7.7 38.5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2 1,030 8.9 44.4

영어로 인한 사교육비 부담을 줄일 수 있어서 3 256 2.2 11.1

한글의 어휘나 표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어서 4 120 1.0 5.2

기타 99 20 .2 .8

11,572

100.0 100.0

문12. 병원에서의 진료기록이나 처방전을 한글로 사용하자는 주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문13. 앞으로 (미혼자의 경우 결혼 후) 자녀가 생긴다면 자녀이름을 순 한글로 지을 의향 이 있습니까?

문14. 한글과 더불어 영어를 공용어(한 나라안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언어)로 하자는 주장 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14-1. 찬성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1)

==> 데이터 참조

q14_2 영어 공용어를 반대하는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민족 정체성이 흐려질 수 있어서 1 1,690 14.6 21.3

한글이 위축되거나 말살될 위험성이 있어서 2 2,523 21.8 31.8

영어로 인한 세대, 계층간의 격차가 심해질 것이

어서 3 1,885 16.3 23.8

한글과 영어를 이중으로 사용해야 하는 비효율성

때문에 4 1,467 12.7 18.5

기타 99 361 3.1 4.6

11,572

100.0 100.0

q14_2_etc 영어 공용어를 반대하는 이유(기타의견)

==> 데이터 참조

q15 국가정체성이나 민족문화에 있어 한글의 중요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중요하다 1 9,866 85.3 85.3

어느 정도 중요한 편이다 2 1,576 13.6 13.6

별로 중요하지 않은 편이다 3 82 .7 .7

전혀 중요하지 않다 4 20 .2 .2

잘 모르겠다 5 29 .3 .3

11,572

100.0 100.0

q16 한글사용시 자주 혼동되거나 어렵게 느껴지는 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맞춤법 1 4,555 39.4 39.4

띄어쓰기 2 2,868 24.8 24.8

적절한 어휘 사용 3 1,273 11.0 11.0

어법 및 문법 4 1,405 12.1 12.1

높임말 5 142 1.2 1.2

특별히 없다 6 1,199 10.4 10.4

문14-2.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15. 국가정체성이나 민족문화에 있어 한글은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16. 한글 사용시 자주 혼동되거나 어렵게 느껴지는 점은 무엇입니까?

(12)

q17 가장 아름다운 순 우리말 단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가람 1 584 5.0 5.0

가시버시 2 57 .5 .5

가온 3 113 1.0 1.0

가을 4 26 .2 .2

갈무리 5 17 .1 .1

개나리 6 11 .1 .1

개밥바라기 7 12 .1 .1

겨레 8 21 .2 .2

고맙습니다 9 25 .2 .2

고뿔 10 20 .2 .2

구름 11 29 .2 .2

그린내 12 8 .1 .1

그린비 13 15 .1 .1

기쁨 14 7 .1 .1

김치 15 11 .1 .1

꼬리별 16 3 .0 .0

꽃 17 15 .1 .1

꽃가람 18 18 .2 .2

꽃내음 19 31 .3 .3

꿈 20 9 .1 .1

나들이 21 6 .1 .1

나라 22 9 .1 .1

나래 23 66 .6 .6

나르샤 24 47 .4 .4

나린 25 13 .1 .1

나비 26 6 .1 .1

나비잠 27 11 .1 .1

나빌레라 28 12 .1 .1

너나들이 29 19 .2 .2

너울 30 7 .1 .1

노고지리 31 17 .1 .1

노을 32 43 .4 .4

높새바람 33 8 .1 .1

문17. 가장 아름다운 순 우리말 단어는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구체적인 단어로 응답해 주

십시오.

(13)

단미 36 13 .1 .1

단비 37 34 .3 .3

닻별 38 16 .1 .1

도담도담 39 29 .3 .3

도란도란 40 12 .1 .1

동아리 41 11 .1 .1

두레 42 20 .2 .2

라온 43 27 .2 .2

마루 44 82 .7 .7

마음 45 12 .1 .1

모꼬지 46 15 .1 .1

뫼 47 20 .2 .2

무궁화 48 16 .1 .1

무지개 49 27 .2 .2

미르 50 268 2.3 2.3

미리내 51 1,374 11.9 11.9

미쁘다 52 7 .1 .1

바다 53 22 .2 .2

바람 54 18 .2 .2

벗 55 37 .3 .3

별 56 22 .2 .2

봄여름가을겨울 57 40 .3 .3

비나리 58 6 .0 .0

빛 59 6 .0 .0

빛나리 60 21 .2 .2

사랑 61 678 5.9 5.9

산다라 62 14 .1 .1

산들바람 63 8 .1 .1

샛별 64 75 .6 .6

슬기 65 20 .2 .2

시나브로 66 918 7.9 7.9

씨밀레 67 6 .1 .1

아띠 68 12 .1 .1

아라 69 31 .3 .3

(14)

아름다움(다운, 답다) 72 240 2.1 2.1

아름드리 73 153 1.3 1.3

아리랑 74 37 .3 .3

아리수 75 35 .3 .3

아리아 76 12 .1 .1

아리아리 77 16 .1 .1

아지랑이 78 44 .4 .4

어머니, 엄마 79 130 1.1 1.1

여우별 80 17 .1 .1

여우비 81 64 .6 .6

여울 82 27 .2 .2

예그리나 83 75 .7 .7

오솔길 84 18 .2 .2

온새미로 85 140 1.2 1.2

우리 86 179 1.5 1.5

윤슬 87 18 .2 .2

으뜸 88 17 .1 .1

은하수 89 41 .4 .4

이슬 90 26 .2 .2

주전부리 91 18 .2 .2

즈믄 92 16 .1 .1

참살이 93 17 .1 .1

초롱(초롱) 94 26 .2 .2

초아 95 9 .1 .1

푸르다(푸름) 96 30 .3 .3

하나 97 30 .3 .3

하늘 98 296 2.6 2.6

기타 99 2,360 20.4 20.4

한 100 18 .2 .2

한가위 101 18 .2 .2

한글 102 103 .9 .9

한아름 103 42 .4 .4

한우리 104 25 .2 .2

한울 105 30 .3 .3

함초롬하다 106 10 .1 .1

해 107 14 .1 .1

해밀 108 11 .1 .1

해오름 109 17 .1 .1

(15)

혜윰 112 5 .0 .0

흐노니 113 10 .1 .1

희나리 114 72 .6 .6

희망 115 3 .0 .0

흰여울 116 5 .0 .0

가랑비 117 17 .1 .1

고즈넉하다 118 18 .2 .2

그린나래 119 9 .1 .1

꼬참 120 9 .1 .1

나들목 121 8 .1 .1

나리 122 13 .1 .1

누리꾼 123 11 .1 .1

둔치 124 19 .2 .2

띠앗 125 10 .1 .1

마중물 126 9 .1 .1

맑음(맑다) 127 15 .1 .1

미소 128 4 .0 .0

믿음 129 5 .0 .0

별똥별 130 8 .1 .1

보람 131 11 .1 .1

빛가람 132 9 .1 .1

사람 133 11 .1 .1

산마루 134 7 .1 .1

서울 135 15 .1 .1

수피아 136 7 .1 .1

순수 137 17 .1 .1

어울림 138 11 .1 .1

일 139 17 .2 .2

이슬비 140 11 .1 .1

하늬바람 199 80 .7 .7

잘 모름/없음 900 650 5.6 5.6

무응답 999 229 2.0 2.0

11,572

100.0 100.0

Referensi

Dokumen terkait

다음의 몇 가지 사항에 대해 70년대에 비해 80년대에 들어와서 좋아졌다고 보시는지 나 빠졌다고 보시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떻게 되리라 보시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앞으로 우리나라의 정치발전을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