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조직학적으로 교모세포종으로 진단되어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에서 표준치료(수술적 절제 및 화학요법)를 받은 당뇨병 환자 6명을 모집하여 2명의 환자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그룹을 나누어 뇌종양 조직에서 DPP-IV의 발현 수준을 확인했습니다. 인간에서 디펩티딜 펩티다제-IV(DPP-IV)는 거의 모든 세포, 조직 및 기관에서 발현되는 다기능 막횡단 당단백질입니다. C.1,5,6,14) DPP-IV는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매우 일반적인 효소이며, 다양한 포도당-. Wesley 등의 연구에 따르면 DPP-IV의 항침습 활성이 흑색종에서 확인되었습니다.14,18) 그 외 많은 연구에서는 DDP-IV의 하향 조절이 흑색종 진행에 중요한 사건이라고 제안했습니다. 많은 종류의 암. 18) 실제로 정상 폐세포주에 비해 비소세포폐암(NSCLC) 세포주에서 DPP-IV 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8)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DPP-IV를 확인했다.
이러한 최근 연구 중 일부에서 DPP-IV 억제제는 DPP-IV의 항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GBM 환자의 조직을 사용하여 GBM에서 DPP-IV의 발현 수준을 비교했습니다. 재발에 대한 표준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받은 서울아산병원 GBM 진단 환자 6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실시하여 각 조직에서의 DPP-IV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조직 내 DPP-IV의 발현은 공격성 GBM군에 비해 무통성 GBM군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격적인 GBM과 나태한 GBM에서 DPP-IV 발현의 비교. 서울아산병원에서 투여할 수 있는 DPP-IV 억제제는 총 9종이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사용하는 DPP-IV 억제제의 종류. GBM 환자 코호트의 GBM 환자군과 DPP-IV 억제제에 노출된 GBM 환자군 사이의 전체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을 비교할 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DPP-IV 억제제 노출에 따른 전체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의 비교.
교모세포종(GBM)은 성인에게 가장 흔한 악성 뇌종양이다.16,17) 다른 악성종양에 비해 발생률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이 질환을 가진 환자의 사망률은 매우 높다.16,17) 최근 현행 표준 GBM으로 진단된 경우 치료 방법은 가능한 한 많은 종양을 수술적으로 제거하고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을 시행하는 것으로 연구에서 입증되었습니다.16,17) 그럼에도 불구하고 GBM의 공격성으로 인해 평균 생존율은 1년 평균보다 약간 높으며, 예후는 매우 나쁩니다.16,17).
Safety issues of DPP-IV inhibitor 16
정맥내 억제제 투여가 종양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맞다면 이는 D. Hanahan 등의 연구에서 밝혀진 인간 암 발병과 관련된 6가지 생물학적 능력 중 '성장 억제제 회피'로 이해될 수 있다. . .9,11,12). 또한, DPP-IV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계통의 변화를 유도하고 세포외기질(ECM)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침습성과 종양 진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14,18) 난소암 및 전립선암. DPP-IV의 이러한 특성은 et al.의 연구에서 확인되었습니다. 14,19) DPP-IV 억제제 투여는 종양 진행 과정에서 이러한 방어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D. Hananhan et al. 이는 "및 전이"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능력에 속하는 특징인 것으로 추정된다(9,11,12). 무통성 GBM군과 공격성 GBM군의 종양 조직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DPP-IV의 발현이 높을수록 GBM의 진행률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DPP-IV 억제제 투여 여부에 따른 전체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본 연구에 대한 추가 연구로서 DPP-IV 억제제 투여가 GBM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마우스 모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전자 변형 마우스 모델을 제작하여 총 3개 그룹(야생형 마우스에서 GBM 유도군, 체내 모든 세포에서 DPP-IV 발현이 억제된 마우스에서 GBM 유도군, 야생형에서 DPP-IV -형 마우스).
그러나 공격성 GBM 환자군의 조직 면역조직화학에서 DPP-IV의 발현이 무통성 GBM 환자군에 비해 낮았기 때문에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PP-IV(디펩티딜 펩티다제-IV) 억제제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로서 효과적인 혈당 조절과 낮은 부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보고서에서는 DPP-IV 억제제가 암 발병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설이 일부 있습니다.
We also performed a statistical analysis of overall survival (O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between DPP-IV inhibitor glioblastoma patients and cohort patients. Results: We observed that the "indolent patient group" expressed more DPP-IV in brain tumor tissue than the "aggressive patient group".
Effect of DPP-IV on glioblastma 17
Further study plan 19
Conclusions 20
Almagthali AG, Alkhaldi EH, Alzahrani AS, Alghamdi AK, Alghamdi WY, Kabel AM: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Antidiabetic drugs with potential effects on cancer. Boyle JP, Engelgau MM, Thompson TJ, Goldschmid MG, Beckles GL, Timberlake DS, et al.: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in a population of African Americans with diabetes mellitus. Incidence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in adults aged 30–49 years: population-based registry in the province of Turin, Italy.
Busek P, Sedo A: Dipeptidyl Peptidase-IV and Related Proteases in Brain Tumors: Evolution of the Molecular Biology of Brain Tumors and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2013. Drucker DJ, Nauck MA: The incretin system: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and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in type 2 diabetes. Holman N, Young B, Gadsby R: Current prevalence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in adults and children in Great Britain.
Sedo A, Malik R, Drbal K, Lisa V, Vlasicova K, Mares V: Dipeptidyl peptidase IV in two human glioma cell lines. Wesley UV, Tiwari S, Houghton AN: Role of dipeptidyl peptidase IV in tumor suppression of huma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cells. Zhao M, Chen J, Yuan Y, Zou Z, Lai X, Rahmani DM, et al.: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and cancer risk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