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Mating behavior of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 knps.or.k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Mating behavior of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 knps.or.kr"

Copied!
4
0
0

Teks penuh

(1)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6, No. 3, pp. 111-114 (2015) ISSN 2093-0674

한국산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번식행동 관찰

구교성1

·송재영

2

*·장민호

3

1강원대학교

2국립공원연구원

3국립생태원

Mating behavior of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Kyo-Soung Koo

1

, Jae-Young Song

2

* and Min-Ho Chang

3

1Kangwon National University

2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NPS

3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요 약 :2015년 1월 13일 겨울철남생이의 증식·복원연구의일환으로 실내에서 관리중이던 남생이수컷과암 컷 사이에번식행동이 관찰되었다. 번식행동은 수컷의 1) 교미전 단계인수컷의구애행동과 암컷의배갑 후면 오 르기, 2) 교미 단계인 생식기 삽입, 정액 배출, 이동 그리고 3) 종료로 진행되었다. 번식행동 과정 중 2) 교미 단 계는 18분 09초 동안 진행되었다. 교미 과정에서 수컷은 교미가끝날 때까지 분당 1.7 ± 1회(총 37회)의 정액 배출 행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남생이 번식행동에 대한 과정과 시간을국내 최초로 기록하였다. 또한 적절한 환 경이 갖추어지면남생이의번식활동이일반적이지않은시기인겨울철까지확장될 수 있다는것이 확인되었다. 이 는멸종위기야생생물인남생이의성공적인증식과보전을위한중요한자료가될것이다.

주요어 :번식행동, 민물거북, 교미, 동면

Abstract :On January 13th, 2015, the breeding behavior was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of Mauremys reevesii. The breeding behavior was preceeded to three stages; 1) pre-mating stage: courtship and climbing female’s rear-carapace by male, 2) mating stage: inserting genitals and sperm draining by male, and moving by female, 3) breeding behavior end. Approximately 18 minutes was spent for mating stage in breeding behavior. During the second stage, male performed sperm draining action approximately 1.7 ± 1 times per a minute until finishing the breeding behavior. In the results of study, we concretely observed and reported the whole process and time of the breeding behavior in M. reevesii. Additionally, it is confirmed that if proper environment prepare for M. reevesii,the breeding season of the species could be extended even to the middle of winter. We expect that our results will be important sources for the proliferation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M. reevesii in Korean peninsula.

Key words :Breeding behavior, Reeves' turtle, Mating, Hibernation

서 론

남생이과(Geoemydidae)에 속하는 남생이(Mauremys reevesii) 는 중국, 북한, 홍콩, 일본 등 동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는 민 물거북이다(Ota 1991; Szyndlar 1991; Zhao and Alder 1993;

Lovich et al. 2011). 남생이는자라(Pelodiscus maackii)와함 께 국내에 서식하는 토종거북의 한 종류로 제주도를 제외

한 대부분의지역에서서식하는 것으로파악되고있다(원홍 구 1971; Kang and Yun 1975; Iverson 1992). 하지만 서식 지 파괴, 환경오염, 외래종과의 경쟁 그리고 약재로 사용하 기 위한 거래 등의 이유로 개체군의 급격한 감소가 보고되 고 있다(Ades et al. 2000; Bhupathy et al. 2000; Chen et al. 2000; James et al. 2005). IUCN은남생이를 EN(endangered,

A2bcd+4bcd) 단계로 분류하여 보호 관리해야 하는 종으로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112 국립공원연구지 제 6 권 제 3 호 (2015)

규정하고 있으며, 일본과 대만은 정부 주도 아래 이 종을 각각 천연기념물과 희귀동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Chen 2000; IUCN 2014).

국내의 경우 문화재청과 환경부는 남생이를 각각 천연기 념물 453호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최근에 이루어진 분포 조 사결과 극소수의남생이들이일부 지역에서만서식하는있 는 것을확인되었다(Lee 2010). 이러한 개체군의 감소가확 인됨에 따라 남생이의 분포, 서식실태, 행동권 등 종 보호를 위한 연구가 진행 되었고, 최근에는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남생이의 증식·복원, 서식지 모델링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종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복원 및 증식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을 뿐, 남생이의 번식 중행동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는 미비한실 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멸종위기야생생물인 남생이의 증식·복 원 연구 중 관찰된 번식행동 전 과정에 대한 기록을 통하여 추후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와 보호 및 관리 정책 수립에 필 요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일반적으로 겨울철은 남생이가 동면에 들어가는 시기이지 만, 겨울철 활동에 대한 연구를 위해 증식·복원의 일환으 로 관리하던 개체들(암컷 2개체, 수컷 3개체로 총 5개체)을

2014년 11월부터실내로이동시켜 관리했다. 남생이사육장

은 약 1,500 mm(L) × 500 mm(W) × 600 mm(H) 크기에 유리 재질이며, 육지부와수면으로 나누어남생이들이활동할수 있게 하였다. 실내 사육장 내 육지부에는 낮 동안 일광욕을 위한 램프(daylight basking spot, 75W, Hagen Ins.)를 2개를 설치했다. 수질 관리를 위하여 외부 여과기(ECO MC-816, 에이스코리아)를 설치하였고, 24시간 물을 여과시켰다. 먹이 급여시설은먹이 섭취후 남은잔존물들이 사육장을오염시 키는것을방지하기 위해설치했으며, 먹이급여 할때만사 용했다. 먹이 급여시설은 약 1,050 mm(L) × 750 mm(W) ×

370 mm(H)의 크기이며, 타원형에 고무 재질로 되어 있으며,

사육장과 동일하게 육지부와 수면의 구조로 되어 있다. 먹 이는 블러드웜(bloodworm, A.H.T., INC.)과 폰드스틱(pond- sticks, JBL GmbH & Co.)에 민물거북용 멀티비타민(exo- terra multui vitamin, Hagen Ins.)을첨가해급여하였다. 램프

와 수중히터(neo heater, 100w, Aquael Co.)를 설치하여, 낮 은 기온에 따른남생이의 활동 및 소화력의 저하가 나타나 지 않도록 20~28oC의 수온을 유지시켰다(Ernst and Lovich,

2009; 국립생물자원관, 2011). 번식에 참여한 수컷의 체중은

567.8 g이었고, 배갑(carapace)에 직선길이는 155.7 mm이였 다. 반면 암컷의 체중과 배갑의 직선길이는 각각 714.5 g와

151.2 mm로암컷은크기는수컷과비슷했지만더 무거웠다.

결 과

본 연구는 2014년 11월 실내로 이동한 남생이 수컷들은 번식을 위한 지속적인 구애 행동(courtship)을 하였고, 2015 년 1월 13일 처음으로 번식행동(breeding behavior)이 관찰 되었다. 수컷의구애를제외한남생이의 번식행동은오전 9 시37분에시작되어 9시 55분 09초까지 총 18분간 09초 간 진행되었다(Figure 1). 남생이의 번식행동의 과정은 1) 교미 전 단계(pre-mating stage)인 수컷의 구애 행동 수컷이 암컷 배갑 후면에 오르기, 2) 교미 단계(mating stage)인 생식기 삽입(insertion), 정액 배출(sperm draining), 암컷의 이동 (moving) 그리고 3) 교미 종료 단계(breeding behavior end) 로 진행되었다. 1) 교미전 단계에서 수컷은암컷의 생식기 쪽에 코를 대고 냄새를 맡는 행동을 하며, 지속적으로 쫓아 다니는 행동을 하였다. 또한 주둥이(snout)로 암컷의 머리를 비비거나 무는 행동을 보였다(Figure 2). 이후 수컷이 암컷 의 꼬리쪽으로 이동하여 배갑 후면에 올라타면서 2) 교미

Figure 1. Breeding behavior of Mauremys reevesii. * : male, ** : female.

Figure 2. Courtship behavior of male (right).

(3)

한국산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번식행동 관찰 113

단계를 준비했다. 오전 9시 36분 수컷의 생식기가 암컷에 생식기에삽입되면서 2) 교미 단계가시작되었고, 수컷은암 컷 등갑에서 내려와 뒤집힌 상태로 교미를 진행하였다. 교 미과정에서수컷과암컷의몸이ㄱ자형태를유지하였으며, 교미가 진행 되는 과정에서 수컷은 주기적으로 암컷에 꼬리 를 자신의 꼬리로 감는 행동과 동시에 힘을 주는 행동을 하 였다(Figure 3). 이는 정액을 배출하는 행동으로 이러한 수

컷의 행동은 교미가 종료 될 때까지 분당 약 1.7 ± 1회(총

37회) 반복하였다. 교미가 시작되고 약 9분 15초가지난후 부터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고 있던 암컷은 갑작스럽게 움직이기 시작했고, 수컷의 생식기가 삽입된 채로 이동하였 다. 암컷의 이동은 약 8분 19초간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 서 수컷은 뒤집힌 상태로 암컷에게 끌려 다녔다. 오전 9시

54분 34초가 되면 수컷이 몸이 바로 뒤집고, 35초 후 수컷

이 생식기를 회수한오전 9시 55분 09초에모든 번식행동 이 종료되었다.

고 찰

국내에서 서식하는 남생이의 번식 시기는 가을철에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알려져 있으며(이정현 등 2011), 서울대 공원에서 관리중인 남생이들의경우 9월과 10월 사이에번 식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국립생물자원관 2010).

일본에 남생이의 경우 이른 봄과 가을에 주로 번식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Fukada 1965). 흥미롭게도 본 연구 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남생이의 번식시기가 아닌 겨울 철(12월~2월)에 번식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생이가 활동할 수 있는조건과 영양상태 만 갖추어 진다면계절에 상관없이 번식행동을 할 수 있다 는 것을 보여준 최초의 사례이다. 2014년 국립공원연구원에 서는 남생이의 산란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2월에 산란 을 유도하였으며, 산란된 알을 인공적으로 부화(4월)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남생이의 산란과 부화 시기 보다 약 2개월 정도빠른것으로이 과정을 “인공산란유도 기술”이라 명명하고 표준화 한 바 있다(LG상록재단 등

2014). 이밖에 북한의중앙박물관에도 1963년 2월에남생이

의 산란을 기록하였다(원홍구 1971). 반면 남생이 수컷이 보

여준구애행동은다른민물거북류인 Chrysemys, Graptemys, Pseudemys 그리고 Trachemys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Pope 1935; Ernst and Lovich 2009), 교미가 종료 될 때 수컷이 몸은 뒤집는 행동 등은 다른 거북류에서 나타나는 기록들과 유사했다(Pope 1935; 국립생물자원관 2010).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는 동면을 취하는 겨 울철에 인위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졌다는점과 명확한번식 행동과정그리고시간이 기록되었지만, 한번에번식행동 에 대한 관찰 기록이기 때문에 남생이들의 번식행동으로 일 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내에서 는 잘 알려지지 않은 남생이의 번식활동에 대한 기록이라는 측면에서 향후 남생이 번식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겨울철까지 확장된 남생이의 번 식기간은 종의 성공적인 증식과 복원에큰 기여를 할 것으 로 예상되며, 향후 멸종위기야생동물인 남생이에대한위한 보호 및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 이다.

참고문헌

국립생물자원관. 2010. 남생이(Chinemys reevesii) 증식·복원연 구 I. 환경부, 인천, 127쪽.

국립생물자원관. 2011. 남생이(Chinemys reevesii) 증식·복원연 구 II. 환경부, 인천, 170쪽.

국립생물자원관. 2012. 남생이(Chinemys reevesii) 증식·복원연 구 III. 환경부, 인천, 151쪽.

원홍구. 1971. 조선량서파충류지. 과학원출판사, 평양, 170쪽. 이정현, 장환진, 서재화. 2011. 한국양서·파충류생태도감. 국립

환경과학원, 인천, 256쪽.

LG상록재단,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곤지암화담숲. 2013. 남생이증식·복원연구 –1차년도−. 서울, 84쪽. LG상록재단,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림공원연구원, 곤지암화담숲.

2014. 남생이증식·복원연구 –2차년도−. 서울, 38쪽. Lee HJ. 2010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eve' Turtle

(Chinemys reevesii) Populations in Jeolla-do and Gyeong- sangnam-do.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Korea, 4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Ades G, CB Banks, KA Buhlmann, B Chan, HC Chang, TH Chen,

P Crow, H Haupt, R Kan, JY Lai, M Lau, HC Lin, H Shi.

2000. Turtle trade in northeast Asia: regional summary (China, Hong Kong, and Taiwan). In: van Dijk, P.P., B.L. Stuart, and A.G.J. Rhodin, editors. Asian Turtle Trade-Proceedings of a Workshop on Conservation and Trade of Freshwater Turtles and Tortoises in Asia, Phnom Penh, Cambodia, 1-4 December 1999. Chelonian Research Monographs. No. 2, Chelonian Research Foundation, Lunenburg, Massachusetts, USA, pp. 52- 54.

Bhupathy S, BC Choudhury, F Hanfee, SM Kaylar, MH Khan, SG Platt, SMA Rashid. 2000. Turtle trade in south Asia: regional summary (Bangladesh, India, and Myanmar). In: van Dijk, P.P., B.L. Stuart and A.G.J. Rhodin, (Eds), Asian Turtle Trade:

Figure 3. Mating behavior of Mauremys reevesii.

(4)

114 국립공원연구지 제 6 권 제 3 호 (2015)

Proceedings of a Workshop on Conservation and Trade of Freshwater Turtles and Tortoises in Asia, Phnom Penh, Cambodia, 1-4 December 1999. Chelonian Research Mono- graphs. No 2, Chelonian Research Foundation, Lunenburg, Massachusetts, USA, pp. 101-105.

Buskirk JR, JF Parham, CR Feldman. 2005. On the hybridisation between two distantly related Asian turtles (Testudines: Sacalia

× Mauremys). Salamandra. 41:1/2 21-26.

Chen TH, HC Lin, HC Chang. 2000.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chelonians in Taiwan. In: van Dijk, P.P., Stuart, B.L., and Rhodin, A.G.J. (Eds.). Asian Turtle Trade: Proceedings of a Workshop on Conservation and Trade of Freshwater Turltes and Tortoises in Asia. Chelonian Research Monographs. No. 2, Chelonian Research Foundation, Lunenburg, Massachusetts, USA, pp. 45-51.

Ernst CH, JE Lovich. 2009. Turtle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econd edi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USA, 827pp.

Fukada H. 1965. Breeding habits of some Japanese reptiles (critical review). The Bulletin of Kyoto Gakuen University, Japan, Series B27:65-82.

Iverson JB. 1992. A Revised Checklist With distribution maps of the turtles of the world. Indiana. Richmond, USA, IN: Privately printed, 363pp.

Kang YS, IB Yoon. 197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17: Amphibia-Reptilia, Sam-Hwa, Seoul, 191pp.

(in Korean)

Lovich JE, Y Yasukawa, H Ota. 2011. Mauremys Reevesii (Gray 1831)-Reeves’ Turtle, Chinese Three-Keeled Pond Turtle. In:

Rhodin, A.G.J., P.C.H. Pritchard, P.P. van Dijk, R.A. Saumure, K.A. Buhlmann, J.B. Iverson and R.A. Mittermeier, (Eds.).

Conservation Biology of Freshwater Turtles and Tortoises: A Compilation Project of the IUCN/SSC Tortoise and Freshwater Turtle Specialist Group. Chelonian Research Monographs. No.

5, pp. 050.1-050.10, doi:10.3854/crm.5.050. reevesii.v1.2011, http://www.iucn-tftsg.org/cbftt/.

Ota H. 1991.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of terrestrial reptiles of Taiwan. 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 posium on Wildlife Conservation, ROC” Eds by Lin Y.S. and K.H. Chang, Council of Agriculture, Taipei, pp. 47-112.

Pope CH. 1935. The reptiles of China. Turtles, crocodilians, snakes, lizards.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Natural History of Central Asia, Vol. 10, 604pp.

Szyndlar Z. 1991. Distributional records for turtles and lizards from North Korea. Herpetological Review. 22(1):27.

Van Dijk, PP. 2013. Mauremys reevesi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4.3. <www.iucnredlist.org>.

Zhao E, K Alder. 1993. Herpetology of China, Contribution of Herpetology, Vol. 10. Oxford: SSAR, 520pp.

(2015년 8월 28일접수; 2015년 9월 15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In your answer you will be assessed on how well you: ■ demonstrat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text as a work of literature ■ present a logical and cohesive response to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