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외국인 투자기업과 노사관계 실태에 대한 조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외국인 투자기업과 노사관계 실태에 대한 조사"

Copied!
115
0
0

Teks penuh

(1)

CODE BOOK

자료번호 A1-2004-0045

연구책임자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조사년도 2004년

연구수행기관 한국노동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09년

(2)

있습니다.

❚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배규식 . 2004. 「 외국인 투자기업과 노사관계 실태에 대한 조사 」. 연구수행기 관: 한국노동연구원·한국경제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 공개년도: 2008년. 자료번호: A1-2004-0045.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9. 「 외국인 투자기업과 노사관계 실태에 대한 조사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음·식료품 및 담배 1 14 2.8 2.8

섬유·의복 및 가죽 2 11 2.2 2.2

목재·가구 3 1 0.2 0.2

종이·인쇄 4 4 0.8 0.8

화학물, 석유, 석탄, 고무 및 플라스틱 5 68 13.5 13.5

비금속 광물 6 8 1.6 1.6

제1차금속 7 7 1.4 1.4

조립·금속제품, 기계 및 장비 8 89 17.6 17.6

기타 제조업 9 145 28.7 28.7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11 3 0.6 0.6

건설업 12 5 1.0 1.0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및 개인 서비스업 13 74 14.7 14.7

숙박 및 음식점업 14 12 2.4 2.4

운수·창고 및 통신업 15 12 2.4 2.4

금융 및 보험업 16 9 1.8 1.8

부동산 임대 및 사업 서비스업주생산품목 및 영업 종목 17 12 2.4 2.4

교육서비스업 18 1 0.2 0.2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19 2 0.4 0.4

기타 공공, 사회 20 28 5.5 5.5

505 100.0 100.0

a11

노사관계에 있어 정부의 역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강력하게 통제 1 9 1.8 1.8

노사자율을 존중하되 엄격히 법을 적용·집행 2 237 46.9 46.9

업종(매출액 비중이 가장 큰 것 기준)

I. 경영 및 노사관계 전망

문1) 노사관계에 있어서 귀사가 바라는 정부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노·사가 적극 협조하여 매우 안정적이 될 것이다 1 28 5.5 5.5

점차 안정되어 나아질 것이다 2 187 37.0 37.0

피상적으로 안정될 것이나 근본적으로 안정되지 않을 것이다 3 259 51.3 51.3

노사가 극한 대립상태로 나가는 등 매우 불안정할 것이다 4 31 6.1 6.1

505 100.0 100.0

a13

한국의 노동관계법제/관행 중 적응하기 어려운 것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쟁의기간 중 대체고용 금지 1 120 23.8 23.8

퇴직금 지급의 의무화 2 29 5.7 5.7

유급생리휴가 보장 3 64 12.7 12.7

유급월차휴가 보장 4 35 6.9 6.9

노조전임에 대한 사용자의 임금 부담 5 66 13.1 13.1

파견근로자 사용의 제한 6 68 13.5 13.5

지나치게 제한적인 변형근로시간제 7 23 4.6 4.6

일용근로자에대한 4대보험가입 의무화 8 5 1.0 1.0

해고가 자유롭지 않다 10 1 0.2 0.2

경직된 노사관계 15 2 0.4 0.4

판례나 행정해석에 의존하는 법의 모호한 적용의 모든형태 18 1 0.2 0.2

없다 98 86 17.0 17.0

모르겠다 99 5 1.0 1.0

505 100.0 100.0

a15

한국의 노동관계법제/관행 중 적응하기 어려운 것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문2) 귀하는 향후 2˜3년간 한국의 노사관계가 전반적으로 어떠하리라고 봅니까?

문3) 한국의 노동관계법제나 관행 중에서 귀사가 적응하기 어려운 것 두 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5)

지나치게 제한적인 변형근로시간제 7 64 12.7 21.4

일용근로자에대한 4대보험가입 의무화 8 2 0.4 0.7

각종 수당 지급의 의무화 9 2 0.4 0.7

해고가 자유롭지 않다 10 1 0.2 0.3

국가 유공자 채용의무 11 1 0.2 0.3

교대 근로자의 심야 수당 적용 12 1 0.2 0.3

비정규직 관련법 13 1 0.2 0.3

고용형태 변경의 어려움 14 2 0.4 0.7

일용 노조문제 16 1 0.2 0.3

휴가의 유급화 17 1 0.2 0.3

시스템 결측 206 40.8

505 100.0 100.0

a17

한국의 경영활동에서 애로점1: 복잡한 행정절차, 정부서비스 부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11 2.2 2.2

거의 없다 2 52 10.3 10.3

보통이다 3 179 35.4 35.4

약간 크다 4 188 37.2 37.2

상당히 크다 5 71 14.1 14.1

모르겠다 9 4 0.8 0.8

505 100.0 100.0

a18

한국의 경영활동에서 애로점2: 국내 금융자금 조달의 어려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40 7.9 7.9

거의 없다 2 159 31.5 31.5

보통이다 3 209 41.4 41.4

약간 크다 4 69 13.7 13.7

문4) 귀사가 한국에서 경영활동을 하는 중 애로를 느끼는 점은 무엇입니까?

1. 복잡한 행정절차, 정부서비스 부족

2. 국내 금융자금 조달의 어려움

(6)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30 5.9 5.9

거의 없다 2 183 36.2 36.2

보통이다 3 227 45.0 45.0

약간 크다 4 49 9.7 9.7

상당히 크다 5 9 1.8 1.8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a20

한국의 경영활동에서 애로점4: 문화/사회적 관행 차이로 의사 소통 불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24 4.8 4.8

거의 없다 2 147 29.1 29.1

보통이다 3 197 39.0 39.0

약간 크다 4 112 22.2 22.2

상당히 크다 5 18 3.6 3.6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a21

한국의 경영활동에서 애로점5: 근로자의 낮은 생산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35 6.9 6.9

거의 없다 2 139 27.5 27.5

보통이다 3 239 47.3 47.3

3. 전기․통신․도로 등 사회간접자본 부실

4. 문화․사회적 관행 차이로 의사 소통 불편

5. 근로자의 낮은 생산성

(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14 2.8 2.8

거의 없다 2 68 13.5 13.5

보통이다 3 211 41.8 41.8

약간 크다 4 171 33.9 33.9

상당히 크다 5 34 6.7 6.7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a23

한국의 경영활동에서 애로점7: 근로자 복리후생에 대한 부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9 1.8 1.8

거의 없다 2 91 18.0 18.0

보통이다 3 238 47.1 47.1

약간 크다 4 144 28.5 28.5

상당히 크다 5 19 3.8 3.8

모르겠다 9 4 0.8 0.8

505 100.0 100.0

a24

한국의 경영활동에서 애로점8: 한국내 시장 협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12 2.4 2.4

거의 없다 2 84 16.6 16.6

보통이다 3 224 44.4 44.4

6. 높은 임금수준

7. 근로자 복리후생에 대한 부담

8. 한국내 시장 협소

(8)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40 7.9 7.9

거의 없다 2 139 27.5 27.5

보통이다 3 162 32.1 32.1

약간 크다 4 112 22.2 22.2

상당히 크다 5 44 8.7 8.7

모르겠다 9 8 1.6 1.6

505 100.0 100.0

a26

한국의 경영활동에서 애로점10: 정치/사회적 불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1 4 0.8 0.8

거의 없다 2 71 14.1 14.1

보통이다 3 163 32.3 32.3

약간 크다 4 182 36.0 36.0

상당히 크다 5 79 15.6 15.6

모르겠다 9 6 1.2 1.2

505 100.0 100.0

a27

향후 2-3년내 회사의 경영상태 전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현재보다 좋아질 것이다 1 301 59.6 59.6

현재보다 나빠질 것이다 2 61 12.1 12.1

별다른 변동이 없을 것이다 3 143 28.3 28.3

9. 대립적인 노사관계

10. 정치․사회적 불안

문5) 귀사는 향후 2˜3년내에 귀사의 경영상태가 어떠하리라고 봅니까?

(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국 내에서 사업규모를 확장 1 164 32.5 32.5

현 사업규모를 유지 2 292 57.8 57.8

사업규모를 축소 3 20 4.0 4.0

제3국으로 신규사업장 물색 4 29 5.7 5.7

505 100.0 100.0

a29

(사업장을 옮기는 경우) 가장 유력한 후보지(국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국 1 25 5.0 86.2

싱가포르 3 1 0.2 3.4

인도네시아 4 1 0.2 3.4

베트남 5 1 0.2 3.4

태국 6 1 0.2 3.4

비해당 0 476 94.3

505 100.0 100.0

a31

(사업장을 옮기는 경우) 후보지(국가) 투자이유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행정절차와 정부규제의 유연성 1 3 0.6 10.3

낮은 금융자본 비용 2 1 0.2 3.4

높은 수준의 사회간접자본 3 1 0.2 3.4

근로자의 높은 생산성 4 1 0.2 3.4

낮은 임금수준 5 14 2.8 48.3

시장의 규모 6 6 1.2 20.7

문6) 귀사의 향후 투자계획은 어떻습니까?

문6-1) 만약 사업장을 아시아권의 다른 나라로 옮긴다면, 어느 나라를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선택할 것이라고 추 측하십니까?

문6-2) 앞의 신규투자 후보국에 대한 투자 이유로서 가장 중요한 요인 2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요.

(1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은 임금수준 5 4 0.8 13.8

시장의 규모 6 5 1.0 17.2

시장의 성장가능성 7 13 2.6 44.8

노사관계의 안정성 8 2 0.4 6.9

사회정치적 안정성 9 1 0.2 3.4

무응답 99 4 0.8 13.8

비해당 0 476 94.3

505 100.0 100.0

a35

투자/사업계획 결정에 노사관계의 영향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중요하게 고려된다 1 207 41.0 41.0

약간 중요하게 고려된다 2 220 43.6 43.6

별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다 3 60 11.9 11.9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 4 9 1.8 1.8

없다 8 2 0.4 0.4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a36

회사 설립년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54년 1954 3 0.6 0.6

1957년 1957 1 0.2 0.2

1960년 1960 2 0.4 0.4

1964년 1964 1 0.2 0.2

문7) 외투기업 본사 수준의 투자결정이나 장기적 사업계획의 결정에 있어 한국의 노사관계가 어느 정도 고려된다 고 생각하십니까?

II. 기업의 개요

문1) 귀 회사(한국법인)의 설립년도는 언제입니까?

(11)

1972년 1972 7 1.4 1.4

1973년 1973 4 0.8 0.8

1974년 1974 3 0.6 0.6

1975년 1975 1 0.2 0.2

1976년 1976 3 0.6 0.6

1977년 1977 2 0.4 0.4

1978년 1978 5 1.0 1.0

1979년 1979 5 1.0 1.0

1980년 1980 2 0.4 0.4

1981년 1981 3 0.6 0.6

1982년 1982 7 1.4 1.4

1983년 1983 7 1.4 1.4

1984년 1984 13 2.6 2.6

1985년 1985 16 3.2 3.2

1986년 1986 15 3.0 3.0

1987년 1987 23 4.6 4.6

1988년 1988 21 4.2 4.2

1989년 1989 15 3.0 3.0

1990년 1990 20 4.0 4.0

1991년 1991 18 3.6 3.6

1992년 1992 13 2.6 2.6

1993년 1993 6 1.2 1.2

1994년 1994 15 3.0 3.0

1995년 1995 33 6.5 6.5

1996년 1996 20 4.0 4.0

1997년 1997 22 4.4 4.4

1998년 1998 25 5.0 5.0

1999년 1999 49 9.7 9.7

2000년 2000 29 5.7 5.7

2001년 2001 33 6.5 6.5

2002년 2002 30 5.9 5.9

(12)

유효합계 488

최소값 2

최대값 29917

평균 389.35 (억원)

표준편차 2002.034

a46

회사 자본금 총액 대비 외국인 투자비율

유효합계 502

최소값 22

최대값 100

평균 85.35 (%)

표준편차 20.416

a49

외국자본의 국적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국 1 1 0.2 0.2

말레이시아 2 3 0.6 0.6

싱가포르 3 11 2.2 2.2

대만 7 4 0.8 0.8

일본 8 153 30.3 30.3

프랑스 10 35 6.9 6.9

독일 11 41 8.1 8.1

미국 12 146 28.9 28.9

영국 13 19 3.8 3.8

문2) 2004년 7월말 현재 귀사(한국법인)의 자본금 총액 및 외국자본비율은 얼마나 됩니까?

1. 자본금 총액

2. 자본금 총액 대비 외국인 투자 비율

3. 외국자본의 국적

(13)

덴마크 21 3 0.6 0.6

스웨덴 22 8 1.6 1.6

슬로바니아 24 1 0.2 0.2

스위스 25 13 2.6 2.6

핀란드 27 4 0.8 0.8

룩셈부르크 28 5 1.0 1.0

벨기에 29 5 1.0 1.0

스페인 30 3 0.6 0.6

오스트리아 31 1 0.2 0.2

버진 아일랜드 36 2 0.4 0.4

모르겠다 99 15 3.0 3.0

505 100.0 100.0

a51

외국자본의 국적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싱가포르 3 4 0.8 22.2

일본 8 3 0.6 16.7

미국 12 4 0.8 22.2

영국 13 1 0.2 5.6

캐나다 15 1 0.2 5.6

이탈리아 17 1 0.2 5.6

홍콩 19 2 0.4 11.1

벨기에 29 1 0.2 5.6

멕시코 37 1 0.2 5.6

시스템 결측 487 96.4

505 100.0 100.0

a53

외국자본의 국적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싱가포르 3 1 0.2 25.0

일본 8 1 0.2 25.0

스위스 25 1 0.2 25.0

(14)

유효합계 491

최소값 22

최대값 100

평균 85.06 (%)

표준편차 20.766

a58

외국자본 국적2의 자본금 총액 대비 투자비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1 2 0.4 11.1

5% 5 1 0.2 5.6

7% 7 1 0.2 5.6

10% 10 1 0.2 5.6

16% 16 1 0.2 5.6

18% 18 1 0.2 5.6

20% 20 2 0.4 11.1

30% 30 1 0.2 5.6

32% 32 1 0.2 5.6

40% 40 1 0.2 5.6

41% 41 1 0.2 5.6

49% 49 1 0.2 5.6

50% 50 4 0.8 22.2

시스템 결측 487 96.4

505 100.0 100.0

a60

외국자본 국적3의 자본금 총액 대비 투자비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 2 3 0.6 75.0

자본금 총액 대비 투자 비율 (%)

(1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54년 1954 1 0.2 0.2

1967년 1967 2 0.4 0.4

1968년 1968 3 0.6 0.6

1969년 1969 2 0.4 0.4

1970년 1970 2 0.4 0.4

1971년 1971 3 0.6 0.6

1972년 1972 9 1.8 1.8

1973년 1973 5 1.0 1.0

1974년 1974 3 0.6 0.6

1975년 1975 1 0.2 0.2

1976년 1976 2 0.4 0.4

1977년 1977 2 0.4 0.4

1978년 1978 1 0.2 0.2

1979년 1979 3 0.6 0.6

1980년 1980 1 0.2 0.2

1982년 1982 4 0.8 0.8

1983년 1983 5 1.0 1.0

1984년 1984 12 2.4 2.4

1985년 1985 14 2.8 2.8

1986년 1986 14 2.8 2.8

1987년 1987 24 4.8 4.8

1988년 1988 19 3.8 3.8

1989년 1989 15 3.0 3.0

1990년 1990 15 3.0 3.0

1991년 1991 17 3.4 3.4

1992년 1992 8 1.6 1.6

1993년 1993 6 1.2 1.2

문3) 귀사에 외국자본이 최초로 투자된 시기는 언제입니까?

(16)

1999년 1999 60 11.9 11.9

2000년 2000 38 7.5 7.5

2001년 2001 34 6.7 6.7

2002년 2002 30 5.9 5.9

2003년 2003 19 3.8 3.8

2004년 2004 9 1.8 1.8

무응답 9999 6 1.2 1.2

505 100.0 100.0

a66

외국자본 도입당시 진출방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단순 자본 출자 1 101 20.0 20.0

신규 설립 방식 2 296 58.6 58.6

인수 합병 3 104 20.6 20.6

합자투자 4 1 0.2 0.2

모르겠다 9 3 0.6 0.6

505 100.0 100.0

a67

외국본사가 한국에 진출하게 된 동기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국을 새로운 시장으로 개척·확보 1 399 79.0 79.0

동남아시장에 대한 전진기지 2 39 7.7 7.7

양질의 노동력 확보 3 27 5.3 5.3

한국의 관세 등 무역장벽 극복 4 1 0.2 0.2

한국정부의 특혜조치 기대 5 4 0.8 0.8

비교적 투자수익률이 높아서 6 19 3.8 3.8

저임의 노동력 이용 7 6 1.2 1.2

문4) 외국자본 도입당시 진출방식은 다음 중 어떤 방식에 의해서입니까?

문5) 다음 중 귀사의 외국본사가 한국에 진출하게 된 동기는 무엇입니까?

(1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국을 새로운 시장으로 개척·확보 1 2 0.4 0.8

동남아시장에 대한 전진기지 2 87 17.2 32.7

양질의 노동력 확보 3 64 12.7 24.1

한국의 관세 등 무역장벽 극복 4 2 0.4 0.8

한국정부의 특혜조치 기대 5 12 2.4 4.5

비교적 투자수익률이 높아서 6 75 14.9 28.2

저임의 노동력 이용 7 24 4.8 9.0

시스템 결측 239 47.3

505 100.0 100.0

a69

외국자본의 한국진출 관련 의견1: 저임금의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48 9.5 9.5

그렇지 않다 2 179 35.4 35.4

보통이다 3 190 37.6 37.6

약간 그렇다 4 69 13.7 13.7

매우 그렇다 5 12 2.4 2.4

없다 8 2 0.4 0.4

모르겠다 9 5 1.0 1.0

505 100.0 100.0

a70

외국자본의 한국진출 관련 의견2: 한국 정부의 다양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48 9.5 9.5

그렇지 않다 2 194 38.4 38.4

보통이다 3 198 39.2 39.2

약간 그렇다 4 52 10.3 10.3

매우 그렇다 5 5 1.0 1.0

문6) 외국 자본의 한국 진출과 관련된 다음 설명에 대해 귀사의 경우에 해당되는 곳에 표시해 주십시오.

1. 저임금의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2. 한국 정부의 다양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18)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47 9.3 9.3

그렇지 않다 2 154 30.5 30.5

보통이다 3 184 36.4 36.4

약간 그렇다 4 103 20.4 20.4

매우 그렇다 5 8 1.6 1.6

없다 8 2 0.4 0.4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a72

외국자본의 한국진출 관련 의견4: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시장이 매력적이었기 때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14 2.8 2.8

그렇지 않다 2 29 5.7 5.7

보통이다 3 159 31.5 31.5

약간 그렇다 4 244 48.3 48.3

매우 그렇다 5 55 10.9 10.9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3 0.6 0.6

505 100.0 100.0

a73

외국자본의 한국진출 관련 의견5: 아시아 지역에서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목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23 4.6 4.6

그렇지 않다 2 81 16.0 16.0

보통이다 3 180 35.6 35.6

약간 그렇다 4 167 33.1 33.1

3. 한국에서의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이다

4.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시장이 매력적이었기 때문이다

5. 아시아 지역에서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목적이었다

(1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9 1.8 1.8

그렇지 않다 2 36 7.1 7.1

보통이다 3 186 36.8 36.8

약간 그렇다 4 217 43.0 43.0

매우 그렇다 5 51 10.1 10.1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5 1.0 1.0

505 100.0 100.0

a75

외국자본의 한국진출 관련 의견7: 한국에서 고품질 생산과 고생산성이 가능했기 때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21 4.2 4.2

그렇지 않다 2 70 13.9 13.9

보통이다 3 249 49.3 49.3

약간 그렇다 4 134 26.5 26.5

매우 그렇다 5 19 3.8 3.8

없다 8 2 0.4 0.4

모르겠다 9 10 2.0 2.0

505 100.0 100.0

a76

한국투자에 매력을 느끼는 요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국시장의 규모 1 211 41.8 41.8

6. 단기적인 투자수익률보다 장기적인 시장확보를 위해서였다

7. 한국에서 고품질 생산과 고생산성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문7) 본사가 현재 한국에 대한 투자에 매력을 느끼는 가장 큰 요소는 다음 중 어느 것입니까?

(20)

전혀 매력을 느끼고 있지 않다 7 28 5.5 5.5

세제 혜택 8 1 0.2 0.2

오더의 한국인 9 1 0.2 0.2

컴퓨터관련 정보통신 인프라 10 1 0.2 0.2

한국시장의 다양성 11 3 0.6 0.6

고객업체의 빠른대응 12 3 0.6 0.6

없다 98 18 3.6 3.6

모르겠다 99 4 0.8 0.8

505 100.0 100.0

a78

사업내용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에서 생산된 상품의 단순판매 1 91 18.0 18.0

국내시장을 겨냥한 생산 및 판매 2 239 47.3 47.3

아시아 혹은 국제시장을 겨냥한 생산 및 판매 3 100 19.8 19.8

전세계를 상대로 한 신제품 개발 및 생산 4 64 12.7 12.7

없다 8 2 0.4 0.4

모르겠다 9 9 1.8 1.8

505 100.0 100.0

a79

회사내 연구소/연구개발부서 설치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다 1 219 43.4 43.4

아니다 2 286 56.6 56.6

505 100.0 100.0 문8) 국내에서 귀사의 주요 사업내용은?

문9) 현재 귀 회사(한국법인)에 연구소나 연구개발부서가 설치되어 있습니까?

(2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신제품 개발 1 106 21.0 48.4

본사에서 개발한 기존 제품의 개량 및 개선 2 71 14.1 32.4

연구개발 정보수집 3 10 2.0 4.6

생산 및 마케팅 지원 4 32 6.3 14.6

비해당 0 286 56.6

505 100.0 100.0

a81

정규직 근로자 수

유효합계 504

최소값 0

최대값 6815

평균 237.62 (명)

표준편차 514.424

a86

비정규직 근로자 수

유효합계 504

최소값 0

최대값 7000

평균 71.91 (명)

표준편차 468.04

a91

총 근로자 수

유효합계 504

문10) 연구소나 연구개발부서의 주요 역할은 다음 중 무엇입니까?

문11) 귀사의 현재 고용인원은 총 몇 명이나 됩니까?

정규직 근로자

문11) 귀사의 현재 고용인원은 총 몇 명이나 됩니까?

비정규직 근로자 수

문11) 귀사의 현재 고용인원은 총 몇 명이나 됩니까?

총 근로자 수

(22)

유효합계 172

최소값 8

최대값 50

평균 21.48 (백만원)

표준편차 7.294

a98

1999년 정규직 근로자 연평균 임금수준(백만원)

유효합계 193

최소값 8

최대값 48

평균 23.33 (백만원)

표준편차 7.173

a100

2000년 정규직 근로자 연평균 임금수준(백만원)

유효합계 230

최소값 8

최대값 57

평균 25.55 (백만원)

표준편차 8.483

a102

2001년 정규직 근로자 연평균 임금수준(백만원)

유효합계 268

최소값 10

문12) 귀사의 정규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1998년

문12) 귀사의 정규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1999년

문12) 귀사의 정규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2000년

문12) 귀사의 정규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2001년

(23)

유효합계 313

최소값 11

최대값 98

평균 29.92 (백만원)

표준편차 10.537

a106

2003년 정규직 근로자 연평균 임금수준(백만원)

유효합계 402

최소값 12

최대값 84

평균 31.47 (백만원)

표준편차 10.461

a108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평균임금의 상대적 비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에 차이가 없음) 1 131 25.9 25.9

90-99% 2 38 7.5 7.5

80%-89% 3 74 14.7 14.7

70%-79% 4 59 11.7 11.7

60%-69% 5 22 4.4 4.4

50%-59% 6 18 3.6 3.6

50% 미만 7 20 4.0 4.0

비정규직 없다 8 3 0.6 0.6

문12) 귀사의 정규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2002년

문12) 귀사의 정규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2003년

문12-1) 정규직과 비정규직 종업원 사이에 평균임금의 상대적 비율(비정규직 월평균임금/ 정규직 월평균임금)은 모든 직급과 직종 평균으로 볼 때 어느 정도 입니까?

(2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에 차이가 없음) 1 243 48.1 48.1

95-99% 2 25 5.0 5.0

90%-94% 3 20 4.0 4.0

85%-89% 4 19 3.8 3.8

80%-84% 5 14 2.8 2.8

75%-79% 6 12 2.4 2.4

70%-74% 7 13 2.6 2.6

70% 미만 8 15 3.0 3.0

모르겠다 9 144 28.5 28.5

505 100.0 100.0

b9

1998년 총 자산규모

유효합계 100

최소값 7

최대값 36171

평균 1359.74 (억원)

표준편차 5114.295

b16

1998년 총 종업원 수

유효합계 95

최소값 3

문12-2) 정규직과 비정규직 종업원 사이에 평균근로시간의 상대적 비율(비정규직 월평균근로시간/ 정규직 월평 균근로시간)은 모든 직급과 직종 평균으로 볼 때 어느 정도입니까?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8년 총 자산규모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8년 총 종업원 수

(25)

b21

1998년 매출액

유효합계 108

최소값 1

최대값 162702

평균 3225.86 (억원)

표준편차 17610.896

b27

1998년 당기순이익

유효합계 98

최소값 -557

최대값 2355

평균 71.13 (억원)

표준편차 291.774

b33

1998년 수출액(해외매출액)

유효합계 113

최소값 0

최대값 104995

평균 1261.86 (억원)

표준편차 10010.949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8년 매출액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8년 당기순이익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8년 수출액(해외매출액)

(26)

b39

1999년 총 자산규모

유효합계 142

최소값 0

최대값 47326

평균 1718.36 (억원)

표준편차 6116.798

b46

1999년 총 종업원 수

유효합계 156

최소값 1

최대값 3300

평균 285.49 (명)

표준편차 502.919

b51

1999년 매출액

유효합계 197

최소값 0

최대값 75093

평균 1636.54 (억원)

표준편차 6568.636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9년 총 자산규모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9년 총 종업원 수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9년 매출액

(27)

유효합계 130

최소값 -907

최대값 2012

평균 95.06 (억원)

표준편차 291.624

b63

1999년 수출액(해외매출액)

유효합계 208

최소값 0

최대값 17360

평균 312.75 (억원)

표준편차 2009.12

b69

2000년 총 자산규모

유효합계 193

최소값 0

최대값 50710

평균 1844.31 (억원)

표준편차 6603.486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9년 당기순이익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1999년 수출액(해외매출액)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0년 총 자산규모

(28)

b76

2000년 총 종업원 수

유효합계 269

최소값 3

최대값 9900

평균 377.37 (명)

표준편차 1017.945

b81

2000년 매출액

유효합계 271

최소값 0

최대값 104053

평균 1945.92 (억원)

표준편차 8309.977

b87

2000년 당기순이익

유효합계 174

최소값 -2060

최대값 2689

평균 74.96 (억원)

표준편차 406.215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0년 총 종업원 수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0년 매출액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0년 당기순이익

(29)

b93

2000년 수출액(해외매출액)

유효합계 287

최소값 0

최대값 27493

평균 356.61 (억원)

표준편차 2518.993

c9

2001년 총 자산규모

유효합계 331

최소값 0

최대값 64456

평균 1762.63 (억원)

표준편차 6357.408

c16

2001년 총 종업원 수

유효합계 321

최소값 0

최대값 10660

평균 344.42 (명)

표준편차 963.517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0년 수출액(해외매출액)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1년 총 자산규모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1년 총 종업원 수

(30)

c21

2001년 매출액

유효합계 352

최소값 0

최대값 103300

평균 1748.32 (억원)

표준편차 7547.933

c27

2001년 당기순이익

유효합계 309

최소값 -3906

최대값 3217

평균 47.44 (억원)

표준편차 397.263

c33

2001년 수출액(해외매출액)

유효합계 355

최소값 0

최대값 34745

평균 317.74 (억원)

표준편차 2492.627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1년 매출액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1년 당기순이익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1년 수출액(해외매출액)

(31)

c39

2002년 총 자산규모

유효합계 404

최소값 3

최대값 72550

평균 1623.05 (억원)

표준편차 6519.305

c46

2002년 총 종업원 수

유효합계 355

최소값 0

최대값 11310

평균 348.35 (명)

표준편차 1025.356

c51

2002년 매출액

유효합계 404

최소값 0

최대값 605414

평균 4338.76 (억원)

표준편차 39508.13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2년 총 자산규모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2년 총 종업원 수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2년 매출액

(32)

c57

2002년 당기순이익

유효합계 383

최소값 -2247

최대값 7000

평균 84.65 (억원)

표준편차 465.365

c63

2002년 수출액(해외매출액)

유효합계 400

최소값 0

최대값 29248

평균 264.15 (억원)

표준편차 1989.638

c69

2003년 총 자산규모

유효합계 427

최소값 2

최대값 77050

평균 1618.71 (억원)

표준편차 6387.905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2년 당기순이익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2년 수출액(해외매출액)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3년 총 자산규모

(33)

c76

2003년 총 종업원 수

유효합계 409

최소값 0

최대값 13680

평균 326.85 (명)

표준편차 1051.341

c81

2003년 매출액

유효합계 440

최소값 0

최대값 110543

평균 1473.58 (억원)

표준편차 6297.619

c87

2003년 당기순이익

유효합계 418

최소값 -1581

최대값 3857

평균 62.45 (억원)

표준편차 309.948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3년 총 종업원 수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3년 매출액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3년 당기순이익

(34)

c93

2003년 수출액(해외매출액)

유효합계 431

최소값 0

최대값 30708

평균 272.68 (억원)

표준편차 1905.875

d9

외국본사가 다국적 기업에 해당되는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400 79.2 79.2

아니오 2 105 20.8 20.8

505 100.0 100.0

d10

(다국적 기업인 경우) 진출한 국가수

유효합계 327

최소값 1

최대값 230

평균 37.08 (개국)

표준편차 44.659

d13

한국내 최고책임자의 국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문13) 귀사의 최근 6년간 총자산규모 총종업원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수출활동이 있다면 수출액을 아래 의 표에 적어주십시오

2003년 수출액(해외매출액)

문14) 귀사의 외국본사는 다국적 기업에 해당됩니까?

1. 예 문14-1) 그렇다면 대략 몇 개국 정도에 진출해 있습니까?

문15) 귀사의 한국 내 최고책임자의 국적은?

(3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말레이시아 2 1 0.2 0.5

싱가포르 3 3 0.6 1.6

대만 7 3 0.6 1.6

일본 8 66 13.1 34.7

프랑스 10 10 2.0 5.3

독일 11 14 2.8 7.4

미국 12 39 7.7 20.5

영국 13 6 1.2 3.2

노르웨이 14 2 0.4 1.1

캐나다 15 2 0.4 1.1

네덜란드 16 3 0.6 1.6

이탈리아 17 5 1.0 2.6

인도 18 1 0.2 0.5

홍콩 19 1 0.2 0.5

호주 20 1 0.2 0.5

덴마크 21 5 1.0 2.6

스웨덴 22 3 0.6 1.6

스위스 25 1 0.2 0.5

스코트랜드 26 1 0.2 0.5

핀란드 27 2 0.4 1.1

벨기에 29 2 0.4 1.1

오스트리아 31 1 0.2 0.5

모르겠다 99 18 3.6 9.5

비해당 0 315 62.4

505 100.0 100.0

d16

재무관리 담당자의 국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 외국인 (국적: ________________)

문16) 귀사에서 재무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사람은 다음 주 누구입니까?

(36)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국인 사장 1 217 43.0 43.0

외국인 사장 2 99 19.6 19.6

한국인 임원 3 130 25.7 25.7

외국인 임원 4 59 11.7 11.7

505 100.0 100.0

d18

파견근무중인 외국인력1: 직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사장 1 32 6.3 12.6

상무 2 8 1.6 3.2

사원 3 14 2.8 5.5

임원 4 38 7.5 15.0

전무 5 8 1.6 3.2

공장장 6 3 0.6 1.2

대표이사 8 77 15.2 30.4

과장 9 7 1.4 2.8

이사 10 24 4.8 9.5

지배인 11 5 1.0 2.0

회장 12 4 0.8 1.6

실장 13 1 0.2 0.4

부장 14 11 2.2 4.3

차장 16 4 0.8 1.6

팀장 17 5 1.0 2.0

대리 18 1 0.2 0.4

본부장 19 2 0.4 0.8

연구소장 20 1 0.2 0.4

스템 22 1 0.2 0.4

문17) 외국 본사와의 주요 업무연락이나 조정역할은 주로 누가 수행합니까?

문18) 현재 귀사에서 파견근무를 하고 있는 외국인 인력은 몇 명입니까? 직 책

(3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국 1 3 0.6 1.2

말레이시아 2 2 0.4 0.8

싱가포르 3 4 0.8 1.6

베트남 5 1 0.2 0.4

대만 7 3 0.6 1.2

일본 8 95 18.8 37.5

필리핀 9 3 0.6 1.2

프랑스 10 21 4.2 8.3

독일 11 24 4.8 9.5

미국 12 48 9.5 19.0

영국 13 6 1.2 2.4

노르웨이 14 2 0.4 0.8

캐나다 15 1 0.2 0.4

네덜란드 16 5 1.0 2.0

이탈리아 17 3 0.6 1.2

인도 18 4 0.8 1.6

홍콩 19 4 0.8 1.6

호주 20 4 0.8 1.6

덴마크 21 5 1.0 2.0

스웨덴 22 3 0.6 1.2

슬로바니아 24 1 0.2 0.4

스위스 25 1 0.2 0.4

핀란드 27 2 0.4 0.8

벨기에 29 2 0.4 0.8

오스트리아 31 1 0.2 0.4

뉴질랜드 35 1 0.2 0.4

모르겠다 99 4 0.8 1.6

문18) 현재 귀사에서 파견근무를 하고 있는 외국인 인력은 몇 명입니까? 국 적

(38)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195 38.6 77.1

2명 2 27 5.3 10.7

3명 3 9 1.8 3.6

4명 4 9 1.8 3.6

5명 5 3 0.6 1.2

6명 6 2 0.4 0.8

10명 10 3 0.6 1.2

12명 12 1 0.2 0.4

13명 13 1 0.2 0.4

15명 15 1 0.2 0.4

16명 16 1 0.2 0.4

17명 17 1 0.2 0.4

비해당 0 252 49.9

505 100.0 100.0

d25

파견근무중인 외국인력2: 직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사장 1 10 2.0 9.5

상무 2 7 1.4 6.7

사원 3 14 2.8 13.3

임원 4 14 2.8 13.3

전무 5 5 1.0 4.8

공장장 6 1 0.2 1.0

감사 7 1 0.2 1.0

대표이사 8 5 1.0 4.8

과장 9 6 1.2 5.7

이사 10 9 1.8 8.6

실장 13 1 0.2 1.0

부장 14 18 3.6 17.1

차장 16 4 0.8 3.8

팀장 17 3 0.6 2.9

본부장 19 1 0.2 1.0

부지배인 21 1 0.2 1.0

문18) 현재 귀사에서 파견근무를 하고 있는 외국인 인력은 몇 명입니까? 인원(명)

(3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국 1 1 0.2 1.0

말레이시아 2 2 0.4 1.9

싱가포르 3 2 0.4 1.9

대만 7 2 0.4 1.9

일본 8 45 8.9 42.9

프랑스 10 6 1.2 5.7

독일 11 9 1.8 8.6

미국 12 14 2.8 13.3

영국 13 4 0.8 3.8

노르웨이 14 2 0.4 1.9

캐나다 15 1 0.2 1.0

이탈리아 17 2 0.4 1.9

인도 18 2 0.4 1.9

호주 20 5 1.0 4.8

슬로바니아 24 1 0.2 1.0

핀란드 27 2 0.4 1.9

벨기에 29 2 0.4 1.9

모르겠다 99 3 0.6 2.9

비해당 0 400 79.2

505 100.0 100.0

d29

파견근무중인 외국인력2: 인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82 16.2 78.1

2명 2 15 3.0 14.3

3명 3 4 0.8 3.8

4명 4 2 0.4 1.9

8명 8 1 0.2 1.0

(4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사장 1 2 0.4 5.4

상무 2 2 0.4 5.4

사원 3 8 1.6 21.6

임원 4 4 0.8 10.8

전무 5 1 0.2 2.7

공장장 6 1 0.2 2.7

대표이사 8 3 0.6 8.1

과장 9 1 0.2 2.7

이사 10 1 0.2 2.7

부장 14 4 0.8 10.8

부회장 15 1 0.2 2.7

차장 16 2 0.4 5.4

팀장 17 4 0.8 10.8

스템 22 1 0.2 2.7

무응답 99 2 0.4 5.4

비해당 0 468 92.7

505 100.0 100.0

d34

파견근무중인 외국인력3: 국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국 1 1 0.2 2.7

싱가포르 3 2 0.4 5.4

일본 8 11 2.2 29.7

필리핀 9 1 0.2 2.7

프랑스 10 5 1.0 13.5

독일 11 5 1.0 13.5

미국 12 3 0.6 8.1

영국 13 1 0.2 2.7

인도 18 1 0.2 2.7

홍콩 19 1 0.2 2.7

호주 20 1 0.2 2.7

루마니아 23 1 0.2 2.7

핀란드 27 1 0.2 2.7

벨기에 29 1 0.2 2.7

멕시코 37 1 0.2 2.7

(4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26 5.1 70.3

2명 2 3 0.6 8.1

3명 3 2 0.4 5.4

4명 4 1 0.2 2.7

5명 5 1 0.2 2.7

6명 6 1 0.2 2.7

20명 20 1 0.2 2.7

32명 32 2 0.4 5.4

비해당 0 468 92.7

505 100.0 100.0

d39

실질적인 경영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국내 자본 1 110 21.8 21.8

외국 자본 2 395 78.2 78.2

505 100.0 100.0

d40

한국사업체의 현지 경영자율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낮다 1 8 1.6 2.0

낮다 2 69 13.7 17.5

보통 3 148 29.3 37.5

높다 4 133 26.3 33.7

매우 높다 5 37 7.3 9.4

비해당 0 110 21.8

문19) 귀사의 실질적인 경영권은 어느 쪽에 있습니까?

문20) 경영관리에 있어서 한국 사업체가 가지고 있는 현지 경영의 자율성은 어느 정도입니까?

(42)

d41

본사통제 방식1: 직접 파견한 외국인 관리자들을 통해 통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직접 파견한 외국인 관리자들을 통해 통제 1 115 22.8 29.1

표준화된 보고체계와 규정을 통해 통제

(사업본부별 보고체계) 2 211 41.8 53.4

기업문화와 사람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제 3 10 2.0 2.5

최종 경영성과를 반영한 평가를 통해 통제 4 36 7.1 9.1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본사 관리자들 혹은 본사를 방문하는

한국 5 12 2.4 3.0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주관하는 고위/중간관리자

기능별 6 3 0.6 0.8

자체 경영 7 1 0.2 0.3

자본과 경영을 분리해서 운영 8 1 0.2 0.3

해당없음 98 3 0.6 0.8

모르겠다 99 3 0.6 0.8

비해당 0 110 21.8

505 100.0 100.0

d43

본사통제 방식2: 표준화된 보고체계와 규정을 통해 통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표준화된 보고체계와 규정을 통해 통제

(사업본부별 보고체계) 2 59 11.7 29.4

기업문화와 사람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제 3 38 7.5 18.9

최종 경영성과를 반영한 평가를 통해 통제 4 86 17.0 42.8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본사 관리자들 혹은 본사를 방문하는

한국 5 14 2.8 7.0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주관하는 고위/

중간관리자 기능별 6 3 0.6 1.5

자체 경영 7 1 0.2 0.5

비해당 0 304 60.2

문21) 한국 법인에 대한 본사의 통제는 다음 중 주로 어떤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1. 직접 파견한 외국인 관리자들을 통해 통제

2. 표준화된 보고체계와 규정을 통해 통제(사업본부별 보고체계)

(4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업문화와 사람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제 3 10 2.0 9.6

최종 경영성과를 반영한 평가를 통해 통제 4 46 9.1 44.2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본사 관리자들 혹은 본사를 방문하는

한국 5 40 7.9 38.5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주관하는 고위/중간관리자

기능별 6 8 1.6 7.7

비해당 0 401 79.4

505 100.0 100.0

d47

본사통제 방식4: 최종 경영성과를 반영한 평가를 통해 통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최종 경영성과를 반영한 평가를 통해 통제 4 8 1.6 18.6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본사 관리자들 혹은 본사를 방문하는

한국 5 23 4.6 53.5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주관하는 고위/중간관리자

기능별 6 12 2.4 27.9

비해당 0 462 91.5

505 100.0 100.0

d49

본사통제 방식5: 한국관리자들에 대한 교육을 통해 통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본사 관리자들 혹은 본사를 방문하는

한국 5 6 1.2 31.6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주관하는 고위/중간관리자

기능별 6 13 2.6 68.4

비해당 0 486 96.2

505 100.0 100.0 3. 기업문화와 사람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제

4. 최종 경영성과를 반영한 평가를 통해 통제

5.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본사 관리자들 혹은 본사를 방문하는 한국관리자들에 대한 교육을 통해 통제

(44)

d51

본사통제 방식6: 중간관리자 기능별/업무별 조정회의나 교육을 통해 통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주관하는 고위/중간관리자

기능별 6 2 0.4 100.0

비해당 0 503 99.6

505 100.0 100.0

d53

본사통제 방식7: 기타

변수값 빈도 퍼센트

비해당 0 505 100.0

d55

귀사(한국법인)의 위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원이나 역량이 우수하며 본사가 생각하는 전략적 가치도

높다 1 245 48.5 62.0

자원이나 역량이 우수하지만 본사가 생각하는 전략적

가치는 낮다 2 87 17.2 22.0

자원이나 역량이 낮으나 본사가 생각하는 전략적 가치는

높다 3 44 8.7 11.1

자원이나 역량이 낮으며 본사가 생각하는 전략적 가치도

낮다 4 12 2.4 3.0

없다 8 2 0.4 0.5

모르겠다 9 5 1.0 1.3

비해당 0 110 21.8

505 100.0 100.0 6. 본사나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주관하는 고위/중간관리자 기능별, 업무별 조정회의나 교육을 통해 통제

7.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문22) 본사의 관점에서 볼 때 귀사(한국법인)의 위상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4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낮다 1 8 1.6 2.0

낮다 2 46 9.1 11.6

보통 3 150 29.7 38.0

높다 4 127 25.1 32.2

매우 높다 5 30 5.9 7.6

없다 8 22 4.4 5.6

모르겠다 9 12 2.4 3.0

비해당 0 110 21.8

505 100.0 100.0

d57

언어장벽/의사소통의 문제로 인한 노사관계 장애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 1.0 1.3

그렇지 않다 2 27 5.3 6.8

보통 3 72 14.3 18.2

그렇다 4 173 34.3 43.8

매우 그렇다 5 98 19.4 24.8

없다 8 13 2.6 3.3

모르겠다 9 7 1.4 1.8

비해당 0 110 21.8

505 100.0 100.0

d58

한국인 중간관리자 역할에 대한 의견1: 단순히 정해진 결정을 전달하거나 집행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8 3.6 4.6

그렇지 않다 2 155 30.7 39.2

보통 3 146 28.9 37.0

그렇다 4 55 10.9 13.9

문23) 외국인 사장이나 임원들이 한국에 주재하는 경우 한국인 종업원들과의 의사소통노력은 어느 정도입니까?

문24) 언어 장벽이나 의사소통의 문제로 인해 노사관계나 노조와의 교섭이 장애를 받고 있습니까?

문25)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한국인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관련한 다음의 진술에 대해 맞는 것에 체크해 주시기 바 랍니다.

1. 단순히 정해진 결정을 전달하거나 집행한다

(46)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2 6.3 8.1

그렇지 않다 2 133 26.3 33.7

보통 3 141 27.9 35.7

그렇다 4 75 14.9 19.0

매우 그렇다 5 5 1.0 1.3

모르겠다 9 9 1.8 2.3

비해당 0 110 21.8

505 100.0 100.0

d60

한국인 중간관리자 역할에 대한 의견3: 본사의 지침과 한국적 특수성을 적극적으로 조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 0.8 1.0

그렇지 않다 2 35 6.9 8.9

보통 3 141 27.9 35.7

그렇다 4 175 34.7 44.3

매우 그렇다 5 32 6.3 8.1

모르겠다 9 8 1.6 2.0

비해당 0 110 21.8

505 100.0 100.0

d61

한국인 중간관리자 역할에 대한 의견4: 업무와 관련하여 상당한 자율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7 1.4 1.8

그렇지 않다 2 43 8.5 10.9

보통 3 163 32.3 41.3

그렇다 4 125 24.8 31.6

매우 그렇다 5 47 9.3 11.9

2. 본사와 우리나라 종업원 양측사이에 끼어 역할갈등을 느낀다

3. 본사의 지침과 한국적 특수성을 적극적으로 조율한다

4. 업무와 관련하여 상당한 자율성을 갖고 있다

(4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단기적임 1 6 1.2 1.5

단기적임 2 65 12.9 16.5

보통 3 129 25.5 32.7

중장기적임 4 173 34.3 43.8

매우 중장기적임 5 16 3.2 4.1

모르겠다 9 6 1.2 1.5

비해당 0 110 21.8

505 100.0 100.0

d63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1: 연간사업예산의 결정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32 6.3 6.3

외국본사 사전결재 2 62 12.3 12.3

외국본사 사전협의 3 273 54.1 54.1

현지결정 4 132 26.1 26.1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5 1.0 1.0

505 100.0 100.0

d64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2: 반기별 분기별 사업계획의 결정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21 4.2 4.2

외국본사 사전결재 2 46 9.1 9.1

외국본사 사전협의 3 250 49.5 49.5

문26) 한국 사업체의 실적에 대한 평가는 다음 중 어떤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III. 노사관계에 관한 사항

문1) 아래의 질문은 현지에서 경영을 하는 과정에서 택해야 하는 의사결정들입니다.

각 항목에 대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수준을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연간사업예산의 결정

2. 반기별 분기별 사업계획의 결정

(48)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87 17.2 17.2

외국본사 사전결재 2 71 14.1 14.1

외국본사 사전협의 3 249 49.3 49.3

현지결정 4 89 17.6 17.6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8 1.6 1.6

505 100.0 100.0

d66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4: 단체교섭 구조나 방식의 선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12 2.4 2.4

외국본사 사전결재 2 21 4.2 4.2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45 28.7 28.7

현지결정 4 283 56.0 56.0

없다 8 14 2.8 2.8

모르겠다 9 30 5.9 5.9

505 100.0 100.0

d67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5: 임금인상, 성과급, 상여금 지급 결정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15 3.0 3.0

외국본사 사전결재 2 46 9.1 9.1

외국본사 사전협의 3 218 43.2 43.2

현지결정 4 215 42.6 42.6

3. 투자계획의 결정

4. 단체교섭 구조나 방식의 선택

5. 임금인상, 성과급, 상여금 지급 결정

(4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11 2.2 2.2

외국본사 사전결재 2 41 8.1 8.1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97 39.0 39.0

현지결정 4 243 48.1 48.1

없다 8 3 0.6 0.6

모르겠다 9 10 2.0 2.0

505 100.0 100.0

d69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7: 복리후생제도의 내용 결정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7 1.4 1.4

외국본사 사전결재 2 28 5.5 5.5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48 29.3 29.3

현지결정 4 313 62.0 62.0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8 1.6 1.6

505 100.0 100.0

d70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8: 파업에 대한 대응과 해결방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9 1.8 1.8

외국본사 사전결재 2 19 3.8 3.8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65 32.7 32.7

6. 보상체계의 결정

7. 복리후생제도의 내용 결정

8. 파업에 대한 대응과 해결방안

(5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15 3.0 3.0

외국본사 사전결재 2 48 9.5 9.5

외국본사 사전협의 3 208 41.2 41.2

현지결정 4 222 44.0 44.0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11 2.2 2.2

505 100.0 100.0

d72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10: 관리자의 채용결정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16 3.2 3.2

외국본사 사전결재 2 47 9.3 9.3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70 33.7 33.7

현지결정 4 260 51.5 51.5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11 2.2 2.2

505 100.0 100.0

d73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11: 조직기구의 신설이나 폐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27 5.3 5.3

외국본사 사전결재 2 50 9.9 9.9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83 36.2 36.2

9. 고용규모의 결정

10. 관리자의 채용결정

11. 조직기구의 신설이나 폐쇄

(5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7 1.4 1.4

외국본사 사전결재 2 19 3.8 3.8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24 24.6 24.6

현지결정 4 343 67.9 67.9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11 2.2 2.2

505 100.0 100.0

d75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13: 임원의 승진이나 인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48 9.5 9.5

외국본사 사전결재 2 64 12.7 12.7

외국본사 사전협의 3 207 41.0 41.0

현지결정 4 173 34.3 34.3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12 2.4 2.4

505 100.0 100.0

d76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14: 정리해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22 4.4 4.4

외국본사 사전결재 2 37 7.3 7.3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85 36.6 36.6

12. 취업규칙의 제정이나 개정

13. 임원의 승진이나 인사

14. 정리해고

(5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5 1.0 1.0

외국본사 사전결재 2 19 3.8 3.8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11 22.0 22.0

현지결정 4 359 71.1 71.1

없다 8 1 0.2 0.2

모르겠다 9 10 2.0 2.0

505 100.0 100.0

d78

경영과정에서의 의사결정16: 단체협약의 체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외국본사 결정 1 7 1.4 1.4

외국본사 사전결재 2 14 2.8 2.8

외국본사 사전협의 3 148 29.3 29.3

현지결정 4 287 56.8 56.8

없다 8 15 3.0 3.0

모르겠다 9 34 6.7 6.7

505 100.0 100.0

d79

노사관계 정책에 대한 의견1: 한국의 법과 노사관계 제도 및 관행을 따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3 0.6 0.6

그렇지 않다 2 4 0.8 0.8

보통이다 3 81 16.0 16.0

15. 현장직/중간관리직 승진

문2) 노사관계 전반에 관한 정책이나 전략은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각 질문에 대해 귀사가 취하고 있는 정책 적 입장이라고 생각되는 것에 체크해 주십시오.

1. 우리 회사는 한국의 법과 노사관계 제도 및 관행을 따른다는 원칙을 추구하고 있다 16. 단체협약의 체결

(5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12 2.4 2.4

그렇지 않다 2 35 6.9 6.9

보통이다 3 121 24.0 24.0

약간 그렇다 4 204 40.4 40.4

매우 그렇다 5 122 24.2 24.2

없다 8 3 0.6 0.6

모르겠다 9 8 1.6 1.6

505 100.0 100.0

d81

노사관계 정책에 대한 의견3: 외국 본사의 일관된 노사관계 정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57 11.3 11.3

그렇지 않다 2 171 33.9 33.9

보통이다 3 146 28.9 28.9

약간 그렇다 4 91 18.0 18.0

매우 그렇다 5 28 5.5 5.5

없다 8 5 1.0 1.0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d82

노사관계 정책에 대한 평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현지순응형 1 264 52.3 52.3

2. 우리 회사는 한국의 노사관계 제도와 관행을 인정 하면서 본사의 노사관계 정책이나 전략을 절충하려고 노력하 고 있다

3. 우리 회사는 외국 본사의 일관된 노사관계 정책이나 원칙에 따라 노사관계를 관리하고 있다

문3) 노사관계 전반에 관한 귀사의 정책을 전반적으로 평가한다면 다음 어디에 해당합니까?

(5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노동조합을 절대 인정 할 수 없다 1 67 13.3 13.3

노동조합이 설립되지 않도록 회사가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2 100 19.8 19.8

노동조합이 설립되는 것은 인정하나 없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3 121 24.0 24.0

회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역에 한해서만 대화

파트너로 인정한다 4 83 16.4 16.4

노조를 협력자로서 인정하는 것이 기업 경영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 5 107 21.2 21.2

논의된적이 없다 8 11 2.2 2.2

모르겠다 9 16 3.2 3.2

505 100.0 100.0

d84

노사관계내 사업장의 태도1: 근로자측(대표조직)은 회사경영진을 이해하려 노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3 0.6 0.6

그렇지 않다 2 26 5.1 5.1

보통이다 3 198 39.2 39.2

약간 그렇다 4 209 41.4 41.4

매우 그렇다 5 49 9.7 9.7

없다 8 6 1.2 1.2

모르겠다 9 14 2.8 2.8

505 100.0 100.0

d85

노사관계내 사업장의 태도2: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진과 협력하려고 노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3 0.6 0.6

그렇지 않다 2 20 4.0 4.0

보통이다 3 182 36.0 36.0

약간 그렇다 4 226 44.8 44.8

매우 그렇다 5 54 10.7 10.7

문4) 노동조합에 대한 귀 회사의 기본입장은 무엇입니까?

문4-1) 귀 사업장의 노사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체크해 주십시오.

1. 근로자측(대표조직)은 회사경영진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2.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진과 협력하려고 노력한다

(5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3 0.6 0.6

그렇지 않다 2 18 3.6 3.6

보통이다 3 182 36.0 36.0

약간 그렇다 4 205 40.6 40.6

매우 그렇다 5 76 15.0 15.0

없다 8 6 1.2 1.2

모르겠다 9 15 3.0 3.0

505 100.0 100.0

d87

노사관계내 사업장의 태도4: 근로자측(대표조직)은 힘으로 주장을 관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73 14.5 14.5

그렇지 않다 2 233 46.1 46.1

보통이다 3 122 24.2 24.2

약간 그렇다 4 42 8.3 8.3

매우 그렇다 5 13 2.6 2.6

없다 8 6 1.2 1.2

모르겠다 9 16 3.2 3.2

505 100.0 100.0

d88

노사관계내 사업장의 태도5: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권을 약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94 18.6 18.6

그렇지 않다 2 231 45.7 45.7

보통이다 3 110 21.8 21.8

약간 그렇다 4 40 7.9 7.9

3.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진이 옳은 경우 양보한다

4. 근로자측(대표조직)은 힘으로 주장을 관철시키려 한다

5.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권을 약화시키려 한다

(56)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10 2.0 2.0

보통이다 3 179 35.4 35.4

약간 그렇다 4 222 44.0 44.0

매우 그렇다 5 70 13.9 13.9

없다 8 6 1.2 1.2

모르겠다 9 18 3.6 3.6

505 100.0 100.0

d90

노사관계내 사업장의 태도7: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과 협력하려고 노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1 0.2 0.2

그렇지 않다 2 9 1.8 1.8

보통이다 3 169 33.5 33.5

약간 그렇다 4 229 45.3 45.3

매우 그렇다 5 72 14.3 14.3

없다 8 6 1.2 1.2

모르겠다 9 19 3.8 3.8

505 100.0 100.0

d91

노사관계내 사업장의 태도8: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이 옳은 경우 양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6 1.2 1.2

보통이다 3 201 39.8 39.8

약간 그렇다 4 206 40.8 40.8

6.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7.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과 협력하려고 노력한다

8.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이 옳은 경우 양보한다

(5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97 19.2 19.2

그렇지 않다 2 250 49.5 49.5

보통이다 3 111 22.0 22.0

약간 그렇다 4 23 4.6 4.6

매우 그렇다 5 1 0.2 0.2

없다 8 6 1.2 1.2

모르겠다 9 17 3.4 3.4

505 100.0 100.0

d93

노사관계내 사업장의 태도10: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을 약화시키려 한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111 22.0 22.0

그렇지 않다 2 238 47.1 47.1

보통이다 3 110 21.8 21.8

약간 그렇다 4 19 3.8 3.8

매우 그렇다 5 4 0.8 0.8

없다 8 6 1.2 1.2

모르겠다 9 17 3.4 3.4

505 100.0 100.0

d94

경영진과 종업원과의 관계1: 두 계층이 서로 협조하는 것은 어렵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84 16.6 16.6

그렇지 않다 2 278 55.0 55.0

보통이다 3 117 23.2 23.2

9. 경영진은 힘으로 주장을 관철시키려 한다

10.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을 약화시키려 한다

문5) 다음은 귀사의 경영진과 종업원과의 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우리 회사에서는 경영진과 종업원들의 이해관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두 계층이 서로 협조하는 것은 어렵다

(58)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71 14.1 14.1

그렇지 않다 2 311 61.6 61.6

보통이다 3 98 19.4 19.4

약간 그렇다 4 17 3.4 3.4

매우 그렇다 5 1 0.2 0.2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d96

경영진과 종업원과의 관계3: 이 회사를 더욱 일하기 좋은 곳으로 만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2 0.4 0.4

그렇지 않다 2 15 3.0 3.0

보통이다 3 110 21.8 21.8

약간 그렇다 4 215 42.6 42.6

매우 그렇다 5 156 30.9 30.9

모르겠다 9 7 1.4 1.4

505 100.0 100.0

d97

경영진과 종업원과의 관계4: 경영진과 일반종업원들이 함께 잘 어울리는 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않다 1 1 0.2 0.2

그렇지 않다 2 37 7.3 7.3

보통이다 3 184 36.4 36.4

약간 그렇다 4 202 40.0 40.0

2. 우리 회사에서는 경영진이 추진하는 일에 대하여 일반 종업원들이 대체로 반대하는 편이다

3. 경영진과 종업원 모두가 이 회사를 더욱 일하기 좋은 곳으로 만들려고 노력한다

4. 우리 회사에서는 경영진과 일반종업원들이 함께 잘 어울리는 편이다

Referensi

Dokumen terkait

위의 지능로봇은 인간의 생활에 도움이 되겠지만 사회에 문제를 일으키리라 생각 한다 ※ 위의 시나리오에 나타난 감시로봇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7-1.. 위의 지능로봇은 이미 현실화되었거나 가까운 미래에 현실화되리라 생각한다 ※ 위의 시나리오에 나타난 감시로봇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귀하는 우리나라의 공무원 정원산정에 대한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해당 부분에 를?. √ 표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