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중국의 전기자동차 보급정책 및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PDF 중국의 전기자동차 보급정책 및 전망"

Copied!
8
0
0

Teks penuh

(1)

중국의 전기자동차 보급정책 및 전망

해외정보분석실 이대연 전문연구원([email protected]), 박준관([email protected])

중국 정부는 전기자동차산업의 육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대기 오염 문제 경감 및 에너지안보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의 전기자동차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게 개발되기 시작했지만,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하였음.

중국은 현재 2015년까지 전기자동차 누적 판매량을 50만대, 2020년까지 누적 판매량을 500만대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음.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보조금 및 세제 혜택 등의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지 만, 목표 달성 여부는 아직 미지수임.

석탄화력발전 비중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CO2 배출 감소 효과가 달라지며, 이를 고려한 전기자동차 발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

1. 중국의 전기자동차 추진배경

□ 정부의 전기자동차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 의지

ㅇ 중국정부는 전기자동차1)산업의 육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7대 전 략적 신흥산업 중 하나로 지정하여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

- 중국의 자동차산업은 지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09년 세계 최 대의 자동차 소비국 및 생산국으로 부상하였으나, 내연기관 자동차부문에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극복하는데 커다란 한계점을 갖고 있음.

- 반면, 전기자동차 시장은 아직 뚜렷한 시장 선도자가 없는 상황이므로, 중국 은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을 통해 세계 자동차 강국으로 부상하려는 목표를 세우고 있음.

ㅇ 또한 전기자동차는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중국 도시들의 대기오염 문제를 경 감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음.

- 그러나 중국에서 전기자동차가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인 지는 좀 더 검토될 필요가 있음.

1) 본 고에서 전기자동차는 중국에서 ‘신에너지자동차’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것으로, 순수 전기차 (Electric Vehicle, 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지칭함. 중국정부는 EV와 PHEV를 ‘신에너지자동차’로, HEV(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에너지절약자동차’로 구분하여 보조금 지급에 차등을 두고 있음. 본 고에서 순수 전기차는

“중국 정부는 전기자동차산업의 육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7대 전략적 신흥산업 중 하나로 지정하고 있음”

(2)

- 중국의 높은 석탄발전의존도로 인해 현재 상황에서는 전기자동차가 기존 내 연기관보다 더 많은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할 수도 있으며, 전기자동차가 대 기오염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석탄발전의존도가 더욱 낮아져야 함.

ㅇ 또한, 전기자동차는 중국의 에너지안보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의 석유수입의존도는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이 러한 상황에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은 석유에 대한 의 존도를 낮추고 에너지안보를 증진하는 방안으로 될 수 있음.

- EIA는 중국이 2013년 10월부터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석유수입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음(인사이트 제13-31호(8.23일자) p.39 참조).

□ 전기자동차 보급정책의 추진내역

ㅇ 중국의 전기자동차 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게 조성되기 시작했지만, 국 가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함.

- 중국은 제8차 5개년 계획기간인 1991년 전기자동차연구개발을 ‘8.5계획’의 중점과학기술프로젝트에 편입시키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함.

- 2001년 중국 정부는 ‘전기자동차 중대 과학기술 전문계획’을 통해 전기자동

차 연구개발에 약 20억 위안을 지원함.

- 2006년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발전계획 요강(2006~2020)’에서 ‘에너지 저소

모 및 대체에너지 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선도기술로 선정함.

- 2007년 ‘대체에너지 자동차 생산 인증관리 규칙’을 실시하여 전기자동차를 정식으로 국가 자동차 신제품 관리체계에 포함시킴.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중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전기자동차 500대를 시 범 운행함.

ㅇ 2009년에는 십성천량 프로젝트를 수립하여 2012년까지 전기자동차의 판매점

유율을 전체 자동차의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움.

- 정부는 동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3년 동안(2010~2012년) 매년 10개의 시범 도시에 1000대의 전기자동차를 보급하려고 하였음.

- 시범도시로 베이징, 톈진, 선양 등을 포함해서 총 25개 도시가 선정되었음.

ㅇ 2012년 7월 ‘에너지절약형 및 신에너지자동차 발전계획(2012~2020)’을 발표 하여 전기자동차의 판매량을 2015년까지 50만대, 2020년까지 500만대로 확대 한다는 목표를 세움.

ㅇ 2013년 9월 17일에는 2013~2015년 동안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보조금 관련 신규 정책을 발표함.

“중국의

전기자동차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게 조성되었지만, 국가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3)

2. 중국의 전기자동차 시장 및 정책 현황

□ 2012년 중국 내 전기자동차 판매 현황

ㅇ 중국 자동차협회에 따르면, 2012년 중국의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정부의 지원 정책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함.

- 2012년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1만2,791대로 전년 대비 103.9% 증가했으며, 그 중 EV는 1만1,375대 PHEV는 1,416대임.

2012년 전기자동차 생산량은 1만2,552대로 전년 대비 98.8% 증가했으며, 그 중 EV는 1만1,241대, PHEV는 1,311대임.

ㅇ 중국의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정부에 의해 2009년 및 2012년에 설정된 중단기 목표치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2009~2012년 동안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총 2만7,400대로 전체 자동차 판매

량의 0.12%에 불과해서 정부의 십성천량 프로젝트에서 설정한 목표치 10%

에 크게 못 미쳤음.

- 또한, 정부는 2015년까지 전기자동차 총 판매량을 50만대로 계획하고 있지 만,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실제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10만대도 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 전기자동차 산업 현황

ㅇ 현재 중국기업들이 자국내 전기자동차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단지 외국기업 은 중국기업과의 합작투자를 통해 진출하고 있음.

자료 : 中国汽车工业协会

< 기업별 전기자동차 시장 점유율(2012년) >

“중국의 실제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정부의 중단기 목표치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4)

- 외국기업의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에 대한 소극적 진출은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이 자국 내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에만 한정되어 있고, 또한 주요 글 로벌 기업들이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의 중국 내 이전을 꺼리고 있기 때문임.

- 주요 전기자동차 제조기업으로 CHERY, BYD, JAC, 이치도요타(㊀汽丰 田), 광치도요타(广汽丰田) 등이 있으며, 이들 기업이 전기자동차 판매시장 의 90%를 점유하고 있음.

□ 전기자동차 구입 시 지원정책

ㅇ 보조금 지원: 2013년 9월 17일 발표된 ‘전기자동차 보조금 정책’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3~2015년 동안 EV, PHEV, 연료전지자동차 등의 구입 시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함.

- 2013년에 EV의 경우에 80~150km을 연속주행 할 수 있는 차량에는 3.5만 위안, 150~250km 차량에 5만 위안, 250km 이상 차량에 6만 위안의 보조금 을 각각 지급하며, PHEV의 경우에는 50km 이상 연속주행 가능한 모든 차 량에 대해 3.5만 위안의 보조금을 지급함.

- 또한, 연료전지자동차의 경우에는 차종에 따라 승용차 구입 시에 20만 위안, 상용차 구입 시에 50만 위안의 보조금을 각각 지급함.

- 2014~2015년 기간에는 전기버스, PHEV버스를 제외한 모든 전기자동차에 대해 보조금을 2013년 대비 10~20% 감소시킴.

차종 연속 주행거리

50km 이상 80~150km 150~250km 250km 이상

EV - 3.5만 위안 5만 위안 6만 위안

PHEV 3.5만 위안

자료 : 재정부

< EV 및 PHEV 승용차 보조금 >

차종 길이

6~8m 8~10m 10m 이상

EV 버스 30만 위안 40만 위안 50만 위안

PHEV 버스 - - 25만 위안

자료 : 재정부

< EV 버스 및 PHEV 버스 보조금 >

차종 보조금

승용차 20만 위안

상용차 50만 위안

자료 : 재정부

< 연료전지차 보조금 >

ㅇ 세제혜택

- 2011~2020년 기간에 EV 또는 PHEV를 구매하면 자동차 취득세를 면제받음.

- 2011~2015년 기간에 HEV를 구매하면 자동차 취득세와 특별소비세, 차선세

를 50% 면제받음.

- 2011~2020년 기간 전기자동차 및 핵심부품의 증치세는 17%에서 13%로 하

“중국 정부는 2013~2015년 동안 EV, PHEV, 연료전지자동차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함”

(5)

향 조정됨.

차선세(车船税, Vehicle and Vessel Tax): 중국 경내에서 공안(公安), 교통, 농 업, 어업, 군사 등에서 관리를 위해 등기한 차량, 선박 등의 소유자 또는 관리 자에 대해 그 종류에 따라 부과하는 일종의 재산세임.

3. 전기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선결과제

□ 기술 경쟁력 확보 및 표준화

ㅇ 배터리 기술

- 중국은 현재 주로 NiMH(니켈메탈 수소전지)와 LIB(리튬이온전지) 등을 사 용하고 있으며, LFP(리튬인산철전지)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음.

・ 향후 3~5년까지는 NiMH를 주로 이용하는 HEV, EV, PHEV가 공존함.

・ 이후 LFP(리튬인산철전지)의 개발이 완료되면, EV, PHEV 중심의 전기자 동차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됨.

배터리 종류 장점 단점 주요 생산기업

및 연구기관 lead-acid cell

납축전지

기술 성숙, 저렴한 가격, 높은 안전성, 회수성이 좋음

무거움, 부피가 큼, 충전 능력이 약함, 수명이 짧음

바오딩펑판(保定風帆), 창샤펑르(長沙豊日), 이징위앤왕(北京遠望) Ni-MH

니켈메탈

출력이 높음, 충전 이 빠름, 수명이 비 교적 긺.

가격이 비쌈, 전압 이 낮음

춘란(春蘭)그룹, 중쥐가 오신(中炬高新), 후난선 저우(湖南新舟)

LIB 리튬이온

가벼움, 용량이 큼, 출력이 높음

가격이 비쌈, 안전 성이 낮음(과다 충 전 및 방전 시 폭발 위험이 있음)

중신궈안멍구리(中信國 安盟固利), 완샹(萬向) 그룹, 비야디(比亞迪)

연료전지

에너지전환율이 높음, 진동 없음, 충전이 필요하지 않음

가격이 비쌈, 기술 수준이 초보단계임.

베이징진넝(北京金能)연 료배터리, 다롄신위앤(大 連新源), 쟝쑤화위앤(江 蘇華源)수소과학기술 자료 : 中国有色网

< 중국 전기자동차 배터리 종류 및 현황 >

- 현재 세계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은 NEC, LG화학, SB리모티브, 파나소 닉 등 일본과 한국 업체가 주도하고 있으며, 중국 자동차 회사의 전기자동차 에도 외국계 기업의 배터리가 주로 이용되고 있음.

・ 중국 기업 중에는 BYD가 자체 생산한 배터리를 자사의 전기자동차에 사 용하고 있음.

・ 중국에도 상당히 많은 배터리 업체들이 있고, 생산량도 세계적인 수준이 지만, 중국의 원천기술은 아직까지 일본과 한국에 크게 못 미치고 있음.

- 중국 최대의 자동차부품생산회사인 완샹은 2012년 8월에 미국의 배터리 기

“중국의 전기자동차 보급 및 확산을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기술 및 가격경쟁력 확보, 충전인프라, 소비자 인식 개선 등의 문제들이 선결되어야 함”

(6)

업 A123 systems를 인수하는 등 배터리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음.

ㅇ 충전설비

- 2013년 1월 기준, 중국에는 174개의 충전소(배터리 교환소 포함)가 건설되 어 있으며, 총 8,107개의 충전설비를 갖추고 있음.

- 그러나 개인이용자의 충전소 이용에는 많은 현실적 제약이 있음.

・ 중국 대도시에는 충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차고를 가진 가정이 거의 없음. 그런데 정부는 공공 충전소를 중심으로 투자를 하고 있음.

・ 또한, 대부분 충전소가 전기 버스와 상업용 차량을 위해 설치되어 있어 도심에서 먼 곳에 위치해 있음.

- 중국은 전기자동차 충전소 및 충전포트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형성하지 못하 여, 기업체들은 장기간 자체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포트를 개발하여 사용하 여 왔음. 이에 따라 지역별로 상이한 충전소가 공존하고, 제조업체는 지역별 로 다른 포트를 개발해야 했음.

・ 2012년 3월 1일부터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전기자동차 충전포트와 통신 프로토콜’ 등 전기자동차 관련 4건의 중국 국가 표준을 실행한다고 발표 하였음.

□ 가격 경쟁력 확보

ㅇ 전기자동차의 높은 가격은 전기자동차 보급의 가장 큰 장애요인임. 보조금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가격이 훨씬 비싼 수준임.

- 예를 들어, BYD의 대표적인 전기자동차 차종인 ‘e6’의 구입 가격은 국가 및 지방정부로부터 12만 위안의 보조금을 받더라도 25만 위안(4만 달러) 정도 임. 이것은 비슷한 등급의 내연기관 자동차인 BYD의 ‘M6’의 구입가격 15 만 위안보다 67%가량 더 비싼 편임.

BYD ‘e6’을 구입하는 가격으로 Audi A4를 구입할 수 있음.

- 그러나 전기자동차와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의 총 소유비용(total cost of ownership)을 비교했을 때, 전기자동차는 일반자동차보다 더 경제적임.

・ 차를 10년 동안 연평균 15,000km를 탄다고 하고, 배터리를 10년 동안 교체하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BYD e6는 1km당 1.8위안(국가 및 지 방정부 보조금, 세금 감면 등 고려)의 비용이 들며, 이는 BYD M6의 1km당 1.9위안보다 낮은 수치임2).

“2013년 1월 기준, 중국에는 174개의 충전소(배터리 교환소 포함)가 건설되어 있으며, 총 8,107개의 충전설비를 설치되어 있음”

(7)

□ 소비자 인식 제고

ㅇ 최근 여러 차례 발생한 전기자동차 화재사건으로 인해 중국 소비자들은 전기 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음. 그렇기 때문에 화재로부터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전기자동차산업의 발전을 위한 선결과제 중 하나임.

날짜 차종 사고 지점 사고 원인

2012년

5월 26일 BYD e6 Taxi 선전

(深圳)

후방에서 오던 스포츠카와 충돌 후 화 재 발생

2011년

7월 18일 Leibo HEV bus 상하이 (上海)

정차 중이던 차량에서 돌연 화재 발생(아직 까지 정확한 사고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2011년

4월 11일 Zoyte BEV taxi 항저우 (杭州)

배터리에서 전해질물질이 새어나와 절 연체를 손상시킴. 이로 인해 화재 발생 2010년

1월 7일 Ankai HEV bus 우루무치 (烏魯木齊)

배터리 고장으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화재 발생

자료 : 电动汽车产业报告

< 전기자동차 화재 사고 일지 >

4. 평가 및 전망

ㅇ 중국 정부는 EV를 중심으로 전기자동차 산업을 육성시키려 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 정부는 일본이 지배하고 있는 HEV시장 보다 시장 초기단계에 있는

EV시장에서 자국 기업들이 주도권을 선점하기 용이할 것으로 판단함. 이에

정부는 EV관련 기술 R&D와 보조금 지원을 확대하고 있음.

- 현재의 보조금 지원 체계에서 EV와 PHEV는 각각 최대 6만 위안, 3.5만 위 안을 받을 수 있으나, HEV는 최대 3,000위안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그 지원자격도 이전에 비해 엄격해짐.

ㅇ 지역별 석탄발전 비중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미치는 영 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한 전기차 발전전략이 추진되어야 함.

- Ye Wu et al.(2012)은 전원믹스에서 석탄비중이 상이한 3개의 지역을 선정 하여, EV, PHEV, HEV 및 내연기관 자동차가 해당지역의 이산화탄소 배출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음.

- 이를 분석한 결과, 석탄발전 비중이 높은 베이징-톈진 경제권(석탄화력 비중

95%)에서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EV의 CO2 배출량이 비슷하게 나타나 EV의

CO2 배출감소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 그러나 정부가 정책적으로 베이징-톈진 경제권의 석탄화력발전 비중을 낮추 려 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동 지역에서 EV에 의한 CO2 배출감소 효 과는 증가할 것임.

- 석탄발전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강델타지역(석탄화력 비중 60%)에서는

“지역별 석탄발전 비중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

(8)

참고문헌

강수연,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수출입은행, 2012.8 김경연, “중국 전기자동차의 야심찬 질주”, LG경제연구원, 2010.6 산업연구원, “신에너지 자동차산업 발전 전망과 과제”, 2012.8

서종원, 노상우, “중국 전기차 발전전략과 시사점”, 한국교통연구원 동북아・북한 연구센터, 2012.7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중국의 미래자동차기술 개발동향”, 2010.12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중국 전기자동차산업 발전 연구보고서』, 2013.7

国务院, “国务院印发节能与新能源汽车产业发展规划(2012-2020年)”, 2012.7.10 财政部, “关于继续开展新能源汽车推广应用工作的通知”, 2013.9.16

电动全景网, “2012年12月中国新能源汽车产销报告”, 2013.3.11 中国经济网, “电动汽车充电标准之争”, 2012.5.30

中国有色网, “各种类型电动车电池的技术特点”, 2013.3.18

中国行业研究网, “新能源汽车发展现状及方式探讨分析”, 2013.2.1.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Electric vehicles in China: a mountain to climb”, 2012.10

Ye Wu et al., “Energy comption and CO2 emission of vehicle electrification in three developed regions of China”, Energy Policy, 2012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