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A의 세계 전기자동차 시장 동향 및 전망 분석
해외에너지정책분석팀 정귀희 전문원([email protected])
▶ 공급망 문제, 거시경제 및 지정학적 불안정, 높은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에도 불구하고 2022년에 세계 전기차 판매가 또다시 기록을 경신하였는데, 이 같은 전기차 판매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판매가 3% 축소되는 상황에서 일어남.
▶ 2022년에 전기차 판매 증가로 인해 전 세계에서 운행되는 누적 전기차가 2,600만 대로 증대되어 2021년 대비 60%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중 BEV가 연간 증가분의 70% 이상, 2022년 운행된 전 세계 전기차의 약 70%를 각각 차지했음.
▶ 전 세계 전기차의 50%가 운행되는 중국에서는 2022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이 3%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전기차 판매는 전년 대비 더욱 증가하였음.
▶ 또한 2022년 유럽의 전기차 판매는 전년 대비 15% 이상 증가해 270만 대에 달하였고, 그리고 같은 해 미국의 전기차 판매는 BEV의 주도로 2021년 대비 55% 증가해 300만 대에 달하였음.
1. 세계 2022년 전기자동차 판매 동향
1)▣ 중국 주도로 세계 전기차 판매 계속해서 증가
¡공급망 문제, 거시경제 및 지정학적 불안정, 높은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에도 불구하고 2022년에 전기차 판매가 또 다시 기록을 경신하였음.
‒ 전기차 판매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시장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일어났는데, 2022년 전체 자동차 판매는 전년 대비 3% 감소하였음.
‒ 배터리 전기차(battery electric vehicles, 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를 포함한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 1,000만 대를 초과해 2021년 대비 55% 증가하였음.
‒ 2022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EU 전체 자동차 판매량(약 950만 대)을 초과 하였으며, 같은 해 중국에서 판매된 전체 자동차의 약 50%에 달하였음.
‒ 2017년에서 2022년에 이르는 5년의 기간 동안 전기차 판매량은 약 100만 대에서 1,000만 대 이상으로 급증하였음.
・ 전기차 판매량이 10만 대에서 100만 대로 증가하는 데도 2012년에서 2017년 까지 5년이 소요된 바 있어, 전기차 판매량이 급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전체 자동차 판매량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의 9%에서 2022년 에는 14%로 증가했는데, 이는 2017년 비중보다 10배 이상 높은 것임.
1) 본 포커스는 2023년 4월 발표된 IEA의 Global EV Outlook 2023을 발췌하여 주요국을 중심으로
“2022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1,000만 대 초과”
▣ 2022년 누적 운행 전기차 2,600만 대 초과
¡전기차 판매 증가로 인해 전 세계에서 운행되는 누적 전기차가 2,600만 대로 확대되어 2021년 대비 60% 이상 증가하였음.
‒ 연간 증가분의 70% 이상은 BEV가 차지했고, 2022년 운행된 전 세계 전기차의 약 70%는 BEV로 구성됨.
‒ 절대적인 수치로 보면, 2021년 대비 2022년의 판매량 증가치(350만 대)는 2020년 대비 2021년 증가치와 유사한 수준이나,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판매량이 2배 증가했었기 때문에 2022년의 증가율은 둔화되었음.
‒ 2021년의 예외적인 판매량 증가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전기차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띤 때문일 수 있음.
‒ 최근 몇 년과 비교해 보면, 2022년 연간 전기차 판매량 증가율은 2015~2018년 평균과 유사하고, 2022년 전 세계에서 운행된 누적 전기차 대수 증가율은 2021년 및 2015~2018년과 비슷하였음.
・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코로나 이전의 속도로 강력하게 회복되고 있음을 의미함.
자료 : IEA(2023.4월), Global EV Outlook 2023
< 주요 지역의 누적 전기차 운행 대수(2010~2022년) >
(단위 : 100만 대)
2. 중국의 전기차 판매 동향 및 향후 전망
¡전기차 판매량은 지역과 구동장치(powertrain)에 따라 다르지만, 중국이 여전히 세계 전기차 시장을 지배하고 있음.
‒ 2022년 중국의 BEV 판매량은 2021년 대비 60% 증가해 440만 대에 달했으며, PHEV 판매량은 약 3배 증가해 150만 대에 이르렀음.
・ PHEV 판매 수준이 아직 낮고 현재는 코로나19 이후 증가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BEV 대비 PHEV 판매의 빠른 증가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조사가 필요함.
“BEV가 2022년 세계 전기차의 70%를 차지”
・ BEV 판매량은 2018~2020년에 소폭 증가한 이후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3배 증가하였음.
‒ 중국의 2022년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더욱 증가한 반면,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3% 감소하였음.
¡중국이 전 세계에서 신규 등록된 전기차의 약 60%를 차지하였으며, 2022년에는 중국에서 운행된 전기차가 총 1,380만 대에 달해 역대 처음으로 중국이 전 세계에서 운행된 전기차의 50% 이상을 차지하였음.
‒ 이 같은 강력한 성장은 10년 이상 이어진 초기 구매자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 지원에 기인했는데, 여기에는 당초 2020년에 단계적으로 폐지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2년 말까지 확대된 구매 인센티브가 포함되며, 추가로 충전 인프라의 빠른 보급과 ⾮전기차의 엄격한 등록 정책과 같은 ⾮금융지원도 포함됨.
¡2022년에는 중국 내 자동차 판매 중 전기차의 비중이 22%에 달했는데, 2021년에는 16%, 그리고 2018~2020년에는 6% 미만에 불과하였음.
‒ 따라서 중국은 2025년까지 신에너지차(new energy vehicles, NEV)의 비중을 2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조기 달성하였음.
‒ 현재 모든 지표를 볼 때 전기차 판매가 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 자동차 산업을 관장하는 ‘산업・정보기술부(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MIIT)’가 아직까지 국가 NEV 판매량 목표를 업데이트하지 않았으나, 확대된 도로수송 전기화 목표는 여러 전력 문건에서 재확인되었음.
・ 중국은 탄소정점을 위한 국가행동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핵심 대기 오염 통제 지역에서 2030년까지 50%, 그리고 중국 전역에서 40%의 비중 달성을 목표로 함.
※ 최근 시장 추세가 지속된다면, 중국의 2030년 목표도 조기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지방정부 역시 NEV 도입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18개 성(省)이 NEV 목표를 수립하였음.
¡중국의 지역 차원에서의 지원은 또한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 발전에 도움이 되어왔음.
‒ 선전의 BYD는 동 지역의 버스와 택시 대부분을 공급했는데, 이 같은 상황은 2025년까지 NEV의 비중을 50%로 확대한다는 선전의 목표에도 반영되어 있음.
‒ 2025년까지 NEV 비중 50% 달성 목표를 수립한 광저우는 Xpeng Motors가 중국의 전기차를 선도하는 기업 중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동 기업의 사업 확대가 용이하도록 도왔음.
“2022년 신규 전기차의 60%는 중국에서 등록”
“중국은 2025년 신에너지차 비중 목표 조기 달성”
자료 : IEA(2023.4월), Global EV Outlook 2023
< 중국의 월별 신규 전기차 등록 대수(2020~2023년) >
(단위 : 1,000대)
¡2022년 말 인센티브가 폐지될 것이라는 예측으로 인해 판매량이 특히 높았을 수도 있기 때문에 중국의 전기차 비중이 2023년 목표인 20%보다 훨씬 더 높게 유지될 지는 불확실함.
‒ 2023년 1월 판매량은 급감해 전년 동월 대비 약 10% 감소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춘절 기간 영향도 존재함.
‒ 그러나 2023년 2월과 3월에는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약 60%와 25%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2023년 1분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20% 이상 증가하였음.
3. 유럽의 전기차 판매 동향 및 향후 전망
¡유럽의 전기차 판매는 혼란 속에서도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2022년 유럽의 전기차 판매는 2021년 대비 15% 이상 증가해 270만 대에 달하였음.
※ 2021년 판매량 증가율은 65% 이상이었고, 2017~2019년 평균은 40%에 달한 바 있음.
‒ 2022년 BEV 판매는 2021년 대비 30% 증가한 반면(2021년에는 2020년 대비 65%
증가), PHEV 판매는 약 3% 감소하였음.
‒ 전 세계 신규 전기차 판매 증가분의 10%는 유럽에서 발생하였는데, 2022년에 증가세가 둔화되기는 했으나, 자동차 시장이 계속해서 축소되는 것을 감안하면 유럽의 전기차 판매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음.
※ 유럽의 2022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3% 감소하였음.
¡유럽의 자동차 판매 증가세 둔화는 부분적으로는 2020년과 2021년 EU에서의 전기차 판매 증가가 예외적인 것을 의미함.
‒ 자동차 제조사들은 2019년 통과된 이산화탄소 배출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기업 전략을 빠르게 조정하였는데, 해당 기준은 2020~2024년 기간에 대한 것이며,
“중국의 전기차 비중이 향후 유지될 지는 미지수”
“EU에서는 자동차 판매 증가세 둔화 속에 전기차 판매는 예외적으로 증가”
¡2022년의 높은 에너지 가격이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의 경쟁력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음.
‒ 내연기관차에 이용되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급등했으며, 전기차 충전과 연관되는 주거용 전기요금 역시 일부 상승하였음.
‒ 높은 전력 및 가스 가격은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제조비용을 상승시켰으며, 일부 제조사들은 높은 에너지 가격이 신규 배터리 제조 용량에 대한 투자를 제한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음.
¡2022년 유럽은 여전히 중국에 이어 세계 2대 전기차 시장으로 남았으며, 전체 전기차 판매의 25%와 전 세계에서 운행되는 전기차의 30%를 차지하였음.
‒ 2022년 유럽은 자동차 판매량 중 전기차가 21%를 차지했는데, 2021년과 2020년에는 각각 18%와 10%에 불과했고 2019년 이전에는 3%를 밑돌았음.
‒ 유럽 국가들은 차량 판매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노르웨이(88%)와 스웨덴(54%), 네덜란드(35%), 독일(31%), 영국(23%), 프랑스(21%) 등이 대표적임.
‒ 판매량으로 보면, 독일이 유럽 최대의 시장으로 2022년 판매량은 83만 대에 달했고, 그 뒤를 영국(37만 대)과 프랑스(33만 대)가 이었으며, 스페인의 판매 량도 8만 대를 초과하였음.
・ 독일의 전체 자동차 판매량에서 전기차의 비중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대비 10배 증가했는데, 부분적으로 이는 환경보조금(Umweltbonus)을 통한 구매 인센티브 등이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것과 2023년 이후 보조금이 더욱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으로 인해 2022년에 판매 증가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음.
‒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전기차 판매가 감소했는데, 2022년 이탈리아의 전기차 판매는 2021년의 14만 대에서 11만 5천 대로 감소했으며, 같은 해 오스트리아, 덴마크, 핀란드에서도 전기차 판매가 감소하였음.
¡유럽에서는 특히 최근 제정된 ‘Fit for 55’ 패키지 덕분에 전기차 판매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신규 규정은 2030~2034년에 적용되는 더욱 엄격한 탄소 배출량 기준을 수립하고, 2035년부터 신규 자동차와 승합차(van)의 탄소 배출량을 2021년 수준 대비 10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단기적으로 2025~2029년까지 운영되는 인센티브 제도는 전체의 25%를 무·저배출 자동차로 판매하는 기업에 주어질 것임(승합차는 17%).
‒ 2023년 1~2월까지 BEV 판매량은 이미 전년 동월 대비 30% 이상 증가했으나, 전체 자동차 판매 증가율은 10%를 상회하는 데 그침.
“2022년 판매량이 83만 대에 달하는 독일이 유럽 최대 전기차 시장”
“이탈리아, 덴마크, 핀란드 등에서는 전기차 판매가 감소”
자료 : IEA(2023.4월), Global EV Outlook 2023
< 주요 국가·지역별 전기차 등록 대수 및 판매 비중(2018~2022년) >
4. 미국의 전기차 판매 동향 및 향후 전망
¡미국의 전기차 판매도 최근에 증가세를 계속 보이고 있는데, 2022년 미국의 전기차 판매는 2021년 대비 55% 증가하였으며, 이는 BEV가 주도하였음.
‒ BEV 판매는 70% 증가해 약 80만 대에 달하며 2019~2020년에 감소한 이후 2년 연속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고, PHEV 판매 역시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15%에 그쳤음.
‒ 2022년 미국의 전체 자동차 판매량이 2021년 대비 8% 감소한 것을 고려할 때 (전 세계 평균 3% 감소) 전기차 판매 증가세가 강력하게 나타났으며, 미국이 전 세계 판매량 증가분의 10%를 차지하였음.
‒ 미국에서 운행되는 전기차의 수는 300만 대에 달해 2021년 대비 40% 증가했으며, 전 세계에서 운행되는 전기차의 10%를 차지하였음.
‒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 전기차의 비중은 약 8%에 달했는데, 2021년에는 5%를
“유럽의 전기차 판매는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
“2022년 미국은 BEV 판매가 전년 대비 약 70%
증가”
¡모델 다양화, 정부 정책 등 여러 요소들이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 증가를 촉진하고 있음.
‒ 테슬라 외 다른 전기차 모델 증가가 공급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
・ 테슬라, GM 등 주요 자동차 회사의 모델이 지난해 이미 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보조금 상한선에 도달한 데다, 다른 제조사의 신규 모델도 가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소비자가 구매 인센티브(최대 7,500달러)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임.
‒ 정부와 기업들이 전기화로 기울게 되면서 인식도 제고되고 있는데, 미국자동차 협회(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에 의하면, 2022년에 미국인의 25%가 다음 차는 전기차가 될 것으로 예상하였음.
‒ 지난 몇 년간 충전 인프라와 주행 거리가 개선되기는 했지만, 일반적으로 장거리 운행과 낮은 인기도, 철도와 같은 다른 대체 수단의 제한적인 가용성을 고려할 때 미국 운전자 에게는 충전 인프라와 주행 거리가 여전히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으로 남아있음.
・ 그러나 2021년 통과된 ‘초당적 인프라법(Bipartisan Infrastructure Law)’이
‘국가 전기차 인프라 포뮬라 프로그램(National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 Formula Program)’을 통해 2022~2026년까지 총 50억 달러를 할당하고, 같은 기간 동안 ‘충전・연료 공급 인프라 재량 지원 프로그램(Charging and Fueling Infrastructure Discretionary Grant Program)’을 통한 경쟁 지원금 25억 달러를 할당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였음.
자료 : IEA(2023.4월), Global EV Outlook 2023
< 미국의 월별 신규 전기차 등록 대수(2020~2023년) >
(단위 : 1,000대)
¡최근의 정책지원 덕분에 판매량 가속화가 2023년 이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 제정은 전 세계 전기차 제조사의 미국 진출을 촉발시켰음.
・ IRA 제정 이후, 2022년 8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주요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사가 총 520억 달러를 북미 전기차 공급망에 투자한다고 발표했는데, 이 중 50%는 배터리 제조, 그리고 배터리 부품과 전기차 제조가 각각 약 20%를 차지함.
“모델 다양화와 정부 정책 등이 미국 내 전기차 판매 증가에 도움”
‒ 배터리 및 전기차 생산과 관련하여 미국 내 투자에 대한 잠정적인 약속을 한 기업들까지 더하면 총 750억~1,080억 달러에 이름.
・ 예를 들면 테슬라는 자사의 베를린 리튬이온배터리 초대형 제조시설을 텍사스로 이전해 중국 CATL과 제휴할 계획이며, 멕시코에서 차세대 전기차를 제조할 예정임.
・ 포드 역시 미시건州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CATL과의 계약을 발표했으며, 2023년 말까지 전기차 제조를 2022년 대비 6배 많은 연간 60만 대로 확대한 이후 2026년까지 200만 대로 증가시킬 계획임.
・ BMW는 IRA 제정 이후 사우스캐롤라이나州에 위치한 자사 설비에서 전기차 제조 확대를 시도하고 있음.
・ 폭스바겐은 유럽 이외 지역의 첫 번째 배터리 공장(2027년 운영 개시)으로 캐나다를 선택했으며,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州에 위치한 자사 공장에 2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음.
‒ 이 같은 투자가 향후 높은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설비 가동이 개시되는 2024년 이후부터 완전히 나타날 수 있음.
참고문헌
IEA, Global EV Outlook 2023: Catching up with climate ambitions, Apr 2023.
“미국 내 전기차 판매 증가는 2023년 이후에도 계속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