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Bk21플러스』인문사회분야(사업팀) 사업신청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Bk21플러스』인문사회분야(사업팀) 사업신청서"

Copied!
73
0
0

Teks penuh

(1)

접수번호 22B20130000019

사업분야 인문사회(팀)/인문사회 단위 지역 구분 사업팀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구분

관련분야 관련분야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명 정치외교학 정치학일반 정치외교학 기타정치외 교학

비율(%) 90% 10%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신설학과

여부

사업팀명

국문) 지역 및 국제사회 발전을 위한 정치학 연구방법 인재 양성 사업팀

영문) Political Methodology for Regional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사업팀장

소 속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직 위 부교수

성명

국문 엄기홍 전화 053-950-5214

053-950-6206 팩스

영문 EOM,KI HONG 이동전화 01076810811 E-mail [email protected]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1차년도 (`13.3

~`14.2)

2차년도 ('14.3

~'15.2)

3차년도 ('15.3

~'16.2)

4차년도 ('16.3

~'17.2)

5차년도 ('17.3

~'18.2)

6차년도 ('18.3

~'19.2)

7차년도 ('19.3

~'20.2)

국고지원금 196 196 196 196 196 196 196

총 사업기간 2013.3.1. ~ 2020.2.29.(84개월) 1차년도 사업기간 2013.3.1. ~ 2014.2.28.(12개월)

작성자 사업팀장 (인)

확인자 산학협력단장 (인)

확인자 총장 (인)

본인은 『BK21 Plus』신규사업 지원을 신청서와 같이 신청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여 소정의 사업성과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3년 06월 21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1 / 73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BK21 플러스』인문사회분야 (사업팀) 사업 신청서

엄기홍

(2)

<신청서 요약문>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 본 사업팀은 지역 및 국제사회 발전을 위한 정치학 연구방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 대학의 경쟁력 확보와 대학원 활성화를 위해서는 모든 학문의 토대가 되는 연구방법 인재 양성 이 필수적임. 특히, 수도권에 비해 대학원 환경이 열악한 비수도권의 현실은 연구방법 인재 양 성의 필요성을 더욱 크게 함.

- 지역차원의 연구방법 인재 부족은 대구경북 내 50 여개 대학과 다수 지역기관이 요구하는 인력 을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지역발전을 저해하고 있음.

- 연구방법 인재의 부족과 이로 인한 지역발전 저해현상은 국제적 차원, 특히 아시아 지역 개발 도상국가에서도 목격되고 있음.

- 본 사업팀은 정치학 연구방법 인재 양성을 통하여, 지역 대학원의 활성화, 지역발전, 그리고 국제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사업 목표

○ 본 사업팀은 내적 역량강화, 지역적 역량강화, 국제적 역량강화 3단계 과정을 통하여 지역 및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정치학 연구방법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

- 1단계: 내적 역량강화. 대학원 교육과정의 체계화. 연구방법론 개관을 시작으로 양적․질적 연 구방법의 기초, 심화, 적용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대학원 학생들의 내적 역량을 강화하는 단계.

이 단계에서의 핵심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데 있음.

- 2단계: 지역적 역량강화. 지역 차원의 연구방법론 워크숍 개최, 공공기관, 대학, 언론기관, 산업체 등의 방문지원을 통한 지역적 역량을 강화하는 단계. 또한 국내/국제 워크숍 및 학술대 회 등에 대학원생이 참가함으로써 다양한 연구방법 습득을 통해 내적 역량강화를 도모함. 이 단 계에서의 핵심은 지역기관의 수요를 파악하고 지역기관과 사업팀 교육과정 간의 연계를 꾀함으 로써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음.

- 3단계: 국제적 역량강화. 본 사업팀이 양성한 인재를 연구방법 인적자원이 부족한 아시아 개 발도상국에 파견함으로써 국제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국제적 학술 네트워크를 형 성함. 나아가 기존 경북대 사회과학연구원과 데이터뱅크를 활용하여, 본 사업팀이 한국정치 연 구의 허브로서의 위상 확립. 이 단계에서의 핵심은 아시아 지역, 특히 개발도상국과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국제사회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음.

교육역량 영역

○ 본 사업팀의 교육비전은 지역 및 국제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치학 연구방법 인재를 양 성하는 데 있으며, 아시아를 선도하는 정치학 연구방법론이 특화된 대학원 정치학과를 지향함.

○ 본 사업팀의 교육목표는 양적․질적 연구방법이 겸비된 인재, 국제활동이 가능한 인재를 양성 하는 데 있음.

○ 본 사업팀의 교육과정은 대학원 교육과정과 국내외 연수과정으로 구분됨.

- 대학원 교육과정은 연구방법의 역사적 흐름과 철학에 관한 입문과정, 양적․질적 연구방법에 관한 기초 및 심화 과정, 그리고 각 연구전통의 적용 과정으로 구분됨.

- 대학원의 국제화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1/3 이상은 영어 강의를 원칙으로 하고, 지역 차원의 기 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오픈 캠퍼스(open campus)를 구축함.

- 대학원 교육과정을 이수한 대학원생은 한국선거학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등과 같은 국내기 관 그리고

정치학과 사회학 연구를 위한 대학간 협의체(ICPSR)" 등과 같은 해외기관에서 연수

과정을 거침.

○ 본 사업팀은 가르침을 통하여 배운다는 교육관에 근거하여, 국내 및 해외기관 교육지원 과정 을 구축하고 있음.

- 대학원 석사교육과정 이상을 이수한 대학원생은 지역 내 공공기관, 대학, 연구소, 언론 중심어

정치학 연구방법론 양적 연구방법론 질적 연구방법론

한국 정치 지역발전 국제협력

학문후속세대 교육 네트워크 인재양성

2 / 73

(3)

기관, 산업체 등에 파견되어 연구방법을 지원함.

- 대학원 박사교육과정 이상을 이수한 대학원생은 개발도상국 주재 기관에 파견되어 연구방법 을 지원․강의함.

- 지역 및 국제적 차원의 교육지원을 통하여, 지역 및 국제적 차원의 취업 활성화를 모색함.

○ 본 사업팀에 참여할 대학원생은 다음과 같은 지원사항과 의무사항이 있음.

- 지원사항: 석사과정 2년간, 박사과정 4년간 학비 전액 지원 및 생활비 지원; 1회의 국내연수 지원, 1회의 해외연수 지원; 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참가 지원 등

- 의무사항: 석사과정 대학원생은 졸업 때까지 1회 이상의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논문발표, 1회 이상 학술지(등재후보지 이상)에 논문 게재; 박사과정 대학원생은 졸업 때까지 2회 이상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논문발표, 2회 이상 학술지(등재후보지 이상)에 논문 게재.

연구역량 영역

○ 본 사업팀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연구방법 허브로서 정치학 분야의 연구중심 지역 거점 대학원을 지향함.

○ 본 사업팀은 다양한 학문적, 문화적 배경을 지닌 참여교수들로 구성되었음.

- 양적․질적 접근방법의 상승적 효과를 위하여 양적 접근방법의 전통이 강한 미국 및 일본에서 수학한 교수, 질적 접근방법의 전통이 강한 영국과 프랑스에서 수학한 교수로 사업팀을 구성하 였음.

- 본 사업팀의 연구진은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등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으며, 영어를 비 롯한 다양한 언어 구사가 가능함으로써 교육의 국제화에 기여함.

- 본 사업팀의 연구진은 국내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연구비를 수주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제적 차원의 학술활동을 보이고 있음.

○ 본 사업팀의 학술활동 및 연구비 수주 전략은 다음과 같음.

- 참여교수는 매년 1편 이상의 논문을 학술지(등재후보지 이상)에 게재할 것을 의무화하며, 이 를 준수하지 못할 시 자동 교체됨.

- 대구경북 차원의 연구방법론 워크숍 개최 및 방문지원을 통하여 형성된 지역 협력체제를 기반 으로 하여, 공공부문, 대학, 언론기관, 산업체 등으로부터 연구비 수주를 극대화함.

- 해외 연수과정, 해외기관 파견지원, 사회과학연구원 등을 통하여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제적 차원의 학술활동을 강화함.

- 사업팀은 연구비 수주 및 학술활동 향상을 위하여 교수 연구 인프라 개선 및 인센티브제를 도 입함.

기대효과

○ 대학원 차원의 기대효과

- 비수도권 대학원의 공동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비수도권 대학원의 활성화와 질적 향상에 기 여할 것으로 기대함.

- 연구방법론에 대한 체계적 교육과정을 제공함으로써 국제적 수준의 연구자 양성을 위한 토대 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함.

-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의 균형적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연구주제에 적합한 연구방법 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것으로 기대함.

- 국내 및 해외 연수과정은 대학원생들이 최신의 연구방법과 다양한 연구방법을 접하게 함으로 써 국제적 인재의 토대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함.

- 연구방법의 전문성 및 국제적 감각을 지닌 인재 양성은 지역 및 국제적 차원의 취업활

3 / 73

(4)

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 지역 차원의 기대효과

- 오픈 캠퍼스 구축은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방법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 대구경북 차원의 연구방법론 워크숍 개최 및 방문지원은 지역기관과의 협력체제를 구축하게 함으로써 연구자 인력풀을 공유할 것으로 기대함.

- 연구자 인력풀 공유는 지역사회의 현안에 능동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게 함으로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을 기대함.

- 대구경북 소재 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은 현장경험이 있는 전문가들과의 교류를 활성화시킴 으로써 지역현안에 대한 연구진들의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 국제사회 차원의 기대효과

- 개발도상국에 대한 연구방법 인재 파견은 아시아 지역 학술연구의 선도적 지위를 선점할 것으 로 기대됨.

- 개발도상국과의 선순환적 학술교류는 한국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한국정치 자료에 대한 축적 및 제공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정치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 됨.

- 한국정치 연구 활성화는 국제 학술영역에서 한국의 중요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됨.

- 한국정치 연구 활성화는 다각적 시각에서 한국정치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한국정치의 문제점 해결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4 / 73

(5)

5 / 73

Ⅰ 사업팀 현황

1 사업팀 구성

1.1 사업팀장

T _1_ 1:성명 T _1_ 2:한글 D_1 _3:엄기홍 T_ 1_4 :영문 D _1_ 5:EOM,KI HONG

T_2 _1:소속기관 D _2_ 3:경북대학교 D _2_ 4:사회과학대학 D _2_ 5:정치외교학과

(6)

6 / 73 1.2 사업팀 현황

<표 1-1> 사업팀 참여교수 현황 (단위: 명)

T_ 1_1 :기준일

T_1_2:대학원

학과(

부)

T_1 _3:전체 교수 수(임상,

교육, 분교 제외)

T_1 _6:기존 교수 수(임상,

교육, 분교 제외)

T _1_ 9:신임교수 수(임상,

교육, 분교 제외)

T_1 _12 :임상, 교육, 분교 교수

T _2_ 3:전임 T_ 2_4 :겸임 T _2_ 5:T_2 _6:전임 T _2_ 7:겸임 T _2_ 8:T_ 2_9 :전임 T _2_ 10:겸임 T_ 2_1 1:T _2_ 12:전임 T_2 _13 :겸임 T _2_ 14:

D_ 4_1 :201306

21

D _4_ 2:정치학

D _4_ 3:4 D_ 4_4 :0 D_ 4_5 :4 D_4 _6:3 D _4_ 7:0 D_ 4_8 :3 D_ 4_9 :1 D _4_ 10:0 D_ 4_1 1:1 D _4_ 12:0 D_4 _13 :0 D _4_ 14:0

<표 1-2> 사업팀 참여교수의 지도학생 현황 (단위 : 명)

T_ 1_1 :기준일

T_1_2:대학원

학과(

부)

T _1_ 3:참여교수 지도학생 수

T _2_ 3:석사 T _2_ 6:박사 T_2 _9:석박사 통합 T _2_ 12:

T _3_ 3:전체 T_ 3_4 :참여 T_ 3_5 :참여비

율(%) T_3 _6:전체 T _3_ 7:참여 T_ 3_8 :참여비

율(%) T_ 3_9 :전체 T _3_ 10:참여 T_3 _11 :참여비

율(%) T _3_ 12:전체 T_3 _13 :참여 T_ 3_1 4:참여비

율(%)

D_ 4_1 :201306

21

D _4_ 2:정치학

D _4_ 3:7 D_ 4_4 :7 D_ 4_5 :100% D_4 _6:6 D _4_ 7:6 D_ 4_8 :100% D_ 4_9 :0 D _4_ 10:0 D_ 4_1 1:0% D _4_ 12:13 D_4 _13 :13 D _4_ 14:100%

(7)

7 / 73

Ⅱ 부문별

1 사업팀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교육 비전 및 목표

<사업팀의 교육 비전 체계도: 그림 삽입예정>

■ 교육 비전

○ 본 사업팀의 교육비전

- 본 사업팀은 지역 및 국제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치학 연구방법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 연구방법에 특화된 아시아 선도 대학원 정치학과를 지향함.

■ 교육 목표

○ 본 사업팀의 교육 목표

양적․질적 연구방법이 겸비된 인재, 국제적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본 사업팀은

-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균형적으로 겸비한 인재, 국제적 감각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 대구경북 지역의 대학, 공공기관, 언론, 산업체 등에 대한 연구방법 역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아시아 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의 대학, 공공기관 등에 연구방법 전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여 지원함으로써, - 대구경북 및 아시아 지역 발전에 선도적인 대학원 정치학과를 지향함.

○ 본 사업팀의 추진 전략

대학원 차원의 교육과정, 국내외 연수과정을 통한 심화과정, 국내외 파견지원을 통한 적용과정을 구축함.

본 사업팀은

-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 교육과정을 연구방법론 개관 및 기초․심화․적용으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교육과정을 수립함으로써 연구방법론 교육과정의 체계화를 기하며,

- 연구방법론 개관, 양적 연구방법 기초, 질적 연구방법 기초 과목을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원생들에게 필수과목으로 지정함으로써 양적․질적 연구방법의 균형화를 기하고,

- 대학원 차원의 연구방법론 교육과정 1/3 이상을 영어강의로 진행함으로써 국제화의 기반을 다지며,

- 오픈 캠퍼스 구축을 통하여 연구방법 교육을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양적․질적 연구방법이 겸비된 인재를 지역을 넘어 전국적인 차원에서 양성하고자 함.

- 국내기관 및 해외기관 연수과정을 통하여, 연구방법의 새로운 경향을 습득하여 연구방법의 심화를 기하고자 함.

- 대구경북 차원의 연구방법론 워크숍 개최, 지역 기관에 대한 방문지원을 통하여 가르침에 의한 배움을 실천하고, 이를 통하여 지역 협력체제를 구축하며,

- 해외기관 파견지원을 통하여 국제적 역량을 심화시키고,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함.

■ 교육과정 구성 내용

○ 현행 교육과정의 문제점

- 전국 및 지역차원에서 연구방법론에 대한 체계적 교육과정 미비.

(8)

8 / 73

- 소수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양적 연구방법 교육과정 중 일부가 개설되어 진행 중이나, 질적 연구방법 교육과정은 전무함.

- 지역의 공공기관, 연구소, 언론기관, 산업체와 교육과정의 연계 미흡.

- 아시아 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연구방법론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및 인력 부족.

○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 연구방법론 입문을 시작으로 체계적인 연구방법론 교육과정 신설.

-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이 균형적인 교육과정 트랙 신설.

- 각 트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되, 공통과목과 특성화 과목으로 분류함.

- 학생이 본인의 진로를 선택 후, 트랙에 따라 교과목 이수.

○ 2개의 트랙으로 교육과정 개편 - 양적 연구방법 전문가 트랙 - 질적 연구방법 전문가 트랙

○ 교육과정 개편 결과

- 연구방법론 6과목 신설(참여교수당 2.5 과목) - 국내 및 해외 연수과정 상설화

<사업팀의 교육과정: 그림 삽입예정>

(9)

9 / 73

2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방안

2.1 대학원생 인력확보/배출 및 지원 계획

2.1.1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표 2> 최근 3년간 참여교수의 지도학생 확보 및 배출 실적 (단위: 명)

T_ 1_1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명)

T _2_ 1:실적 T _2_ 3:석사 T_ 2_4 :박사 T_ 2_5 :석․박사 통합 T_ 2_6 :

T _3_ 1:확보

T_ 3_2 :2010년 D _3_ 3:1 D_ 3_4 :0 D_ 3_5 :0 D_ 3_6 :1

T_ 4_2 :2011년 D _4_ 3:0.5 D_ 4_4 :0.5 D_ 4_5 :0 D_ 4_6 :1

T_ 5_2 :2012년 D _5_ 3:1 D_ 5_4 :1 D_ 5_5 :0 D_ 5_6 :2

T_ 6_2 :계 D _6_ 3:2.5 D_ 6_4 :1.5 D_ 6_5 :0 D_ 6_6 :4

T _7_ 1:배출

T_ 7_2 :2010년 D _7_ 3:0 D_ 7_4 :1 D_ 7_5 :X D_ 7_6 :1

T_ 8_2 :2011년 D _8_ 3:0 D_ 8_4 :2 D_ 8_5 :X D_ 8_6 :2

T_ 9_2 :2012년 D _9_ 3:4 D_ 9_4 :1 D_ 9_5 :X D_ 9_6 :5

T_1 0_2 :계 D _10 _3:4 D_ 10_ 4:4 D_ 10_ 5:X D_1 0_6 :8

2.1.2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가. 대학원생 배출 계획

<표 3> 향후 7년간 참여교수의 지도학생 배출 계획 (단위: 명)

T _1_ 1:연도

T_ 1_2 :참여교수의 지도학생 배출 계획

T _2_ 2:석사 T_2 _3:박사 T_2 _4:

T_3 _1:1차년(2013년) D _3_ 2:7 D_3 _3:2 D_3 _4:9

T_4 _1:2차년(2014년) D _4_ 2:7 D_4 _3:2 D_4 _4:9

T_5 _1:3차년(2015년) D _5_ 2:7 D_5 _3:2 D_5 _4:9

T_6 _1:4차년(2016년) D _6_ 2:7 D_6 _3:2 D_6 _4:9

T_7 _1:5차년(2017년) D _7_ 2:7 D_7 _3:2 D_7 _4:9

T_8 _1:6차년(2018년) D _8_ 2:7 D_8 _3:2 D_8 _4:9

T_9 _1:7차년(2019년) D _9_ 2:7 D_9 _3:2 D_9 _4:9

T _10 _1:계 D_ 10_ 2:49 D _10 _3:14 D _10 _4:X

(10)

10 / 73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 본 사업팀은 사업기간 7년 동안 석사 49명, 박사 14명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각 연도별 목표는 <표 3>과 같음.

- 산정근거: 사업팀 대학원생 지원규모와 현재 재학생 수에 근거하여, 각 과정별 재학기간을 고려하여 산정함.

사업팀 대학원생 지원규모(참여교수 1인당 석사과정생 2명, 박사과정생 1명)

석사 배출인력수: 지원규모와 1:1 매칭

박사 배출인력수: 지원규모와 1:1 매칭

(11)

11 / 73 나. 사업팀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 사업팀 참여교수 지도학생 선정기준

- 참여교수가 지도하는 전일제 대학원생으로서 주 40시간 이상 과제 관련 연구 및 수업에 전념할 수 있는 학생.

- 교수의 지도학생 수와 연구실적을 기준으로 하되,

박사과정 학생을 우선적으로 배정.

연간 참여교수 1인당 석사 1명, 박사 1명 지원을 기준으로 하되,

연간 참여교수 1인당 석사 4명, 박사 2명 지원을 한도로 함.

○ 사업팀 참여교수 지도학생의 지원 및 의무사항

- 석사과정 2년간, 박사과정 4년간 학비 전액 지원 및 생활비 지원 - 1회의 국내연수 지원, 1회의 해외연수 지원, 국제학술대회 참가 지원 - 석사과정 대학원생의 의무사항은,

졸업 때까지 1회 이상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논문발표,

1회 이상 학술지(등재후보지 이상)에 논문 게재.

- 박사과정 대학원생의 의무사항은,

졸업 때까지 2회 이상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논문발표,

2회 이상 학술지(등재후보지 이상)에 논문 게재.

- 장학금 지원학생은 지원 시

확약서와 서약서를 제출함.

- 의무사항을 이행하지 못했을 경우, 장학금 지원을 중단하거나 지원사항에 따라 지원받은 지원금 전액 또는 이에 준하는 금액을 서약파기일 기준 3개월 이내에 전액 환불함.

○ 사업팀 참여교수 지도학생 확보 방안

- 외국인 우수 대학원생 영입 및 참여교수의 외국 대학 방문 홍보활동.

- 대구경북 지역 및 기타 지역에 대한 대학원 프로그램 홍보활동 강화.

- 학석사 연계 강화 및 학부 3-4학년을 대상으로 한 면담 강화.

- 신규 대학원생에 대한 장학금 지급 및 생활비 지원.

- 대학원생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개별면담 및 신입생의 맞춤형 교육.

(12)

12 / 73 2.2 대학원생의 취업률 현황 및 진로 개발 계획

2.2.1 취업률

<표 4> 참여교수의 지도학생 취업률 실적 (단위: 명, %)

T_ 1_1 :구분

T_1 _3:졸업 및 취업현황

T_ 1_9 :취업률(%)(

D/C)×100

T_ 2_3 :졸업자(G)

T _2_ 4:비취업자(B)

T _2_ 7:취업대상자

(C=G-B) T_2 _8:취업자(D)

T_3 _4:진학자

T _3_ 6:입대자

T_4 _4:국내 T _4_ 5:국외

T _5_ 1:2012년 2월

졸업자

T_5 _2:석사 D_5 _3:3 D_5 _4:2 D _5_ 5:0 D_5 _6:0 D_ 5_7 :1 D _5_ 8:0 T _5_ 9:석사/박사

합산

T_6 _2:박사 D_6 _3:1 D_6 _4:X D _6_ 5:X D_6 _6:0 D_ 6_7 :1 D _6_ 8:1 D_6 _9:50%

T _7_ 1:2012년 8월

졸업자

T_7 _2:석사 D_7 _3:1 D_7 _4:0 D _7_ 5:0 D_7 _6:0 D_ 7_7 :1 D _7_ 8:0 T _7_ 9:석사/박사

합산

T_8 _2:박사 D_8 _3:0 D_8 _4:X D _8_ 5:X D_8 _6:0 D_ 8_7 :0 D _8_ 8:0 D_8 _9:0%

T_ 9_1 :계 D_9 _3:5 D_9 _4:2 D _9_ 5:0 D_9 _6:0 D_ 9_7 :3 D _9_ 8:1 D_9 _9:33.33%

2.2.2 취업의 질적 우수성

■ 현황 분석

○ 2012년 기준 취업률은 33.33%로서 저조하나,

○ 2012년 기준 박사 졸업생은 1명이었으며, 교육관련 정규직에 취업함.

○ 2012년 기준 석사 졸업생은 4명이며, 이 중 2명이 박사과정 진학, 1명이 본국으로 귀국한 유학생임.

○ 따라서 2012년 기준으로 볼 때, 박사 졸업생의 관련 업종 정규직 취직률은 100%이며, 석사 졸업생의 경우 교육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있음.

2.2.3 취업지도/진로 개발 실적 및 계획

(13)

13 / 73

■ 현황 및 문제점

○ 지역 경제의 장기침체로 졸업생의 지역 정규직 취업률 감소.

○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취업 여건이 갈수록 악화.

○ 대학원 교육과 지역 사회가 요구하는 지식 사이의 괴리 심화.

■ 기본 방향

○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이론과 현장교육 병행 추진.

○ 대학, 공공기관, 연구소, 언론기관, 산업체 등 대구경북 사회의 수요를 파악하고 수용함.

○ 대구경북 차원의 연구방법론 워크숍, 지역 기관의 방문지원을 통한 대학원생 현장교육 강화.

○ 해외 기관 파견지원을 통한 현장교육 강화 및 취업.

○ 대구경북 및 아시아 개발도상국과의 인재 풀 공유.

■ 추진계획

○ 추진과제

- 국내외 현장실습 기관 물색 및 제휴 추진.

- 사회조사분석사 자격증 2급 및 1급 취득.

- 현장실습 강화를 위한 교과과정 내용 수정.

- 국내외 기관과의 교류를 통한 유대 강화.

- 국내외 기관과의 인턴제 실시.

○ 단계별 추진계획 - 2013학년도

현장실습 실시 기관에 대한 정보 수집.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현장실습을 할 수 있는 지역 기관 정보 수집.

- 2014학년도 ~ 2015학년도

기 현장실습 학생에 대한 우선 선발이 가능하도록 지역 기관 설득.

다양한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 2016학년도 ~ 2019학년도

해외 기관 인턴제 강화.

양적․질적 연구방법 중심의 대학원과 일반대학원 간의 차별화 프로그램 개발.

대구경북 및 아시아 개발도상국과의 인재 풀 공유.

■ 사업효과

- 국내외 우수 기관과의 인턴제 실시를 통한 직업능력 배양.

- 현장실습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기관의 요구에 맞는 인재 배출.

- 대학교 교육의 동기 부여와 진로 선택의 폭 확대.

- 연구방법론 이론과 현장접목의 조화 있는 프로그램 개발.

■ 취업률 목표

○ 취업률 제고, 정규직 취업률 향상, 교육 및 연구개발 분야 취업에 대한 비중을 제고함.

○ 석사학위 취득 학생의 취업률을 전년 대비 10%씩 상향 목표.

단, 박사과정 진학생은 계산에서 제외함.

○ 박사학위 취득 학생의 정규직 취업률 80% 목표.

(14)

14 / 73

3 인력의 연구수월성

3.1 대학원생 연구 실적의 우수성

3.1.1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환산 논문(논문 및 저서) 편수

<표 5> 대학원생 논문 및 저서 환산 편수 실적 (단위: 명)

T _1_ 1:항목

T_1 _3:최근 3년간 실적

T_1 _6:전체기간 실적

T_2 _3:2010년 T _2_ 4:2011년 T _2_ 5:2012년

T_ 3_1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논문

환산편수 D _3_ 3:- D_ 3_4 :3 D_ 3_5 :2 D_ 3_6 :5

T_ 4_1 :국제저명 학술지 논문 환산편수 D _4_ 3:- D_ 4_4 :- D_ 4_5 :- D_ 4_6 :-

T_ 5_1 :기타국제 학술지 논문 환산편수 D _5_ 3:1 D_ 5_4 :2 D_ 5_5 :- D_ 5_6 :3

T_6 _1:학술 저서

환산편수

T_6 _2:국어 D _6_ 3:- D_ 6_4 :- D_ 6_5 :2 D_ 6_6 :2

T_7 _2:외국어 D _7_ 3:- D_ 7_4 :- D_ 7_5 :- D_ 7_6 :-

T _8_ 1:총 연구실적 환산편수 D _8_ 3:1 D_ 8_4 :5 D_ 8_5 :4 D_ 8_6 :10

T_ 9_1 :1인당 연구실적 환산편수 D _9_ 3:1 D_ 9_4 :5 D_ 9_5 :2 D_ 9_6 :2.5

T _10 _1:지도학생 수 D _10 _3:1 D_ 10_ 4:1 D_ 10_ 5:2 D_1 0_6 :4

3.1.2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표 6>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T _1_ 1:구분

T_ 1_2 :최근 3년간 실적

T_ 1_1 1:전체기간 실적

T _2_ 2:2010년 T_ 2_5 :2011년 T _2_ 8:2012년

T _3_ 2:국제 T _3_ 3:국내 T _3_ 4:T_ 3_5 :국제 T_3 _6:국내 T_3 _7:T_3 _8:국제 T_ 3_9 :국내 T_3 _10 :T _3_ 11:국제 T_ 3_1 2:국내 T_ 3_1 3:

T_4 _1:총 건수 D _4_ 2:- D _4_ 3:2 D_ 4_4 :2 D_ 4_5 :- D_4 _6:1 D _4_ 7:1 D_4 _8:- D_ 4_9 :5 D_4 _10 :5 D _4_ 11:- D_ 4_1 2:8 D_4 _13 :8

T_5_1:총 환산

편수 D _5_ 2:- D _5_ 3:2 D_ 5_4 :2 D_ 5_5 :- D_5 _6:1 D _5_ 7:1 D_5 _8:- D_ 5_9 :5 D_5 _10 :5 D _5_ 11:- D_ 5_1 2:8 D_5 _13 :8

T _6_ 1:1인당

환산 편수

D_6 _2:X D_ 6_4 :2 D _6_ 5:X D _6_ 7:1 D _6_ 8:X D_6 _10 :2.5 D_ 6_1 1:X D_6 _13 :2

T_ 7_1 :지도학

생 수 D_7 _2:X D_ 7_4 :1 D _7_ 5:X D _7_ 7:1 D _7_ 8:X D_7 _10 :2 D_ 7_1 1:X D_7 _13 :4

(15)

15 / 73 3.2 대학원생 연구 수월성 증진의 우수성

3.2.1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표 7> 대학원생 1인당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T _1_ 1:항목

T _1_ 3:연도별 목표

T_1 _10 :연평균

증가율

T _2_ 3:1차년 T_ 2_4 :2차년 T _2_ 5:3차년 T_2 _6:4차년 T_ 2_7 :5차년 T_2 _8:6차년 T_ 2_9 :7차년

T_ 3_1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논문 환산편수

D _3_ 3:0.5 D_ 3_4 :0.51 D _3_ 5:0.52 D_3 _6:0.531 D_ 3_7 :0.541 D_3 _8:0.552 D_ 3_9 :0.564 D_3 _10 :2%

T_4 _1:국제저명학술지 논문

환산편수 D _4_ 3:0 D_ 4_4 :0.05 D _4_ 5:0.1 D_4 _6:0.2 D_ 4_7 :0.3 D_4 _8:0.4 D_ 4_9 :0.5 D_4 _10 :51.3%

T _5_ 1:기타국제 학술지 논문

환산편수 D _5_ 3:0.25 D_ 5_4 :0.255 D _5_ 5:0.26 D_5 _6:0.265 D_ 5_7 :0.271 D_5 _8:0.276 D_ 5_9 :0.282 D_5 _10 :2%

T _6_ 1:학술 저서

환산편수

T _6_ 2:국어 D _6_ 3:0.167 D_ 6_4 :0.17 D _6_ 5:0.174 D_6 _6:0.177 D_ 6_7 :0.181 D_6 _8:0.184 D_ 6_9 :0.189 D_6 _10 :2%

T_ 7_2 :외국어 D _7_ 3:0 D_ 7_4 :0.05 D _7_ 5:0.1 D_7 _6:0.2 D_ 7_7 :0.3 D_7 _8:0.4 D_ 7_9 :0.5 D_7 _10 :51.3%

T _8_ 1: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D _8_ 3:0.667 D_ 8_4 :0.68 D _8_ 5:0.694 D_8 _6:0.708 D_ 8_7 :0.722 D_8 _8:0.736 D_ 8_9 :0.752 D_8 _10 :2%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 현황분석

○ 최근 3년간 등재(후보지), 기타국제학술지, 학술저서에는 지속적으로 게재하고 있음.

- 게재 실적은 등재(후보지)의 경우 양호하나, 다른 학술지의 경우 미비함.

등재(후보)지 게재실적: 총 7편; 환산편수 총 5편

국제저명학술지 게재실적: 총 0편; 환산편수 총 0편

기타국제학술지 게재실적: 총 3편; 환산편수 총 3편

국문 학술저서 게재실적: 총 2편; 환산편수 총 2편

○ 최근 3년간 대학원생 학술대회 발표 실적

- 국내 학술대회 발표는 활발하나, 국제 학술대회 발표는 미흡함.

전체 발표 실적: 총 8건

국내 학술대회 발표 실적: 총 8건

국제 학술대회 발표 실적: 총 0건

■ 대학원생 1인당 논문, 학회 발표 계획

○ 학술지 논문 게재

- 등재(후보)지: 장학금 지원 의무사항에 기준하여, 향후 1인당 실적을 2%씩 계속 단순 증가 목표.

- 기타국제학술지, 국어 학술저서 계획: 2012년 1인당 환산편수에 기준하여, 향후 1인당 실적을 2%씩 계속 단순 증가 목표.

- SSCI, A&HCI급, 외국어 학술저서 계획: 현재 1인당 연구실적은 없으나, 계속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0.5편을 목표로 함.

○ 학술대회 발표

- 학술대회 논문 발표 계획: 2012년 1인당 환산편수와 장학금 지원 의무사항에 기준하여,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1인당

(16)

16 / 73 발표실적을 2%씩 계속 단순 증가 목표.

3.2.2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계획의 우수성

■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 계획

○ 학술지 논문 게재

- 등재(후보)지 논문 게재 시 논문 게재료 지원

- SSCI, A&HCI급 학술지에 논문 투고 시 외국어 논문 교정 지원

○ 국제학술대회 발표

- 국제 저명 학술대회 발표 시 여비지원(미주, 유럽 기준): 100만원/인

(17)

17 / 73 3.3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계획

■ 현황

○ 본 사업팀의 규모를 고려할 때, 신진연구인력 채용의 규모는 1명으로 예상되나, 예산이 허용되면 증가시킴.

○ 참여교수 및 대학원생의 연구활성화를 위하여, 계약교수를 채용할 예정.

■ 계획

○ 계약교수 신규채용은 공채를 원칙으로 함.

○ 채용심사는 운영위원회에서 하며, 공채의 기준은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함.

○ 계약기간은 2년 이상의 다년계약으로 하여, 심리적으로 안정된 환경 속에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함.

○ 단, 계약기간 동안의 연구업적 등을 매년 운영위원회에서 평가하며, 재계약의 기회를 줌.

■ 지원사항

○ 계약교수가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강의에 대한 부담을 일절 주지 않음.

○ 단, 본인이 원할 경우 학부 또는 대학원 과목을 최대 한 강좌 강의할 수 있음.

○ 채용된 계약교수에게는 충분한 연구공간이 제공되며,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함.

■ 의무사항

○ 사업팀 참여교수와 대학원생들과의 공동 연구를 추진.

○ 계약교수는 계약기간 동안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매년 1회 이상의 논문을 게재함.

○ 의무사항을 이행하지 못했을 경우, 자동으로 면직됨.

(18)

18 / 73

4 교육의 국제화 전략

4.1 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 대학원 교육의 국제화 현황

○ 2010년부터 현재까지 외국인 전임교수(벤자민 톰슨)를 확보하여, 매 학기 영어강좌 1개 개설 중.

○ 외국인 교수 충원을 통한 국제화 교육 활성화.

○ 해외 석학 교수 초빙을 통한 국제화 교육 활성화.

○ University of Warsaw, Warsaw School of Economics 등과 학부생 교환 및 연구교류 MOU를 체결했으며, 이들 대학원 차원으로 확대 추진하고 있음.

○ 학부 차원의 국제화 실적

본 사업팀이 소속된 학과는 매년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해외 우수 교수를 초빙하여 강의를 진행하고 있음.

- 2010년 여름방학. Peter Ostaszewiski(폴란드) 국제조직론 강의 - 2010년 겨울방학. Peter Ostaszewiski(폴란드) 국제관계론 강의 - 2011년 여름방학. Benjamin H. Min(미국) 미국정치론 강의 - 2011년 겨울방학. Peter Ostaszewiski(폴란드) 국제조직론 강의 - 2011년 겨울방학. Benjamin H. Min(미국) 국제정치학 영어원강 - 2012년 겨울방학. Sylvano D. Mahiwo(필리핀) 국제정치학 영어원강

■ 대학원 교육의 국제화 계획

○ 해외 우수 대학원과 연계하여 교류학생 파견.

○ 해외 우수 대학원과 복수학위제 추진.

- University of Warsaw 대학원 등과 1+1 복수학위제 추진.

- Warsaw School of Economics 대학원 등과 복수학위제 추진.

-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Asian Center 등과 복수학위제 추진.

○ 교류 학생의 국제 학회 논문 발표 권고 및 지원.

○ 국제 저명 학술대회 대학원생 발표 지원.

○ 해외 석학 초빙을 통한 국제 교류 활성화.

○ SSCI, A&HCI급 논문 게재료 지원.

○ 우수 외국인 유치를 위한 홍보활동 전개.

(19)

19 / 73

5 사업팀의 연구비전 및 달성 전략

5.1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

<사업팀의 연구 비전 체계도: 그림 삽입예정>

■ 연구 비전

○ 본 사업팀의 연구비전

- 본 사업팀은 지역 및 국제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방법 인재를 배양함.

- 지역 및 아시아 지역 정치학 연구방법의 허브로서 연구중심 지역거점 대학원을 지향함.

■ 연구 목표

○ 본 사업팀의 연구 목표

- 지역 공공기관, 대학, 연구소, 언론기관, 산업체 등의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지역 기관과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고, - 아시아 개발도상국에 대한 연구방법 및 한국정치 연구를 지원하여 협력체제를 도모하고,

- 정치학 연구방법론이 특화된 연구중심 대학원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함.

(20)

20 / 73 5.2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의 우수성

■ 현황분석

- 비수도권 대학원의 공동화 심화

- 지역 공공기관, 대학, 연구소, 언론기관, 산업체 등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전문 연구인력 미비.

- 아시아, 특히 개발도상국가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 및 연구인력 미비.

■ 본 사업팀의 추진 전략

지역차원의 협력체제 구축, 아시아 차원의 협력체제 구축, 연구방법 및 한국정치 연구의 허브를 구축하고자 함.

본 사업팀은

- 참여교수 및 계약교수의 연구실적 의무조항 도입을 통한 도전적 목표를 설정하고, 미준수 시 자동 교체 원칙을 적용.

- 연구실적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연구실적 향상 기반 확립.

- 매년 여름 방학 대구경북 연구방법론 워크숍 개최, 지역 기관의 요청에 따른 연구방법 전문인력 방문지원 등을 통한 지역 협력체제 활성화 및 이를 통한 연구비 수주.

- 매년 1명 이상의 박사급 대학원생을 아시아 개발도상국에 지원함으로써 해당 국가의 연구방법 교육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아시아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한 연구비 수주.

- 대구경북 및 아시아 지역 연구방법 전문인력 공유를 통한 연구 및 연구비 수주 활성화.

- 궁극적으로 기존의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과 사회과학대학 데이터뱅크 등을 통하여 대구경북 및 아시아 지역에 연구방법 및 한국정치 연구의 허브로서 자리매김.

(21)

21 / 73

6 연구진의 구성

6.1 참여 연구진 구성의 우수성

6.1.1 연구 비전에 맞는 연구진 구성

■ 사업팀장

○ 인적 사항 팀장: 엄기홍

소속기관: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전공분야: 비교정치(전공), 연구방법(부전공)

○ 사업팀장의 역량(경력, 사업팀 발전의지, 사업팀 운영계획) 1) 사업팀장의 경력

①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콜로키움 위원장(2012.9 - 현재)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는 2005년 이래 사회과학콜로키움을 다양한 주제로 개최하고 있음. 사업팀장은 2012년 질적 연구방법, 2013년 양적 연구방법, 2014년 데이터 수집방법 등의 시리즈를 작성했으며, 현재 2012년 질적 연구방법 콜로키움을 진행했고 2013년 양적 연구방법 콜로키움을 추진 중임.

제52차 사회과학콜로키움/에스노그라피(Ethnography)/2012년 7월 27일

제53차 사회과학콜로키움/근거이론/2012년 8월 2일

제54차 사회과학콜로키움/담론분석/2012년 8월 9일

제55차 사회과학콜로키움/구술생애사와 사회연구의 함의/2012년 9월 24일

제56차 사회과학콜로키움/Q방법론의 이론적근거와 활용/2012년 10월 31일

제57차 사회과학콜로키움/메타분석의 실제와 적용/2012년 11월 20일

제58회 사회과학콜로키움/Logit/Probit Model/2013년 9월 예정

제59회 사회과학콜로키움/Survival Model/2013년 9월 예정

제60회 사회과학콜로키움/Social Network Analysis/2013년 10월 예정

제61회 사회과학콜로키움/Hierarchical Linear Model/2013년 10월 예정

제62회 사회과학콜로키움/Structural Equation Model/2013년 11월 예정

제63회 사회과학콜로키움/Simultaneous Equation Model/2013년 11월 예정

②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정치자금센터장(2008. 8 - 현재)

- 이 연구원은 대구경북 사회과학 연구의 중심지로서 지역사회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음. 사업팀장은 이 연구원을 설립한 인물 중 한 사람으로서 정치분야의 선두적 역할을 하는 정치자금센터장을 연구원 설립 때부터 지속하고 있음.

③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 위원(2009. 7 - 현재)

- 이 조사분석지원은 국회의 입법 및 정책에 대한 조사, 연구 등을 지원함. 사업팀장은 2009년 이래 현재까지 국회 입법 및 정책활동을 지원하고 있음.

④ 하버드-옌칭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방문학자(2010. 8 - 2011. 7)

- 하버드-옌칭 연구소는 동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 연구에 관하여 국제적으로 저명한 연구소이며, 매년 하버드대학 소재 연구소에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의 교수를 초빙하고 있음. 사업팀장은 방문학자의 자격으로 이 연구소에 초빙되어 연구활동을 했으며, 아시아 지역 전문가와 교류한 바 있음. 또한 주재 시 하버드 대학의 계량적

사회과학연구원(Institute for Quantitative Social Science)의 객원연구원으로서 매주 수요일 방법론 워크숍에 참석하여 하버드 대학, MIT 대학 교수 등과 교류한 바 있음.

⑤ 여론조사 기관 Research & Research 자문위원(2009. 3 - 현재)

- 이 기관은 1989년 설립된 여론조사 전문기관으로서 한국의 대표적 여론조사 기관 중 하나임. 사업팀장은 이 기관의 자문위원 구성 시 첫 번째 자문위원으로 위촉되어 여론조사 주제, 질문지, 조사기법, 분석기법 등에 있어 현재까지 자문을 지속하고 있음.

(22)

22 / 73

⑥ 동아시아 국제정치학회 총무이사(2009.1 - 2009.12)

- 이 학회는 동아시아 정치분야 전문가들이 동아시아의 발전을 위한 학문적 모색을 위하여 설립한 학회로서 동아시아 국가 출신 또는 주재 교수, 연구원, 외교관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음. 사업팀장은 총무이사로서 지역과 동아시아 국가의 협력을 모색하는 회의를 개최한 바 있음.

⑦ 한국정치학회 연구위원, 기획위원, 섭외간사 등(2009. 3 - 현재)

- 이 학회는 국내의 가장 대표적인 학회로서 정치이론을 비롯한 국내 및 국제정치 전문가들이 함께하고 있음. 사업팀장은 이 학회에서 학회의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지는 기획위원, 학술회의 개최 등을 책임지는 연구위원, 공공기관 등을 비롯한 타 기관의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섭외간사 등을 한 바 있음.

⑧ 대한정치학회 연구이사 등(2007. 3 - 현재)

- 이 학회는 대구경북의 가장 대표적인 학회로서 대구경북 소재 교수, 연구원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음. 사업팀장은 이 학회의 연구이사 등으로서 학회의 학술회의, 운영 등을 한 바 있음.

⑨ 한국정당학회 편집이사, 연구이사 등(2009. 3 - 현재)

- 이 학회는 정치과정 분야에 특화된 학회로서 전국적인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장 활동적인 학회로서 평가되고 있음.

사업팀장은 이 학회의 편집이사, 연구이사 등을 역임하면서 이 학회에서 발간되는 한국정당학회보를 등재후보지에서 등재지로 격상시킨 바 있음.

⑩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위원(2012. 10 - 현재)

- 이 위원회는 경상북도청 산하 남북교류 등을 심의․자문하는 기관임. 사업팀장은 2012년부터 경제, 문화, 관광, 학술 등에 관한 사항을 자문하고 있음.

⑪ 대구광역시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2013. 4 - 현재)

- 이 위원회는 대구광역시 선거에 관한 선거방송토론을 심의․자문하는 기관임. 사업팀장은 정치분야 전문가로서 학계의 추천을 받아 선거방송토론을 심의․자문하고 있음.

⑫ 교육과정심의회 위원(2009. 9 - 2011. 9)

- 이 심의회는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서 초중고등 교육과정에 대한 사항을 심의하고 조사․연구함. 사업팀장은 심의회의 국제에 관한 교과를 책임지고 심의하였음.

■ 사업팀 구성

○ 사업팀 구성의 원칙

- 다양한 학문적, 문화적 배경을 지닌 교수로서 교육과정에 부합되고 연구실적이 탁월한 자.

- 국제화를 위하여 원어강의가 가능한 자.

○ 사업팀 구성

- 양적 연구방법의 전통이 강한 지역에서 수학한 참여교수

․엄기홍. University of Kentucky, 미국

․하세헌. 도호쿠 대학, 일본

- 질적 연구방법의 전통이 강한 지역에서 수학한 참여교수

․허만호. 파리 사회과학대학원 대학(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 프랑스

․벤자민 톰슨. University of Exeter, 영국

○ 사업팀의 운영계획

1) 사업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위원회 가동

(1) 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활용: 사업팀의 중요 사업의 결정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사업팀 참여교수, 협력체 인사 등으로 구성된 사업팀 운영위원회를 적극적으로 가동할 것임.

(2) 평가위원회의 구성 및 평가: 사업평가 경험이 있는 학내 교수, 지역 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하여 사업팀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받고 필요시 사업방향과 내용을 조정할 것임.

2) 사업 참여교수 연구와 교육활동의 평가 및 적극적 지원

(23)

23 / 73

(1) 참여교수의 엄정한 업적평가 및 경쟁 강화: 사업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진행을 위하여 매년 참여교수의 업적을 엄정하게 평가하고, 연구실적을 준수하지 못한 참여교수의 경우 자동 교체함으로써 경쟁을 강화할 것임.

(2) 교수의 연구 및 교육활동의 지원: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사업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교수의 연구 및 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임.

3) 대학원생의 적극적인 연구활동 지도

- 대학원생들의 연구 활동을 진작하기 위하여 학생들 간의 협동연구를 권장하고,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및 학술지 투고를 의무화함.

○ 사업팀장의 권한

사업목표 달성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사업팀장에게 다음과 같은 권한을 부여하고 지원함.

1) 인사 및 예산상의 권한

(1) 참여교수 및 참여대학원생의 선정 및 변경.

(2) 계약교수의 임용 추천.

(3) 대학원생 및 계약교수 지원비 결정.

(4) 우수 활동자에 대한 성과급 지금.

(5) 예산 집행 요구 및 위임된 범위 내에서의 집행.

2) 사업팀장 지원 (1) 책임시간 수 감면.

(2) 예산의 범위 내에서 활동비 지금.

(3) 사업추진 보조인력(행정․연구) 지원.

(4) 기타 사업팁장의 요구에 의한 지원.

○ 사업팀 운영 및 지원 조직 본 사업팀은

- 경북대학교 총장 아래 사업팀장을 두고, 2개 트랙에서 연구방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로 운영하고, - 경북대학교의 산학협력단을 지원기관으로 하여 자금집행에서 효율성을 꾀하며,

- 지역내 주요 기관을 참여기관으로 하여 협력 및 교류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 사업팀 내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자금집행, 연구 및 교육분야에서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꾀함.

- 이상 본 사업팀의 조직 및 운영체계는 다음과 같음.

<사업팀 조직 및 운영체계: 그림 삽입예정>

(24)

24 / 73

7 연구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7.1 참여교수의 국제화 현황(최근 3년)

7.1.1 국제적 학술활동 참여 실적

○ 참여교수의 연평균 국제적 학술활동 실적은 약 4.3건이며, 연평균 일인당 1회 이상의 국제적 학술활동을 진행했음.

○ 참여교수가 활동했던 지역은 미국과 캐나다 등의 미주국가, 독일과 스위스 등의 유럽국가, 중국과 한국 등의 아시아 국가, 알제리 등의 아프리카 국가 등 다양함.

- 2010년: 참여교수 허만호는 캐나다와 한국에서 총 2회의 학술활동에 참여했음.

- 2011년: 참여교수 엄기홍, 하세헌, 허만호는 미국, 스위스, 알제리, 중국, 한국에서 총 7회의 학술활동에 참여했음.

- 2012년: 참여교수 벤자민 톰슨, 하세헌, 허만호는 독일, 미국, 한국에서 총 4회의 학술활동에 참여했음.

7.1.2 국제적 연구활동 참여 실적

○ 최근 3년간 참여교수들의 국제적 연구활동 실적은 환산편수 기준 총 19건임.

○ 최근 3년간 참여교수들의 1인당 환산편수 기준 국제저명학술지 논문게재는 2.25편으로서 왕성한 활동력을 보이고 있음.

- 2010년: 참여교수 허만호는 2편의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음.

- 2011년: 참여교수 허만호는 2편의 기타저명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음.

- 2012년: 참여교수 엄기홍, 벤자민 톰슨은 각각 1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엄기홍, 허만호 교수는 각각 1편의 저서를 발간했음.

(25)

25 / 73 7.2 사업팀 비전에 맞는 국제화 전략 및 계획의 우수성

■ 현황 분석

○ 참여교수들의 국제적 학술 및 연구활동 실적이 우수함.

○ 국제저명학술지 게재 실적 역시 탁월하며, 저술 등에서의 공동연구도 활발함.

■ 기본 방향

○ 국제적 학술활동의 지속 및 연구실적 강화.

○ 국제저명학술지 게재 강화 및 저서 활동 심화.

○ 국제적 학술교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국제적 공동연구 심화.

■ 추진계획

○ 추진사업

- 매해 1회의 국제적 학술행사 참여 지원.

- 매해 1회 이상의 국제공동 연구 세미나.

- 국제적인 논문 및 저서의 작성 및 인센티브 제공.

- 국제적 학술교류 네트워크 형성.

○ 단계별 추진계획 - 2013학년도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 및 저서 인센티브 제공.

연구 우수상 제정 및 수상.

학술교류를 위한 소개 책자, 교과과정 등 주요 소개자료 준비.

해외 학문교류 가능 대학 정보 시스템 구축.

- 2014학년도 ~ 2015학년도

국제 공동연구 세미나 추진.

학문 교류 홍보물 개발 및 인터넷을 통한 홍보.

- 2016학년도 ~ 2019학년도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 및 저서 발간 활성화.

우수 학생, 교수 교환 프로그램 활성화.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학문교류 추진.

(26)

26 / 73

8 참여교수 연구역량

8.1 연구비(최근 3년)

<표 8>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정부, 산업체, 해외기관 등 연구비 수주 실적 (단위 : 천원)

T _1_ 1:항목

T _1_ 2:수주액

T_2 _2:2010년 T_ 2_3 :2011년 T_ 2_4 :2012년 T_2 _5:전체기간 실적

T_ 3_1 :정부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D _3_ 2:31,250 D_ 3_3 :131,779 D_ 3_4 :147,368 D_ 3_5 :310,397

T_ 4_1 :산업체(국내)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D _4_ 2:- D_ 4_3 :- D_ 4_4 :- D_ 4_5 :-

T_5_1:해외기관 연구비 수주

총 환산입금액 D _5_ 2:- D_ 5_3 :- D_ 5_4 :- D_ 5_5 :-

T_ 6_1 :1인당 총 연구비

수주액

D _6_ 2: D_6 _3: D_6 _4: D_6 _5:

T_ 7_1 :참여교수 수 D_7 _5:

(27)

27 / 73 8.2 논문(연구실적) (최근3년)

8.2.1 참여교수 1인당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국제저명학술지(SCI(E), SSCI, A&HCI), 기타국제 학술지 및 저서 환산 논문 편수

<표 9> 참여교수 1인당 논문 및 학술저서 환산편수 실적 (단위: 명)

T _1_ 1:항목

T _1_ 3:최근 3년간 실적(편)

T_1 _6:전체기간 실적

T_2 _3:2010년 T _2_ 4:2011년 T _2_ 5:2012년

T_ 3_1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논문

환산편수 D _3_ 3:3.75 D_ 3_4 :4.75 D_ 3_5 :10.5 D_ 3_6 :19

T_ 4_1 :국제저명 학술지 논문 환산편수 D _4_ 3:6 D_ 4_4 :- D_ 4_5 :3 D_ 4_6 :9

T_ 5_1 :기타국제 학술지 논문 환산편수 D _5_ 3:- D_ 5_4 :2 D_ 5_5 :- D_ 5_6 :2

T_6 _1:학술 저서

환산편수

T_6 _2:국어 D _6_ 3:2.365 D_ 6_4 :2 D_ 6_5 :2.25 D_ 6_6 :6.615

T_7 _2:외국어 D _7_ 3:- D_ 7_4 :- D_ 7_5 :0.875 D_ 7_6 :0.875

T _8_ 1:총 연구실적 환산편수 D _8_ 3: D_ 8_4 : D_ 8_5 : D_8 _6:

T _9_ 1:교수 1인당 연구실적 환산편수 D _9_ 3: D_ 9_4 : D_ 9_5 : D_9 _6:

T_1 0_1 :참여교수 수 D_1 0_6 :4

8.2.2 사업팀 참여 교수 논문의 우수성

ⓐ 사업팀 참여교수 대표논문 우수성

<표 10> 사업팀 참여교수 대표 논문실적 목록

T_ 1_1 :연번 T _1_ 2:논문제목

T _1_ 3:게재정보

T _1_ 5:저자 중

참여교수 성명 T_ 1_6 :주저자 여부 T _1_ 7:객관적인 우수성

T _2_ 3:게재학술지명 T_2 _4:년월(YYYYMM)

D_ 1_1 :1

D_ 1_2 :Generation

Effects, To Be or Not To Be

D_1 _3:Asian

Perspective D_ 1_4 :201209 D_1 _5:엄기홍 D_ 1_6 :교신 D_1 _7:SSCI 보정 IF 0.226

D_ 2_1 :2

D_ 2_2 :LA GUERRE DE

COREE VUE DU COTE COREEN

D_2 _3:GUERRES

MONDIALES ET CONFLITS CONTEMPORAINS

D_ 2_4 :201011 D_2 _5:허만호 D_ 2_6 :제1 D_ 2_7 :A&HCI; 학술지

초청 논문

D_ 3_1 :3

D_3 _2:Abduction of

Civilians during the Korean War:

Analysis of Abductee Lists

and Armistice Talks

D_3_3: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D_ 3_4 :201011 D_3 _5:허만호 D_ 3_6 :제1 D_3 _7:SSCI 보정 IF

0.169

(28)

28 / 73

D_ 4_1 :4 D_4 _2:DISINTERESTED

NESS AND VIRTUE

D_ 4_3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D_ 4_4 :201101 D_ 4_5 :톰슨 벤자민

크리스토퍼 D_ 4_6 :제1

D_ 4_7 :A&HCI;

정치사상 우수학술지

D_ 5_1 :5

D_ 5_2 :Campaign

Contribution Limits and Strategic Political Parties

D _5_ 3:한국비교정부

학보 D_ 5_4 :201204 D_5 _5:엄기홍 D_ 5_6 :제1

D_ 5_7 :2011년 KCI IF

3.79;

전체학술지 1위

D_ 6_1 :6

D _6_ 2:지방정당을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활성화와 향후과제

D _6_ 3:국제정치논총 D_ 6_4 :201206 D_6 _5:하세헌 D_ 6_6 :제1

D_ 6_7 :2011년 KCI IF

1.03; 국제정치 우수학술지

ⓑ 객관적 수치를 활용한 대표실적 우수성 제시

■ 현황 분석

○ 참여교수 6편의 대표실적은 SSCI 학술지, A&HCI 학술지, 분야별 대표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임 - SSCI 학술지 게재 논문: 보정 IF 0.226, 0.169.

- A&HCI 학술지 게재 논문: 한 편의 논문은 학술지 초청에 의해 게재된 논문이며, 다른 한편의 논문은 정치사상의 대표적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 등재지 게재 논문: 한 편의 논문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전체학술지 1위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며, 다른 한편은 국제정치 분야 대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임.

8.2.3 사업팀 국제저명학술지 우수 논문 향상 계획

■ 현황 분석

○ 최근 3년간 사업팀 참여교수 4명의 1인당 게재 논문 환산편수는 7.5편이며, 학술저서 환산편수는 1.87편임.

○ 학술지 유형별로 보면,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이 환산편수를 기준으로 19편, 1인당 4.75편으로 집계되어, 등재(후보)지 유형의 학술지가 일반적인 연구논문 발표지인 것으로 나타남.

○ 국제저명학술지/기타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도 9편/2편이고, 1인당 평균 2.25/0.5편으로 나타남.

○ 참여교수의 연구실적은 등재(후보)지 학술지와 국제저명학술지 유형 모두에서 양호함.

■ 기본 방향

○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를 지속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 향상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 제도적 장치의 확립.

○ 사업참여 교수간 경쟁시스템 구축.

■ 추진계획

○ 해외 학술대회 논문 발표 지원.

○ 해외 공동세미나 참가 지원.

○ 해외석학 초빙 강좌를 통한 교류 확대.

○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료 지원.

○ 사업팀 참여교수간 경쟁시스템 구축.

- 연구 우수상 제정 및 시행.

(29)

29 / 73 - 최소 연구실적인 연 1편을 게재하지 못할 시는 사업팀에서 자동 교체됨.

(30)

30 / 73 8.3 기타 연구의 우수성

■ 현황 분석

○ 참여교수 중 1인은 2012년 경북대학교 학술상(10년 연구업적 기준 평가)을 수상하였음.

■ 기본 방향

○ 국내외 학술활동 강화로 수상 활동 지속 및 강화.

○ 지역 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산학협력 추진 노력 경주.

■ 추진계획

○ 추진과제

- 팀 차원의 지역기관 협력체제 프로젝트 팀 구성.

- 대구경북연구원, 경북여성정책개발원, 대구전략사업기획단, 대구시청, 경북도청,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 경북선거관리위원회 등과의 협력체제 구축.

- 해외기관 DB화를 통한 협력체제 구축 및 연구비 수주.

○ 단계별 추진계획

- 2013학년도: 참여교수들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기관 협력체제 프로젝트팀 구성.

- 2014학년도 ~ 2019학년도: 협력대상 기관과의 상호협력 체결, 산학협력 실적 확대.

(31)

31 / 73

Ⅲ 사업비 집행 계획

1 사업비 집행 계획(1~7차년도)

(단위 : 천원)

T_1 _1:항목 T_1 _2:1년차 T_1 _3:2년차 T_1 _4:3년차 T _1_ 5:4년차 T_1 _6:5년차 T_ 1_7 :6년차 T _1_ 8:7년차 T_1 _9:

T_2 _1:대학원생

연구장학금 D_2 _2:98,400 D_2 _3:98,400 D_2 _4:98,400 D _2_ 5:98,400 D_2 _6:98,400 D_ 2_7 :98,400 D _2_ 8:98,400 D_2 _9:688,800

T _3_ 1:신진연구인

력 지원비 D_3 _2:30,000 D_3 _3:30,000 D_3 _4:30,000 D _3_ 5:30,000 D_3 _6:30,000 D_ 3_7 :30,000 D _3_ 8:30,000 D_3 _9:210,000

T _4_ 1:국제화지원

D_4 _2:44,784 D_4 _3:44,784 D_4 _4:44,784 D _4_ 5:44,784 D_4 _6:44,784 D_ 4_7 :44,784 D _4_ 8:44,784 D_4 _9:313,488

T_5 _1:사업팀

운영비 D_5 _2:19,680 D_5 _3:19,680 D_5 _4:19,680 D _5_ 5:19,680 D_5 _6:19,680 D_ 5_7 :19,680 D _5_ 8:19,680 D_5 _9:137,760

T_6 _1:간접비 D_6 _2:3,936 D_6 _3:3,936 D_6 _4:3,936 D _6_ 5:3,936 D_6 _6:3,936 D_ 6_7 :3,936 D _6_ 8:3,936 D_6 _9:27,552

T_7 _1:합 계 D_7 _2:196,800 D_7 _3:196,800 D_7 _4:196,800 D _7_ 5:196,800 D_7 _6:196,800 D_ 7_7 :196,800 D _7_ 8:196,800 D_7 _9:1,377,600

(32)

32 / 73

2 사업비 집행 세부 내역(1~3차년도)

[1차년도] (2차년도 이후 동일 양식으로 기재)

1)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단위 : 원)

T _1_ 1:구분 T_1 _2:지원대상인원(A) T_ 1_3 :1인당 월지급액(B) T _1_ 4:지급개월수(C) T_1 _5:산출액(A*B*C) T_ 1_6 :비고

T_2 _1:석사과정생 D_2 _2:7 D _2_ 3:600,000 D_ 2_4 :12 D_ 2_5 :50,400,000 D_2 _6:

T_3 _1:박사과정생 D_3 _2:4 D _3_ 3:1,000,000 D_ 3_4 :12 D_ 3_5 :48,000,000 D_3 _6:

T _4_ 1:합계 D_4 _2:11 D _4_ 3:X D_ 4_4 :X D_ 4_5 :98,400,000 D_ 4_6 :X

2)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단위 : 원)

T _1_ 1:구분 T _1_ 2:지원대상인원(A) T _1_ 3:1인당 월지급액(B) T_ 1_4 :지급개월수(C) T _1_ 5:산출액(A*B*C)

T _2_ 1:박사후 과정생 D _2_ 2:0 D_ 2_3 :0 D_ 2_4 :0 D_ 2_5 :0

T_ 3_1 :계약교수 D _3_ 2:1 D_ 3_3 :2,500,000 D_ 3_4 :12 D_ 3_5 :30,000,000

T _4_ 1:합계 D _4_ 2:1 D_ 4_3 :X D_ 4_4 :X D_ 4_5 :30,000,000

3) 국제화 경비 (단위 : 원)

T_ 1_1 :구분 T_1 _2:산출근거 T_1 _3:금액

T_2 _1:단기연수 D _2_ 2:○ 해외연수: 12,000,000원

- 석박사과정생 3명×400만원 D_2 _3:12,000,000

T_3 _1:장기연수 D_3 _2:○ 해당사항 없음. D_3 _3:0

T _4_ 1:해외석학초빙 D_ 4_2 :○ 해외석학초빙: 10,000,000원

- 2명×500만원 D_4 _3:10,000,000

T _5_ 1:기타국제화활동

D_5 _2:○ 국제학술대회 참가여비:

11,000,000원

- 석박사과정생 3명×100만원×1회 - 참여교수 4명×200만원×1회

○ 해외 공동세미나 참석: 8,000,000원 - 참여교수 4명×200만원×1회

○ 해외기관 DB화: 3,784,000원

D_5 _3:22,784,000

T_6 _1:합계 D_6 _3:44,784,000

4) 사업단 운영비 (단위 : 원)

T_ 1_1 :구분 T_1 _2:산출근거 T_1 _3:금액

(33)

33 / 73

T_2 _1:사업팀 전담직원 인건비 D_ 2_2 :○ 사업단 행정보조인력: 1,500,000원

- 1인×월50만원×3개월 D_2 _3:1,500,000

T_ 3_1 :성과급 D_ 3_2 :○ 참여교수 인센티브: 12,000,000원

- 4명×300만원×1회 D_3 _3:12,000,000

T_4 _1:국내여비

D_4 _2:○ 여비(국내학회참석 및 국내여비):

400,000원 - 4명×10만원×1회

D_4 _3:400,000

T _5_ 1:학술활동지원비

D _5_ 2:○ 국내연수: 900,000원

- 3명×30만원×1회

○ 논문게재료 등 학술활동지원:

300,000원 - 10만원×3회

D_5 _3:1,200,000

T _6_ 1:산업재산권 출원등록비 D_6 _2:○ 해당사항 없음. D_6 _3:0

T_7 _1:일반수용비

D_7 _2:○ 행정사무경비(문구류 및 인쇄비):

220,000원 - 2만원×11개월

D_7 _3:220,000

T_ 8_1 :회의비

D_ 8_2 :○ 연구방법론 워크숍 개최비:

1,000,000원 - 100만원×1회

○ 운영위원회 회의비: 1,200,000원 - 10만원×6명×2회

D_8 _3:2,200,000

T_ 9_1 :각종 행사경비 D_9 _2:○ 해당사항 없음. D_9 _3:0

T_ 10_ 1:기타

D _10 _2:○ 사업팀장 업무추진활동비:

2,160,000원 - 18만원×12개월

D_1 0_3 :2,160,000

T_1 1_1 :합계 D_1 1_3 :19,680,000

5) 간접비 (단위 : 원)

D_ 1_1 :3,936,000원

[2차년도]

1)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단위 : 원)

T _1_ 1:구분 T_1 _2:지원대상인원(A) T_ 1_3 :1인당 월지급액(B) T _1_ 4:지급개월수(C) T_1 _5:산출액(A*B*C) T_ 1_6 :비고

T_2 _1:석사과정생 D_2 _2:7 D _2_ 3:600,000 D_ 2_4 :12 D_ 2_5 :50,400,000 D_2 _6:

T_3 _1:박사과정생 D_3 _2:4 D _3_ 3:1,000,000 D_ 3_4 :12 D_ 3_5 :48,000,000 D_3 _6:

T _4_ 1:합계 D_4 _2:11 D _4_ 3:X D_ 4_4 :X D_ 4_5 :98,400,000 D_ 4_6 :X

(34)

34 / 73

2)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단위 : 원)

T _1_ 1:구분 T _1_ 2:지원대상인원(A) T _1_ 3:1인당 월지급액(B) T_ 1_4 :지급개월수(C) T _1_ 5:산출액(A*B*C)

T _2_ 1:박사후 과정생 D _2_ 2:0 D_ 2_3 :0 D_ 2_4 :0 D_ 2_5 :0

T_ 3_1 :계약교수 D _3_ 2:1 D_ 3_3 :2,500,000 D_ 3_4 :12 D_ 3_5 :30,000,000

T _4_ 1:합계 D _4_ 2:1 D_ 4_3 :X D_ 4_4 :X D_ 4_5 :30,000,000

3) 국제화 경비 (단위 : 원)

T_ 1_1 :구분 T_1 _2:산출근거 T_1 _3:금액

T_2 _1:단기연수 D _2_ 2:○ 해외연수: 12,000,000원

- 석박사과정생 3명×400만원 D_2 _3:12,000,000

T_3 _1:장기연수 D_3 _2:○ 해당사항 없음. D_3 _3:0

T _4_ 1:해외석학초빙 D_ 4_2 :○ 해외석학초빙: 10,000,000원

- 2명×500만원 D_4 _3:10,000,000

T _5_ 1:기타국제화활동

D_5 _2:○ 국제학술대회 참가여비:

11,000,000원

- 석박사과정생 3명×100만원×1회 - 참여교수 4명×200만원×1회

○ 해외 공동세미나 참석: 8,000,000원 - 참여교수 4명×200만원×1회

○ 해외기관 DB화: 3,784,000원

D_5 _3:22,784,000

T_6 _1:합계 D_6 _3:44,784,000

4) 사업단 운영비 (단위 : 원)

T_ 1_1 :구분 T_1 _2:산출근거 T_1 _3:금액

T_2 _1:사업팀 전담직원 인건비 D_ 2_2 :○ 사업단 행정보조인력: 1,500,000원

- 1인×월50만원×3개월 D_2 _3:1,500,000

T_ 3_1 :성과급 D_ 3_2 :○ 참여교수 인센티브: 12,000,000원

- 4명×300만원×1회 D_3 _3:12,000,000

T_4 _1:국내여비

D_4 _2:○ 여비(국내학회참석 및 국내여비):

400,000원 - 4명×10만원×1회

D_4 _3:400,000

T _5_ 1:학술활동지원비

D _5_ 2:○ 국내연수: 900,000원

- 3명×30만원×1회

○ 논문게재료 등 학술활동지원:

300,000원 - 10만원×3회

D_5 _3:1,200,000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공약 문13 기초의회가 시군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감시․견제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