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CODE BOOK
자료번호 A1-2010-0105
연구책임자 이미정
연구수행기관 한국장애인개발원
조사년도 2010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3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3년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이미정 . 2010. 청각장애인 생활실태 및 복지수요 조사 , 2010 . 연구수행기관 : 한국장애인개발원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3 년 . 자료번호 : A1-2010-0105.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3. 청각장애인 생활실태 및 복지수요 조사, 2010
CODE BOOK . pp. 1-77.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area
지역구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경기도 1 194 17.3 17.3
대구 2 46 4.1 4.1
충북 3 48 4.3 4.3
경북 4 84 7.5 7.5
전주 5 61 5.4 5.4
제주 6 18 1.6 1.6
전남 7 73 6.5 6.5
충남 8 64 5.7 5.7
경남 9 80 7.1 7.1
인천 10 60 5.4 5.4
강원 11 55 4.9 4.9
대전 12 36 3.2 3.2
광주 13 32 2.9 2.9
부산 14 67 6.0 6.0
서울 15 182 16.3 16.3
울산 16 20 1.8 1.8
1,120
100.0 100.0
a1
응답자 성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588 52.5 52.5
여자 2 532 47.5 47.5
1,120
100.0 100.0
a2
응답자 연령==> 데이터와 아래 리코드 변수 참조
A. 일반적 사항 - 1. 성 별
A. 일반적 사항 - 2. 연 령
a2_re
응답자 연령 구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8세이상~30세미만 1 195 17.4 17.4
30세이상~40세미만 2 298 26.6 26.6
40세이상~50세미만 3 313 27.9 27.9
50세이상~60세미만 4 223 19.9 19.9
60세이상 5 91 8.1 8.1
1,120
100.0 100.0
a3
응답자 결혼상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혼 1 347 31.0 31.3
배우자 있음 2 613 54.7 55.3
배우자 사망 3 51 4.6 4.6
이혼 4 79 7.1 7.1
별거 5 13 1.2 1.2
기타 6 6 .5 .5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a4
함께 사는 가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명 1 159 14.2 14.3
2 명 2 220 19.6 19.7
3 명 3 270 24.1 24.2
4 명 4 354 31.6 31.7
5 명 5 85 7.6 7.6
6 명 6 26 2.3 2.3
7 명 7 1 .1 .1
무응답 999 5 .4
1,120
100.0 100.0
A. 일반적 사항 - 3. 결혼상태
A. 일반적 사항 - 4. 함께 사는 가족 수 (본인 포함)
a5
가구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 1 607 54.2 54.5
배우자 2 227 20.3 20.4
자녀 3 16 1.4 1.4
자녀의 배우자 4 43 3.8 3.9
아버지 5 148 13.2 13.3
어머니 6 44 3.9 3.9
형제,자매 7 13 1.2 1.2
조부모 8 8 .7 .7
기타 9 8 .7 .7
무응답 999 6 .5
1,120
100.0 100.0
a6
최종학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학교를 다니지 않음(무학) 1 110 9.8 9.9
초등학교 2 160 14.3 14.3
중학교 3 178 15.9 15.9
고등학교 4 439 39.2 39.3
대학,대학교 5 205 18.3 18.4
대학원 6 22 2.0 2.0
기타 7 2 .2 .2
무응답 999 4 .4
1,120
100.0 100.0
a7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급 받고 있음 1 330 29.5 29.6
수급 받고 있지 않음 2 784 70.0 70.4
무응답 999 6 .5
1,120
100.0 100.0
A. 일반적 사항 - 5. 가 구 주
A. 일반적 사항 - 6. 최종학력
A. 일반적 사항 - 7.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여부
a8
건강보험 유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직장건강보험 1 467 41.7 42.5
지역건강보험 2 269 24.0 24.5
의료급여 1종 3 256 22.9 23.3
의료급여 2종 4 106 9.5 9.7
무응답 999 22 2.0
1,120
100.0 100.0
a9
주거형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가 1 470 42.0 42.2
전세 2 378 33.8 33.9
보증금 있는 월세 3 170 15.2 15.3
보증금 없는 월세 4 27 2.4 2.4
기타 5 69 6.2 6.2
무응답 999 6 .5
1,120
100.0 100.0
a10
거주지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도시 1 438 39.1 39.5
중소도시 2 463 41.3 41.7
농어촌 3 209 18.7 18.8
무응답 999 10 .9
1,120
100.0 100.0
A. 일반적 사항 - 8. 건강보험 유형
A. 일반적 사항 - 9. 주거형태
A. 일반적 사항 - 10. 거주지역
a11
청각장애 유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청력장애 1 1,108 98.9 99.6
평형기능 장애 2 4 .4 .4
무응답 999 8 .7
1,120
100.0 100.0
a12
장애등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급 1 162 14.5 14.5
2급 2 647 57.8 57.9
3급 3 117 10.4 10.5
4급 4 81 7.2 7.2
5급 5 69 6.2 6.2
6급 6 42 3.8 3.8
무응답 999 2 .2
1,120
100.0 100.0
a13
중복장애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복장애 있음 1 390 34.8 43.0
중복장애 없음 2 518 46.3 57.0
무응답 999 212 18.9
1,120
100.0 100.0
A. 일반적 사항 - 11. 청각장애 유형
A. 일반적 사항 - 12. 장애등급
A. 일반적 사항 - 13. 중복장애 여부
a14
중복장애 유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언어장애 1 392 35.0 91.2
지체장애 2 21 1.9 4.9
뇌병변장애 3 5 .4 1.2
시각장애 4 3 .3 .7
지적장애 5 1 .1 .2
정신장애 7 2 .2 .5
신장장애 8 3 .3 .7
심장장애 9 1 .1 .2
호흡기장애 10 1 .1 .2
안면장애 12 1 .1 .2
비해당 666 159 14.2
무응답 999 531 47.4
1,120
100.0 100.0
a15
청각장애 시기값
유효합계 1,085
최소값 0
최대값 63
평균 6.64
표준편차 11.273
a16
청각장애 원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선천적 원인 1 210 18.8 18.8
후천적 원인 2 773 69.0 69.3
원인을 알 수 없음 3 132 11.8 11.8
무응답 999 5 .4
1,120
100.0 100.0
A. 일반적 사항 - 14. 중복장애 유형
A. 일반적 사항 - 15. 청각장애 발생 시기 (세)
A. 일반적 사항 - 16. 청각장애 원인
a16_1
후천적 원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질환에 의한 청각장애 1 588 52.5 79.9
사고로 인한 청각장애 2 122 10.9 16.6
노인성 난청으로 인한 청각장애 3 26 2.3 3.5
무응답 999 384 34.3
1,120
100.0 100.0
b1
주 소득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 혹은 배우자의 근로,사업소득 1 645 57.6 58.9
부모의 지원 2 101 9.0 9.2
형제, 자매의 지원 3 21 1.9 1.9
자녀의 지원 4 40 3.6 3.6
정부지원 5 258 23.0 23.5
기타 6 31 2.8 2.8
무응답 999 24 2.1
1,120
100.0 100.0
b2
월평균 총수입값
유효합계 1,024
최소값 0
최대값 600
평균 124.00
표준편차 75.702
A. 일반적 사항 - ② 후천적원인
B. 경제 활동 - 1. 주 소득원
B. 경제 활동 - 2. 월평균 총수입
b3
월평균 생활비값
유효합계 1,018
최소값 0
최대값 500
평균 94.65
표준편차 60.989
b4
구직경로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인단체, 모임 등을 통해 1 541 48.3 51.2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통해 2 61 5.4 5.8
TV, 라디오, 신문 등을 통해 3 90 8.0 8.5
학교, 학원을 통해 4 40 3.6 3.8
주변 지인(친구, 친척 등)을 통해 5 236 21.1 22.3
기타 6 89 7.9 8.4
무응답 999 63 5.6
1,120
100.0 100.0
b4_1
구직경로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장애인단체, 모임 등을 통해 1 1 .1 .2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통해 2 40 3.6 6.4
TV, 라디오, 신문 등을 통해 3 29 2.6 4.6
학교, 학원을 통해 4 16 1.4 2.6
주변 지인(친구, 친척 등)을 통해 5 424 37.9 67.9
기타 6 114 10.2 18.3
무응답 999 496 44.3
1,120
100.0 100.0
b4s
구직경로 기타==> 데이터 참조
B. 경제 활동 - 3. 월평균 생활비
B. 경제 활동 - 4. 현재까지 일(직장)을 구한 주된 경로 (2가지 고르시오)
b5
퇴직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회 1 225 20.1 56.4
2 회 2 87 7.8 21.8
3 회 3 34 3.0 8.5
4 회 4 17 1.5 4.3
5 회 5 20 1.8 5.0
6 회 6 3 .3 .8
8 회 8 5 .4 1.3
10 회 10 5 .4 1.3
12 회 12 1 .1 .3
15 회 15 1 .1 .3
20 회 20 1 .1 .3
비해당 0 513 45.8
무응답 999 208 18.6
1,120
100.0 100.0
b6
퇴직 이유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1 265 23.7 31.1
계약기간이 끝나서 2 59 5.3 6.9
낮은 임금 때문에 3 180 16.1 21.1
장애인에 대한 차별 4 70 6.3 8.2
적성이 맞지 않아서 5 72 6.4 8.4
친구(동료직원)가 그만둬서 6 8 .7 .9
직장이 불안정해서 7 70 6.3 8.2
기타 8 129 11.5 15.1
무응답 999 267 23.8
1,120
100.0 100.0
B. 경제 활동 - 6. 일(직장)을 그만둔 주된 이유 (2가지 고르시오)
B. 경제 활동 - 5. 최근 1년간 일(직장)을 그만둔 횟수
b6_1
퇴직 이유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계약기간이 끝나서 2 16 1.4 2.9
낮은 임금 때문에 3 87 7.8 15.9
장애인에 대한 차별 4 89 7.9 16.2
적성이 맞지 않아서 5 84 7.5 15.3
친구(동료직원)가 그만둬서 6 25 2.2 4.6
직장이 불안정해서 7 146 13.0 26.6
기타 8 101 9.0 18.4
무응답 999 572 51.1
1,120
100.0 100.0
b6s
퇴직 이유 기타==> 데이터 참조
b7
배우고 싶은 기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문 기술직 1 398 35.5 38.0
사무직 2 151 13.5 14.4
서비스 및 판매직 3 92 8.2 8.8
농업, 임업, 어업 4 100 8.9 9.5
장치, 기계 조립 및 기능직 5 132 11.8 12.6
기타 6 175 15.6 16.7
무응답 999 72 6.4
1,120
100.0 100.0
b7s
배우고 싶은 기술 기타==> 데이터 참조
B. 경제 활동 - 7. 앞으로 배우고 싶은 기술
b8
현재 일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일 하고 있지 않음 1 535 47.8 49.2
일 하고 있음 2 552 49.3 50.8
무응답 999 33 2.9
1,120
100.0 100.0
b8_1
일 하지 않는 이유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합한 직종이 없어서 1 164 14.6 31.0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2 105 9.4 19.8
임금이 너무 적음 3 70 6.3 13.2
작업환경이 열악해서 4 14 1.3 2.6
회사에서 장애인 거부 5 36 3.2 6.8
취업 방법 및 정보를 몰라서 6 23 2.1 4.3
일에 필요한 기술 또는 기능이 없어서 7 32 2.9 6.0
기타 8 85 7.6 16.1
무응답 999 591 52.8
1,120
100.0 100.0
b8_1_1
일 하지 않는 이유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2 28 2.5 9.0
임금이 너무 적음 3 38 3.4 12.2
작업환경이 열악해서 4 20 1.8 6.4
회사에서 장애인 거부 5 51 4.6 16.4
취업 방법 및 정보를 몰라서 6 37 3.3 11.9
일에 필요한 기술 또는 기능이 없어서 7 74 6.6 23.8
기타 8 63 5.6 20.3
무응답 999 809 72.2
1,120
100.0 100.0
B. 경제 활동 - 8. 현재 일(경제활동) 여부
B. 경제 활동 - 8-1. 현재 일(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
b8_1s
일 하지 않는 이유 기타==> 데이터 참조
b8_2
현재 직업 유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문 기술직 1 57 5.1 10.0
사무직 2 132 11.8 23.1
서비스 및 판매직 3 50 4.5 8.7
농업, 임업, 어업 4 70 6.3 12.2
장치, 기계 조립 및 기능직 5 97 8.7 17.0
단순노무 6 117 10.4 20.5
기타 7 49 4.4 8.6
무응답 999 548 48.9
1,120
100.0 100.0
b8_2s
현재 직업 유형 기타==> 데이터 참조
b8_3
현재 근로 유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영업자 1 83 7.4 15.2
고용주 2 34 3.0 6.2
상용근로자(전일제) 3 215 19.2 39.4
상용근로자(시간제) 4 56 5.0 10.3
임시근로자 5 46 4.1 8.4
일용근로자 6 89 7.9 16.3
무급가족종사자 7 23 2.1 4.2
무응답 999 574 51.3
1,120
100.0 100.0
B. 경제 활동 - 8-2. 현재 일(경제활동)하는 직업 유형
B. 경제 활동 - 8-3. 근로 유형
b8_4
현재 힘든점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은 수입 1 270 24.1 49.1
직장 내의 대인관계 2 86 7.7 15.6
승진문제 3 29 2.6 5.3
업무과다 4 47 4.2 8.5
직무 관련 기능 부족 5 41 3.7 7.5
적성과 맞지 않는 업무 6 8 .7 1.5
장애인에 대한 차별 및 배려 부족 7 42 3.8 7.6
출퇴근 불편 8 11 1.0 2.0
성차별, 성희롱 9 2 .2 .4
기타 10 14 1.3 2.5
무응답 999 570 50.9
1,120
100.0 100.0
b8_4_1
현재 힘든점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직장 내의 대인관계 2 29 2.6 6.8
승진문제 3 23 2.1 5.4
업무과다 4 36 3.2 8.5
직무 관련 기능 부족 5 53 4.7 12.5
적성과 맞지 않는 업무 6 58 5.2 13.7
장애인에 대한 차별 및 배려 부족 7 136 12.1 32.1
출퇴근 불편 8 57 5.1 13.4
성차별, 성희롱 9 1 .1 .2
기타 10 31 2.8 7.3
무응답 999 696 62.1
1,120
100.0 100.0
B. 경제 활동 - 8-4. 현재 하는 일에 대한 힘든 점 (2가지 고르시오)
c1
수화능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못한다 1 135 12.1 12.1
보통 수준이다 2 342 30.5 30.6
대체로 잘하는 편이다 3 302 27.0 27.0
매우 잘한다 4 338 30.2 30.3
무응답 999 3 .3
1,120
100.0 100.0
c2
구화능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못한다 1 424 37.9 38.3
보통 수준이다 2 413 36.9 37.3
대체로 잘하는 편이다 3 185 16.5 16.7
매우 잘한다 4 86 7.7 7.8
무응답 999 12 1.1
1,120
100.0 100.0
c3
필담능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못한다 1 138 12.3 12.5
보통 수준이다 2 524 46.8 47.3
대체로 잘하는 편이다 3 321 28.7 29.0
매우 잘한다 4 125 11.2 11.3
무응답 999 12 1.1
1,120
100.0 100.0
C. 의사소통 - 3. 필담(글쓰기) 능력은 어느 정도입니까?
C. 의사소통 - 1. 수화를 할 수 있습니까?
C. 의사소통 - 2. 구화(말)능력은 어느 정도입니까?
c4
비장애인과 의사소통하기 위한 도움 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일부만 도움이 필요 1 321 28.7 32.6
대부분 도움이 필요 2 396 35.4 40.2
전적으로 모든 일에 도움이 필요 3 189 16.9 19.2
전혀 필요 없다 4 80 7.1 8.1
무응답 999 134 12.0
1,120
100.0 100.0
c5_1
보청기 필요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있음 1 566 50.5 53.9
필요없음 2 485 43.3 46.1
무응답 999 69 6.2
1,120
100.0 100.0
c5_1_1
보청기 소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지함 1 437 39.0 43.4
소지안함 2 570 50.9 56.6
무응답 999 113 10.1
1,120
100.0 100.0
c5_1_2
보청기 사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용함 1 378 33.8 37.2
사용하지 않음 2 637 56.9 62.8
무응답 999 105 9.4
1,120
100.0 100.0
C. 의사소통 - 4. 비장애인(건청인)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도움(수화통역, 필담)은 어느 정 도 필요합니까?
C. 의사소통 - 5.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 - 1) 보청기
c5_2
인공와우 필요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있음 1 75 6.7 7.5
필요없음 2 926 82.7 92.5
무응답 999 119 10.6
1,120
100.0 100.0
c5_2_1
인공와우 소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지함 1 36 3.2 3.8
소지안함 2 915 81.7 96.2
무응답 999 169 15.1
1,120
100.0 100.0
c5_2_2
인공와우 사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용함 1 37 3.3 3.9
사용하지 않음 2 922 82.3 96.1
무응답 999 161 14.4
1,120
100.0 100.0
c5_3
TV자막수신기 필요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있음 1 943 84.2 88.3
필요없음 2 125 11.2 11.7
무응답 999 52 4.6
1,120
100.0 100.0
C. 의사소통 - 5.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 - 2) 인공와우
C. 의사소통 - 5.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 - 3) TV자막수신기
c5_3_1
TV자막수신기 소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지함 1 804 71.8 79.0
소지안함 2 214 19.1 21.0
무응답 999 102 9.1
1,120
100.0 100.0
c5_3_2
TV자막수신기 사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용함 1 796 71.1 77.4
사용하지 않음 2 233 20.8 22.6
무응답 999 91 8.1
1,120
100.0 100.0
c5_4
화상전화기 필요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있음 1 867 77.4 81.7
필요없음 2 194 17.3 18.3
무응답 999 59 5.3
1,120
100.0 100.0
c5_4_1
화상전화기 소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지함 1 651 58.1 64.5
소지안함 2 358 32.0 35.5
무응답 999 111 9.9
1,120
100.0 100.0
c5_4_2
화상전화기 사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용함 1 669 59.7 65.4
사용하지 않음 2 354 31.6 34.6
무응답 999 97 8.7
1,120
100.0 100.0
C. 의사소통 - 5.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 - 4) 화상(영상)전화기
c5_5
핸드폰 필요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있음 1 1,016 90.7 94.7
필요없음 2 57 5.1 5.3
무응답 999 47 4.2
1,120
100.0 100.0
c5_5_1
핸드폰 소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지함 1 966 86.3 93.3
소지안함 2 69 6.2 6.7
무응답 999 85 7.6
1,120
100.0 100.0
c5_5_2
핸드폰 사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용함 1 968 86.4 92.6
사용하지 않음 2 77 6.9 7.4
무응답 999 75 6.7
1,120
100.0 100.0
c5_6
기타 필요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있음 1 41 3.7 87.2
필요없음 2 6 .5 12.8
무응답 999 1,073 95.8
1,120
100.0 100.0
c5_6_1
기타 소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지함 1 26 2.3 61.9
소지안함 2 16 1.4 38.1
무응답 999 1,078 96.3
1,120
100.0 100.0
C. 의사소통 - 5.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 - 5) 핸드폰(영상전화, 문자)
C. 의사소통 - 5.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기기 - 6) 기타
c5_6_2
기타 사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사용함 1 25 2.2 61.0
사용하지 않음 2 16 1.4 39.0
무응답 999 1,079 96.3
1,120
100.0 100.0
c5_6s
기타 내용==> 데이터 참조
c6_1_1
보청기 구입비용값
유효합계 472
최소값 0
최대값 1200
평균 98.57
표준편차 146.688
c6_1_1_1
보청기 구입 자부담값
유효합계 446
최소값 0
최대값 800
평균 75.46
표준편차 128.736
c6_1_1_2
보청기 구입 지원금값
유효합계 439
최소값 0
최대값 370
평균 17.74
표준편차 36.391
C. 의사소통 - 6. 보조기구 구입, 교체 및 수리비용 - 1. 구입비용
c6_1_2
인공와우 구입비용값
유효합계 314
최소값 0
최대값 2500
평균 35.12
표준편차 262.983
c6_1_2_1
인공와우 구입 자부담값
유효합계 307
최소값 0
최대값 3000
평균 36.83
표준편차 285.782
c6_1_2_2
인공와우 구입 지원금값
유효합계 305
최소값 0
최대값 300
평균 1.25
표준편차 17.764
c6_2_1
보청기 수리비용값
유효합계 402
최소값 0
최대값 3000
평균 14.94
표준편차 150.345
C. 의사소통 - 6. 보조기구 구입, 교체 및 수리비용 - 2. 수리비용
c6_2_1_1
보청기 수리 자부담값
유효합계 388
최소값 0
최대값 150
평균 6.45
표준편차 17.033
c6_2_1_2
보청기 수리 지원금값
유효합계 370
최소값 0
최대값 40
평균 0.4
표준편차 3.005
c6_2_2
인공와우 수리비용값
유효합계 310
최소값 0
최대값 500
평균 2.48
표준편차 29.273
c6_2_2_1
인공와우 수리 자부담값
유효합계 305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0.72
표준편차 6.796
c6_2_2_2
인공와우 수리 지원금값
유효합계 305
최소값 0
최대값 500
평균 1.64
표준편차 28.63
d1_1
사회활동1: 가족모임참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안한다 1 70 6.3 6.3
대체로 안한다 2 117 10.4 10.5
보통이다 3 339 30.3 30.5
대체로 한다 4 430 38.4 38.6
매우 자주한다 5 157 14.0 14.1
무응답 999 7 .6
1,120
100.0 100.0
d1_2
사회활동2: 단체활동참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안한다 1 111 9.9 10.0
대체로 안한다 2 180 16.1 16.2
보통이다 3 394 35.2 35.4
대체로 한다 4 314 28.0 28.2
매우 자주한다 5 114 10.2 10.2
무응답 999 7 .6
1,120
100.0 100.0
D. 사회참여 - 1. 다음은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가족 모임 참석(돌, 회갑 등)
D. 사회참여 - 1. 다음은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질문입니다.
2) 단체 활동 참여 (친목모임, 자원봉사활동, 정치단체 참여 등)
d1_3
사회활동3: 종교활동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안한다 1 168 15.0 15.1
대체로 안한다 2 141 12.6 12.7
보통이다 3 254 22.7 22.9
대체로 한다 4 266 23.8 24.0
매우 자주한다 5 280 25.0 25.2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d1_4
사회활동4: 쇼핑하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안한다 1 29 2.6 2.6
대체로 안한다 2 160 14.3 14.5
보통이다 3 431 38.5 39.0
대체로 한다 4 343 30.6 31.0
매우 자주한다 5 143 12.8 12.9
무응답 999 14 1.3
1,120
100.0 100.0
d1_5
사회활동5: 영화, 운동, 레저활동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안한다 1 87 7.8 7.9
대체로 안한다 2 222 19.8 20.1
보통이다 3 357 31.9 32.2
대체로 한다 4 289 25.8 26.1
매우 자주한다 5 152 13.6 13.7
무응답 999 13 1.2
1,120
100.0 100.0
D. 사회참여 - 1. 다음은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질문입니다.
3) 종교 활동(교회, 성당, 절 등)
D. 사회참여 - 1. 다음은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질문입니다.
4) 쇼핑하기(물건구입)
D. 사회참여 - 1. 다음은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질문입니다.
5) 영화, 운동, 레저 활동 참여
d1_6
사회활동6: 투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안한다 1 78 7.0 7.0
대체로 안한다 2 132 11.8 11.9
보통이다 3 358 32.0 32.3
대체로 한다 4 316 28.2 28.5
매우 자주한다 5 223 19.9 20.1
무응답 999 13 1.2
1,120
100.0 100.0
d1_7
사회활동7: 인터넷을 통한 활동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안한다 1 271 24.2 24.5
대체로 안한다 2 170 15.2 15.4
보통이다 3 320 28.6 29.0
대체로 한다 4 208 18.6 18.8
매우 자주한다 5 135 12.1 12.2
무응답 999 16 1.4
1,120
100.0 100.0
d2
사회활동 참여 시 어려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참여활동에 관한 정보부족 1 343 30.6 31.3
의사소통이 지원되지 않아서 2 378 33.8 34.5
참여방법을 몰라서 3 153 13.7 14.0
비용이 부담되어서 4 146 13.0 13.3
기타 5 75 6.7 6.8
무응답 999 25 2.2
1,120
100.0 100.0
D. 사회참여 - 1. 다음은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질문입니다.
6) 투표(선거가 있을 때)
D. 사회참여 - 1. 다음은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질문입니다.
7)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활동
D. 사회참여 - 2. 사회활동 참여 시 어려움
d2s
어려움 기타==> 데이터 참조
d3
사회활동 참여시 도움주는 사람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청각장애인 1 554 49.5 49.9
수화통역사 2 323 28.8 29.1
농아인 수화통역사 3 61 5.4 5.5
사회복지사 4 63 5.6 5.7
배우자 또는 가족 5 73 6.5 6.6
사회동료 6 18 1.6 1.6
종교인 7 7 .6 .6
기타 8 11 1.0 1.0
무응답 999 10 .9
1,120
100.0 100.0
d3_1
사회활동 참여시 도움주는 사람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화통역사 2 256 22.9 27.5
농아인 수화통역사 3 163 14.6 17.5
사회복지사 4 125 11.2 13.4
배우자 또는 가족 5 183 16.3 19.6
사회동료 6 95 8.5 10.2
종교인 7 83 7.4 8.9
기타 8 27 2.4 2.9
무응답 999 188 16.8
1,120
100.0 100.0
d3s
사회활동 참여시 도움 기타==> 데이터 참조
D. 사회참여 - 3. 사회활동참여시 주로 도움을 주는 사람 (2가지 고르시오)
e_1
장애정체감1: 장점이 많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2 4.6 4.7
별로 그렇지 않다 2 362 32.3 32.6
대체로 그렇다 3 511 45.6 46.1
매우 그렇다 4 184 16.4 16.6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e_2
장애정체감2: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합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4 12.0 12.1
별로 그렇지 않다 2 427 38.1 38.5
대체로 그렇다 3 418 37.3 37.7
매우 그렇다 4 129 11.5 11.6
무응답 999 12 1.1
1,120
100.0 100.0
e_3
장애정체감3: 자기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합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6 4.1 4.1
별로 그렇지 않다 2 321 28.7 28.8
대체로 그렇다 3 490 43.8 44.0
매우 그렇다 4 256 22.9 23.0
무응답 999 7 .6
1,120
100.0 100.0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1) 귀하는 장점이 많습니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2) 귀하는 일상생활 시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 합니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3) 모든 사람들은 장애와 상관없이 자기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e_4
장애정체감4: 편의시설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32 11.8 11.9
별로 그렇지 않다 2 441 39.4 39.7
대체로 그렇다 3 353 31.5 31.8
매우 그렇다 4 184 16.4 16.6
무응답 999 10 .9
1,120
100.0 100.0
e_5
장애정체감5: 업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9 9.7 9.8
별로 그렇지 않다 2 403 36.0 36.3
대체로 그렇다 3 405 36.2 36.5
매우 그렇다 4 192 17.1 17.3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e_6
장애정체감6: 승진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19 10.6 10.7
별로 그렇지 않다 2 394 35.2 35.5
대체로 그렇다 3 377 33.7 34.0
매우 그렇다 4 219 19.6 19.7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4) 편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공공시설에 대해 이의를 제기 할 수 있습니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5) 귀하는 장애인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업무를 지시하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 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6) 귀하는 장애인에게 비장애인과 동등한 승진의 기회가 부여 되지 않는다면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까?
e_7
장애정체감7: 다른 장애인에게 친밀감이 느껴집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12 10.0 10.1
별로 그렇지 않다 2 428 38.2 38.6
대체로 그렇다 3 396 35.4 35.7
매우 그렇다 4 173 15.4 15.6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e_8
장애정체감8: 모든 장애인에게 애착을 느낍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0 8.9 9.0
별로 그렇지 않다 2 473 42.2 42.7
대체로 그렇다 3 342 30.5 30.8
매우 그렇다 4 194 17.3 17.5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e_9
장애정체감9: 다른 장애인들과 대화가 편안합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44 12.9 12.9
별로 그렇지 않다 2 455 40.6 40.9
대체로 그렇다 3 361 32.2 32.5
매우 그렇다 4 152 13.6 13.7
무응답 999 8 .7
1,120
100.0 100.0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7) 귀하는 청각장애가 아닌 다른 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도 친밀감이 느껴집니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8) 귀하는 모든 장애인들에게 강한 애착을 느낍니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9) 귀하는 장애유형이 다른 장애인들과 대화를 나누더라도 편안합니까?
e_10
장애정체감10: 신체결함에 대한 평가는 잘못되었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71 6.3 6.4
별로 그렇지 않다 2 243 21.7 21.9
대체로 그렇다 3 460 41.1 41.4
매우 그렇다 4 336 30.0 30.3
무응답 999 10 .9
1,120
100.0 100.0
e_11
장애정체감11: 재능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해 부당합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2 5.5 5.6
별로 그렇지 않다 2 257 22.9 23.2
대체로 그렇다 3 464 41.4 41.8
매우 그렇다 4 326 29.1 29.4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e_12
장애정체감12: 비장애인이 지적으로 우월하다 느낍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7 5.1 5.1
별로 그렇지 않다 2 304 27.1 27.4
대체로 그렇다 3 444 39.6 40.0
매우 그렇다 4 306 27.3 27.5
무응답 999 9 .8
1,120
100.0 100.0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10) 귀하는 신체적 결함만으로 그 사람 전체를 평가 하는 태도는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11) 귀하는 장애 때문에 가지고 있는 재능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합 니까?
E. 장애정체감-1. 다음은 장애정체감에 관한 질문입니다.
12) 귀하는 비장애인이 장애인보다 지적으로 우월하다는 태도를 보일 때 거부감을 느끼십니까?
f_1_1_1
생계, 경제활동 여부1: 장애수당 지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58 40.9 41.3
없다 2 651 58.1 58.7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f_1_1_2
생계, 경제활동 여부2: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67 6.0 6.2
없다 2 1,012 90.4 93.8
무응답 999 41 3.7
1,120
100.0 100.0
f_1_1_3
생계, 경제활동 여부3: 장애인생산 물품 판로 확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6 4.1 4.3
없다 2 1,034 92.3 95.7
무응답 999 40 3.6
1,120
100.0 100.0
f_1_1_4
생계, 경제활동 여부4: 직업훈련수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0 8.0 8.3
없다 2 988 88.2 91.7
무응답 999 42 3.8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1. 생계, 경제 활동 - 1) 장애수당 지급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1. 생계, 경제 활동 - 2)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1. 생계, 경제 활동 - 3) 장애인생산 물품 판로 확보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1. 생계, 경제 활동 - 4) 직업훈련수당
f_1_2_1
의료 지원 여부1: 장애인 의료비 지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370 33.0 33.9
없다 2 721 64.4 66.1
무응답 999 29 2.6
1,120
100.0 100.0
f_1_2_2
의료 지원 여부2: 장애인 등록 진단비 지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03 18.1 18.8
없다 2 874 78.0 81.2
무응답 999 43 3.8
1,120
100.0 100.0
f_1_2_3
의료 지원 여부3: 장애인 보조기구 교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38 21.3 22.0
없다 2 844 75.4 78.0
무응답 999 38 3.4
1,120
100.0 100.0
f_1_2_4
의료 지원 여부4: 보장구 구입비용 지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368 32.9 33.8
없다 2 720 64.3 66.2
무응답 999 32 2.9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2. 의료 - 1) 장애인 의료비 지원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2. 의료 - 2) 장애인 등록 진단비 지급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2. 의료 - 3) 장애인보조기구 교부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2. 의료 - 4) 보장구 구입비용 지원(건강보험, 의료급여)
f_1_3_1
공제, 면제, 감면 여부1: 소득세 공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341 30.4 31.8
없다 2 731 65.3 68.2
무응답 999 48 4.3
1,120
100.0 100.0
f_1_3_2
공제, 면제, 감면 여부2: 장애인의료비 공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63 23.5 24.5
없다 2 811 72.4 75.5
무응답 999 46 4.1
1,120
100.0 100.0
f_1_3_3
공제, 면제, 감면 여부3: 상속세 상속공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61 5.4 5.7
없다 2 1,008 90.0 94.3
무응답 999 51 4.6
1,120
100.0 100.0
f_1_3_4
공제, 면제, 감면 여부4: 증여세 면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60 5.4 5.6
없다 2 1,003 89.6 94.4
무응답 999 57 5.1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3. 공제, 면제, 감면 - 1) 소득세 공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3. 공제, 면제, 감면 - 2) 장애인의료비 공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3. 공제, 면제, 감면 - 3) 상속세 상속공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3. 공제, 면제, 감면 - 4) 증여세 면제
f_1_3_5
공제, 면제, 감면 여부5: 장애인보장구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76 6.8 7.1
없다 2 991 88.5 92.9
무응답 999 53 4.7
1,120
100.0 100.0
f_1_3_6
공제, 면제, 감면 여부6: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0 3.6 3.7
없다 2 1,027 91.7 96.3
무응답 999 53 4.7
1,120
100.0 100.0
f_1_3_7
공제, 면제, 감면 여부7: 특허 출원료 또는 기술평가 청구료 감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7 1.5 1.6
없다 2 1,046 93.4 98.4
무응답 999 57 5.1
1,120
100.0 100.0
f_1_4_1
일상생활 이용 여부1: 장애인 활동보조지원사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00 8.9 9.3
없다 2 971 86.7 90.7
무응답 999 49 4.4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3. 공제, 면제, 감면 - 5) 장애인보장구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3. 공제, 면제, 감면 - 6)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3. 공제, 면제, 감면 - 7) 특허 출원료 또는 기술 평가 청구료 등의 감면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4. 일상 생활 -1) 장애인활동보조지원사업
f_1_4_2
일상생활 이용 여부2: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파견사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9 2.6 2.7
없다 2 1,032 92.1 97.3
무응답 999 59 5.3
1,120
100.0 100.0
f_1_5_1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보험료 경감 여부1: 자동차분 건강보혐료 전액 면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32 11.8 12.6
없다 2 916 81.8 87.4
무응답 999 72 6.4
1,120
100.0 100.0
f_1_5_2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보험료 경감 여부2: 장애인용 자동차 보험료 낮게 책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59 14.2 15.1
없다 2 895 79.9 84.9
무응답 999 66 5.9
1,120
100.0 100.0
f_1_5_3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보험료 경감 여부3: 일정 소득기준에 따른 산출보험로 경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28 11.4 12.2
없다 2 919 82.1 87.8
무응답 999 73 6.5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4. 일상 생활 - 2)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파견 사업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5. 건강보험 지역 가입자 보험료 경감 - 1) 자동차분 건강보험료 전액면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5. 건강보험 지역 가입자 보험료 경감 - 2) 자동차분 건강보험료 면제받은 장애인용자동차 보험료낮게책정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5. 건강보험 지역 가입자 보험료 경감 - 3) 일정 소득기준에 따른 산출보
험료 경감
f_1_6_1
요금 감면 여부1: 공공시설 요금감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31 83.1 84.5
없다 2 171 15.3 15.5
무응답 999 18 3.1
1,120
100.0 100.0
f_1_6_2
요금 감면 여부2: 철도 요금감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008 90.0 90.9
없다 2 101 9.0 9.1
무응답 999 11 1.0
1,120
100.0 100.0
f_1_6_3
요금 감면 여부3: 유선전화 이동통신요금 할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019 91.0 92.2
없다 2 86 7.7 7.8
무응답 999 15 1.3
1,120
100.0 100.0
f_1_6_4
요금 감면 여부4: TV 수신료 면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31 83.1 84.3
없다 2 174 15.5 15.7
무응답 999 15 1.3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1) 공공시설(고궁, 박물관, 미술관, 공연, 체육시설 등) 요금감면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2) 철도, 도시철도 요금감면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3) 유선전화, 이동통신요금 할인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4) TV수신료 면제
f_1_6_5
요금 감면 여부5: 여객운임 요금 할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836 74.6 76.2
없다 2 261 23.3 23.8
무응답 999 23 2.1
1,120
100.0 100.0
f_1_6_6
요금 감면 여부6: 인터넷 요금 할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31 83.1 84.2
없다 2 175 15.6 15.8
무응답 999 14 1.3
1,120
100.0 100.0
f_1_6_7
요금 감면 여부7: 전기요금 할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34 83.4 84.3
없다 2 174 15.5 15.7
무응답 999 12 1.1
1,120
100.0 100.0
f_1_6_8
요금 감면 여부8: 도시가스 요금 할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707 63.1 64.6
없다 2 388 34.6 35.4
무응답 999 25 2.2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5) 항공, 연안여객선 여객운임 요금 할인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6) 인터넷 요금 할인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7) 전기요금 할인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6. 요금 할인 및 감면 - 8) 도시가스 요금 할인
f_1_7_1
차량관련 지원 여부1: 장애인용 차량 취등록세 면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90 43.8 44.9
없다 2 601 53.7 55.1
무응답 999 29 2.6
1,120
100.0 100.0
f_1_7_2
차량관련 지원 여부2: 차량구입시 지역개발 공채구입면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81 25.1 26.3
없다 2 788 70.4 73.7
무응답 999 51 4.6
1,120
100.0 100.0
f_1_7_3
차량관련 지원 여부3: 장애인자동차 표지발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71 42.1 43.4
없다 2 615 54.9 56.6
무응답 999 34 3.0
1,120
100.0 100.0
f_1_7_4
차량관련 지원 여부4: 장애인용 LPG연료 세금인상액 지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57 22.9 23.9
없다 2 818 73.0 76.1
무응답 999 45 4.0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1) 장애인용 차량 등록세, 취득세, 자동차세면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2) 차량구입시지역개발공채구입면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3) 장애인자동차 표지발급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4) 장애인용 LPG연료 세금인상액 지원
f_1_7_5
차량관련 지원 여부5: 승용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면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38 21.3 22.5
없다 2 821 73.3 77.5
무응답 999 61 5.4
1,120
100.0 100.0
f_1_7_6
차량관련 지원 여부6: 승용자동차 LPG 연료 사용 허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343 30.6 31.8
없다 2 736 65.7 68.2
무응답 999 41 3.7
1,120
100.0 100.0
f_1_7_7
차량관련 지원 여부7: 차량구입 시 도시철도채권 구입 면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00 17.9 18.8
없다 2 865 77.2 81.2
무응답 999 55 4.9
1,120
100.0 100.0
f_1_7_8
차량관련 지원 여부8: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59 41.0 42.3
없다 2 626 55.9 57.7
무응답 999 35 3.1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5) 승용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면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6) 승용자동차 LPG연료 사용 허용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7) 차량구입 시 도시철도채권 구입면제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8)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f_1_7_9
차량관련 지원 여부9: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514 45.9 47.2
없다 2 575 51.3 52.8
무응답 999 31 2.8
1,120
100.0 100.0
f_1_7_10
차량관련 지원 여부10: 장애인근로자 자동차구입자금 융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22 10.9 11.4
없다 2 945 84.4 88.6
무응답 999 53 4.7
1,120
100.0 100.0
f_1_8_1
공동주택 특별 분양 알선 이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0 8.0 8.6
없다 2 961 85.8 91.4
무응답 999 69 6.2
1,120
100.0 100.0
f_1_8_2
무료법률구조제도 이용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25 11.2 11.9
없다 2 925 82.6 88.1
무응답 999 70 6.3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9)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7. 차량 관련 지원 - 10) 장애인근로자 자동차구입자금 융자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8. 기 타 - 1) 공동주택 특별 분양 알선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1-8. 기 타 - 2) 무료법률구조제도
f_2
정부시책 이용안하는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원대상자이지만 혜택 받을 수 있는 내용이 별로
없어서 1 276 24.6 26.6
지원 시책이 있는지 몰라서 2 315 28.1 30.4
시책이용을 위한 도움을 받지 못해서 3 231 20.6 22.3
지원대상자가 아님 4 180 16.1 17.4
기타 5 35 3.1 3.4
무응답 999 83 7.4
1,120
100.0 100.0
f_3_1_1_1
장애인근로사업장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449 40.1 43.0
모른다 2 594 53.0 57.0
무응답 999 77 6.9
1,120
100.0 100.0
f_3_1_1_2
장애인근로사업장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38 12.3 13.6
없다 2 873 77.9 86.4
무응답 999 109 9.7
1,120
100.0 100.0
f_3_1_1_3
장애인근로사업장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45 4.0 19.1
약간 불만족 2 97 8.7 41.3
대체로 만족 3 75 6.7 31.9
매우 만족 4 18 1.6 7.7
무응답 999 885 79.0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1. 직업재활 시설 - 1) 장애인 근로사업장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2.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시책들을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해본 경험이 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f_3_1_2_1
장애인보호작업장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407 36.3 39.2
모른다 2 630 56.3 60.8
무응답 999 83 7.4
1,120
100.0 100.0
f_3_1_2_2
장애인보호작업장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4 8.4 9.4
없다 2 906 80.9 90.6
무응답 999 120 10.7
1,120
100.0 100.0
f_3_1_2_3
장애인보호작업장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45 4.0 23.6
약간 불만족 2 75 6.7 39.3
대체로 만족 3 60 5.4 31.4
매우 만족 4 11 1.0 5.8
무응답 999 929 82.9
1,120
100.0 100.0
f_3_2_3_1
장애인복지관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857 76.5 82.8
모른다 2 178 15.9 17.2
무응답 999 85 7.6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1. 직업재활 시설 - 2) 장애인 보호작업장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2. 지역사회 재활시설 - 3) 장애인복지관
f_3_2_3_2
장애인복지관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511 45.6 50.3
없다 2 505 45.1 49.7
무응답 999 104 9.3
1,120
100.0 100.0
f_3_2_3_3
장애인복지관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40 3.6 6.9
약간 불만족 2 154 13.8 26.4
대체로 만족 3 314 28.0 53.9
매우 만족 4 75 6.7 12.9
무응답 999 537 47.9
1,120
100.0 100.0
f_3_2_4_1
장애인 재활병원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401 35.8 38.8
모른다 2 632 56.4 61.2
무응답 999 87 7.8
1,120
100.0 100.0
f_3_2_4_2
장애인 재활병원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80 16.1 18.2
없다 2 810 72.3 81.8
무응답 999 130 11.6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2. 지역사회 재활시설 - 4) 장애인 재활 병,의원
f_3_2_4_3
장애인 재활병원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30 2.7 10.7
약간 불만족 2 93 8.3 33.2
대체로 만족 3 118 10.5 42.1
매우 만족 4 39 3.5 13.9
무응답 999 840 75.0
1,120
100.0 100.0
f_3_2_5_1
장애인 체육시설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513 45.8 49.9
모른다 2 516 46.1 50.1
무응답 999 91 8.1
1,120
100.0 100.0
f_3_2_5_2
장애인 체육시설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258 23.0 26.0
없다 2 734 65.5 74.0
무응답 999 128 11.4
1,120
100.0 100.0
f_3_2_5_3
장애인 체육시설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31 2.8 9.1
약간 불만족 2 91 8.1 26.8
대체로 만족 3 172 15.4 50.6
매우 만족 4 46 4.1 13.5
무응답 999 780 69.6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2. 지역사회 재활시설 - 5) 장애인체육시설
f_3_2_6_1
수화통역센터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982 87.7 93.3
모른다 2 70 6.3 6.7
무응답 999 68 6.1
1,120
100.0 100.0
f_3_2_6_2
수화통역센터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905 80.8 86.4
없다 2 143 12.8 13.6
무응답 999 72 6.4
1,120
100.0 100.0
f_3_2_6_3
수화통역센터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18 1.6 2.0
약간 불만족 2 79 7.1 8.6
대체로 만족 3 448 40.0 48.9
매우 만족 4 371 33.1 40.5
무응답 999 204 18.2
1,120
100.0 100.0
f_3_2_7_1
장애인 재활지원센터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404 36.1 39.3
모른다 2 623 55.6 60.7
무응답 999 93 8.3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2. 지역사회 재활시설 - 6) 수화통역센터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2. 지역사회 재활시설 - 7) 장애인재활지원센터
f_3_2_7_2
장애인 재활지원센터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59 14.2 16.2
없다 2 823 73.5 83.8
무응답 999 137 12.2
1,120
100.0 100.0
f_3_2_7_3
장애인 재활지원센터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21 1.9 8.5
약간 불만족 2 71 6.3 28.7
대체로 만족 3 124 11.1 50.2
매우 만족 4 31 2.8 12.6
무응답 999 873 77.9
1,120
100.0 100.0
f_3_2_8_1
장애인재가복지 봉사센터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337 30.1 32.9
모른다 2 687 61.3 67.1
무응답 999 96 8.6
1,120
100.0 100.0
f_3_2_8_2
장애인재가복지 봉사센터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20 10.7 12.3
없다 2 854 76.3 87.7
무응답 999 146 13.0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3-2. 지역사회 재활시설 - 8) 장애인재가복지 봉사센터
f_3_2_8_3
장애인재가복지 봉사센터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19 1.7 9.2
약간 불만족 2 70 6.3 33.8
대체로 만족 3 92 8.2 44.4
매우 만족 4 26 2.3 12.6
무응답 999 913 81.5
1,120
100.0 100.0
f4
장애인복지기관 이용경험 없는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1 264 23.6 26.7
근처에 기관이 없거나 정보부족 2 360 32.1 36.4
이용할 만한 서비스가 없으므로 3 277 24.7 28.0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4 34 3.0 3.4
기타 5 54 4.8 5.5
무응답 999 131 11.7
1,120
100.0 100.0
f4s
이유 기타==> 데이터 참조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4. 장애인 복지 기관들을 이용한 경험이 없는 이유
f5_1_1_1
청능검사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674 60.2 62.2
없음 2 409 36.5 37.8
무응답 999 37 3.3
1,120
100.0 100.0
f5_1_1_2
청능검사 서비스 제공기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공기관 1 18 1.6 3.4
사회복지 관련 기관 2 9 .8 1.7
청각장애 관련기관 3 66 5.9 12.4
종교단체 4 4 .4 .8
보건소 5 14 1.3 2.6
병원 6 377 33.7 70.7
학교 7 32 2.9 6.0
기타 8 13 1.2 2.4
무응답 999 587 52.4
1,120
100.0 100.0
f5_1_1_3
청능검사 필요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필요하지 않음 1 123 11.0 13.5
별로 필요하지 않음 2 285 25.4 31.4
대체로 필요함 3 354 31.6 39.0
매우 필요함 4 146 13.0 16.1
무응답 999 212 18.9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5-1. 의료재활 서비스 - 1) 청능검사
f5_1_2_1
청능훈련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285 25.4 26.5
없음 2 791 70.6 73.5
무응답 999 44 3.9
1,120
100.0 100.0
f5_1_2_2
청능훈련 서비스 제공기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공기관 1 18 1.6 7.6
사회복지 관련 기관 2 18 1.6 7.6
청각장애 관련기관 3 39 3.5 16.4
종교단체 4 3 .3 1.3
보건소 5 3 .3 1.3
병원 6 106 9.5 44.5
학교 7 39 3.5 16.4
기타 8 12 1.1 5.0
무응답 999 882 78.8
1,120
100.0 100.0
f5_1_2_3
청능훈련 필요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필요하지 않음 1 159 14.2 19.4
별로 필요하지 않음 2 299 26.7 36.5
대체로 필요함 3 240 21.4 29.3
매우 필요함 4 122 10.9 14.9
무응답 999 300 26.8
1,120
100.0 100.0
F. 장애인복지 관련 시책, 기관, 서비스 프로그램 이용
5-1. 의료재활 서비스 - 2) 청능훈련
f5_1_3_1
언어치료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291 26.0 27.2
없음 2 780 69.6 72.8
무응답 999 49 4.4
1,120
100.0 100.0
f5_1_3_2
언어치료 서비스 제공기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공기관 1 7 .6 2.9
사회복지 관련 기관 2 25 2.2 10.3
청각장애 관련기관 3 55 4.9 22.7
종교단체 4 7 .6 2.9
보건소 5 2 .2 .8
병원 6 83 7.4 34.3
학교 7 48 4.3 19.8
기타 8 15 1.3 6.2
무응답 999 878 78.4
1,120
100.0 100.0
f5_1_3_3
언어치료 필요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필요하지 않음 1 167 14.9 20.4
별로 필요하지 않음 2 274 24.5 33.5
대체로 필요함 3 248 22.1 30.3
매우 필요함 4 129 11.5 15.8
무응답 999 302 27.0
1,120
100.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