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kor codebook 20130007 cv - Seoul National Universi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kor codebook 20130007 cv -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ied!
14
0
0

Teks penuh

(1)

조사 , 2013

CODE BOOK

자료번호 A1-2013-0007

연구책임자 KBS 방송문화연구소 연구수행기관 KBS 방송문화연구소

조사년도 2013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4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4년

(2)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KBS 방송문화연구소 . 2013. 생활수준과 복지정책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 2013 . 연구수행기관 : KBS 방송문화연구소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 원 . 자료공개년도 : 2014 년 . 자료번호 : A1-2013-0007.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4. 생활수준과 복지정책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2013

CODE BOOK . pp. 1-12.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q1 주관적 삶의 행복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매우 불행하다 0 33 1.7 1.7

1 1 23 1.2 1.2

2 2 57 2.9 2.9

3 3 167 8.6 8.6

4 4 182 9.3 9.3

5 보통이다 5 434 22.2 22.2

6 6 274 14.0 14.0

7 7 340 17.4 17.4

8 8 295 15.1 15.1

9 9 97 5.0 5.0

10 매우 행복하다 10 50 2.6 2.6

1,952

100.0 100.0

q2 현재 생활수준 만족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만족한다 1 35 1.8 1.8

대체로 만족한다 2 650 33.3 33.3

그저 그렇다 3 719 36.8 36.8

대체로 불만족스럽다 4 438 22.4 22.4

매우 불만족스럽다 5 110 5.6 5.6

1,952

100.0 100.0

q3 현재 계층귀속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소득층 1 20 1.0 1.0

중산층 2 745 38.2 38.2

저소득층 3 1,187 60.8 60.8

1,952

100.0 100.0

문1. 귀하의 삶은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2. 귀하께서는 현재의 생활 수준에 얼마나 만족하고 계십니까?

문3. 2013년 현재 귀하의 생활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재산과 소득을 모두 포함

해서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4)

q4 지난 5년간 생활수준의 변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좋아졌다 1 10 0.5 0.5

대체로 좋아졌다 2 305 15.6 15.6

변화 없다 3 880 45.1 45.1

대체로 나빠졌다 4 606 31.0 31.0

매우 나빠졌다 5 151 7.7 7.7

1,952

100.0 100.0

q5 (나빠졌다면) 생활수준이 나빠진 주된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용 불안정 1 39 2.0 5.2

급여삭감 혹은 동결 2 32 1.6 4.2

대출 등 부채 증가 3 128 6.6 16.9

과도한 자녀교육비 지출 4 21 1.1 2.8

소득 감소 5 189 9.7 25.0

자산가치 하락 6 51 2.6 6.7

고물가 7 113 5.8 14.9

사업실패 8 43 2.2 5.7

실직(실업), 취업난 9 113 5.8 14.9

기타 10 28 1.4 3.7

비해당 88 1,195 61.2

1,952

100.0 100.0

문4. 최근 5년간 귀댁의 생활수준은 어떻게 변화했다고 생각하십니까?

문5. 최근 5년간 생활수준이 나빠진 주된 이유는 무엇 때문입니까?

(5)

q5_1 (나빠졌다면) 생활수준이 나빠진 주된 이유: 기타 (text)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24

98.6 98.6

각종 질병과 자녀교육 때문에 1 0.1 0.1

경제 불황으로 인한 매출 부진 1 0.1 0.1

고용불안,대출등부채증가,자산가치하락,소득감소 1 0.1 0.1 국가의 잘못으로 저축은행에 저축은 큰 돈을 손해보

았다 1 0.1 0.1

급여삭감으로 소득감소와 고물가때문 가계부채증가 1 0.1 0.1

기생충같은 자식새끼놈들때문에 1 0.1 0.1

노령으로 소득전무상태 1 0.1 0.1

노령화 1 0.1 0.1

대한민국 때문에 1 0.1 0.1

백혈병과 강직성척추염 때문에 1 0.1 0.1

병원 수술비 때문에... 1 0.1 0.1

병원비지출 1 0.1 0.1

부부 모두 정년 퇴직으로 수입감 1 0.1 0.1

사별로 인해 경제 능력이 없어서 1 0.1 0.1

우리나라서 도저히 일어 날수가없다 1 0.1 0.1

우환 1 0.1 0.1

원천재산이없어서 1 0.1 0.1

은퇴 1 0.1 0.1

의료비지출 1 0.1 0.1

임금을 받지 못해서 1 0.1 0.1

장애와 그로인한 저소득 고물가 자산가치 하락 1 0.1 0.1 장애인이라는 이유때문에 독립적인 생활을 못 하고

있어서 1 0.1 0.1

정년퇴직 1 0.1 0.1

주택 매매가 되질않아서 1 0.1 0.1

집안의 장례를 3번 당함 1 0.1 0.1

큰딸이 서울시에서 하는 문화 사업을 하는데 수고비

를 못(받음) 1 0.1 0.1

퇴직 1 0.1 0.1

하던 사업을 문닫고 놀구 있어요 1 0.1 0.1

1,952

100.0 100.0

문5. 최근 5년간 생활수준이 나빠진 주된 이유는 무엇 때문입니까?

: 기타 (text)

(6)

q6 10년 후 생활수준 예상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많이 나아질 것이다 1 158 8.1 8.1

조금 나아질 것이다 2 727 37.2 37.2

변화가 없을 것이다 3 629 32.2 32.2

조금 나빠질 것이다 4 309 15.8 15.8

많이 나빠질 것이다 5 129 6.6 6.6

1,952

100.0 100.0

q7 가계부채의 주된 원인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주거비 1 713 36.5 36.5

생활비 2 742 38.0 38.0

교육비 3 453 23.2 23.2

여가비 4 44 2.3 2.3

1,952

100.0 100.0

q8 중산층 보호를 위해 가장 우선시할 정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일자리 창출 1 595 30.5 30.5

주택가격 안정 2 255 13.1 13.1

물가안정 3 825 42.3 42.3

사교육 부담 완화 4 159 8.1 8.1

복지지출 확대 5 117 6.0 6.0

무응답 9 1 0.1 0.1

1,952

100.0 100.0

문6. 향후 10년 후 귀하의 생활수준은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문7. 최근 우리나라 가계부채 총액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가계부채의 주된 원인은 무 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문8. 중산층을 늘리고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서 가장 우선시해야 할 정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

십니까?

(7)

q9 경제 일자리 분야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존 일자리 개수 확대 1 107 5.5 5.5

양질의 일자리 확보 2 544 27.9 27.9

고용 안정성 보장 3 896 45.9 45.9

새로운 일자리 창출 4 404 20.7 20.7

무응답 9 1 0.1 0.1

1,952

100.0 100.0

q10 박근혜 당선인의 중소기업 중심 경제정책에 대한 공감정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공감한다 1 396 20.3 20.3

대체로 공감한다 2 1,033 52.9 52.9

별로 공감하지 않는다 3 418 21.4 21.4

전혀 공감하지 않는다 4 104 5.3 5.3

무응답 9 1 0.1 0.1

1,952

100.0 100.0

q11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 중요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 1 695 35.6 35.6

중소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 2 1,255 64.3 64.3

무응답 9 2 0.1 0.1

1,952

100.0 100.0

문10. 박근혜 당선인이 새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정책을 펴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 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11.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하다 고 생각하십니까?

문9. 우리나라 경제 일자리 분야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

까?

(8)

q12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으로 성장하지 못한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부의 대기업 위주 정책 1 651 33.4 33.4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직적 갑을 문화 2 779 39.9 39.9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사회인식 3 269 13.8 13.8

중소기업의 자체 경쟁력 부족 4 251 12.9 12.9

무응답 9 2 0.1 0.1

1,952

100.0 100.0

q13 경제성장과 복지 확대 중 우선 가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경제성장 1 1,106 56.7 56.7

복지확대 2 844 43.2 43.2

무응답 9 2 0.1 0.1

1,952

100.0 100.0

q14 현재 수준보다 복지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찬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한다 1 410 21.0 21.0

대체로 찬성한다 2 1,143 58.6 58.6

대체로 반대한다 3 323 16.5 16.5

매우 반대한다 4 73 3.7 3.7

무응답 9 3 0.2 0.2

1,952

100.0 100.0

문13. 귀하는 경제성장과 복지 확대, 두 가지 가치 중에 무엇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 까?

문14. 최근 복지 확대가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현재 수준보다 복지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12.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으로 성장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9)

q15 복지예산 마련 위한 세금 추가징수에 대한 찬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한다 1 134 6.9 6.9

대체로 찬성한다 2 802 41.1 41.1

대체로 반대한다 3 743 38.1 38.1

매우 반대한다 4 270 13.8 13.8

무응답 9 3 0.2 0.2

1,952

100.0 100.0

q16 복지 대상에 대한 의견: 국민 전체 지원 vs. 소득, 계층에 따라 지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복지를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 1 468 24.0 24.0 복지를 소득/계층에 따라 선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는 입장 2 1,480 75.8 75.8

무응답 9 4 0.2 0.2

1,952

100.0 100.0

q17 재정문제와 관련해 복지공약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찬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찬성한다 1 256 13.1 13.1

대체로 찬성한다 2 1,132 58.0 58.0

대체로 반대한다 3 381 19.5 19.5

매우 반대한다 4 179 9.2 9.2

무응답 9 4 0.2 0.2

1,952

100.0 100.0

문16. 복지 대상과 관련해서 국민 전체를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과, 소득/계층에 따라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습니다. 이중 어느 입장에 더 공감하십니까?

문17. 정부의 재정문제와 관련해 대선과정에서 제시된 복지공약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 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문15. 복지 확대를 위해서는 상당한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산 마련을 위해 세금

을 더 징수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0)

q18 복지확대를 위해 가장 적절한 재원 확보 방안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하경제의 탈세 문제 해결로 재정 확보 1 632 32.4 32.4

대기업과 고소득층 증세 2 1,120 57.4 57.4

극빈층을 제외한 모든 계층 증세 3 103 5.3 5.3

부가가치세 등 간접세 인상 4 39 2.0 2.0

국채 발행을 통한 재정 충당 5 19 1.0 1.0

기타 6 33 1.7 1.7

무응답 9 6 0.3 0.3

1,952

100.0 100.0

q19 최우선적으로 복지를 확대해야 하는 분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학 등록금 지원 1 232 11.9 11.9

0~5세의 양육-보육비 지원 2 249 12.8 12.8

기초노령연금 확대 3 377 19.3 19.3

의료비 지원 4 585 30.0 30.0

극빈층 지원 5 435 22.3 22.3

기타 6 68 3.5 3.5

무응답 9 6 0.3 0.3

1,952

100.0 100.0

dq1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 1 985 50.5 50.5

여 2 967 49.5 49.5

1,952

100.0 100.0

문19. 다양한 분야에서 복지를 확대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귀하께서는 어떤 분야의 복지가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문18. 복지 확대를 위해 재원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1)

dq2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대 4 250 12.8 12.8

30대 5 400 20.5 20.5

40대 6 415 21.3 21.3

50대 7 389 19.9 19.9

60대 이상 8 498 25.5 25.5

1,952

100.0 100.0

dq3 응답자 거주지역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 528 27.0 27.0

부산 2 154 7.9 7.9

인천 3 79 4.0 4.0

대구 4 124 6.4 6.4

광주 5 46 2.4 2.4

대전 6 43 2.2 2.2

울산 7 27 1.4 1.4

경기 8 471 24.1 24.1

강원 9 47 2.4 2.4

충북 10 57 2.9 2.9

충남 11 60 3.1 3.1

전북 12 55 2.8 2.8

전남 13 59 3.0 3.0

경북 14 86 4.4 4.4

경남 15 94 4.8 4.8

제주 16 10 0.5 0.5

기타(해외) 17 9 0.5 0.5

무응답 99 3 0.2 0.2

1,952

100.0 100.0

(12)

dq4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초등학교재학 1 3 0.2 0.2

초등학교 졸업 2 30 1.5 1.5

중학교 재학 3 5 0.3 0.3

중학교 졸업 4 81 4.1 4.1

고등학교 재학 5 13 0.7 0.7

고등학교 졸업 6 709 36.3 36.3

대학(전문대) 재학 7 22 1.1 1.1

대학(전문대) 졸업 8 161 8.2 8.2

대학(4년제) 재학 9 134 6.9 6.9

대학(4년제) 졸업 10 617 31.6 31.6

대학원 석사 재학 11 15 0.8 0.8

대학원 석사 졸업 12 104 5.3 5.3

대학원 박사 재학 13 9 0.5 0.5

대학원 박사 졸업 14 25 1.3 1.3

기타 15 24 1.2 1.2

1,952

100.0 100.0

dq5 응답자 직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원 1 404 20.7 20.7

자영업 2 156 8.0 8.0

대학생 6 125 6.4 6.4

대학원생 7 17 0.9 0.9

전업주부 8 389 19.9 19.9

공무원 9 40 2.0 2.0

교직자 10 43 2.2 2.2

전문직 11 69 3.5 3.5

의료인 12 19 1.0 1.0

법조인 13 1 0.1 0.1

종교인 14 15 0.8 0.8

(13)

농/축/수산/임업 16 47 2.4 2.4

금융/증권/보험 17 17 0.9 0.9

유통 18 13 0.7 0.7

정보통신 19 28 1.4 1.4

건설 20 20 1.0 1.0

제조 21 33 1.7 1.7

서비스 22 86 4.4 4.4

스포츠 23 2 0.1 0.1

군인 24 1 0.1 0.1

방송인 25 1 0.1 0.1

예술가 26 24 1.2 1.2

부동산 27 19 1.0 1.0

운송 28 16 0.8 0.8

일용직 29 49 2.5 2.5

무직 30 160 8.2 8.2

기타 31 154 7.9 7.9

1,952

100.0 100.0

dq6 응답자 혼인상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혼 1 674 34.5 34.5

기혼(재혼 포함) 2 1,148 58.8 58.8

사별 3 68 3.5 3.5

이혼 4 62 3.2 3.2

1,952

100.0 100.0

dq7 월평균 개인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름 0 152 7.8 7.8

0-100만원 미만 1 585 30.0 30.0

100-200만원 미만 2 522 26.7 26.7

200-300만원 미만 3 343 17.6 17.6

(14)

400-500만원 미만 5 84 4.3 4.3

500-600만원 미만 6 29 1.5 1.5

600-700만원 미만 7 18 0.9 0.9

700-800만원 미만 8 9 0.5 0.5

800만원 이상 9 17 0.9 0.9

1,952

100.0 100.0

dq8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0만원 미만 1 227 11.6 11.6

100-150만원 미만 100 235 12.0 12.0

150-200만원 미만 150 255 13.1 13.1

200-300만원 미만 200 470 24.1 24.1

300-500만원 미만 300 510 26.1 26.1

500-800만원 미만 500 185 9.5 9.5

800-1000만원 미만 800 40 2.0 2.0

1000만원 이상 1000 30 1.5 1.5

1,952

100.0 100.0

Referensi

Dokumen terkait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