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개화와 보수의 갈등 3
강
들어가기
정리하기 학습하기
1. 개화정책 추진과 보수의 반발 2. 청의 내정간섭 심화
3. 갑신정변과 한반도 중립화론
정리하기 학습하기
개화 정책의 추진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들어가기
청의 내정간섭 내용을 말할 수 있다 . 갑신정변의 전개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톈진조약과 거문도 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 .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1. 개화사상의 형성과 발전
북학파 실학사상 ( 홍대용 , 박지원 , 박제가 ) 개화사상의 선구자 ( 박규수 , 오경석 , 유홍기 )
성향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인물 김홍집 , 어윤중 , 김 윤식
김옥균 , 박영효 , 홍 영식
개혁모델 청 양무개혁 일본 메이지 유신
개혁 방향 동도서기론 입장 사상 , 제도의 개혁 주 장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2. 개화정책의 추진
1 차 김기수 (1876)
2 차 김홍집 (1880) 수신사 파견 - 일본
개혁 총괄 기구 , 개화파 인사 등용 개혁 추진 통리기무아문 (1880)
별기군 설치 (1881)
5 군영 2 영 , 무위영 , 장어영 (1881) 군사제도 개혁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2. 개화정책의 추진
근대 무기 제조 기술 습득
‘ 기기창’ 설치
영선사 파견 - 청 (1881)
개화정책 추진을 뒷받침
일본에 조사 시찰단 파견 (1882)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3. 개화에 대한 반발 - 위정척사
보수적 유생층
성리학의 화이 ( 華夷 ) 사상 계승 성리학 질서 수호 위정
천주교 , 서양 문화 배척 서양 , 일본의 침략 격퇴 척사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3. 개화에 대한 반발 - 위정척사
전개
시기 내용 배경 중심인물
1860 년대 통상 반대 ,
척화주전 병인양요 이항로 , 기정 진
1870 년대 개항 반대 ,
왜양일체 강화도조약 최익현
1880 년대 개화 반대 조선책략 유포 이만손 ( 영남 만인소 ), 홍
재학 1890 년대 의병운동으로 발전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3. 개화에 대한 반발 - 위정척사
위정척사 운동의 의의와 한계
반외세 · 반침략의 자주적 민족 운동
의의
개화정책 추진에 장애물 한계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4. 임오군 ( 민 ) 란 (1882)
배경
일본의 경제 침략 ( 양곡 유출 )
민씨 정권의 부패
쌀값 폭등 , 반일 감정 고 조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 우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4. 임오군 ( 민 ) 란 (1882)
전개
구식 군인 봉기
정부 고관 , 일본 공사관 습격
서울의 하층민 가세 궁궐 침입 , 민씨 일파 처
단
군란 진압 , 흥선 대원군 납치
청군의 출동
( 민씨 일파의 요청 )
흥선 대원군 집권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4. 임오군 ( 민 ) 란 (1882)
결과
친청 정책
청 · 일의 영 향력 확대
조선
제물포 조약 체 결 - 공사관 경 비병 주둔 허 용 ( 외국군대 주둔 최초인 정 )
일본
군대 주둔 , 고문 파견
( 마건상 , 묄 렌도르프 )
조 · 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내정 ,
외교 간섭 및 경제 침 략 본격화
청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4. 임오군 ( 민 ) 란 (1882)
( 前文 ) 이 수륙 장정은 淸이 속방을 우대하는 후의에 서 나온 것인 만큼 다른 각국과 일체 동등한 혜택을 받는 예와는 다르다 .
(4 조 ) 베이징과 한성 , 양화진에서 상점을 열어 무역을 허락하되 양국 상민의 내지 통상을 금한다 . 다만 , 행상이 필요한 경우지방관의 허락을 받아야 한 다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朝淸商民水陸貿 易章程 )
조선이 청의 속방임을 강조함
청 상인의 특권을 인정하고 , 내륙 상권을 사실상 인정 한 것임
: 거류지 무역 철폐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5. 갑신정변 (1884)
배경
청의 내정 간섭과
민씨 정권의 견제로 개화 정책 지연
차관 도입 실패 로 개화 당 입지 축소
국내
청 · 프 전쟁으로 청군 절반 철수
일본 , 개화당 지원 약 속함
국외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5. 갑신정변 (1884)
전개
우정총국 낙성 축하연 밤 , 정변
청군의 개입 , 일본의 배신
3 일 천하 , 주도 세력 일본 망명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5. 갑신정변 (1884)
14 개조 정강의 주요 내용
청과의 종 속 관계 청
산
인민 평등 권 보장
지조법 개
혁 정치체제
개혁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5. 갑신정변 (1884)
갑신정변의 의의와 한계
근대 국가 건설을 목표 로 일어난 최초의 정치 개혁
의의
개화당 세력 기반 미약 : 성급한 위로부터 개혁
외세에 의존
일본의 군사력에 의존
토지 개혁 소홀
민중의 지지 얻지 못 함
한계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5. 갑신정변 (1884)
결과
청의 내정 간섭이 더욱 심화됨 한성 조약
일본에 배상금 지불
공사관 신축 비용 부담
텐진조약
청 · 일본 , 양국 군대 철수 , 파병 시 문서 통보 청일전쟁의 원인이 됨
학습하기 들어가기
정리하기
6. 거문도 사건과 한반도 중립화론
청의 내정간섭과 조 · 러 밀약
영국의 거문도 불법 점령 (1885~1987 년 ) 한반도 중립화론 대두 ( 부들러 , 유길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