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2
Personnel
Administration
공공인력관리론
11. 20 ( 화 )
공무원의 책임
1
보 수
2
의 미
: 공무원이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법률상 불이익 또는 제재를 받는 것 종 류
① 징계 책임 : 국가 / 지자체가 사용자 입장에서 부과② 변상 책임 : 국가 / 지자체에 재산상 손해 끼쳤을 때 부과
③ 형사 책임 : 공무원개인의의무위반 + 사회법익침해로가해지는책임
2
공무원 책임의 이해 1
징계책임 2
1) 의 미
: 공무원의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 , 직위해제나 직권면직과 다름2) 필요성과 목적
: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를 통해 공적 내부 질서유지 + 사전예방3) 대상 및 법적 근거
: 경력직 공무원이 원칙 . 국가공무원법 , 지방공무원법 등징계책임 2
4) 사유 : 국가공무원법 (§78)
① 공무원 법령 위반 : 법률 , 대통령령 , 총리령 , 부령 , 훈령 , 지침 , 조례 , 규칙
유권해석 등을 총망라
② 직무상의 의무위반 및 직무태만
③ 직무의 내외를 불문한 체면 또는 위신 손상 ex) 음주운전 , 사회봉사 허위기재 등
5) 사유의 중복 및 승계
: 재직중이 원칙이나 임용전 행위 또는 임용 후 공무원 체면 , 위신 손상 시 징계 可 ,
서로 다른 배경 · 직종간 연계 · 승계 可
6) 시 효
: 징계사유 발생일로부터 3 년 지나면 징계의결 요구 X4
징계책임
8) 2 징계의 종류 및 효력
파 면 가장 중한 벌로 강제퇴직 , 향후 5 년간 공직 임용 불가 , 퇴직급여의
½ , 퇴직수당의 ½ 감액
해 임 강제퇴직 , 향후 3 년간 재임용 불가 , 퇴직급여 전액 지급 원칙이나 금 품 ·
향응 수수 , 공금횡령 등인 경우 퇴직급여의 ¼, 퇴직수당 ¼ 감액 강 등 직급 ( 계급 ) 을 한 단계 내리는 징계처분 , 3 개월간 직무 금지 및 해당
기간 보수전액 삭감과 수당지급 제한 , 향후 18 개월간 승진 , 승급 제 한
정 직 1~3월간 개월간 직무 정지 , 해당기간 직무종사 X, , 보수전액삭감 , 18 개 승진 · 승급 제한
감 봉 1~3 개월간 보수의 1/3 삭감 , 12 개월간 승진 · 승급 제한 견 책 훈계 , 일부 수당 미지급 또는 감액 , 6 개월간 승진 · 승급 제한
※ 징계부가금 : 금품비위와 관련되어 부과되는 금전벌 , 보통 5 배 이내에서결정
구 분 일반직 ·경찰 · 소방 · 교원 등
군인
(장교·준사관·부사 관)
법관 검사 분류
파면 ○ ○ X X 배제(排
除 )
징계 중 (重)
징계
해임 ○ ○ X 해임
면직
강등 ○ ○ X X
교정(矯 正 ) 징계
정직 ○
(1~3개월 ) ○
(1~3개월)
○
(1개월~1 년)
○ (1~6개
월)
감봉 ○
(1~3개월)
○
(1~3개월)
○
(1개월~1 년)
○ (1개월
~1년) 경
(輕) 견책 ○ 근신(10일 이내) ○ ○ 징계
* ○ : 해당함 , X : 해당하지 않음견책○
9) 징계의 과제
징계책임 2
① 처벌위주 징계 지양 ② 징계의 원칙 준수
③ 감싸주기 풍토 개선 ④ 중립적 · 체계적 접근
의 미
: 남에게 끼친 손해를 물어주는 것 종 류
①직무상불법행위로인한변상책임 : 국가배상법적용 , 구상권발동가능
② 회계관계직원등의변상책임 : 국가회계법 , 물품관리법 , 군수품관리법
등에
따라「회계관계직원등의책임에관한법률」제정운영
6
변상 책임 3
형사 책임 4
의 미
: 공무원의 행위가 형법상 범죄 구성 시 형사책임 부과ex) 직무위배죄 , 직권남용죄 , 뇌물죄 ,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등
대체로 무거운 형량을 부과
보수의 이해 5
1) 보수의 의미 : 노동력의 대가로 받는 일체
① 근로자입장 : 현금 , 현물의형태로직접받는대가로세금 , 의료보험금 , 연금기여금등
각종 공제액을 제외하고 받는 것만 보수로 인식
② 사용자입장 : 근로자 고용해 제반 활동하는데 발생하는 일체 비용 ,
보수 , 상여금 , 연금부담금 , 후생복지비 , 교육훈련비 , 여비 , 교통비등을
포함한총인건비개념
2) 공무원 보수 특성
① 경직성 ② 이율 배반성 ③ 비 ( 非 ) 시장성
④ 직급의 다양성과 분배 : ‘ 동일 직무에 대한 동일 보수지급 어려움’
⑤ 노동기본권의 제약 : 보수 법정주의
⑥ 사회경제적 · 윤리적 성격
8
보수의 기능 및 관리 6
□ 보수의 기능
1) 개인 차원 : 소득의 원천으로 생활 영위하는 경제적 수단
2) 조직 차원 : 우수 인력 유인 , 직무수행동기 유발매체 , 성과향상
3) 정부 차원 : 국민경제 전반에 영향 , 이해관계자간 협상의 산물
□ 보수의 관리
1) 보수관리의 기준 및 원칙
(1) 규범적 기준 : ① 적정성 ② 대외적 형평성 ③ 대내적 공정성
(2) 보수관리의 실제적 원칙
① 보수 법정주의 ② 직무 · 계급중심의 원칙 ③ 사정고려의 원칙 ④ 비교균형의 원칙
⑤ 중복금지의 원칙
2) 보수관리의 대상 및 내용 : ① 보수수준 관리 ② 보수체계 관리 ③ 보수형태 관리
보수수준의 관리 7
□ 보수수준의 의의
보수수준이란 보수액의 크기를 의미 . 임용기간 지급된 공무원 1 인당 평균보수액을 나타내는 일반 보수수준 혹은 평균 보수수준을 의미
□ 보수수준의 결정
1) 결정요인 ① 윤리적 요인 : 최저생활보장 ② 경제적요인 : 국민소득 및 물가수준 ③ 재정적 요인 : 정부 지불능력 ④ 사회적 요인 : 공무원의 신분 · 직무상 특성 ⑤ 대내적 요인 : 인사정책적 요인 ⑥ 부수적 요인 : 보수 외의 편익
□ 보수수준의 허용범위
공무원 보수의 일반적 수준
• 경제적 요인
- 민간임금
- 물가수준 등
• 사회 경제적 요인
• 인사정책적 요인
< 상한선 >
• 재정적 요인
- 정부의 인건비 지불능력
< 하한선 >
• 윤리적 요인
일반 표준생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