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RbRx RA ∈ ∈ ∈ × , , ˆ ˆ ˆˆˆ α 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RbRx RA ∈ ∈ ∈ × , , ˆ ˆ ˆˆˆ α α"

Copied!
7
0
0

Teks penuh

(1)

the row echelon form obtained at the end of Gauss elimination. Also, let

b

be the last column vector of the row echelon form. Then, prove by use of elementary matrices that if

x ˆ

is the solution of

A ˆ x ˆ = b ˆ

, then

x

x ˆ =

.(Strictly speaking,

x ˆ

is also the solution of (3.1))

Sol.)

Elementary operation은 3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교재 p292) (i) Interchange of two rows

(ii) Additon of a constant multiple of one row to another row (iii) Multiplication of a row by a nonzero constant

c

Gauss elimination을 하려면 위 3가지 operation을 수행해야 하는데 elementary matrix로 위 3가지

operation을 수행할 있음을 보이도록 하겠다.

I

n

n× n

matrix라고 하자. 그리고

E

i

i

th 항이 1이고 다른 항은 0이 되는

1 × m

row-vector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n

e

i

=

Δ

0 ⋅ ⋅ ⋅ 0 1 0 ⋅ ⋅ ⋅ 0

1× ,

⎥ ⎥

⎥ ⎥

⎥ ⎥

⎥ ⎥

⎢ ⎢

⎢ ⎢

⎢ ⎢

⎢ ⎢

=

Δ

n n

e e e

I

2 1

(3.2)

I

n

i

번째 row와

j

번째 row를 바꿔서 구한 matrix를

E

ij라고 하자.

i

번째 row에 scalar

α ≠ 0

배만큼 곱하여 구한 matrix를

E

i)라고 하자.

j

번째 row에 scalar

α

배만큼 곱하고

i

번째 row에 곱하여 구한 matrix를

E

α(j)+i이라고 하자. 그러면,

E

ij,

E

i(α),

E

α(j)+i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j i

e e

e

M

1 1

⎥ ⎥

⎥ ⎤

⎢ ⎢

⎢ ⎡ e e

2 1

M

⎥ ⎥ ⎥ ⎥ ⎥ ⎤

⎢ ⎢

⎢ ⎢

⎢ ⎡ +

j i

i

e e

e e

M

1 1

α

(2)
(3)

n j i j i j i j

i

E E E I

E

+

=

+

=

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elementary matrices

E

ij,

E

i(α),

E

i+jnonsingular임을 알 수 있다.

이제

x ˆ

b x

A ˆ ˆ = ˆ

(3.5) 의 해라고 하자. 그러면

A ˆ

b ˆ

는 각각

A

b

elementary row operation을 하여 나온 결과물이 다. 따라서, 앞에서 보였듯이

n × n

matrix

A ˆ

n

column vector

b ˆ

elementary matrix로 표현할 수 있다.

b E E E b

A E E E A

n n

n n

1 1

1 1

ˆ ˆ

⋅⋅

=

⋅⋅

=

(3.6)

이것을 식(3.1)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b E E E x A E E E

b Ax

n n n

n 1

⋅ ⋅⋅

1

ˆ = (

1

⋅ ⋅⋅

1

) ˆ

=

(3.7)

그런데 식(3.4)에 의해 (3.7)로부터

b

b E E E E E

b E E E E E E x A

n n n

n n n

n

ˆ

ˆ ) ˆ (

) ˆ (

ˆ

1 1 1 1 1

1 1 1

1 1

=

⋅⋅

⋅⋅

=

⋅⋅

⋅⋅

=

(3.8)

따라서,

x ˆ

이 식(3.1)의 solution이 됨을 알 수 있다.
(4)
(5)

Sol.) 식(5.1)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 진다.

0 )

( py − r dx + dy =

(5.2)

위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교재 p.23에서 식(12)).

0 ) , ( )

,

( x y dx + Q x y dy =

P

(5.3) 따라서,

P ( x , y )

Q ( x , y )

은 다음과 같다.

1 ) , ( , )

, (

Δ

Δ

− =

= py r Q x y y

x

P

(5.4) 식(5.3)에 integration factor

F

곱해주면,

= 0 + FQdy

FPdx

(5.5) Exactness condition에 따르면,

) ( )

( FQ

FP x

y ∂

= ∂

(5.6)

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 x

y

y

P FP F Q FQ

F + = +

(5.7)

) (x F

F =

라고 두면 (5.7)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 진다.

x

y

F Q FQ

FP = ′ +

(5.8)

식(5.8)를 양변을

FQ

나누면 다음과 같다.

) ( ) 1 (

1 p x

x Q y P R Q

dx dF

F =

− ∂

= ∂

=

(5.9)

위 식을 이용하여

F (x )

구하면 다음과 같다.(p.24의 Theorem1)

= ∫

= e

pdx

x F

pdx F dF

) ( 1

(5.10)

구한

F (x )

(5.5)에 대입하면,

rdx e dy pydx e

dy e dx r py e

FQdy FPdx

pdx pdx

pdx pdx

= ∫

∫ +

∫ = +

∫ −

= +

) (

0 )

(

0

(5.11)

식(5.11)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dx

pdx

= ∫

(6)
(7)

    

  

  

으로 부터 첫 번째 해   

두 번째 해는 차수축소법에 의해 

   

 

 

   식을 정리하면

             양변을으로 나누고변수를 분리 하여 적분하면  



 

    

   를 얻는다

따라서  이에 해당하는 일반해는

      는 임의의 상수

b. 보조 방정식     을 풀면

  중근 이므로 일반해는   

는 임의의 상수

Referensi

Dokumen terkait

Abdul’s class has a set of 30 lockers arranged in 3 rows of 10 and numbered from 1 to 30 starting from the top left hand corner and counting across each row from left to right

Clearly, matrices come in various shape depending on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Each entry of a matrix is identified by the row and column in which it

The conformability condition for multiplication is that the column dimension of A (the lead matrix) must be equal to the row dimension of B ( the lag matrix).. If defined the

The rank of a matrix A is the number of pivot columns (or rows) that it has when it is transformed into reduced row echelon form.. The pivot variables are the variables that

Color pattern consisting of about 12 to 14 rows of tiny spots extending horizontally on body, and one row on lower part of caudal peduncle top of caudal peduncle with a blackish sp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