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inese Recorder
근대 중국의 혼인문제 인식 연구 *
-離婚문제와 一夫多妻制문제를 중심으로-
1)
盧 在 軾 (湖西大)
Ⅰ. 머리말
Ⅱ. 중국여성의 가정생활에 대한 인식
Ⅲ. 중국여성의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
1. 이혼문제에 대한 인식 2. 一夫多妻制에 대한 인식
Ⅳ. 결론
Ⅰ. 머리말
1860년 북경조약 체결이후 중국에서 기독교 선교의 자유가 허용되면 서 수많은 선교사들과 선교회들이 중국에 들어오게 되었다. 서양 선교 사들은 중서문화의 큰 차이를 직면하였고 중국의 사회, 문화, 풍속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각지에서 활동하던 다른 선교회와 선교 사들간의 정보교환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하여 중국 내 선교 사들 사이의 정보교류와 선교의 도움을 서로 주고 받고자 하는 목적에 서 英文으로 된 잡지와 신문을 발간하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The Chinese Recorder였다.
The Chinese Recorder는 1867년 The Missionary Recorder라는 명 칭으로 福州에서 감리교 출판사 (Methodist Press) 에 의해 간행되었
*이 논문은 2012년도 호서대학교의 재원으로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12-0283)
다. 하지만 이 잡지는 일 년 만에 停刊이 되었고 감리교 소속인 볼드 윈 (S. L. Baldwin, 중국명: 保靈)선교사가 감리교 출판사의 후원을 받 아 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이라는 명칭으로 다시 창간하였다. 1872년 5월 이후 잠시 정간되었다가 1874년 1월 영 국 선교사 윌레(Wylie, 중국명: 衛烈亞力)가 上海로 자리를 옮겨 復刊 하였다.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에서 출판을 담당하였고 처음에는 격월로 발간한다가 1886년에는 월간으로 발간되었다. 1915년 에 The Chinese Recorder로 다시 개명되었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The Chinese Recorder로 부르고 있다.1)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로 終刊이 될 때까지 67년 동안 중국에서 발간된 가장 생명력이 길었던 영문 期 刊物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Chinese Recorder는 중국에 온 여러 선교사들과 선교회가 가 장 긴 시간 동안 발행한 영문 간행물인 동시에 교회와 선교사들 간의 사상과 견해를 대표하는 영향력 있는 잡지이기도 했다. 이러한 The Chinese Recorder의 주요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독자의 범위가 광범위했다. The Chinese Recorder의 주요 대상은 중국 내 선교사들이었지만 서양의 교회와 기독교도들, 神學院 및 선교 거점지에까지 전해졌다.
둘째로는 내용이 풍부하였다. The Chinese Recorder의 기본 내용은 신학적인 敎理와 중국내 선교사들 사이의 선교에 관한 정보이었지만 그 외에도 중국의 사회, 문화, 지리, 정치적인 문제도 다루고 있었다.
그리고 비록 “Chinese”라는 제목이 붙여졌지만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 조선,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지역의 내용까지 담고 있었다.
이런 역사적인 배경에도 불구하고 The Chinese Recorder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1980년대 중반 미국에서 The Chinese Recorder의 내용을 주제별, 인물별로 정리한 자료집이 출판 되었지만,2) The Chinese Recorder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성과는 아직 1) 본문에서도 The Chinese Recorder 명칭을 쓰고자 한다. 중국학계에서는 The
Chinese Recorder를 “敎務雜誌”라고 번역해서 부르고 있다.
많이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학계에서 The Chinese Recorder에 대한 연구는 石建國이 The Chinese Recorder에 나타난 조선에 대한 譯名과 선교사들의 조선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것이 대표적이고,3) 그 외에 The Chinese Recorder에 나타난 중국 소설에 대한 인식, 개신교 선교사들의 천주교 선교사들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4) 최근 상해대학 사학과 의 陶飛亞교수가 중심이 되어서 대학원생들과 The Chinese Recorder 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중인데 그 결과가 주목된다.5)
한편 한국 학계에서는 The Chinese Recorder에 대한 인식조차 부 족한 상황이고 중국학자 石建國과 한국학자가 공동으로 연구한 논문이 한 편 있는 정도이다.6)
이처럼 The Chinese Recorder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은 자료 확보 곤란이 주요 원인이라고 하겠다. The Chinese Recorder가 英文자료이고 분량 또한 방대하여서 이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일직이 홍콩 中文대학에서 The Chinese Recorder 全文을 마이크로필름으로 담아서 보관을 하였고 중국대륙의 몇 몇 대 학교에서 이것을 구입하여 도서관에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The Chinese Recorder 자료 자체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여서 충분한 활 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몇 몇 대학의 도서관에서
2) Kathleen Lodwick, The Chinese Recorder Index: a guide to Christian missions in Asia, 1867-1941 (Wilmington, Del.: Scholarly Resources, 1986).
3) 石建國, 敎務雜誌與韓國國名英文譯法轉換問題 (東江學刊 2010-2); 石建國, 19世紀末西方傳敎士的朝鮮觀 (當代韓國 2011-2)가 있다.
4) 孫軼昊, 來華傳敎士眼中的中國小說 -以敎務雜誌刊載的評論爲中心 (學術硏 究 2011-11): 陶飛亞, 同爲異國傳敎人: 近代來華新敎傳敎士對天主敎的態度轉 變解析 (東岳論叢 2011-2) 등이 있다.
5) 상해대학의 陶교수는 최근에 “Chinese Recorder 연구”라는 주제로 Chinese Recorder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가 마무리되면 연구성 과를 정리하여 전문서적으로 출판할 계획이다.
6) 石建國, 禹成珉, 19세기 말 서양선교사의 조선에 대한 관찰과 인식: 교무잡지 (敎務雜誌)를 중심으로 한 고찰 (동양정치사상 11, 2012).
The Chinese Recorder의 일부분을 소장하고 있지만 극히 제한적이고 이용도가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The Chinese Recorder라는 자료의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필자는 감사하게도 The Chinese Recorder의 全文을 담은 cd-rom을 구할 수 있었다.7) 그리고 The Chinese Recorder Index도8) 구할 수 있었다. 이 같은 The Chinese Recorder 전문 cd-rom과 Index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다음으로는 기독교와 근대 중국 여성에 관한 연구상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독교와 근대 중국 여성에 관한 연구는 중국에 온 여성선교사 와 관련된 연구로부터 시작이 되었다. 선구적인 연구로는 1980년대 초 반의 미국학자 제인. 헌터(Jane Hunter)의 The Gospel of Gentility:
American Women Missionaries in Turn of the Century China이다.9) 이후로 학자들은 기독교와 중국여성들에 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1990년대 들어와서 미국 華人학자인 郭佩蘭은 Chinese Women and Christianity 1860-1927 라는 서적을 출판하였다.10) 이 저작은 연구의 중심이 여성 선교사로부터 중국여성신도와 중국 여성으로 전향되었음 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에 영향을 받아 중국학계에서도 1990년대 이후 기독교와 근대 중 국 여성에 관한 연구성과들이 나오게 되었다. 주요 연구 관심은 교회 7) 상해대학의 陶飛亞 교수는 Chinese Recorder의 전문 cd-rom을 필자에게 복 사해서 주었다. 동시에 Chinese Recorder 전체목차의 중국어 번역본도 제공해 주었다. 이 자료들은 필자의 연구에 많은 지침을 주었고 향후 연구에도 큰 도 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陶 교수에게 감사하는 바이다.
8) 주석 2번 참조.
9) Jane Hunter, The Gospel of Gentility: American Women Missionaries in Turn of the Century China (New Heven: Yale University Press, 1984). 한편 1980년대 이전에 기독교와 여성교육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Margaret E.
Button, The Education of Women in China (London Fleming H. Revell Co., 1911); Ida Belle Lewis, The Education of Girls in China,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19).
10) 郭佩蘭(Kwok Pui-lan), Chinese Women and Christianity 1860-1927 (Georgia Atlanta: Scholars Press, 1992).
와 기독교의 여성생활에 대한 내용과11) 중국여성운동에 관한 연구가 약간 있고,12) 대부분은 교회의 여성교육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고 볼 수 있다.13) 그리고 纏足을 반대하는 연구에서도 기독교와 중국 여성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14)
근대 중국 시기 기독교와 중국 여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지만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다.15) 하지만 이전의 연구 11) 이에 관한 연구는 鄭永福, 近代中國婦女生活 (鄭州: 河南人民出版社, 1993);
羅蘇文, 女性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4) 등이 있다.
12) 이에 관한 연구는 劉巨才, 中國近代婦女運動史 (北京: 中國婦女出版社, 1989): 蕉潤明, 論中國近代的婦女解放思想 (社會科學輯刊 1995-5); 徐揚, 晩淸西方宗敎與近代中國婦女解放思潮 (黔西南民族師專學報 1997-1); 裔昭 印, 基督敎和近代中國婦女運動 (上海師範大學學報 2000-4); 楊慧, 近代中 國女子敎育與婦女解放 (北方論叢 2002-6); 王海鵬, 近代基督敎會在華婦女 事業硏究(1840-1920) (山東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04) 등이 있다.
13) 章開沅 主編, 中西文化與敎會大學 (武漢: 湖北敎育出版社, 1991); 孫石月, 中國近代女子留學史 (北京: 中國和拼出版社, 1995); 黃新憲, 基督敎敎育與中 國社會變遷 (福州: 福建敎育出版社, 1996); 朱峰, 基督敎與近代女子高等敎育 -金陵女大與華南女大比較硏究 (福州: 福建敎育出版社, 2002); 李永春, 論近代 中國敎會女子敎育 (湘潭大學學報(哲社版) 1997-6); 崔運武, 近代中國敎會女 子敎育淺析 (史學月刊 1998-2); 董春, 近代在華興辦女學之沿革 (岳山師 範學院學報 2002-4); 王敬平, 敎會女敎與近代女子敎育的産生 (河北社會科 學 2001-4); 南治國, 基督敎與淸末女子敎育 (北京大學學報(哲社版) 2002 -7); 谷忠玉, 近代中國敎會女學的興起與發展 (安徽敎育學院學報 2003-1);
丁琳, 晩淸敎會女子敎育 (江蘇工業學院學報 2007-2) 등이 있다. 이외에도 대만학자 林美枚는 婦女與差傳: 19世紀美國聖公會女傳敎士在華傳敎硏究라는 저작에서 성공회 여성 선교사를 모델로 삼아서 19세기 기독교와 여성과의 관 계를 논하고 있다. 林美枚, 婦女與差傳: 19世紀美國聖公會女傳敎士在華傳敎硏 究, 1835-1900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1).
14) 高洪興, 纏足史 (上海: 上海文藝出版社, 1995); 楊興梅, 觀念與社會: 女子小 脚的美醜與近代中國兩個世界 (近代史硏究 2000-4); 王海鵬, 萬國公報與天 足會 (貴州社會科學 2006-1); 楊劍利, 近代中國社會的放足運動 (河北學 刊 2007-3) 등이 있다.
15) 2005년 5월에 중국 상해대학에서 “性別與歷史: 近代婦女與基督敎學術硏討會”
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30여명의 중국과 미국 학자들이 근대 중국의 여성과 기독교와 관련된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이 회의 와 관련된 성과는 陶飛亞 編, 性別與歷史: 近代中國婦女與基督敎 (上海: 上海 人民出版社, 2006) 참조.
에서 나타난 부족한 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기독교와 여성 운동에 관한 내용이나 기독교 교육에 관한 연구등이 개 론적인 연구는 많지만 세부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고 또 다른 하나는 선교사들이 기록하고 남긴 英文자료에 대한 활용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것은 영문자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고 자료 수집의 곤란이 주요한 원인일 것이다.16)
한국학계의 기독교와 근대 중국 여성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논하기에 앞서 우선 중국 여성사에 대한 연구상황을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한국학계의 중국 여성사 연구는 기존의 중국근현대사 일변도에서 전근 대사로 확대해 나가는 추세이다.17) 한국의 중국 여성사는 크게 3세대 로 분류되는데 제 1세대는 정치사 중심이었고, 2세대는 사회사, 사상사 중심이었고 3세대는 주제의 다원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겠다.18) 한국에서 중국여성사연구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특정 인물에 대한 것으로 그 중 근대 이후의 秋瑾과 宋慶齡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 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중국 학계에서 여성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것에 반해 한국 학계의 중국여성 교육사에 대한 연구는 저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 16) Melissa Dale 著, 黃薇 譯, 從近年英文學術著作看婦女與基督敎在近代中國的 硏究狀況 (陶飛亞 編, 위의 책, pp.1-21)에서 歐美학계의 기독교와 근대 중국 여성에 관한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있다.
17) 한국의 중국사 학계의 중국여성사 연구현황에 대한 정리는 이선이, 한국의 중국여성사, 연구현황과 과제 (여성과 역사 6, 2007); 천성림, 실천성에서 다원화로: 한국의 중국 여성사 연구의 배경과 흐름 (여성과 역사 13, 2011) 등이 있다. 이 두 논문에서 한국의 중국사학계의 중국여성사에 대한 연구를 전 근대와 근대 이후로 나누어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세 부적인 연구현황과 성과에 대해서는 별도로 거론하지 않기로 한다. 천성림, 실천성에서 다원화로: 한국의 중국 여성사 연구의 배경과 흐름 , pp.247-256에 서 한국 중국사학계에서 발표된 여성사 관련 연구성과를 학위논문, 저역서, 학 술지논문으로 분류하여 정리 소개하고 있다. 한편 천성림은 구미지역의 중국여 성사 연구현황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천성림, 여성사: 쟁점과 전망 (歷 史學報 200, 2008) 참조.
18) 천성림, 실천성에서 다원화로: 한국의 중국 여성사 연구의 배경과 흐름 , p.224.
국학계의 중국여성사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그간의 연 구성과를 보면 점진적인 발전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19) 동시에 향후 중국여성사 연구에 몇 가지 과제가 제시되고 있다.20)
한편 기독교와 근대 중국여성을 다룬 전문적인 연구는 거의 보이지 않고 근대 중국 시기 기독교와 여성 교육문제를 다룬 연구들이 약간 있다.21)
이와 같은 국내외 연구상황을 바탕으로 본문에서는 The Chinese Recorder의 내용을 중심으로 19세기 말 서양 선교사들의 중국 여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기독교와 근대 중국 여성에 관 한 연구는 앞에서 잠시 언급한 듯이 주로 여성의 교육을 장려하고 신 식여성학교를 설립한 것, 그리고 전족 반대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반 면 기독교와 선교사들의 중국 여성의 가정생활과 혼인문제에 대한 인 식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문에서는 The Chinese Recorder에 발표된 문장들 중 중국여성의 가정생활과 혼인문제 중 이혼과 일부다처제 문제에 관한 선교사들의 견해와 그에 대한 평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22)
19) 2002년 중국사학회 주최로 ‘여성을 통해 본 중국사’라는 주제로 국제학술대회 가 개최되었다. 이 국제학술회의의 내용은 중국사학회, 通過中國婦女看中國歷 史 (中國史學會國際學術大會發表論文集, 2002)로 출판되었다.
그리고 2006년에는 동양사학회 주최로 ‘아시아 역사상의 여성: 경제활동을 중 심으로’라는 주제로 冬季硏討會가 개최되었다. 이 시기를 전후해 잠시 중국여 성사 연구가 활기를 띄게 되었고 연구주제도 다양해졌다. 하지만 그 파문은 크 지 않았고 오히려 이후 연구자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천성림, 실천성에 서 다원화로: 한국의 중국 여성사 연구의 배경과 흐름 , p.225 참조.
20) 이선이, 앞의 글, pp.122-126 참조.
21) 권현주, 中國 近代女子敎育制度 成立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김유리, 清末의 女子教育制度와 그 實狀 (중국사연구 20 ,2002); 전인숙, 세계사 교과서의 근대 중국 여성에 관한 서술 분석 (고려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천성림, ‘女國民’과 ‘國民之母’ 사이에 서: 근대중국, 여자사범학교의 성립과 그 의미 (歷史學報 123, 2012) 등이 있다.
22) 필자는 국내외 중국여성사 전공자들에 비하면 여성사 연구경험도 극히 적고 연구의 깊이도 부족한 점을 통감한다. 그럼에도 본 연구를 진행한 것은 The
Ⅱ. 중국여성의 가정생활에 대한 인식
서구 문명과 그 영향을 받은 선교사들 입장에서 바라 본 중국여성들 의 생활상은 다소 충격이었다. 하지만 The Chinese Recorder 상에 순 수하게 중국 여성의 생활을 논한 문장은 많지 않고 시기별로도 주로 19세기말에 치우쳐 있다. 이 문장들에서는 주로 중국여성들이 불우하 고 비참 한 삶을 살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비교적 빈곤한 계층에서 여자 嬰兒를 살해하는 현상은 보편적이었다.
남자아이는 후에 집안의 기둥으로 자랄 수 있지만 여자아이는 家事 일 밖에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자아이는 보류할 가치가 있다. 여자 아이는 후에 다른 집에 시집가고 나서도 힘든 노동을 하거나 고생을 하 기 때문에 차라리 그녀들을 일찍 죽게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는 것 이다.23)
중국의 여성들은 어려서부터 불행하게 태어났고 나이가 들어 시집을 가도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없고 어떤 이들은 남편에게 구타를 당하거 나 학대를 당하면서 생활한다는 것이다.24) 그리고 선교사들을 더욱 놀 라게 한 것은 중국여성들이 이러한 상황을 당연한 일상으로 받아들이 며 살고 있고 서양도 동일한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 리하여 중국여성들이 종종 여성 선교사나 선교사 師母에게 “당신의 남 편들은 당신을 구타한 적이 한 번도 없었나요?”라는 질문을 했다는 것 이다.25)
Chinese Recorder 라는 새로운 자료를 통해 선교사들의 중국여성에 대한 인 식을 살펴보고 중국 여성사에 새로운 분야를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연구 를 진행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시간범위는 The Chinese Recorder 창간했던 1867년부터 20세기 초로 한정하고자 한다.
23) W. S. Holt, “Home for Chinese Women and Girls” (The Chinese Recorder, Vol.20, no.4, Apr.1889), p.565.
24) W. S. Holt, “Home for Chinese Women and Girls” (The Chinese Recorder, Vol. 20 no.4), p.566.
한편 한 선교사는 자신이 직접 들은 이야기를 기술하고 있다.
어떤 한 부부가 있는데 남편이 병으로 쓰러진 후 1개월 동안 남편 곁 에서 간호했다. 그러나 남편의 병이 점점 심해지고 결국 죽게 되었다. 그 녀는 ‘나는 자식도 없고 돌보아줄 사람도 없다. 차라리 남편 앞에서 自決 하는 것이 낫다 ’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6)
이 글에서 선교사는 중국 과거 殉葬의 악습을 지키려는 중국 여성들 이 있음을 안타까워하고 있다.27)
19세기 말 중국 여성들이 가정과 사회에서 학대 받고 낮은 지위라는 인식은 The Chinese Recorder뿐만 아니라 초기의 중국에 온 선교사 들도 인식하고 있었다. 한 예로 프랑스 천주교 선교사였던 레지스 (Evariste Regis Huc, 중국명: 古伯察)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중국 여성들의 상황은 비참하고 고생스러우며 멸시를 받고 있다. 여성 의 각종 고난과 치욕의 삶은 태어날 때부터 무덤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녀가 태어나서 일찍 죽지 않으면 거의 비천한 동물처럼 취급받고 사람 대접을 받지 못한다.28)
당시 선교사들의 중국 여성에 대한 인식의 기록에서 사실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묘사한 부분도 있었지만 과장되고 편견이 있는 부분도 부 정할 수 없다. 이것은 선교사들의 인식상의 문제가 초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선교사들은 母國의 교회나 신도들에게 종종 중국의 악 습 등을 극단적으로 묘사해서 집중 보도하였다. 예를 들어 전족, 여자 嬰兒의 살해, 조혼풍속 등인데 이를 통해 중국민족은 구제가 속히 필
25) Mrs. T. Richard, “The Christian and Chinese idea of Womanhood and how our Mission Schools may help to develop the Former Idea” (The Chinese Recorder, Vol.31, no.2, Feb. 1900), p.53.
26) V.I.W.V, “The Women of China” (The Chinese Recorder, Vol.24, no.2, Mar.1893), p.115.
27) Ibid.
28) (法)古伯察, 中華帝國 1卷, p.248; (英)J. A. G. Roberts 著, 蔣重躍 譯, 19 世紀西方人眼中的中國 (北京: 時事出版社, 1999), p.104에서 재인용.
요한 민족이고 특히 중국 여성들에게는 기독교가 더욱 절실히 필요하 다는 인식을 서양의 독자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함이었다. 그러함으로써 그들의 물질적 지지를 받고 동시에 선교활동을 확대해 나가고자 했던 것이다.
한편 선교사들은 중국인들과 계속 교류하면서 중국사회에 대한 인식 과 이해를 심화시켜 나갔다. 그러는 가운데 중국 여성들에 대한 인식 도 차츰 변하게 되었다. 티모드 리챠드의 부인(Mrs. T. Richard)은 “서 양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만큼 중국 여성들의 삶이 비참하거나 남성에 게 학대받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29) 또한 중국 전통 사회에 서 ‘여성의 無才가 곧 德이다’라는 인식에 대해 “일찍이 중국 여성들 중 문학, 서예, 詩歌등을 남긴 이들이 많았다. 이들은 결코 남성보다 뒤떨어지지 않았다.··· 단지 현재 사회에서 여성들이 과거시험에 응 시할 수 없고 전족으로 행동이 불편한 것 뿐이지 여성들이 남성보다 못하지 않다”라고 말하고 있다.30)
1897년 헤드랜드(Taylor Headland)라는 선교사는 한 젊은 중국 여성 과의 대화내용을 The Chinese Recorder 상에 기록하고 있다. 이 대화 에는 중국 여성이 남성의 부속품이고 남성에게 학대받는다고 생각되는 인식에 대한 젊은 중국 여성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먼저 당시 서양인 들이 중국 여성은 항상 남성에게 순종하고 남편의 의지를 따른다는 견 해에 대해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특히 가정일을 처리하는 과정에는 더욱 그렇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중국 남성들이 부인을 구타한다 는 인식에 대해서도 모든 남성들이 부인을 구타하는 것은 아니고 반대 의 현상도 존재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여성은 가정의 실질 적인 주관자이고 남편이 부당한 일을 하였을 적에 부인은 남편에게 지 적하고 훈계하기도 한다는 것이었다. 皇族의 부인부터 일반 백성들의 29) Mrs. T. Richard, “The Christian and Chinese idea of Womanhood and how
our Mission Schools may help to develop the Former Idea”, p.55.
30) Mrs. T. Richard, “The Christian and Chinese idea of Womanhood and how our Mission Schools may help to develop the Former Idea”, p.56.
부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이러한 권리를 가지고 있고 남편의 행위를 정정해 줄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녀의 결론은 서 양인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중국여성의 지위가 낮은 것은 아니라는 것 이었다.31)
선교사들은 처음에는 중국여성들이 사회와 가정에서 고통과 속박을 받는 존재라고 인식하였다. 그 후 중국 여성들과 교류가 생기고 중국 사회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게 되면서 중국 여성들에 대한 인식을 조금 씩 새롭게 해 나갔다. 한 예로 The Chinese Recorder 상에 曺大姑 의32) 女誡와 宋若昭33)의 女論語34)를 번역하여 소개하였다.35) 이것 은 선교사들의 중국여성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 이었다. 하지만 선교사들은 자신들의 모국이나 교회에 여전히 중국여 성들은 학대를 받고 고통을 받는다고 보고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 원인은 모국으로부터 더 많은 경제적, 인적 지지를 얻기 위함인 것 도 있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중국 여성들이 고통을 벗어나고 진정한 해방을 얻는 것은 오직 기독교로서 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 함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36)
31) Isaac Taylor Headland, “Chinese Women from a Chinese Standpoint” (The Chinese Recorder, Vol.27, no.1, Jan.1897), pp.8-10.
32) 後漢 和帝때 인물로 이름은 班昭이고 班固의 누이 동생이다. 반고가 저술한
漢書의 미완성 부분을 이어서 완성하였다. 曺大姑는 그녀의 또 다른 호칭으 로 曺大家라고도 부른다.
33) 宋若昭: 唐代 貝州(지금의 河北省 淸河)사람으로 대대로 선비 집안이었고 부 친 宋廷芬은 글을 좋아하고 5명의 딸이 있었는데 송약소는 둘째 딸이었다. 이 다섯딸은 모두 문장에 능하였는데 특히 약소는 文詞에 뛰어났다. 唐 德宗시기 궁중에 부름을 받아 문장의 뛰어남을 인정받고 學士라 칭함을 받았다. 女論語
를 저술하였다. 新唐書 卷77, 宣懿韋太后尙宮宋若昭 , pp.715-716 참조.
34) 중국의 女四書 중의 하나로 後漢의 班昭가 지은 女誡 , 唐代 송약소의 女論語, 明代 仁孝文皇后가 지은 內訓, 明代 王節婦가 지은 女範捷錄을 가리킨다. 女四書는 모두 여성들의 저작으로서 여자들에게 교훈이 되도록 한 지침서이다.
35) Mrs. A. S. Parker, “Translation of the Nu Len Nu(女論語) Written by Song Zah-chao 宋若昭” (The Chinese Recorder, Vol.25, no.12, Dec.1895), p.150.
Ⅲ. 중국여성의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
古今을 막론하고 결혼문제는 여성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었다. 19 세기 말 중국에 온 선교사들은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중국여성들의 결 혼관을 이해하려 하였다. 중국 전통적인 결혼관과 기독교의 결혼관과 는 상반되는 부분도 많았고 어떻게 이 부분을 해결하는가는 The Chinese Recorder의 주요 논쟁중의 하나였다. 그 중 이혼문제와 중국 남성들의 一夫多妻制가 주요 논쟁점이었다.
1. 이혼문제
1868년 5월 미국 公理會 소속 선교사인 하트웰(Charles Hartwell)은 Divorce and Re-Marriage 라는 문장에서 자신이 직접 직면한 문제를 기술하고 있다.
우리 교회 신도 중 4명이 아직 入敎하기 전에 부인과 이혼을 하고 그 여성들을 다른 남자에게 팔아서 그들의 부인이 되게 했다. 당시 이러한 행위가 부도덕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녀들을 돌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기독교교리에 의하면 이혼은 부도덕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혼한 이전 부인들이 원래의 남편에게 돌아오는 것이 합당한 일인가? 그리고 남편들도 그녀를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가?37) 당시 중국 사회에서 흉년이 들었을 적에 생계가 어려워 부인을 賣買 하는 경우가 가끔 있었다. 흉년이 들어 다른 지역으로 부부가 도망가 서 남매라고 속인 후 비교적 부유한 집안에 부인을 시집보내고 상황이 호전된 후 부인이 도망을 해서 다시 만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38) 물 36) 胡衛淸, 苦難的模式: 近代嶺東地區女基督徒的傳道與證道 (陶飛亞 編, 性別
與歷史: 近代中國婦女與基督敎), p.303.
37) C. Hartwell, “Divorce and Re-Marriage” (The Chinese Recorder, Vol.1, no.1, May.1868), p.14.
론 도박이나 아편흡연으로 가산을 탕진하여 부인을 다른 남자에게 매 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어쨌든 一夫一妻를 주장하는 기독교 입장에서 는 이러한 행위는 불법이고 성경에 위배되는 일이었다. 하트웰은 The Chinese Recorder에 이 문장을 통해서 다른 선교사들의 의견을 구하 고 함께 이 문제의 해결을 논의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하트웰의 문장이 발표된 이후 수 년 간의 시간동안 선교사들 사이에 서 논쟁이 지속되었다. 일단 이 문제를 제기한 하트웰 본인은 다른 남 자에게 시집을 간 여성이 원래 남편에게 돌아오는 것을 容認하는 입장 이었다. 즉 쌍방간의 감정이 허락된다면 서로간의 재혼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39)
이에 대해 한 선교사는 성경 구약의 내용을 근거로 이혼 후 재혼하 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40) 하지만 일부 선교사들은 이에 대한 반박의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첫째는 구약의 시대와 당시 현실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원래의 남편 을 떠나서 다른 남자와 같인 산 것은 일종의 간음이라고 할 수 있겠지 만 이것은 여성이 잘못을 해서가 아니라 현실생활로 인해 어쩔 수 없
38) 중국 전통사회에서 이혼현상은 많지 않았다. 보수적인 향촌사회에서 이혼은 큰 수치로 간주되었고 이혼문제에 대해 극히 적게 언급을 하였다. 청말 중국 사회에서 남편이 경제적 이유로 타지에 나가서 오래동안 돌아오지 않은 경우 여인이 시부모와 협의를 한 후 관부의 批准을 얻어 이혼하는 경우가 있었다.
楊劍利, 女性與近代中國社會, p.144 참조.
39) C. Hartwell, “Divorce and Re-Marriage” (The Chinese Recorder, Vol.1, no.1), p.36.
40) N., “Divorce and Re-Marriage” (The Chinese Recorder, Vol.1, no.2, Jun.
1868), pp.35-36에서는 구약 신명기 24장 1-4절의 내용을 인용하여 이혼 후 재 혼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신명기 24장 1-4절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어떤 여인이 결혼 후 수치되는 일이 있음을 발견하면 이혼 증서를 써서 그 녀의 손에 주고 그녀를 집에서 내보낼 것이요, 그 여자는 그의 집에서 나와 다 른 사람의 아내가 되려니와 그의 둘째 남편도 그를 미워하여 이혼 증서를 써 서 그녀의 손에 주고 자기 집에서 내보냈거나 또는 그녀를 아내로 맞이한 둘 째 남편이 죽었다 하였을 적에 그 여자는 이미 몸을 더렵혔은즉 그를 내보낸 전 남편이 그를 다시 아내로 맞이하지 말지니 이 일은 여호와 앞에서 가증한 것이라.”
는 것이었고 과거의 잘못된 부분을 뉘우치고 다시 원래 남편으로 되돌 아온 것을 용인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이유는 중국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는 것이었다. 구약에 나오는 모세시대에 재혼금지는 고대 이집트의 ‘부 인을 교환’하는 악습을 금지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었지 당시 중국기독 교도들과는 부합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41)
1869년 레이멘(Layman) 선교사는 자신이 직접 보고들은 사건을 소 개하면서 중국여성들의 이혼문제에 대해 융통성 있게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 젊은 여성이 不知한 가운데 廣東省에서 온 한 남자와 결혼했다. 그 런데 이 남자는 이미 부인이 있는 사람이었다. 사실이 탄로된 후 그녀는 그 남자와 바로 이혼했다. 그 후 그녀가 다른 남자와 결혼을 하려고 했는 데 그는 기독교도였다. 기독교 원칙에 의하면 그녀는 이혼을 한 것이고 그녀는 새로운 남성과 결혼할 수 없는 것이다.42)
하지만 레이멘 선교사는 사기를 당한 이 젊은 여성에 대해 동정심을 가지고 성경의 원칙보다는 현실적인 입장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 다. 즉 인도주의적 정신과 중국 현실상황에 맞추어서 중국 여성들의 곤란과 어려움을 도와주고자 했다.
동시에 일부 선교사들은 중국 내 다른 선교사들이 중국 여성들에 대 해 가지고 있는 편견을 바로잡고 중국 여성들의 실제생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1871년 미치(G. Michin)선교사는 “이혼은 중국 사회에서 보편적인 현상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다.
만약 부부가 문제가 발생하면 보통 집안의 어른에게 찾아가서 자문을 구한다. 그 어른은 쌍방의 말을 다 들은 후 어떠한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 41) Catus Et Purus, “Divorce and Re-Marriage” (The Chinese Recorder,
Vol.1, no.3, July.1868), p.55.
42) A Layman, “Correspondence” (The Chinese Recorder, Vol.1, no.5, Sep.
1869), p.90.
지 않고 화목하게 지내라고 훈계하면서 돌려보낸다.43)
중국 여성들의 이혼문제에 대해 선교사들은 처음에는 성경의 원칙에 따라 금지하는 입장에서 차츰 자신들의 선교과정 중 만나게 되는 실제 적인 문제를 기초로 대처하게 되었다.
선교사들은 중국 사회에서 부인과 이혼을 하여 다른 남자에게 매매 하는 현상은 대부분이 生活苦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상황일 때 발생하 는 것이고 비록 이러한 행위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 고 있지만 완전히 금지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으로 이혼한 부부가 후에 다시 재혼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부정할 수 만은 없었던 것이다.44) 즉 한편으로 결혼은 神聖한 것이고 깨어질 수 없다는 기독교적 원칙을 견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중 국에서 광범위한 선교를 하기 위해서는 중국사회의 현실문제를 인정하 고 어느 정도 양보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2. 일부다처제 문제
부인과 이혼하고 부인을 매매하는 현상이 생활고로 인한 어쩔 수 없 는 상황하에 발생한 것이라면 중국남성들이 아들을 낳고 대를 잇기 위 한 명분으로 妾을 들이는 경우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는 The Chinese Recorder에 또 다른 화제였다. 1869년 넬슨 선교사(R.
Nelson)는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to Polygamy라는 문장에서
“기독교는 절대로 多妻制를 허용하지 않는다. 어떠한 경우나 장소에서 라도 금지되어야 한다”라고 단언하고 있다.45) 그 후 오랜기간 동안 이 43) G. Minchin, “Divorces among Chinese” (The Chinese Recorder, Vol.4,
no.5, Oct. 1871), p.136.
44) 이러한 상황에는 당시 중국사회의 여성들의 재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작용 하였다. 즉 남성들이 첩을 맞아들이는 권리가 있듯이 여성도 再嫁의 권리가 있 다고 주장하게 된 것이다. 楊劍利, 女性與近代中國社會, p.148참조.
45) R. Nelson,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to Polygamy” (The Chinese
일자 제목 작자 1868년 5월 Divorce and Marriage C. Hartwell 1868년 6월 Divorce and Marriage N 1868년 7월 Divorce and Marriage Castus Et Purus 1868년 9월 Divorce and Marriage 信徒 1869년 1월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to Polygamy R. Nelson 1869년 3월 Christianity Versus Polygamy, F. S. Turner 1869년 3월 Divorce and Marriage W. Lobscheid 1869년 7월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to Polygamy Samuel Dodd 1869년 9월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to Polygamy J.V.N Talmage
1869년 10월 확인 C. Hartwell
1869년 10월 Polygamy or concubinage? L.N.Wheeler 1869년 11월 The Polygamy Questions W. Lobscheid 1869년 11월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to Polygamy Samuel Dodd 1869년 12월 The American Board of Commissionaries for
foreign missions of polygamy C. Hartwell 1869년 12월 The Polygamy Questions J.V.N Talmage
1871년 5월 The Anti Polygamy F.H.Ewer 1871년 10월 Divorces among Chinese G. Minchin 1883년 3-4월 What Shall be done with converts who have
more than one wife?, Evangelist 문제를 놓고서 The Chinese Recorder상에 선교사들 사이에 쟁론이 발생했다. 쟁론의 핵심은 일부다처제를 반대하는 것 보다는 다처제를 하고 있는 중국 남자신도를 교회에 받아들여야 하는지의 문제였다.
The Chinese Recorder상에 발표된 중국 여성의 이혼과 일부다처제에 관한 문장들을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표1> Chinese Recorder에 나타난 離婚과 一夫多妻制에 관한 문장
처음으로 이 문제를 제기한 넬슨은 기독교에서는 혼인의 평등을 주 장하고 있다고 하면서 혼인의 권리와 의무는 부부 쌍방간에 구속력을
Recorder, Vol.1, no.9, Jan.1869), p.169.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 구속력은 “남편이 부인을 떠나서 다른 여자 와 결혼할 수 없고 부인 또한 마찬가지이다”46)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 고 기독교에서는 일부일처를 주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넬슨 의 결론은 “부인이 있는데 다른 여인을 부인으로 맞아들이는 것은 그 여성과 通姦하는 것이다”라고 지적하면서 “다처제를 하고 있는 남성을 교회에 받아들이는 것은 간음을 용인하는 것과 같다”고 비판하고 있 다.47) 넬슨의 이 문제 제기 이후 선교사들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의견 을 제기하였다.
터너(F. S. Turner) 선교사는 신약에서 일부다처제를 반대한 것은 당시 유대인들이 쉽게 이혼하는 현상을 비판한 것이라고 주장하였 다.48)
또한 어떤 이들은 구약시대의 일부 사례를 예로 들어서 반박하고 있 다. 구약시대에 비록 神이 다처제를 용인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묵인하였다는 것이다. 먼저 아브라함이 부인 사라가 있음에도 첩 하갈 을 취한 것을 예를 들고 있다.
아브라함이 아들이 없어서 그의 부인 사라의 동의하에 하갈을 첩으로 맞아들였다.··· 神은 아브라함에게 하갈을 버리라고 요구하지 않았 다.··· 아브라함도 첩을 취해서 죄가 있다고 여겨지지 않았다.49)
로브씨드(Lobscheid) 선교사는 아브라함이외도 구약 시대의 야곱도 두 명의 부인을 두었고 다윗과 솔로몬은 왕으로서 많은 후궁들을 거느 렸다는 것을 근거로 구약시대에는 다처제가 보편화되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46) Ibid. 47) Ibid.
48) F. S. Turner, “Christianity Versus Polygamy” (The Chinese Recorder, Vol.1, no.11, Mar.1869), p.235.
49) Evangelist, “What shall be done with converts who have more than one wife?” (The Chinese Recorder, Vol.14, no.2, Mar.1883), p.133.
구약의 시대에는 다처제가 존재했고 다른 동방국가에도 존재하였다.
다처제를 행한 아브라함과 다른 이들도 神에게 용인되었다.50)
구약시대에 神이 다처제 문제로 그들을 질책하지 않았고 동시에 다 처제를 통해 얻은 자식들도 모두 인정하였다는 것이다. 즉 神이 비록 다처제를 찬성한 것은 아니지만 묵인을 하였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중 국에서 다처제의 신도들도 용인되고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51)
그리고 그는 중국의 일부다처제는 가부장제도에 의해 행해진 것이므 로 어느 정도 정당화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52)
이러한 선교사들의 일부다처제를 옹호하는 입장에 대해 유어(F. H.
Ewer) 선교사는 넬슨의 의견을 지지하면서 일부다처제를 강하게 반대 하고 있다. 그는 먼저 일부다처제의 영어단어인 “poligamy”의 어원을 분석하고 있다. 이 단어는 라틴어로 ‘간통, 간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 하면서 일부다처제는 간통을 범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53)
그는 몇 몇 선교사들이 구약시대에 아브라함이나 야곱이 일부다처를 하였다고 주장하는 논지에 반박하면서 아브라함이나 야곱은 한 명의 부인과 한 명의 첩을 둔 것이었고 그들의 자녀들도 차등적인 대우를 받았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일부다처제는 성경의 구약시대에 금지되었고 신약에서도 이에 대해 직 접 언급한 적이 없다. 구약시대에 일부다처제가 받아들여진 적이 있었으 나 이는 아주 짧은 기간동안에 행해진 것이고 불가피한 필요에 의한 것 이었다.54)
그는 결론적으로 “중국 기독교인들이 행하는 일부다처제를 생각할 50) W. Lobscheid, “Divorce and Re-Marriage” (The Chinese Recorder, Vol.1,
no.1, Mar.1869), p.233.
51) Ibid.
52) W. Lobscheid, “The Polygamy Questions” (The Chinese Recorder, Vol.1, no.1, Nov.1869), p.163.
53) F. H. Ewer, “Anti-Poligamy” (The Chinese Recorder, Vol.5 no.1, May.1871), p.354.
54) F. H. Ewer, “Anti-Poligamy” (The Chinese Recorder, Vol.5, no.1), p.355.
때에도 이러한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될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55) 한편 다드(Samuel Dodd) 선교사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서양에서 남자와 여성은 마땅히 한 명의 부인과 남편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다처제는 이미 서양 교회와 국가에서 금지된 것이다. 그 러나 중국에서는 이러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매우 적다. 먼저 황 제부터 일부일처를 생각하지 않는다.
중국에서는 일부일처의 관념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기독교 의 교리를 알기 전 중국남성들이 일부다처제를 행하는 것이 반드시 잘 못된 것은 아니고 중국 현실 입장에서 인정을 해 주어야 한다고 말하 고 있다.
神의 가르침을 받기 전에 한 명 이상의 부인을 취하는 것은 잘못되었 다고 보지 않는다.56)
이러한 다드 선교사의 입장에 대해 휠러(Wheeler) 선교사는 Polygamy or concubinage라는 문장에서 중국은 일부다처제를 인정하 거나 지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처첩제는 어느 정도 허가하고 있다고 말 하고 있다. 그러면서 구약시대에 아브라함을 비롯한 몇몇 인물들이 첩 을 소유한 것이 사실이었고 당시 중국 현실에서 처첩제도를 어느 정도 는 인정해 주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57)
이러한 인식은 1880년대 초에 들어와서는 더욱 현실적이 되었다.
만약에 첩을 두었던 남성이 세례를 받기 전에 첩을 버리고 한 명의 부 인만 남겨둔다면 세례를 받고 기독교도가 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58)
55) F. H. Ewer, “Anti-Poligamy” (The Chinese Recorder, Vol.5, no.1), p.356.
56) Samuel Dodd,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to Polygamy” (The Chinese Recorder, Vol.2, no.2, July.1869), p.31.
57) L. N. Wheeler, “Polygamy or concubinage?” (The Chinese Recorder, Vol.2, no.1, Oct.1869), p.136.
58) Evangelist, “What Shall be done with converts who have more than one wife?” (The Chinese Recorder, Vol.14, no.2, Mar.1883), p.132.
하지만 만약 한 명의 부인만 남겨둔다면 첩과 다른 부인들은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 이 문장의 작자는 실제 상황을 근거로 말하고 있다.
두 명의 부인을 둔 남성이 입교를 신청하려 하는데 한 명의 부인을 포 기해야 한다고 통보받았다. 누구를 포기 할 것인가? 최근에 결혼을 한 여 인을 포기하기로 했다. 그런데 첫 번째 부인은 자식이 없었는데 두 번째 부인은 몇 명의 자식이 있었다. 그렇다면 그 모친은 아이들과 헤어져야 하는 것인가? 그 여인은 선교사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선생님. 당신들은 제가 그와 같이 살 수 없다고 말씀하는데 제 남편 이 당신들의 종교를 듣기 전에 저는 그의 남편이었고 그는 제 아이들의 아버지였습니다. 저에게는 이이들과 같이 살고 아이들을 보호할 권리가 있습니다. 제 아이들을 사생아로 만드시겠습니까?”59)
이어서 “우리들은 이 가련한 여인에게 남편과 가정, 아이들을 잃어 버리게 할 수 있겠는가?”라며 반문하고 있다. 즉 이러한 경우 강제적 으로 이혼을 당하는 여성들의 상황도 고려를 해 주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60)
그리하여 그의 결론은 중국의 다처제 풍속은 후에 소실될 것이지만 당시 상황에서는 중국의 현실에 맞게 이해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다처제를 하고 있는 남성이 입교를 하려고 할 때 다른 부인 들을 포기하게 하는 것 보다는 향후 절대 더 이상의 여성을 부인으로 맞이하지 않는다는 맹세를 받는 것이 더 낫다고 지적하고 있다.61)
일부다처제와 첩을 취하는 것에 대한 논의는 처음에는 “기독교에서 일부다처제를 용인해야 하는지의 여부”에서 시작하여 “일부다처를 하 고 있는 기독교도를 기독교에 입교시키는 것이 가능한가”의 문제로 발 전하였다가 결국은 “다처제를 하고 있던 남성이 세례 전에 한 명의 부 인만 남겨 둔다면 세례를 주고 입교가 가능하다”라는 결론으로 귀결되 59) Evangelist, “What Shall be done with converts who have more than one
wife?” (The Chinese Recorder, Vol.14, no.2), p.133.
60) Ibid.
61) Evangelist, “What Shall be done with converts who have more than one wife?" (The Chinese Recorder, Vol.14, no.2), p.134.
게 되었다.
첩을 맞아들이는 행위는 중국 紳士계층에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이는 기독교의 일부일처의 원칙과 상반되었고 중국 남자 신도들이 입 교를 하는 큰 장애요소였다. 비록 기독교를 받아들이려는 중국 남성들 입장에서도 일부일처의 기독교 교리에 동의를 하면서도 자신들의 생활 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고 특히 자손을 번창시키겠 다는 의지가 강한 紳士계층에게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였을 것이다.
The Chinese Recorder에서 선교사들은 일부다처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였다. 그들은 기독교 교리보다는 중국 현실 상황에 맞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비록 어떤 선교사도 다처제를 찬성하는 것은 아니 었지만 중국 사회문제를 대하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중국현 실의 입장에서 중국인을 이해하고 용인하고자 하였다.
근대 중국 시기 선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편찬된 萬國公報에서도 여성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다. 萬國公報에 나타난 여성문제에 관한 주제는 전족 반대, 여성교육의 장려, 여성의 貞節觀, 여성과 관련 된 惡習반대, 동서양 여성상의 비교, 혼인의 자유 등 다양하였다.62) 그 중 일부다처제에 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 선교사 파버(Ernst Faber, 중국명: 花之安)는 齊家在修身 이라 는 문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한 가정이 不齊한 원인은 婦人으로부터 시작된다.··· 가정에 妾이 많 으면 많아질수록 가정이 不齊해진다. 이는 시기와 원망이 쌓이기 때문이 다.··· 중국 역사상 妾과 후궁으로 인해 멸망한 경우가 不知其數이다.63) 독일 선교사 크랜즈(Kranz, 중국명: 安保羅)는 “五倫의 가장 큰 잘못 된 점 중 하나가 첩을 취하는 것이다. 첩제도는 上帝의 명을 위배하는
62) 노재식, 근대 중국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 연구 -萬國公報의 내용을 중심으 로- (震檀學報 113, 2011), p.266.
63) (德)花之安, 齊家在修身 (萬國公報 750卷, 1883年 7月, 臺北: 華文書局影 印本, 1968).
것 뿐 아니라 가정과 국가에도 큰 禍根이다”라고 말하고 있다.64) 萬 國公報 의 편찬자 존. 알렌(John. A. Young, 중국명: 林樂知)도 “남자 들이 첩을 취하는 폐단을 허락하고 있으니 불공평함이 심히 심하다”라 고 하면서 이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혼인의 자유는 전 세계의 公理인데 중국인들은 그것을 大辱으로 여기 고 있다. 그러면서 일부다처제는 당연한 것으로 보고 있으니 그 괴이함은 진실로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바이다.
또한 數値를 이용해서 남녀인구 비율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서 일부 일처의 정당성을 말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남자의 수가 여자보다 조금 많다. 남자가 20이면 여자는 19정도이다.··· 전 세계적으로 계산해본다면 그 수는 크게 차이가 나지 를 않는다. 一夫一婦가 인륜의 正道인 것이다.65)
선교사외에도 중국 신도들도萬國公報 상에 일부다처제를 반대하고 비판하는 문장을 발표하였다.
성경을 살펴보건대 남편은 오직 한 명의 부인만 두어야 하고 부인도 한 명의 남편만 두어야 한다. 이것은 神이 인간을 만들 때 제정한 규정이 다. 만약 神의 命을 거슬린다면 淫行을 하는 것이고 음행 또한 죄이다.
자신의 욕심을 따라서 큰 죄를 얻는 것이니 어찌 어리석다고 하지 않겠 는가?··· 중국의 大聖賢이었던 공자나 맹자 등 누구도 첩이 있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다.66)
또한 어떤 이들이 “첩을 들이는 것은 아들을 놓기 위해서이다”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박을 하고 있다.
아들이 있고 없음은 모두가 하늘의 上帝가 결정하는 것인데 어찌 첩을 64) (德)安保羅 作, 沈少坪 述, 救世敎成全儒敎說三 (萬國公報 96冊, 1897年
11月).
65) (美)林樂知 譯, 任延旭 述, 論振拔女人之原流 (萬國公報 214冊, 1906年 11 月).
66) 知非子, 儒敎辨謬 · 論納妾 (萬國公報 511卷, 1878年 10月).
들여서 아들을 놓아야 하는 것인가?
그러면서 이러한 논리는 단지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한 변명에 불 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그리하여 결국 첩제도는 가정과 사회질서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결론짓고 있다. 67)
The Chinese Recorder의 주요 독자대상은 선교사로서 그 내용이나 목적이 선교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었다. 중국사회의 일부다처제 문제 에 대해서 선교사들의 주요 관심은 일부다처제 자체가 합법인지 아닌 지의 여부보다도 첩을 소유하고 있는 중국남성들을 교회로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의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반면 萬國公報 의 주요 대상은 중국인들이었고 중국인들에게 일부다처제의 폐단을 알리고 중국사회에 서 이러한 악습을 근절시키고자 함이 목적이었다. 그리하여 The Chinese Recorder에서는 일부다처제 문제에 대해서 중국현실 상황에 맞게 중국인들을 이해하고 포용하려는 입장이었고 萬國公報 에서는 엄격하게 반대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Ⅳ. 결 론
전통 중국 사회에서 “男尊女卑”, “三從四德”등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중국 여성들은 많은 부분에서 제약을 받았다. 반면 서양의 기독교는 남녀평등의 원칙을 내세우고 인간은 神 앞에서 모두 평등한 존재라고 주장하였다. 선교사들은 天賦人權 사상과 서양의 여성해방 운동 사상 의 영향을 받아 남녀평등의 여성관을 중국에 전파하려고 하였다. 20세 기 초 중국의 유명한 사상가인 胡適은 선교사들이 여성계몽에 끼친 영 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서양에서 온 선교사들은 선교 이외에도 새로운 사상과 풍속, 사상을 67) 위와 같음.
중국에 가져다 주었다. 그들은 우리에게 적지 않은 교훈을 주었는데 그 중 가장 큰 것이 여성을 사람으로 간주하게 한 점이다. 68)
근대 중국시기 서양 선교사들은 중국여성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였 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종교적 감정이 더 강하다고 여겼고 한 명의 여성을 改宗시키면 한 가정을 基督敎化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 여 선교사들은 여성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졌다. 69)
19세기 말 중국에서 선교사들의 중요한 정보교환 매체였던 The Chinese Recorder에도 중국 여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선교사들의 의견이 발표되었다. 그 중 본문에서는 이혼문제와 일부다처제문제에 대한 선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The Chinese Recorder 상에 중국여성의 이혼, 일부다처제에 대한 토론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걸쳐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인식은 일 순간에 생겨난 것이 아니었고 변화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 이혼과 일 부다처제는 기독교 교리에 의하면 용납될 수 없는 문제였다. 그리하여 일부 선교사들은 기독교적 가치관과 성경의 내용을 가지고서 중국 여 성들의 이혼과 일부다처제 현상에 대해서 다소 비판하는 의식을 가졌 다. 그러나 중국여성들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선교사들의 중국 여 성에 대한 인식이 차츰 변하게 되었고 당시 중국 상황에 맞게 여성문 제를 해석하고 인정해야 함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중 종교신앙의 요소는 점점 희박해지고 중국사회의 풍 속 및 관념 등의 요소가 점점 돌출되었다. 급변하는 근대 중국 사회에 서 외래종교로서 立地를 다지려면 중국 사회에 대한 타협과 조정이 불 가피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조정과정 중 일부 선교사들은 기독교의 일 부 신앙요소를 포기하고 중국사회변화에 순응해야 하기도 했다. 비록 선교사들 입장에서 이러한 조정은 기독교 교리에 위배되는 부분도 있 68) 胡適, 祝賀女靑年會 (人生大策略, 湖南文藝出版社, 1989), p.212; 王海鵬,
近代基督敎會在華婦女事業硏究(1840-1920) (山東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04), p.108에서 재인용.
69) 胡衛淸, 普遍主義的挑戰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0), p.55.
었고 심리적으로 불안과 모순되는 점도 느낄 수 있었지만 이러한 모순 적인 심리는 근대 중국에 온 선교사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존재하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국 사회와 풍속에 대한 조정과 타 협의 궁극적인 목표는 중국내에서 기독교의 영향을 확대 하는 데에 있 었다. 선교사들이 여성문제에 관심을 가진 최종적인 목표도 여성들을 통한 기독교를 확대하자는 목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그들은 처음에는 종교적 가치관을 절대화하여 중국 여성 들의 상황을 판단하였지만 차츰 중국 여성들의 처한 사회적 상황을 이 해하게 되면서 종교적 가치관보다는 현실에 적응하는 정책을 펴 나가 게 된 것이다.
<參考文獻目錄>
[史料, 資料集]
Chinese Recorder (American Prebyesterian Press, 1867-1900)
Kathleen Lodwick, The Chinese Recorder Index: a guide to Christian missions in Asia, 1867-1941 (Wilmington, Del.: Scholarly Resources, 1986)
[단행본]
김원중, 중국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2001) 박한제 외, 아틀라스 중국사 (파주: 사계절, 2007)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서울: 창작과 비평사, 2002)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 편, 중국근현대사의 재조명 (서울: 지식산업사,
2001)
신승하 외, 20세기의 중국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劉巨才, 中國近代婦女運動史 (北京: 中國婦女出版社, 1989) 章開沅 主編, 中西文化與敎會大學 (武漢: 湖北敎育出版社, 1991) 鄭永福, 近代中國婦女生活 (鄭州: 河南人民出版社, 1993) 羅蘇文, 女性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4) 孫石月, 中國近代女子留學史 (北京: 中國和拼出版社, 1995) 顧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6) 黃新憲, 基督敎敎育與中國社會變遷 (福州: 福建敎育出版社, 1996)
朱峰, 基督敎與近代女子高等敎育 -金陵女大與華南女大比較硏究 (福州: 福建敎 育出版社, 2002)
顧長聲, 馬禮遜逊到遜到司徒雷登-來華新敎傳敎士評傳 (上海:上海書店出版社,
2005)
陶飛亞 編, 性別與歷史: 近代中國婦女與基督敎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6) 王立新, 美国傳敎士與晚清中国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2008)
林美枚, 婦女與差傳:19世紀美國聖公會女傳敎士在華傳敎硏究, 1835-1900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1) [연구논문]
이선이, 한국의 중국여성사, 연구현황과 과제 (여성과 역사 6, 2007)
천성림, 실천성에서 다원화로: 한국의 중국 여성사 연구의 배경과 흐름 (여성 과 역사 13, 2011)
蕉潤明, 論中國近代的婦女解放思想 (社會科學輯刊 1995-5)
徐揚, 晩淸西方宗敎與近代中國婦女解放思潮 (黔西南民族師專學報 1997-1) 李永春, 論近代中國敎會女子敎育 (湘潭大學學報(哲社版) 1997-6)
崔運武, 近代中國敎會女子敎育淺析 (史學月刊 1998-2) 裔昭印, 基督敎和近代中國婦女運動 (上海師範大學學報 2000-4) 王敬平, 敎會女敎與近代女子敎育的産生 (河北社會科學 2001-4) 董春, 近代在華興辦女學之沿革 (岳山師範學院學報 2002-4) 楊慧, 近代中國女子敎育與婦女解放 (北方論叢 2002-6) 南治國, 基督敎與淸末女子敎育 (北京大學學報(哲社版) 2002-7) 谷忠玉, 近代中國敎會女學的興起與發展 (安徽敎育學院學報 2003-1).
王海鵬, 近代基督敎會在華婦女事業硏究(1840-1920) (山東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04)
丁琳, 晩淸敎會女子敎育 (江蘇工業學院學報 2007-2)
(中文提要)
敎務雜誌(Chinese Recorder) 對近代中國婦女的認識硏究
-以離婚問題和一夫多妻制問題爲中心-
盧 在 軾
19世紀60年代, 基督敎傳敎士開始大量進入中國內地. 随着传教事业的发 展, 中国各地傳敎士深感有相互沟通的必要. 1867年, <傳敎士記錄>(The Missionary Recorder)在福州應運而生, 一年後改名爲<中國記錄和傳敎 士雜誌>(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 1915年再 度更名爲<中國記錄>(The Chinese Recorder), 現在一般均通稱爲<敎務 雜誌>.
此後, 该雜誌一直到1941年12月因太平洋战争爆发停刊. <敎務雜誌>是 硏究新敎在華傳播和中國敎會發展最重要的資料來源, 對中國近代史硏究 也極具參考價値.
<敎務雜誌>對近代中國婦女的認識其與衆不同和獨特的地方. 作爲一本 面向傳敎士自身的雜誌, <敎務雜誌>的文章內容具有鮮明的內向性. 因 而, 在涉及婦女問題的探討時, 其基調也是爲傳敎士的傳敎活動服務的, 雜 誌的對象是在華各差會的傳敎士. 以多妻制问题为例, 传教士探讨的焦点, 集中在究竟是否应该接纳多妻的中国教徒加入教会, 而非多妻制是否合理 合法这个问题本身. 反之, <万国公报的对象是中国人, 所以其主要任务是 宣传正确的观念、介绍他们认为先进的知识. 同样是一夫多妻制的问题, 其 出發點則是, 要讓中國人認識到這些惡習的危害, 幷且讓他們了解到西方婦 女習俗、一夫一妻制的合理性, 從而禁絶中國社會的這些惡習, 對西方文化
産生內向之心, 最後要造成傳播基督敎有利的環境.
<敎務雜誌>对中国妇女问题的认识, 不是蹴而就的, 由浅入深, 逐步深 入. 最初, 他们带着批判和审视的眼光, 对中国社会的各种不同于西方的习 俗, 进行猛烈的批判. 但是, 他們逐步對中國婦女的現實處境有了更多的了 解, 從而也在同情之理解的基礎上, 一步一步靠進了中國婦女. 面對中國 這樣一個拥有深厚文化的國家, 傳敎士們不可能不正視中國社會的文化傳 統對中國婦女造成的影響. 他們努力調整自己的傳敎策略和傳敎方式, 使它 更符合中國社會的情況. 雖然, 于傳敎士來說, 在中國特殊環境下做出的 選擇, 違背了某些基督敎敎理, 他們感到不安和矛盾, 但是不可否認這種改 變確實傳敎的實踐中發揮出了一定的成效.
주제어: 근대중국여성, 교무잡지, 선교사, 일부다처제 關鍵詞: 近代中國女性, 敎務雜誌, 傳敎士, 一夫多妻制
Keywords: Women in Modern China, Chinese Recorder, Missionary, Polygamy (원고접수: 2013년 9월 5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013년 10월 14일, 수정 원고 접수: 12월 2일, 게재 확정: 12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