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논문의 목적은 같은 그룹으로 취급받던 세 국가의 핵프로그램과 이들이 주는 도전들을 엄밀히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 분석을 통해 유 사점과 차이점이 발견됐다. 가령

,

세 국가 중 두 곳이 정치적 과도기를 겪고 있다는 점은 이들 국가에 대한 비확산 정책이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유사점은 미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교훈을 제시한 다. 가령, 한 분야에서의 군사적 협력은 핵이나 다른 분야에서의 협력 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유사점을 살피는 것은 가치가 있지만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은 차이점 이다. 국가 간 다른 수준의 핵개발 단계

,

서로 다른 지역적 맥락

,

핵 야 망이 야기하는 서로 다른 위협들은 학자와 정책결정자들이 한 나라에 적합했던 정책을 다른 나라에 무턱대고 적용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는 것을 보여준다

.

세 국가들에 대한 기록은 핵확산에 대한 비관적 주장이 근거가 없다 는 것을 보여준다. 시리아의 핵프로그램은 진전되지 않고 있다

.

북한은 합당한 대가를 받으면 핵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이라고 여전히 말하고 있다. 다른 핵무기 국가들로부터는 들어본 적이 없는 내용이다

.

이란은 아직 핵무기 제조 결단이라는 가장 중요한 결정을 하지 않은 것 같다.

우려할 만한 이유는 많다

.

하지만 기록들은 이 문제들이 관리될 수 있 고 핵비확산 체제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믿을 수 있는 좋은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1.

단행본

Campbell, Kurt M., Robert J. Einhorn and Mitchell B. Reiss (eds.). The Nuclear Tipping Point.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4.

Cohen, Avner. Israel and the Bomb.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__________. The Worst Kept Secret: Israel’s Bargain with the Bomb.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Fitzpatrick, Mark (ed.). Nuclear Programmes in the Middle East: in the Shadow of Iran. London: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08.

Hashimi, Sohail H. and Steven P. Lee. (eds.). Ethic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Religious and Secular Perspectiv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Reiss, Mitchell. Bridled Ambition. Washington D.C.: Woodrow Wilson Center Press, 1995.

Solingen, Etel. Nuclear Logics: Contrasting Paths in East Asia & the Middle East.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United Nations. Report to the Security Council from the Panel of Experts established Pursuant to Resolution 1874(2009). New York: United Nations, 2010.

U.S. Department of Stat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8

1960. Near East Region; Iraq; Iran; Arabian Peninsula, Vol.

12,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3.

Wilson, P. D. (ed.). The Nuclear Fuel Cycle: from Ore to Wast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

논문

Ali, Javed. “Chemical Weapons and the Iran-Iraq War: A Case Study in Noncompliance.” The Nonproliferation Review. Vol. 8, No. 1, Spring 2001.

Giles, Gregory F. “Iranian Approaches to Chemical Warfare.” Paper prepared for the U.S. Naval Postgraduate School Conference.

WMD Employment Concepts and Command and Control. 6〜8 August, 1997.

Hiltermann, Joost R. “Outsiders as Enablers: Consequences and Lessons from International Silence on Iraq’s Use of Chemical Weapons during the Iran-Iraq War.” Lawrence G. Potter and Gary Sick (eds.). Iran Iraq, and the Legacies of War.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4.

Park, John. “An Examination of the IAEA’s Special Inspections in North Korea, 1992-1994.” Ph. D. dissertation, Cambridge University, 2001.

Spector, Leonard and Deborah Berman. “The Syrian Nuclear Puzzle.”

William Potter and Gaukhar Mukhatzhanova (eds.). Forecas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e 21st Century: A Comparative Perspective. Palo Alto,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Squassoni, Sharon. “Iran’s Nuclear Program: Recent Developments.”

CRS Report for Congress. 22 February, 2007.

Tertrais, Bruno. “Kahn’s Nuclear Exports: Was There a State Strategy?” Henry D. Sokolski (ed.). Pakistan’s Nuclear Future:

Worries Beyond War. Carlisle, PA: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 2008.

Walsh, Jim. “Bombs Unbuilt: Power, Ideas, and Institutions in International Politics.” Ph. D. disser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0.

__________. “Learning from Past Success: The NPT and the Future of Nonproliferation.” WMDC Paper. No. 41, Oslo: Weapons of Mass Destruction Commission, 2006.

3.

기타자료

Blair, Dennis C. “Annual Threat Assessment of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 for the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Washington D.C.: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2 February, 2010.

CNN. “Iran Warns Over Nuclear Impasse.” 11 August, 2005.

<www.cnn.com/2005/WORLD/europe/08/10/iran.iaea/index.html>.

IAEA. “Implementation of the NPT Safeguards Agreement and Relevant Provisions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Report by the Director General.

GOV/2010/46, 6 September, 2010.

. “Implementation of the NPT Safeguards Agreement in the Syrian Arab Republic.” Report by the Director General. 6 September, 2010.

Nuclear Threat Initiative(NTI). <www.nti.org/e_research/profiles/

Syria/Nuclear/index.html>.

Pinkston, Daniel A. The North Korea Ballistic Missile Program.

Carlisle, PA: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 February 2008. <www.dtic.mil/cgi-bin/GetTR Doc?Location =U2&doc=GetTRDoc.pdf&AD=ADA477526>.

Vick, Karl. “In Iran, Gray Area on Nuclear Weapons: Religious View Is Not Absolute.” Washington Post. 21 June 2006.

인도와 파키스탄 두 나라는 상대적으로 강한 이웃국가에게 대항하기 위한 전쟁억지수단으로써 핵무기

(와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발사대)를

개발하였다. 양국은 국제사회가 두 국가를 더 강한 인접국가로부터 보 호해줄 수 있음을 신뢰할 수 없었기 때문에

,

핵개발에 뛰어들게 된 것 이었다

.

인도는 더 강한 중국을 염려하고 있으며

,

파키스탄은 더 강한 인도를 걱정하고 있다

.

이점은 양국이 독립한 이후로 달라진 것이 없다

.

인도는 1970년에 발효된 「핵확산금지조약

(NPT)」에 가입하는 것을 거

부하였는데, 이는 NPT가 세계를 1968년 당시에 핵을 보유하였던 국가 와 핵을 보유하지 않았던 국가로 나누는 일종의 핵 차별

(nuclear

apartheid)을 조장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1 중국이 이미 핵무기를 보

유하고 있었고, 파키스탄이 인도가 가입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가입을 거부했기 때문에, 인도가 NPT에 가입하는 것은 전략적으로 불리한 상 황이었다.2 인도는 평화적 핵폭발

(Peaceful Nuclear Explosion)이라

불리는 핵실험을 1974년 5월에 시행하였다

.

인도의 핵실험은 파키스탄 이 핵무기를 만들기 위한 한층 강화된 핵개발 프로그램을 구축하도록 촉발시켰다. 그 이후로 24년 동안

,

이 두 나라는 기밀 핵무기 프로그램 을 지속하였다.

인도의 1998년 5월 핵실험은 파키스탄이 바로 몇 주 후에 핵실험을 감행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고, 이로써 두 나라는 쌍방과 전 세계에 그 들이 핵무기 보유국임을 선언하게 되었다

.

타국에 의해 부과된 제재는

1_핵보유의 불평등에 관한 인도의 주장은 Jaswant Singh, “Against Nuclear Apartheid,” Foreign Affairs, Vol. 77, No. 5 (September/October 1998) 참조.

2_인도와 파키스탄은 또한 1995년에 NPT 조약의 무제한 연장을 반대했었다. NPT 무기한 연장이 결정됐던 1995년 NPT 평가회의에 관해서는 Berhanykun Andemicael, et. al., “Measure for Measure: The NPT and the Road Ahead,”

published in The IAEA Bulletin, Vol. 37, No. 3 참조.

두 국가의 핵정책에 거의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했고, 대부분의 제재 도 외교적 해결을 모색함에 따라 철회되었다. 비록 인도와 파키스탄이

1998년 핵실험 이후로 적어도 두 차례에 걸쳐 전쟁위기에 직면했었고 2008년 11월에 파키스탄 주둔 테러리스트들이 뭄바이를 공격한 이래

양국 관계가 냉각되었음에도

,

인도와 파키스탄은 핵무기 소유가 전면 전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전력배가요소의 역할을 감당했다고 주장한다.

멀지 않은 과거에 파키스탄 선임과학자들이 핵무기 정보를 파는 국제 적인 시장을 운영한 사실이 있고 알 카에다(Al Qaeda)를 포함한 테러 집단과의 연결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그들의 핵무기와 관련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방화벽을 구비하고 있다고 주장 한다. 두 나라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파키스탄과 인도

)과

「핵분열물질생산금지조약 (Fissile Fuel Cutoff Treaty)」(파키스탄)과

같은 현존하는 몇몇 제안들에는 반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국제적 핵비확산조치는 지지한다

.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핵비확산을 논의하는 국제적 그룹에 이 두 나라를 참여시키는 것이다. 2010년 11월 6일부터

9일까지의 오바마 대통령의 인도 방문은 인도가 핵공급자그룹 (Nuclear

Suppliers Group)과 미사일기술통제 레짐(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의 정회원이 되겠다는 것을 지지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

아직 파키스탄은 이를 공약하지 않고 있다. 현재 이 기구들에 가입하 기 위한 전제조건의 하나는 NPT 회원국이어야 한다는 것인데

,

인도가

NPT

회원국이 아니기 때문에 미국은 타 국가들이 인도의 가입을 용인 하도록 설득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

국제사회는 아직 공식적으로 인도 와 파키스탄의 핵보유 국가 지위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그 러나 인도의 경우는, 미국이 인도에 대한 핵연료와 기술의 수출에 관 한 제재를 2008년에 철회하려 했고 최근에는 국제 비확산 레짐에 인도

를 포함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에서 보여 지는 것처럼, 국제사회의 공식적 핵보유 국가 지위 인정에 근접한 것으로 보여 진다. 파키스탄 에 비해 월등한 힘을 가진 인도가 핵보유 국가의 지위를 어떻게 이용 하는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강압적인 경향을 띠는 중국의 부상을 견제 하고 걸프만 지역으로부터 세계 대부분의 가스와 석유를 운송하는 중 요한 항로인 인도양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그러나 핵능력을 지닌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긴장관계는 급속히 핵 분쟁에 빠 져들 위험을 내포한다

.

미국은 이 두 나라의 핵 프로그램을 철회시키 겠다는 정책을 포기했다. 또한 미국은 지금까지 이 두 나라가 핵확산 과 지역의 긴장을 다룰 지역 레짐을 창설하는 데 거의 도움을 주지 못 했다.

이 논문에서는 ① 인도와 파키스탄의 핵무기 프로그램

, ②

비확산 레짐(Non-proliferation Regimes)에 대한 양국의 접근

, ③

남아시아와 다른 지역의 안전을 위해 핵무기가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 논해보도록 하겠다

.

1.

인도와 파키스탄

,

그리고 그들의 핵무기 프로그램

가. 인도

영국 통치가 쇠잔해져 갈수록 인도의 지도자들, 특히 의회의 지도자 인 자와할랄 네루

(Jawaharlal Nehru,

재임: 1947〜1964)는 인도가 핵 물리학에 대한 새로운 분야를 포함하여, 독자적인 과학 능력을 갖추게 하겠다고 단호히 결심하였다. 1960년대 중국의 전략적인 위협의 증가 로 인해 인도는 핵무기 소유의 전략적인 근거를 가지게 되었고, 이는

전략적인 자치권

(Strategic Autonomy)이라는 인도의 주요 대외정책

목표에 공헌했다

.

인도는 1974년의 첫 번째 핵실험 전까지 은밀하게 핵무기 프로그램을 발전시켰고, 1998년 핵실험 이후 자국의 핵보유를 선언했다.

인도의 핵개발 프로그램을 확립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했던 사람은 호미 바바 박사

(Dr. Homi J. Bhabha, 1909〜1966)로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핵물리학 분야의 개척자인 어니스트 루터포드(Ernest

Rutherford)

경과 함께 일했던 훌륭한 물리학자였다

.

인도로 귀국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바바 박사는 1945년에 봄베이

(Bombay)에 타타기초과

학연구소(Tata Institute of Fundamental Research)를 설립하였다

. 3년

후에 바바는 인도의 독자적인 핵 연구와 기술능력을 위해 그가 기초를 닦았던 인도 핵에너지위원회

(The Indian Atomic Energy Commission)의

수장으로 선출되었다. 인도의 첫 번째 수상인 자와할랄 네루는 그의 성과를 강력히 지지하였으며 스스로 내각의 에너지부

(Department of

Atomic Energy)를 책임짐으로써 ,

바바에게 상당한 운신의 폭과 충분

한 자원을 제공하였다

.

3

한 차례 재처리 되어 핵무기에 사용될 수 있었던 인도 최초의 핵분 열 물질은 캐나다가 제공한 CIRUS 반응로를 통해 나왔다. 이 반응로 는 1960년에 가동되었다. 순수하게 인도사람들에 의해 설계되고 제작 된 인도의 두 번째 연구용 원자로는 1961년에 가동되었다

.

그리고 1년 후에 인도의 첫 번째 중수로 발전소가 완공되었다

. 1964년에는 CIRUS

원자로에 의해 만들어진 연료를 분리하기 위해 첫 번째 플루토늄 분리

3_인도의 핵보유 노력에 대한 배경지식은 Onkar Marwah의 “Indian’s Nuclear and Space Programmes: Intent and Policy,” International Security, Vol. 2 (Fall 1977) 참조.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