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명 왕조를 개창한 주원장 태조 태조는 한․당대의 환관 중용의 폐

109) 明史 卷304, 宦官 1, 序文, “初 太祖制内臣不许读书识字. 后宣宗设内书堂 选小内侍 令大学士陈山教习之 遂为定制. 用是多通文墨晓古今 逞其智巧 逢君作 奸.”

110) Frederick W. Mote and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7, The Ming Dynasty, 1368-1644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7-288.

단을 여러 차례 지적하면서 후손들에게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환관 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태조는 환관을 억제하였고, 영락제 때부터 환관이 중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명 태조 때부터 환관을 신임하여 중대한 일을 맡겼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일은 외부로 나가는 出使, 군대 감 시, 경제 활동 업무, 정보수집 등의 일에서 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태조는 이념적으로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제약하여 그 들이 발호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누구도 신뢰하기 어려운 국초의 정 치적 현실에서 측근인 환관을 신뢰하여 그들을 황제의 특사로, 일반 정보수집자로 이용하면서 그들의 활동 범위를 궁성 내에서 궁성 밖으 로 넓혀 주었던 것이다. 특히 1380년 호유용의 모반 사건 이후, 승상제 를 폐지하고 군주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심복으로 있는 환관 을 여러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환관의 활동은 더욱 확대되어 갔다 할 수 있겠다.

태조는 환관의 권한과 행동을 억제하면서도 또한 그들을 적극적으 로 활용하였으니 영락제 이전에 이미 그 바탕이 조성된 것이었다.

영락제가 즉위한 후에는 정난의 변에서 환관의 역할, 궁정기밀의 유 지, 혹은 측근정치의 편의 등으로 환관을 중용하였다. 이 시기에 환관 이 가지는 출사, 감군 경제활동의 관여 등의 기능은 이전 보다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환관이 군대나 지방을 감시하고 총괄하는 일이 많아 졌으며,

明史

宦官傳에는 “镇守太监始于洪熙,遍设于正统”이라 하여 진수태감은 洪熙帝 때 처음 실시되었고, 正統帝 때에 두루 실시되었다 고 하고 있으나, 이미 영락제 때부터 진수태감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 이다. 鎭守太監의 지방 상주는 환관의 세력을 지방에까지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영락제 때 설치된 상설 첩보 기관인 동창은 관민의 동정을 살펴 정 치적 음모자를 색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고 있었지만, 이 외에 체포, 구금의 권한을 행사하고, 시정 물가에 이르기까지 정탐과 첩보의 영역 이 넓혀져 있었다. 이 기관은 황제의 직접 지휘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지위는 낮았으나 환관의 권위를 크게 증강시켜 주었다.

나아가 선덕 시기에 환관학교인 내서당의 설립 운영, 환관의 황제 비답에의 간여는 명대 환관 세력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태조 이후, 영락제를 거쳐 성장하여 오면서 홍희, 선덕 시기에 확고 한 세력을 갖춘 명조 전기의 환관은 출사, 감군, 경제활동 간여,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권위를 높이고, 권세를 확대하면서 훗날 환관 王振의 土木堡의 변(1449), 魏忠賢(1568-1627)의 공포정치 등을 일으키는 바탕을 마련하여 주었던 것이다.

이상을 종합적으로 보면, 명 태조 때 이념적으로 환관을 억제하려는 여려 방책을 실시하였으나, 정치적 현실에 부닥쳐 환관들에게 여러 임 무를 맡김으로서 환관 억제는 실패하고 도리어 환관의 활동 범위가 이 미 넓어지게 되었고, 영락제 때에 환관 중용의 길이 더욱 확대되었지 만, 그들이 국정을 좌우할 정도로 권세를 지니게 된 것은 태감이 황제 비답에 간여하기 시작한 선덕제 때부터라 할 수 있겠다.

권세는 권력의 대소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어느 인물의 지위가 높아 질수록 직권은 강하게 되고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넓어진다. 이럴 때 에 우리는 그의 권세가 확대되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대소와 권세의 경중은 비례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역사 가운데에는 지위가 높지 않은데 도리어 영향력이 큰 경우(宦官)가 있고, 지위가 무척 높으나 영향력은 비교적 별로 없는 경 우(宦官에게 조종된 皇帝)도 적지 않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倒錯 의 현상은 권력과 권세가 항상 정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준다 하 겠다.

(中文提要)

明朝前期宦官势力变迁和机能

全 淳 東

宦官当道是明朝政治的重要特征之一

宦官在明代政治舞台占据着重要 地位,他们对政治

军事

经济

外交 等都予以干预,触及范围非常广 泛

明代宦官权势之大是前面汉代和唐代不可比拟的

据《明史》记载这 种情形始于明第三代皇帝永乐帝在位期间, 但史实并非如此,明太祖时期 宦官当道的情形已初见端倪

建立明王朝之初,明太祖以汉唐两代宦官之害为鉴,对宦官的防范心里 非常强

他规定宦官不得兼外臣文武衔,不得御外臣冠服,官无过四品,

月米一石. 还立铁牌于宫门,铁牌上刻着 “内臣不得干预政事,预者斩”

他给宦官定的地位卑微,甚至规定不可识字,掌管政权则无从谈起

明太 祖旨在以这种强制方式限制宦官的权限和行为,防范宦官专横拔跋扈

不过明太祖的这种严驭宦官的政治理念,开始就因当时的政治现实而松 动

明太祖称帝后生性多疑的他,对功臣甚至对儿子都不信任,大兴文字 狱削弱功臣的势力

在这样的政治形势下,只能把要处理的事情交给事实 上最亲近的宦官去办理

明太祖这种既限制心腹宦官的权限又难以信任任 何人的政治现实,促使其构建了以宦官为亲信的君主专制体系

这样的君主专制体系基础上,宦官开始“参预外交事务, 参预茶马贸易事 务, 参预军事活动, 刺臣民隐事”. 特别是到了洪武13年(1380年)丞相制 的废除,使宦官的权力进一步增强

明太祖时期起宦官的权势逐渐扩大,

宦官数量不断增加,组织机构日趋完备

永乐帝继位之后,因靖难之变中宦官起到的重要作用,以及宫廷机密的 保密

亲信政治的方便性等开始重用宦官

这一时期宦官摄政活动异常活 跃,特别是外交出使

监督军队和地方政权的活动非常活跃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