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정 의
가스관이란 가스(천연가스, 석유가스, 나프타부생가스, CO2, O2 등 모든 기체 물질과 기체가 액화된 물질을 포함한다)를 운반하기 위하여 지하나 지상 또는 고가 및 다리에 설치한 관을 말하며, 그 연결시설을 포함한다. 다만,「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제2조 에 따른 사용자 공급관과 내관은 제외하되, 공장구내의 관은 포함한다.
※ LPG:액화석유가스(Liquified Petroleum Gas) ※ LNG: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나. 종 류
1) 폴리에틸렌피복강관(PLP) 2) 초저온 스테인레스관 3) 화학제품(PE)관
4) 주철관, 아연관, 강철관
다. 내용연수 및 감가율
구 분 내용연수 감가율 감가방법 잔존율
폴리에틸렌피복강관(PLP) 20년 0.045 정액법 10%
초저온스테인레스관 20년 0.045 “ 10%
화학제품(PE)관 20년 0.045 “ 10%
라. 기준가격표 : 행정안전부장관 고시 참조
마. 시가표준액 산출방법
시가표준액 = {m당 기준가격 × 가스관 길이(m)} × 잔가율 ※ 잔가율 = 1 - (감가율 × 경과연수)
≪ 산출예시 ≫
◦ 2012년에 설치한 가스관(구조: PLP, 규격: 연결시설을 포함한 D100㎜, 길이: 1,000m)의 2022년 시가표준액은?
∙ 감가율 : 0.045(PLP관)
∙ 잔가율 : 1-(0.045×10년)=0.55
∙ 1,000m 기준가격 : 1,000m×176,000원=176,000,000원
∙ 시가표준액 : 176,000,000원×0.55(잔가율)=96,800,000원
바. 가스관 개수 시가표준액
1) “가스관의 개수”란 가스관의 잔존 내용연수를 연장시키거나 그 가치를 현실적으로 증가시키는 수선(가스관 길이의 3분의1 이상을 수선하는 경우에 한함)을 말한다.
다만, 가스관의 도장이나 가스관의 작동에 필요한 기계・밸브의 소모된 부품교체, 기타 사용가능한 상태의 유지 등을 위한 수선은 제외한다.
2) 가스관의 개수에 대한 시가표준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며, 잔가율은 1을 적용한다.
① 가스관을 교체한 경우에는 신규 가스관으로 보아 교체한 길이에 대하여 “라. 기준 가격표”에 따라 시가표준액을 계산한다.
② 가스관의 개수에 대한 시가표준액은 “라. 기준가격표”에 따라 계산된 시가표준액에 개수된 비율을 적용하여 계산하며, 잔가율은 1을 적용한다.
개수 시가표준액 = 기준가격 × 잔가율(1) × 개수비율
③ 그 밖에 가스관을 유지・관리하는 주요 장비 등의 부수시설을 교체・수리한 경우에 는 시장・군수・구청장이 시가 등을 참조하여 수시로 결정한다.
≪ 가스관 개수 시가표준액 산출예시(취득원가 산정시) ≫
◦ 가스관(구조: PLP, 규격: 연결시설을 포함한 D100㎜, 길이: 1,000m)에서 500m를 개수한 경우 시가표준액은?
∙ 잔가율:1
∙ 1,000m 기준가격 : 176,000원/m×1,000m=176,000,000원
∙ 개수비율:500m/1,000m=0.5
∙ 개수 시가표준액:176,000,000원×1(잔가율)×0.5=88,000,000원
3) 개수 해당 가스관에 대한 신축연도는 기존 신축연도에 개수로 인한 잔존 내용연수 증가분(개수시점의 경과연수의 20%, 소수점 이하 절사)를 가산하여 계산한 연도로 한다.
≪ 산출예시 ≫
◦ 2012년에 설치한 가스관(구조 : PLP, 규격 : 연결시설을 포함한 D100㎜, 길이 : 1,000m)을 2022년에 일부 개수(길이 : 500m) 한 경우의 2022년 시가표준액은?
∙ 감가율 : 0.045(PLP관)
∙ 개수 전 잔가율:1-(0.045×10년)=0.55
∙ 개수 후 신축연도 조정:2012년+(0.20x10년)=2014년
∙ 개수 후 잔가율 : 1-(0.045×8년)=0.64
∙ 1,000m 기준가격 : 1,000m×176,000원=176,000,000원
∙ 시가표준액 : 176,000,000원×0.64(잔가율)=112,64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