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정 의
저유조란 유류(휘발유, 경유 등), LPG, LNG 등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할 수 있는 시설(석유화학제품 포함)을 말하며, 다른 시설과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고 일시적으로 저장기능을 하는 시설을 포함한다.
나. 종 류
1) 소형저유조:철판탱크(원형, 각형, 구형), 철근콘크리트조, 기타, LNG특수저장조 2) 대형저유조:철판(원형, 구형), 기타, LNG특수저장조, 지하암거
※ 저유조는 크기, 설비자재, 제작방식에 따라 구분
다. 내용연수 및 감가율
구 분 내용연수 감가율 감가방법 잔존율
철판 21년 0.0429 정액법 10%
철근콘크리트 40년 0.0225 〃 10%
기타 30년 0.0300 〃 10%
LNG특수저장조 40년 0.0225 〃 10%
지하암거 40년 0.0225 〃 10%
라. 기준가격표 : 행정안전부장관 고시 참조 마. 시가표준액 산출방법
시가표준액 ={기준가격+(증감시 기준가격×증감부피)}×잔가율 ※ 잔가율 = 1 - (감가율 × 경과연수)
≪ 산출예시 ≫
◦ 2016년도에 설치한 대형저유조(구조: 원형철판, 용량: 1,500배럴)의 2022년의 시가 표준액은?
∙ 감가율:0.0429(철판)
∙ 잔가율:1-(0.0429×6년)=0.7426
∙ 1,000배럴 기준가격:57,368,000원···A
∙ 배럴당 증가시 기준가격:32,000원×500배럴=16,000,000원···B
∙ 기준가격 합계:A+B=57,368,000원+16,000,000원=73,368,000원
∙ 시가표준액 : 73,368,000원×0.7426(잔가율)=54,483,076원
바. 저유조 개수 시가표준액
1) “저유조의 개수”란 저유조의 잔존 내용연수를 연장시키거나 그 가치를 현실적으로 증가시키는 수선(저유조 겉면적의 3분의1 이상을 수선하거나 주요 장비 등을 교체 ㆍ수리한 경우에 한함)을 말한다. 다만, 저유조의 도장, 기타 사용가능한 상태의 유지 등을 위한 수선은 제외한다.
2) 저유조의 개수에 대한 시가표준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며, 잔가율은 1을 적용한다.
① 개수는 “라. 기준가격표”에 따라 해당 저유조의 시가표준액을 계산하여 그 산출된 시가표준액에 “개수된 겉면적 / 해당 저유조의 총 겉면적”의 비율을 곱하여 개수 된 저유조의 시가표준액을 계산한다.
개수 시가표준액 = 저유조의 시가표준액 × (개수된 겉면적 / 저유조의 총 겉면적)
<저유조의 총 겉면적 계산>
정육면체 : 가로 × 세로 × 6
직육면체 : (a면의 가로 × 세로 + b면의 가로 × 세로 + c면의 가로 × 세로) × 2 원통형 : (πr2 × 2) + (2πr × 높이)
타원형 : (πab × 2) + π{5(a + b) / 4 – ab / (a + b)} × 높이 ※ a : 짧은쪽 반지름, b : 긴쪽 반지름
구 형 : 4πr2
② 그 밖에 저유조를 유지・관리하는 주요 장비 등의 부수시설을 교체・수리한 경우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시가 등을 참조하여 수시로 결정한다.
≪ 저유조 개수 시가표준액 산출예시(취득원가 산정시) ≫
◦ 대형저유조(구조: 원형철판, 용량: 1,500배럴)에서 겉면적의 2분의 1을 개수한 경우 시가표준액은?
∙ 잔가율:1
∙ 기준가격 합계:56,800,000원+32,000원/배럴×500배럴=73,368,000원
∙ 개수비율:1/2=0.5
∙ 개수 시가표준액:73,368,000원×1(잔가율)×0.5=36,684,000원
3) 개수 해당 저유조에 대한 신축연도는 기존 신축연도에 개수로 인한 잔존 내용연수 증가분(개수시점의 경과연수의 20%, 소수점 이하 절사)를 가산하여 계산한 연도로 한다.
≪ 산출예시 ≫
◦ 2016년도에 설치한 대형저유조(구조: 원형철판, 용량: 1,500배럴)를 2022년도에 일 부 개수(겉면적의 2분의 1)한 경우 2022년의 시가표준액은?
∙ 감가율:0.0429(철판)
∙ 개수 전 잔가율:1-(0.0429×6년)=0.7426
∙ 개수 후 신축연도 조정:2016년+(0.20x6년)=2017년
∙ 개수 후 잔가율:1-(0.0429×5년)=0.7855
∙ 1,000배럴 기준가격:57,368,000원···A
∙ 배럴당 증가시 기준가격:32,000원×500배럴=16,000,000원···B
∙ 기준가격 합계:A+B=57,368,000원+16,000,000원=73,368,000원
∙ 시가표준액 : 73,368,000원×0.7855(잔가율)=57,630,564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