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에너지 공급시설 1. 주유시설 및 가스충전시설

가. 정 의

1) 주유시설이란 주유기, 유류저장조 등 기름을 주입시키기 위한 일체의 설비를 말한다.

2) 가스충전시설이란 프로판가스, 부탄가스, 천연가스 등을 저장하여 차량이나 타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일체의 설비를 말한다.

나. 종 류

1) 유류저장조 : 방화 및 안전을 고려하여 지하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안에 철제탱크를 설치한 후 복개하고 유류를 저장하여 차량 등에 유류를 공급하는 시설이며, 철제탱크의 유류저장 용량에 따라 각 규모별로 구분함

2) 주 유 기 : 단식, 복식, 혼합식, 천장식

3) LPG 저장조 : 압축된 천연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압력용기설비 4) CNG 저장조 : 압축된 천연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압력용기설비 5) 가스주입기 : 단식, 복식 및 복복식

6) CNG 압축기 : 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저장조에 저장하기 위한 일체의 설비

다. 내용연수 및 감가율

구 분 내용연수 감가방법 잔존율 감가율

저장조 19년 정액법 10% 0.0473

주유기 12년 10% 0.0750

LPG저장조 18년 10% 0.0500

CNG저장조 15년 10% 0.0600

가스주입기 10년 10% 0.0900

CNG압축기 10년 10% 0.0900

라. 기준가격표 : 행정안전부장관 고시 참조

마. 시가표준액 산출방법

시가표준액 = 기준가격 × 잔가율 ※ 잔가율 = 1 - (감가율 × 경과연수)

≪ 산출예시 ≫

◦ 저장조의 시설용량:100D/M, 주유기:2대(PRIME SELF-8040), LPG저장조의 용 량:60㎥, 가스주입기:단식 2대

◦ 위 시설이 2015년도에 신품으로 설치되었다면 2022년의 시가표준액은?

① 저장조의 시가표준액계산

∙ 감가율:0.0473(저장조)

∙ 잔가율:1-(0.0473×7년)=0.6689

∙ 100D/M기준가격 9,890,000원

∙ 시가표준액 : 9,890,000년×0.6689(잔가율)=6,615,421원··· A

② 주유기의 시가표준액계산

∙ 감가율:0.075(주유기)

∙ 잔가율:1-(0.075×7년)=0.475

∙ 2대(PRIME SELF-8040)기준가격

∙ 기준가격 : 16,170,000원×2대=32,340,000

∙ 시가표준액 : 32,340,000원×0.475(잔가율)=15,361,500원··· B

③ LPG 저장조의 시가표준액계산

∙ 감가율:0.05(LPG 저장조)

∙ 잔가율:1-(0.05×7년)=0.65

∙ 60㎥ 기준가격 : 142,280,000원

∙ 시가표준액 : 142,280,000원×0.65(잔가율)=92,482,000원··· C

④ 가스주입기의 시가표준액계산

∙ 감가율:0.09(가스주입기)

∙ 잔가율:1-(0.09×7년)=0.37

∙ 단식 2대 기준가격 : 4,580,000원×2대=9,160,000원

∙ 시가표준액 : 9,160,000원×0.37(잔가율)=3,389,200원··· D

⑤ 시가표준액 합계

: A(6,615,421)+B(15,361,500)+C(92,482,000)+D(3,389,200)=117,848,121원

바. 주유시설 및 가스충전시설 개수 시가표준액

1) “주유시설 및 가스충전시설의 개수”란 시설물의 잔존 내용연수를 연장시키거나 그 가치를 현실적으로 증가시키는 수선(저장시설의 경우에는 겉면적의 3분의1 이상을 수선하거나 주요장비 등을 교체ㆍ수리한 경우에 한함)을 말한다. 다만, 주유시설 및 가스충전시설의 도장, 주유시설 및 가스충전시설의 작동에 필요한 소모된 기계・밸브의 부품교체, 기타 사용가능한 상태의 유지 등을 위한 수선은 제외한다.

2) 주유기나 가스주입기의 교체는 신규로 보아 시가표준액을 계산하고, 저장조의 개수에 대한 시가표준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며, 잔가율은 1을 적용한다.

① 저장조의 개수는 “라. 기준가격표”에 따라 해당 저장조의 시가표준액을 계산하여 그 산출된 시가표준액에 “개수된 겉면적/해당 저장조의 총 겉면적”의 비율을 곱하 여 개수된 저장조의 시가표준액을 계산한다.

개수 시가표준액 = 저장조의 시가표준액×(개수된 겉면적/저장조의 총 겉면적)

<저장조의 총 겉면적 계산>

정육면체 : 가로 × 세로 × 6

직육면체 : (a면의 가로 × 세로 + b면의 가로 × 세로 + c면의 가로 × 세로) × 2 원통형 : (πr2 × 2) + (2πr × 높이)

타원형 : (πab × 2) + π{5(a + b) / 4 – ab / (a + b)} × 높이 ※ a : 짧은쪽 반지름, b : 긴쪽 반지름

② 그 밖에 저장조를 유지・관리하는 주요 장비 등의 부수시설을 교체・수리한 경우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시가 등을 참조하여 수시로 결정한다.

≪ 주유시설 및 가스충전시설 개수 시가표준액 산출예시(취득원가 산정시) ≫

◦ LPG 저장조(용량: 65㎥)에서 겉면적의 2분의 1을 개수한 경우 시가표준액은?

∙ 잔가율:1

∙ 65㎥ 기준가격 합계: 142,280,000원+1,080,000원/㎥×5㎥=148,220,000원

∙ 개수비율:1/2=0.5

∙ 개수 시가표준액:148,220,000원×1(잔가율)×0.5=74,110,000원

3) 개수 해당 주유시설 및 가스충전시설에 대한 신축연도는 기존 신축연도에 개수로 인한 잔존 내용연수 증가분(개수시점의 경과연수의 20%, 소수점 이하 절사)를 가산하여 계산한 연도로 한다.

≪ 산출예시 ≫

◦ 2015년도에 시설한 LPG저장조 60㎡를 2022년에 일부 개수(30㎡)한 경우의 2022년 시가표준액은?

∙ 감가율:0.05(LPG저장조)

∙ 개수 잔가율:1-(0.05×7년)=0.65

∙ 개수 후 신축연도 조정:2015년+(7년×0.20)=2016년

∙ 개수 후 잔가율:1-(0.05×6년)=0.70

∙ 60㎡ 기준가격:142,280,000원

∙ 시가표준액 : 142,280,000원×0.70(잔가율)=99,596,000원